KR20170088758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758A
KR20170088758A KR1020170007002A KR20170007002A KR20170088758A KR 20170088758 A KR20170088758 A KR 20170088758A KR 1020170007002 A KR1020170007002 A KR 1020170007002A KR 20170007002 A KR20170007002 A KR 20170007002A KR 20170088758 A KR20170088758 A KR 20170088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unit
request signal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422B1 (ko
Inventor
김세훈
김아찬
최연식
이재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15,04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48155B2/en
Priority to DE102017110788.6A priority patent/DE102017110788A1/de
Priority to CN201710600073.8A priority patent/CN108319326B/zh
Priority to TW106124821A priority patent/TWI740988B/zh
Publication of KR2017008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6Clock generators producing several clock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3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disabling clock generation or distribution
    • Y02B60/12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장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제2 제어 회로와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2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2 채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는 제1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는 상기 제1 클럭과 다른 제2 클럭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통신, 방송 등이 점차 통합되는 컨버전스(Convergence)화에 따라, 기존 ASIC(Application Specific IC; 주문형 반도체)와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특정용도 표준제품)의 수요는 SoC의 수요로 변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IT(Information Technology) 기기의 경박 단소화 및 고기능화 추세도 SoC를 촉진시키는 요인들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SoC는, 반도체 공정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존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기능 블록들, 예컨대 IP(Intellectural Property)들이 하나의 칩 상에 집약적으로 구현된 형태이다.
SoC의 집적도 및 사이즈가 커지고 동작 속도도 높아짐에 따라, 저전력 소비 이슈도 매우 중요한 팩터들 중의 하나가 된다. 왜냐하면 전력 소비가 심할 경우에 칩의 온도가 높아져 동작 불능은 물론 패키지(package)가 파손되는 경우도 초래될 수 있다.
SoC 내의 반도체 회로에서, 전력 절감(power reduction) 등의 목적을 위해 클럭을 제공하거나 차단하는 회로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클럭 게이팅 회로(Clock Gating Circuit)는 특정 회로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그 회로에 클럭을 공급하지 않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SoC 내의 반도체 회로에서 채널 매니지먼트 유닛과 IP(Intellectual Property)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여, 다양한 클럭 컨수머(clock consumer)를 적용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제2 제어 회로와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2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2 채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는 제1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는 상기 제1 클럭과 다른 제2 클럭을 출력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및 제2 제어 회로와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클럭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채널 관리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는 제1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는 상기 제1 클럭과 다른 제2 클럭을 출력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2 채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는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로 제1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 관리부는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로 제2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클럭 관리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IP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복수 개의 제어 회로 사이의 신호 전송 패스(path)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클럭 요청 신호와 클럭 응답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클럭 요청 신호와 클럭 응답 신호에 대한 클럭 레벨 천이(transition)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0a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입출력 패드(101), 클럭 관리 유닛(CMU; Clock Management Unit)(100), 전력 관리 유닛(PMU; Power Management Unit)(300) 및 로직 블록(logic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IP 블록(intellectual property)(200, 210, 220)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 각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 클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클럭 신호(CLK1, CLK2, CLK3)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 각각은 시스템 버스(bus)에 연결되며,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 각각은 프로세서(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 메모리 컨트롤러(graphic controller), 입출력 인터페이스 블록(input and output interface blo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IP 블록(200)으로 제1 클럭 신호(CLK1)를 제공할 수 있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2 IP 블록(210)으로 제2 클럭 신호(CLK2)를 제공할 수 있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3 IP 블록(220)으로 제3 클럭 신호(CLK3)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 중 어느 하나는 풀 핸드셰이크 방식(full handshake method)에 따라 클럭 관리 유닛(100)으로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IP 블록(200)은 풀 핸드셰이크 방식에 따라 클럭 관리 유닛(100)으로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전송할 수 있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수신하고, 제1 IP 블록(200)으로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신호(CLK1)을 제1 IP 블록(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클럭 관리 유닛(100)과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풀 핸드셰이크 방식(full handshake method)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ARM 사의 Q-채널 인터페이스(Q-Channel Interface) 또는 P-채널 인터페이스(P-Channel Interface)에 따르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클럭 게이팅(clock gating)은 컴퓨터 시스템 내부를 작은 기능 블록들로 구분한 뒤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전력은 끊는 기능이다. 실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컴퓨터 시스템의 모든 부분이 항상 동작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하지 않는 부분의 블록을 정지시켜서 소비 전력을 낮추고, 더불어 기능이 정지된 블록에서 생기는 발열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 중 동작 클럭이 필요하지 않은 IP 블록에 대하여 후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클럭 게이팅을 수행하여, IP 블록 동작에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자동적으로 클럭 게이팅을 수행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전력 관리 유닛(300)은 반도체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장치(100)가 대기 모드에 들어가면, 전력 관리 유닛(300)은 전력 조절 회로를 오프 하여 반도체 장치(100)로 제공되는 공급 전원을 차단한다. 이 때, 전력 관리 유닛(300)은 계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지만, 전력 관리 유닛(3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반도체 장치(100) 전체에서 소모되는 전력에 비해 아주 작은 부분에 해당되므로, 대기 모드에서는 반도체 장치(100)의 전력 소비가 크게 줄어든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유닛(300)은 반도체 장치(100)가 대기 모드인 경우, 클럭 관리 유닛(100)으로 제공되는 공급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제3 IP 블록(200, 210, 220)에서 클럭 요청이 없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클럭 관리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럭 관리 유닛(100)은 클럭 컴포넌트(Clock Component)(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채널 관리 회로(Channel Management circuit, CM)(130, 132) 및 클럭 관리 유닛 컨트롤러(Clock Management Controller, CMU Controller)(110)를 포함한다. 클럭 컴포넌트(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는 IP 블록(200, 210)에 제공할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채널 관리 회로(130, 132)는 클럭 컴포넌트(120f, 120g)와 IP 블록(200, 210) 사이에 배치되어 클럭 관리 유닛(100)과 IP 블록(200, 210) 사이의 통신 채널(Channel, CH)을 제공한다. 그리고 클럭 관리 유닛 컨트롤러(110)는 클럭 컴포넌트(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를 이용하여 IP 블록(200, 210)에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채널 관리 회로(130, 132)가 제공하는 통신 채널(CH)은 ARM 사의 LPI(Low Power Interface), Q-채널 인터페이스(Q-Channel Interface) 또는 P-채널 인터페이스(P-Channel Interface)에 따르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구현 목적에 따라 정해진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통신 채널(CH)로 구현될 수 있다.
클럭 컴포넌트(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는 각각 클럭 소오스(Clock Source, CS)(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와,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를 각각 제어하는 클럭 제어 회로(Clock Control circuit, CC)(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를 포함한다.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는, 예컨대, 다중화 회로(MUX circuit), 클럭 분주 회로(clock dividing circuit), 단기 정지 회로(short stop circuit), 클럭 게이팅 회로(clock gating circu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컴포넌트(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는 서로 간에 부모-자식 관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럭 컴포넌트(120a)는 클럭 컴포넌트(120b)의 부모이고, 클럭 컴포넌트(120b)는 클럭 컴포넌트(120a)의 자식이자 클럭 컴포넌트(120c)의 부모이다. 또한 클럭 컴포넌트(120e)는 2 개의 클럭 컴포넌트(120f, 120g)의 부모이고, 클럭 컴포넌트(120f, 120g)는 클럭 컴포넌트(120e)의 자식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PLL(Phase Locked Loop)에 가장 가깝도록 배치된 클럭 컴포넌트(120a)는 루트(root) 클럭 컴포넌트이고, IP 블록(200, 210)에 가장 가깝도록 배치된 클럭 컴포넌트(120f, 120g)는 리프(leaf) 클럭 컴포넌트이다. 이와 같은 부모-자식 관계는 클럭 컴포넌트(120a, 120b, 120c, 120d, 120e, 120f, 120g) 간의 부모-자식 관계에 따라 필연적으로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 간, 그리고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 간에도 형성된다.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는 부모와 자식 간에 클럭 요청(REQ) 및 이에 대한 애크(acknowledgement)(ACK)를 주고 받으며, IP 블록(200, 210)에 클럭 신호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IP 블록(200)이 클럭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IP 블록(200)이 슬립(sleep) 상태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클럭 관리 유닛(100)은 IP 블록(200)에 대한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지한다.
구체적으로, 채널 관리 회로(130)는, 클럭 관리 유닛(100) 또는 클럭 관리 유닛 컨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IP 블록(200)에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지하겠다는 제1 신호를 전송한다. 제1 신호를 수신한 IP 블록(200)은 처리 중인 작업을 완료한 후 클럭 신호가 중지되어도 좋다는 제2 신호를 채널 관리 회로(130)에 전송한다. 채널 관리 회로(130)는 IP 블록(200)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한 후, 자신의 부모에 해당하는 클럭 컴포넌트(120f)에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지할 것을 요청한다.
일례로, 만일 채널 관리 회로(130)가 제공하는 통신 채널(CH)이 Q-채널 인터페이스를 따르는 경우라면, 채널 관리 회로(130)는 IP 블록(200)에 제1 논리 값(예컨대, 논리 로우(logic low), 이하 L로 표시)을 갖는 QREQn 신호를 제1 신호로서 전송한다. 이후 채널 관리 회로(130)는 IP 블록(200)으로부터, 예컨대 제1 논리 값을 갖는 QACCEPTn 신호를 제2 신호로서 수신한 후, 클럭 컴포넌트(120f)에, 예컨대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를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은 "클럭 제공 중지 요청"을 말한다.
채널 관리 회로(130)로부터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 즉 클럭 제공 중지 요청을 수신한 클럭 제어 회로(122f)는 클럭 소오스(124f)(예컨대, 클럭 게이팅 회로)를 디스에이블(disable)하여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지하고, 이에 따라 IP 블록(200)은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클럭 제어 회로(122f)는 제1 논리 값을 갖는 애크(ACK)를 채널 관리 회로(130)에 제공할 수 있다. 유의할 점은 채널 관리 회로(130)가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제공 중지 요청을 전송한 후 제1 논리 값을 갖는 애크(ACK)를 수신했다고 해서 클럭 소오스(124f)로부터의 클럭 제공의 중지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애크(ACK)는, 채널 관리 회로(130)의 부모인 클럭 컴포넌트(120f)가 채널 관리 회로(130)에 더 이상 클럭 제공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클럭 제어 회로(122f)가 인지했다는 의미를 가질 뿐이다.
한편, 클럭 컴포넌트(120f)의 클럭 제어 회로(122f)는 자신의 부모에 해당하는 클럭 컴포넌트(120e)의 클럭 제어 회로(122e)에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을 전송한다. 만일 IP 블록(210) 역시 클럭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클럭 제어 회로(122e)가 클럭 제어 회로(122g)로부터 클럭 제공 중지 요청을 수신한 경우라면, 클럭 제어 회로(122e)는 클럭 소오스(124e)(예컨대, 클럭 분주 회로)를 디스에이블하여 클럭 신호의 제공을 중지한다. 이에 따라 IP 블록(200, 210)은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다른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클럭 컴포넌트(120f)의 클럭 제어 회로(122f)가 자신의 부모에 해당하는 클럭 컴포넌트(120e)의 클럭 제어 회로(122e)에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을 전송하였지만, IP 블록(210)이 실행(running) 상태에 있는 경우라면, 클럭 제어 회로(122e)는 클럭 소오스(124e)를 디스에이블할 수 없다. 이후 IP 블록(210)이 더 이상 클럭 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가 되어서야 비로소 클럭 제어 회로(122e)는 클럭 소오스(124e)를 디스에이블하고 자신의 부모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 회로(120d)에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클럭 제어 회로(122e)는 자식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 회로(122f, 122g) 모두로부터 클럭 제공 중지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만 클럭 소오스(124e)를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
한편, IP 블록(200, 210)이 슬립 상태에 있어서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가 모두 디스에이블되었다가 IP 블록(200)이 실행 상태로 진입한 경우, 클럭 관리 유닛(100)은 IP 블록(200, 210)에 대한 클럭 신호의 제공을 재개한다.
채널 관리 회로(130)는 자신의 부모에 해당하는 클럭 컴포넌트(120f)의 클럭 제어 회로(122f)에 제2 논리 값(예컨대, 논리 하이(logic high), 이하 H로 표시)을 갖는 클럭 요청(REQ)을 전송하고, 클럭 제어 회로(122f)로부터의 애크(ACK)를 대기한다. 여기서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은 "클럭 제공 요청"을 말하고, 클럭 제공 요청에 대한 애크(ACK)는 클럭 소오스(124f)로부터 클럭 제공이 재개되었음을 의미한다. 클럭 제어 회로(122f)는 클럭 소오스(124f)(예컨대, 클럭 게이팅 회로)를 바로 인에이블(enable)하지 못하고, 부모로부터 클럭 신호가 제공되기를 대기한다.
다음으로 클럭 제어 회로(122f)는 자신의 부모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회로(122e)에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 즉 클럭 제공 요청을 전송하고, 클럭 제어 회로(122e)로부터의 애크(ACK)를 대기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클럭 제어 회로(122b)로부터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REQ)를 수신한 루트 클럭 컴포넌트인 클럭 제어 회로(122a)는 클럭 소오스(124a)(예컨대, 다중화 회로)를 인에이블하고 애크(ACK)를 클럭 제어 회로(122b)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클럭 소오스(124b, 124c, 124d, 124d, 124e)가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면 비로소 클럭 제어 회로(122e)는 클럭 제어 회로(122f)에 클럭 소오스(124e)로부터 클럭 제공이 재개되었음을 알리는 애크(ACK)를 전송한다. 애크(ACK)를 수신한 클럭 제어 회로(122f)는 비로소 클럭 소오스(124f)를 인에이블하여 클럭 신호를 IP 블록(200)에 제공하고, 채널 관리 회로(130)에 애크(ACK)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는 부모와 자식 간에 클럭 요청(REQ) 및 이에 대한 애크 (ACK)를 주고 받는 풀 핸드셰이크(full handshake)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는 하드웨어적으로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를 제어하여 IP 블록(200, 210)에 제공되는 클럭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들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는 자체적으로 동작하여 부모에게 클럭 요청(REQ)을 전송하거나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를 제어할 수 있고, 클럭 관리 유닛 컨트롤러(11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122g)는 부모와 자식 간에 주고 받는 클럭 요청(REQ)에 따라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 124g)를 각각 제어하는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 FSM)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IP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IP 블록(200)은 채널 어댑터(channel adapter)(200)와 IP 코어(core)(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예시적으로 제1 IP 블록(200)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며, 제2 및 제3 IP 블록(210, 220)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채널 어댑터(202)는 제1 채널 관리 회로(130)과 풀 핸드셰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채널 어댑터(202)를 통해 제1 IP 블록(200)은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1 클럭 신호(CLK1)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는 채널 어댑터(202)를 통해 제1 IP 블록(200)은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전송하고, 클럭이 존재한다는 ACK 신호를 받을 수 있고, 제1 클럭 신호(CLK1)는 채널 어댑터(202)에 의해 제어되는 클럭 컴포넌트로부터 직접 공급받을 수 있다.
IP 코어(204)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essor),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or), 메모리 컨트롤러(graphic controller), 입출력 인터페이스 블록(input and output interface bloc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복수 개의 제어 회로 사이의 신호 전송 패스(path)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클럭 제어 회로들은 클럭 요청 신호(REQ)와, 이에 대한 응답 신호인 애크(또는 클럭 응답 신호)(ACK)를 포함하는 핸드셰이크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클럭 요청 신호(REQ) 및 클럭 응답 신호(ACK)는, 예컨대 제1 논리 값(예컨대, 논리 로우)과 제2 논리 값(예컨대, 논리 하이)을 가질 수 있으나, 클럭 요청 신호(REQ) 및 클럭 응답 신호(ACK)를 구현하는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클럭 소비자(clock consumer)는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 신호(REQ)를 클럭 제공자(clock provider)에게 전송함으로써, 클럭 제공자에게 클럭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클럭 소비자는 예컨대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 신호(REQ)를 클럭 제공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클럭 제공자에게 클럭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클럭 제공자는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ACK)를 클럭 소비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데, 이것은 클럭 제공자로부터 클럭 신호가 클럭 소비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다르게, 클럭 제공자는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ACK)를 클럭 소비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데, 이것은 클럭 제공자가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의 제공 여부를 알려줄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클럭 제어 회로(122b)는, 클럭 소비자의 입장에서,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 신호(PARENT_CLK_REQ)를 클럭 제어 회로(122a)에 전송함으로써, 클럭 제공자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 회로(122a)에게 클럭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클럭 제어 회로(122a)를 포함하는 클럭 컴포넌트(즉, 클럭 공급자)는, 클럭 제어 회로(122b)를 포함하는 클럭 컴포넌트(즉,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클럭 제어 회로(122b)는,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PARENT_CLK_ACK)를 클럭 제어 회로(122a)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클럭 제어 회로(122b)는, 클럭 제공자의 입장에서,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 신호(CHILD_CLK_REQ)를 클럭 제어 회로(122f)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클럭 소비자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 회로(122f)가 클럭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클럭 제어 회로(122b)를 포함하는 클럭 컴포넌트(즉, 클럭 공급자)는, 클럭 제어 회로(122f)를 포함하는 클럭 컴포넌트(즉,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를 제공하고, 이후 클럭 제어 회로(122b)는, 클럭 제공자의 입장에서,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CHILD_CLK_ACK)를 클럭 제어 회로(122f)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클럭 제어 회로(122b)는, 클럭 소비자의 입장에서, 예컨대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 신호(PARENT_CLK_REQ)를 클럭 제어 회로(122a)에 전송함으로써, 클럭 제공자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 회로(122a)에게 클럭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에, 클럭 제어 회로(122b)는, 예컨대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PARENT_CLK_ACK)를 클럭 제어 회로(122a)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것은 클럭 제공자로부터의 클럭 제공이 보장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한편, 클럭 제어 회로(122b)는, 클럭 제공자의 입장에서, 예컨대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요청 신호(CHILD_CLK_REQ)를 클럭 제어 회로(122f)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클럭 소비자에 해당하는 클럭 제어 회로(122f)가 클럭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클럭 제어 회로(122b)는, 예컨대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CHILD_CLK_ACK)를 클럭 제어 회로(122f)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것은 클럭 제공자로부터의 클럭 제공이 보장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유의할 점은, 이와 같은 클럭 제어 회로들 사이의 조합 패스(combinational path)는, 클럭 제어 회로(122b)가 그 부모인 클럭 제어 회로(122a)에게 클럭 요청 신호(PARENT_CLK_REQ)를 전송한 후 클럭 제어 회로(122b)가 그 부모인 클럭 제어 회로(122a)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PARENT_CLK_ACK)를 수신하는 패스와, 클럭 제어 회로(122b)가 그 자식인 클럭 제어 회로(122f)로부터 클럭 요청 신호(CHILD_CLK_REQ)를 수신한 후 클럭 제어 회로(122b)가 그 자식인 클럭 제어 회로(122f)에게 클럭 응답 신호(CHILD_CLK ACK)를 전송하는 패스를 포함할 수는 있지만, 클럭 제어 회로(122b)가 그 부모인 클럭 제어 회로(122a)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PARENT_CLK_ACK)를 수신한 후, 클럭 제어 회로(122b)가 그 부모인 클럭 제어 회로(122a)에게 클럭 요청 신호(PARENT_CLK_REQ)를 전송하는 패스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이다(도 4에서 'X'로 도시됨).
이와 같은 클럭 요청 신호(REQ)와 클럭 응답 신호(ACK)는 일반적인 풀 핸드셰이크(full handshake)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클럭 제공자과 클럭 소비자는 서로 동일한 단일 클럭 도메인(single clock domain)에 속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클럭 도메인에 속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클럭 제어 회로와 연결되어 통신하는 클럭 먹스 회로, 클럭 분주 회로, 클럭 게이팅 회로 등은 클럭 제어 회로와 서로 다른 클럭 도메인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라인에서의 클럭 주파수와 실제로 제공받는 동작 클럭의 클럭 주파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어 이용되는 클럭 요청 신호와 클럭 응답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클럭 요청 신호와 클럭 응답 신호에 대한 클럭 레벨 천이(transition)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시점(T1)에서 클럭 요청 신호(REQ)가 제2 논리 값으로 트랜지션하는 것은 클럭 소비자가 클럭 제공자에게 클럭 신호(CLK)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시점(T1) 이후 클럭 제공자는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CLK)를 제공할 수 있다.
시점(T2)에서, 클럭 제공자는 제2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ACK)를 클럭 소비자에게 전송하며, 이것은 클럭 제공자로부터 클럭 신호(CLK)가 클럭 소비자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I 구간 참조).
시점(T3)에서 클럭 요청 신호(REQ)가 제1 논리 값으로 트랜지션하는 것은 클럭 소비자가 클럭 제공자에게 클럭 신호(CLK)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시점(T3) 이후 클럭 제공자는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CLK)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도 있고, 여전히 클럭 신호(CLK)의 제공을 계속할 수도 있다.
시점(T4)에서, 클럭 제공자는 제1 논리 값을 갖는 클럭 응답 신호(ACK)를 클럭 소비자에게 전송하며, 이것은 클럭 제공자가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의 제공 여부를 알려줄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도 5a에서 클럭 제공자로부터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CLK)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이 보장되는 구간은 I 구간뿐이고, 나머지 II 구간에서는 클럭 제공자가 클럭 소비자에게 클럭 신호의 제공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없다(unknown).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도 5b는 제2 논리 값을 1로 표현하고 제1 논리 값을 0으로 표시한 경우에 클럭 요청 신호(REQ)와 클럭 응답 신호(ACK)의 가능한 신호의 조합과 이들 사이의 가능한 트랜지션(transition)을 표현한다.
도 5a를 함께 참조하면, 상태(S0)는 시점(T1) 이전 및 시점(T4) 이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태(S1)는 시점(T1) 내지 시점(T2)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태(S2)는 시점(T2) 내지 시점(T3)의 상태를 나타내고, 상태(S3)는 시점(T3) 내지 시점(T4)의 상태를 나타낸다. 클럭 요청 신호(REQ)와 클럭 응답 신호(ACK)의 값의 조합은 상태(S0), 상태(S1), 상태(S2), 상태(S3), 상태(S0)로 순차적으로 변화한다(실선 화살표 참조).
그런데 만일 시점(T1)에서 클럭 요청 신호(REQ)가 제2 논리 값으로 트랜지션됨과 동시에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제2 논리 값으로 트랜지션되도록 회로를 구현하는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와 클럭 응답 신호(ACK)의 값의 조합은 상태(S0)에서 바로 상태(S2)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만일 시점(T3)에서 클럭 요청 신호(REQ)가 제1 논리 값으로 트랜지션됨과 동시에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제1 논리 값으로 트랜지션되도록 회로를 구현하는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와 클럭 응답 신호(ACK)의 값의 조합은 상태(S2)에서 바로 상태(S0)로 전환될 수 있다(점선 화살표 참조).
다시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풀 핸드쉐이크 방식(full handshake method)에 대하여 설명한다.
풀 핸드셰이크 방식(full handshake method)이란, 제1 IP 블록(200)이 클럭이 필요하면, 제1 IP 블록(200)은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활성화한다. 예를 들면, 제1 IP 블록(200)는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하이 상태(high state)로 만든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에 대한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를 활성화한다. 즉,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를 하이 상태(high state)로 만든다.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의 활성화보다 먼저 제1 클럭 신호(CLK1)을 제1 IP 블록(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의 활성화와 동시에 제1 클럭 신호(CLK1)을 제1 IP 블록(2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에, 제1 IP 블록(200)가 클럭이 불필요한 경우,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비활성화한다. 즉, 제1 IP 블록(200)는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를 로우 상태(low state)로 만든다.
제1 클럭 요청 신호(REQ1)가 로우 상태(low state)이면, 클럭 관리 유닛(100)은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를 로우 상태(low state)로 만든다. 그리고, 클럭 관리 유닛(100)은 동시에 제1 클럭 신호(CLK1)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1 IP 블록(200)는 제1 클럭 응답 신호(ACK1)가 활성화 상태인 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 관리 유닛(100)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full handshake method)에 대해 설명한다. 이에 관하여, 도 2의 클럭 컴포넌트(120a, 120b, 120c, 120d, 120e, 120f)는 각각 PLL 컨트롤러, 클럭 먹스 유닛, 제1 클럭 분주 유닛, 단기 정지 회로, 제2 클럭 분주 유닛,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일례에 해당할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PLL 컨트롤러, 클럭 먹스 유닛, 제1 클럭 분주 유닛, 단기 정지 회로, 제2 클럭 분주 유닛, 제1 클럭 게이팅 유닛 각각은 클럭 소오스(124a, 124b, 124c, 124d, 124e, 124f)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LL 컨트롤러는 오실레이터(OSC; oscillator)와 PLL(phase locked loop)을 입력받는 클럭 먹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먹스 유닛은 복수의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클럭 먹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제1 클럭 분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단기 정지 회로는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제2 클럭 분주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LL 컨트롤러는 클럭 제어 회로(122a)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먹스 유닛은 클럭 제어 회로(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클럭 제어 회로(122c)를 포함할 수 있다. 단기 정지 회로(114)는 클럭 제어 회로(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클럭 제어 회로(122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클럭 제어 회로(122f)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122c, 122d, 122e, 122f) 각각은 풀 핸드셰이크 방식(full handshake method)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럭 제어 회로(122a, 122b) 각각은 PLL 컨트롤러와 클럭 먹스 유닛 사이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클럭 제어 회로(122b, 122c) 각각은 클럭 먹스 유닛과 제1 클럭 분주 유닛 사이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클럭 제어 회로(122c, 122d) 각각은 제1 클럭 분주 유닛과 단기 정지 회로 사이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클럭 제어 회로(122d, 122e) 각각은 단기 정지 회로와 제2 클럭 분주 유닛 사이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클럭 제어 회로(122e, 122f) 각각은 제2 클럭 분주 유닛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 사이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클럭 제어 회로(122f)와 채널 관리 회로(130) 각각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과 채널 관리 회로(130) 사이의 풀 핸드셰이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IP 블록(200)은 풀 핸드셰이크 방식에 따라 클럭 관리 유닛(100)으로 동작 클럭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IP 블록(200)은 동작 클럭이 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1 IP 블록(200)은 동작 클럭이 필요한 경우, 클럭 관리 유닛(100)으로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채널 관리 회로(130)는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채널 관리 회로(130)는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제2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단기 정지 회로로 전송한다. 단기 정지 회로는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제1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클럭 먹스 유닛으로 전송한다. 클럭 먹스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PLL 컨트롤러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서, PLL 컨트롤러, 클럭 먹스 유닛, 제1 클럭 분주 유닛, 단기 정지 회로, 제2 클럭 분주 유닛, 제1 클럭 게이팅 유닛, 제1 채널 관리 회로(130) 각각은 조합 회로(combinational circuit)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는 제1 채널 관리 회로으로부터 PLL 컨트롤러까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PLL 컨트롤러는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에 대하여 클럭 응답 신호를 활성화한다. 즉, PLL 컨트롤러는 상기 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에 대한 클럭 응답 신호를 클럭 먹스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PLL 컨트롤러는 클럭 신호(CLK)를 클럭 먹스 유닛으로 전송한다.
클럭 먹스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1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클럭 먹스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제1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단기 정지 회로로 전송한다. 동시에,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단기 정지 회로로 전송한다.
단기 정지 회로는 상기 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2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단기 정지 회로는 클럭 신호(CLK)를 제2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상기 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1 채널 관리 회로(130)로 전송한다. 동시에,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제1 IP 블록(200)에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럭 응답 신호는 PLL 컨트롤러로부터 제1 채널 관리 회로까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IP 블록(200)은 클럭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클럭 요청 신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1 IP 블록(200)은 클럭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관리 유닛(100)으로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채널 관리 회로(130)는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채널 관리 회로(130)는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제2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단기 정지 회로로 전송한다. 단기 정지 회로는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제1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클럭 먹스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클럭 먹스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를 PLL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다.
PLL 컨트롤러, 클럭 먹스 유닛, 제1 클럭 분주 유닛, 단기 정지 회로, 제2 클럭 분주 유닛, 제1 클럭 게이팅 유닛, 제1 채널 관리 회로(130) 각각은 조합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는 채널 관리 회로(130)으로부터 PLL 컨트롤러까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PLL 컨트롤러는 비활성화된 클럭 요청 신호에 대하여 클럭 응답 신호를 비활성화한다. 즉, PLL 컨트롤러는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클럭 먹스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시에, PLL 컨트롤러는 클럭 신호(CLK)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클럭 신호(CLK)를 여전히 클럭 먹스 유닛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클럭 먹스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1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클럭 먹스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클럭 신호(CLK)를 여전히 제1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단기 정지 회로로 전송한다. 동시에, 제1 클럭 분주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클럭 신호(CLK)를 여전히 단기 정지 회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기 정지 회로는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2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단기 정지 회로는 클럭 신호(CLK)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클럭 신호(CLK)를 여전히 제2 클럭 분주 유닛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으로 전송한다. 동시에, 제2 클럭 분주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클럭 신호(CK)를 여전히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상기 비활성화된 클럭 응답 신호를 채널 관리 회로(130)로 전송한다. 동시에, 제1 클럭 게이팅 유닛은 클럭 신호(CLK)를 비활성화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클럭 응답 신호는 PLL 컨트롤러부터 제1 채널 관리 회로(130)까지 한번에 전송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a)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2 PLL 컨트롤러(121), 제2 클럭 먹스 유닛(122), 제2 클럭 분주 유닛(123),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 등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제2 IP(172)의 동작이 제1 IP(171)의 동작에 의존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시 말하면, 제1 IP(171)가 동작할 때 제2 IP(172)도 항상 동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제1 IP(171)가 동작할 때 제2 IP(172)가 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과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 중 적어도 하나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 IP(171)가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하면,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이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한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까지 전송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1 IP(171)로 제1 클럭(CLK1)이 제공된다.
제1 IP(171)가 제1 클럭(CLK1)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를 비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제2 IP(172)의 동작은 제1 IP(171)의 동작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제2 IP(172)는 클럭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없으며, 제1 IP(171)에서 클럭 요청 신호(REQ)가 활성화되면, 제2 IP(172)에도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으로부터 제2 클럭(CLK2)이 제공된다.
제2 PLL 컨트롤러(121), 제2 클럭 먹스 유닛(122), 제2 클럭 분주 유닛(123),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2 PLL 컨트롤러(12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2 PLL 컨트롤러(12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까지 전송되어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2 IP(172)로 제2 클럭(CLK2)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2)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b)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제2 채널 관리 유닛(126) 등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경우는, 제2 채널 관리 유닛(126)이 더미 유닛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채널 관리 유닛(126)은 제2 IP(172)와의 통신에 의해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SFR(Special Function Register)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SFR(Special Function Register)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서 제2 IP(172)의 클럭 필요성 유무를 판단하며, 별도의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제어한다.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과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제2 채널 관리 유닛(126)은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과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 IP(171)가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하면,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이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한다. 다만,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 IP(172)는 제2 채널 관리 유닛(126)과 직접 통신하지 않는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까지 전송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1 IP(171)로 제1 클럭(CLK1)이 제공된다.
또한,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및 제2 채널 관리 유닛(126)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2 채널 관리 유닛(126)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까지 전송되어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2 IP(172)로 제2 클럭(CLK2)이 제공된다.
제1 IP(171)가 제1 클럭(CLK1)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를 비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제2 IP(172)가 제2 클럭(CLK2)이 불필요한 경우, SFR(Special Function Register)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의 제어에 따라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되어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3)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c)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제3 채널 관리 유닛(127) 등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경우는, 제1 IP(171)의 동작과 제2 IP(172)의 동작이 서로 독립적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IP(171)의 동작 수행 여부와 제2 IP(172)의 동작 수행 여부는 무관하며, 각자 독립적으로 클럭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과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제3 채널 관리 유닛(127)은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과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 IP(171)가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하면,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이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한다. 또한, 독립적으로 제2 IP(172)는 제3 채널 관리 유닛(127)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할 수 있고, 제3 채널 관리 유닛(127)은 이를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으로 전송한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까지 전송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1 IP(171)로 제1 클럭(CLK1)이 제공된다.
또한,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및 제3 채널 관리 유닛(127)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3 채널 관리 유닛(127)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까지 전송되어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2 IP(172)로 제2 클럭(CLK2)이 제공된다.
제1 IP(171)가 제1 클럭(CLK1)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를 비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제2 IP(172)가 제2 클럭(CLK2)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를 비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되어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4)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d)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등을 포함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경우는, 채널 관리 유닛과 그의 패런트(parent)인 클럭 게이팅 유닛이 1:n의 관계로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클럭 게이팅 유닛이 하나의 채널 관리 유닛을 공유하여 동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2 IP(172)의 동작이 제1 IP(171)의 동작에 의존적인 경우이며, 제1 IP(171)가 동작할 때 제2 IP(172)도 항상 동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제1 IP(171)가 동작할 때 제2 IP(172)가 동작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과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중 적어도 하나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 IP(171)가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하면,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이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한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까지 전송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1 IP(171)로 제1 클럭(CLK1)이 제공된다.
제2 IP(172)의 동작은 제1 IP(171)의 동작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제2 IP(172)는 클럭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없으며, 제1 IP(171)에서 클럭 요청 신호(REQ)가 활성화되면, 제2 IP(172)에도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으로부터 제2 클럭(CLK2)이 제공된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까지 전송되어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2 IP(172)로 제2 클럭(CLK2)이 제공된다.
제1 IP(171)가 제1 클럭(CLK1)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를 비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이 때,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도 비활성화되어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이 수행된다.
도 10a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5)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e)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4 채널 관리 유닛(128) 등을 포함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경우는, 채널 관리 유닛과 그의 패런트(parent)인 클럭 게이팅 유닛이 n:1의 관계로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채널 관리 유닛이 하나의 클럭 게이팅 유닛과 연결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복수 개의 IP에서 사용하는 클럭이 하나이다. 즉, 복수 개의 IP는 동일한 클럭을 이용하며, 복수 개의 IP로부터의 클럭 요청이 있는 경우, 클럭 게이팅 유닛에 포함된 제어 회로는 OR 연산을 수행하여 클럭 필요 유무를 판단한다.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과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제4 채널 관리 유닛(128)은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과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제1 IP(171)가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하거나, 제2 IP(172)가 제4 채널 관리 유닛(128)으로 클럭 요청 신호(REQ)를 전송하는 경우,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은 OR 연산을 수행한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및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1 채널 관리 유닛(115)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까지 전송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1 IP(171)로 제1 클럭(CLK1)이 제공된다.
제1 IP(171)가 제1 클럭(CLK1)이 불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REQ)를 비활성화시키며, 이에 따라,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으로 전송되는 클럭 요청 신호(REQ)가 비활성화된다. 이 때,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는 AND 연산을 수행하여 클럭 게이팅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 및 제4 채널 관리 유닛(128)은 서로간에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며, 제4 채널 관리 유닛(128)으로부터 제1 PLL 컨트롤러(111)까지 클럭 요청 신호(REQ)가 한번에 전송될 수도 있다.
제1 PLL 컨트롤러(111)로부터 클럭 응답 신호(ACK)가 전송되면, 이는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까지 전송되어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에 포함된 제어 회로의 제어에 따라 클럭 게이팅 회로가 비활성화되어 제2 IP(172)로 제1 클럭(CLK1)이 제공된다. 즉, 제1 IP(171)로 제공되는 클럭과 제2 IP(172)로 제공되는 클럭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6)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f)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a),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3 클럭 게이팅 유닛(125), 제2 PLL 컨트롤러(121), 제2 클럭 먹스 유닛(122), 제2 클럭 분주 유닛(123),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 제2 채널 관리 유닛(126) 등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경우는, 채널 관리 유닛과 그의 패런트(parent)인 클럭 게이팅 유닛이 n:m의 관계로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위에서 설명한 1:n의 관계와 n:1의 관계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6)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f)의 동작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7)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g)은 제1 PLL 컨트롤러(111), 제1 클럭 먹스 유닛(112), 제1 클럭 분주 유닛(113), 제1 클럭 게이팅 유닛(114b), 제1 채널 관리 유닛(115), 제2 PLL 컨트롤러(121), 제2 클럭 먹스 유닛(122), 제2 클럭 분주 유닛(123), 제2 클럭 게이팅 유닛(124), 제2 채널 관리 유닛(126), 제5 채널 관리 유닛(131) 등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경우는, 채널 관리 유닛과 그의 패런트(parent)인 클럭 게이팅 유닛이 n:m의 관계로 연결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위에서 설명한 1:n의 관계와 n:1의 관계가 복합적으로 적용된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7) 내의 클럭 관리 유닛(110g)의 동작에 대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700)는 중앙 처리 장치(710), 클럭 생성기(720), 클럭 관리 유닛(730), RAM(740), ROM(750) 및 메모리 컨트롤 유닛(7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실레이터(OSC)는 반도체 장치(700)의 외부에 배치되어 반도체 장치(700)로 발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700)는 다른 다양한 기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오실레이터(OSC)가 반도체 장치(700) 내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40의 반도체 장치(70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서 반도체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클럭 생성기(720)는 오실레이터(OSC)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기준 주파수를 갖는 기준 클럭 신호(CLK_IN)를 생성한다. 클럭 관리 유닛(730)은 기준 클럭 신호(CLK_IN)를 수신하고,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동작 클럭 신호(CLK_OUT)를 생성하여 각각의 기능 블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클럭 관리 유닛(730)은 하나 이상의 마스터 클럭 컨트롤러 및 슬레이브 클럭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클럭 컨트롤러는 기준 클럭 신호(CLK_IN)를 이용하여 동작 클럭 신호(CLK_OU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클럭 관리 유닛(730) 내의 클럭 컨트롤러는 채널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클럭 신호의 관리를 하드웨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럭 관리 유닛(730) 내의 클럭 컨트롤러는 기능 블록과 채널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클럭 요청 및 요청 응답이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710)는 RAM(740)에 저장된 코드들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710)는 클럭 관리 유닛(730)으로부터 출력된 동작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코드들 및/또는 상기 데이터를 처리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710)는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인 실질적인 프로세서들을 갖는 하나의 컴퓨팅 컴포넌트(computing component)이고, 상기 프로세서들 각각은 프로그램 명령들(program instructions)을 읽고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멀티-코어 프로세서는 다수의 가속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멀티-가속(multi-accele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RAM(740)은, 프로그램 코드들, 데이터 또는 명령들(instructions)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들 및/또는 데이터는 중앙 처리 장치(710)의 제어 또는 ROM(750)에 저장된 부팅 코드(booting code)에 따라 RAM(740)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 모듈(760)은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메모리 컨트롤 모듈(760)은 메모리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또한 호스트와 메모리 사이의 제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800)가 기능 블록들에 대한 전력 제공을 관리하는 파워 매니지먼트 유닛(810)을 포함하는 예가 도시된다. 파워 매니지먼트 유닛(810)은 반도체 장치(800) 내부에서 이용되는 전력을 관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800)는 파워 매니지먼트 유닛(810) 및 다수 개의 기능 블록들(821, 822)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블록들(821, 822)은 마스터 기능 블록(821) 및 슬레이브 기능 블록(822)으로 분류될 수 있다. 만약, 마스터 기능 블록(821)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기능 블록(821)으로 전력 제공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마스터 기능 블록(821)의 동작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기능 블록(822)으로 전력 제공이 수행되어야 한다.
마스터 파워 컨트롤러(811)는 슬레이브 파워 컨트롤러들(812, 813) 각각과 채널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파워 매니지먼트 유닛(810)은 입력 파워(power_in)를 수신하고, 상기 파워를 조절하여 각각의 기능 블록에 적합하도록 파워를 변환하여 출력 파워(power_ou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파워 매니지먼트 유닛(810)은 파워 요청(Req)에 따라 마스터 기능 블록(821) 및 슬레이브 기능 블록(822)으로 파워를 제공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마스터 파워 컨트롤러(811)는 중앙 처리 장치의 코드 처리에 기반하여 파워 요청(Req)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수신하거나, 마스터 기능 블록(821)으로부터 하드웨어적으로 파워 요청(Req)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터 기능 블록(821)은 슬레이브 파워 컨트롤러들(812, 813)로 파워 온/오프 명령(pwr on/off)을 제공할 수 있으며, 슬레이브 파워 컨트롤러들(812, 813)로부터 파워 응답(Ack on/off)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반도체 시스템(90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SoC(901), 안테나(910), 무선 송수신기(920), 입력 장치(930) 및 디스플레이(9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920)는 안테나(91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주거나 받을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송수신기(920)는 안테나(9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를 SoC(901)에서 처리될 수 있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SoC(901)은 무선 송수신기(9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9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기(920)는 SoC(901)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경하고 변경된 무선 신호를 안테나(910)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930)는 SoC(9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SoC(901)에 의하여 처리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터치 패드(touch pad)와 컴퓨터 마우스(computer mouse)와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키패드(keypad), 또는 키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메모리 시스템(1000)은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000)은 다수의 메모리 장치들(1500), 다수의 메모리 장치들(1500) 각각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1200),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장치(1300), 메모리 컨트롤러(1200)와 호스트(1400) 사이에서 주고받은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 장치(1300)에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SoC(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oC(11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반도체 장치
101: 입출력 패드
110: 클럭 관리 유닛
150: 파워 매니지먼트 유닛
171, 172, 173: 제1 내지 제3 IP

Claims (20)

  1.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제2 제어 회로와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클럭 생성부; 및
    상기 제2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2 채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는 제1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는 상기 제1 클럭과 다른 제2 클럭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는 제1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로 제2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2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로 제1 클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반도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관리부는 제3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로 제4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4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채널 관리부로 제2 클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반도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클럭 요청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4 클럭 요청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반도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관리부와 통신하는 제1 로직 블록과, 상기 제2 채널 관리부와 통신하는 제2 로직 블록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관리부와 상기 제1 로직 블록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반도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직 블록은 IP(intellectual property)를 포함하고,
    상기 IP는 상기 제1 클럭이 필요한 경우, 클럭 요청 신호를 활성화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IP로 상기 제1 클럭을 제공하는 반도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IP는 상기 제1 클럭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클럭 요청 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반도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는 단일 클럭 도메인(single clock domain)으로 통신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와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는 서로 다른 클럭 도메인을 이용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및
    제2 제어 회로와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2 클럭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채널 관리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는 제1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는 상기 제1 클럭과 다른 제2 클럭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는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로 제1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로 제2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로 제1 클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2 클럭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로 제2 클럭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클럭 요청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클럭 요청 신호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2 클럭 게이팅 회로를 비활성화시키는 반도체 장치.
  17. 제1 제어 회로와 제1 클럭 게이팅 회로를 포함하는 제1 클럭 생성부;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full handshake)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채널 관리부; 및
    상기 제1 클럭 생성부와 풀 핸드쉐이크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2 채널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채널 관리부는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로 제1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채널 관리부는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로 제2 클럭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반도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클럭 요청 신호 및 상기 제2 클럭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경우, 제1 클럭을 출력하는 반도체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관리부와 풀 핸드쉐이크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1 로직 블록과,
    상기 제2 채널 관리부와 풀 핸드쉐이크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제2 로직 블록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럭 생성부는 상기 제1 로직 블록 및 상기 제2 로직 블록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제1 클럭을 제공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70007002A 2016-01-25 2017-01-16 반도체 장치 KR10255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15,041 US10248155B2 (en) 2016-01-25 2017-01-25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channel management circuit
DE102017110788.6A DE102017110788A1 (de) 2016-01-25 2017-05-18 Halbleitervorrichtung
CN201710600073.8A CN108319326B (zh) 2016-01-25 2017-07-21 半导体装置
TW106124821A TWI740988B (zh) 2016-01-25 2017-07-25 半導體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86895P 2016-01-25 2016-01-25
US62/286,895 2016-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58A true KR20170088758A (ko) 2017-08-02
KR102550422B1 KR102550422B1 (ko) 2023-06-30

Family

ID=5965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02A KR102550422B1 (ko) 2016-01-25 2017-01-16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0422B1 (ko)
CN (1) CN108319326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749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110202788A1 (en) * 2010-02-12 2011-08-18 Blue Wonder Communications Gmbh Method and device for clock gate controlling
KR20120131195A (ko) * 2010-02-26 2012-12-04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서의 프로세서 코어 통신
KR20150064286A (ko) * 2013-12-02 2015-06-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150116052A (ko) * 2014-04-04 2015-10-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97600A (ja) * 2007-02-16 2008-08-28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2204597B1 (ko) * 2014-11-19 2021-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102216807B1 (ko) * 2015-03-25 2021-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749A (ko) * 2009-09-30 2011-04-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110202788A1 (en) * 2010-02-12 2011-08-18 Blue Wonder Communications Gmbh Method and device for clock gate controlling
KR20120131195A (ko) * 2010-02-26 2012-12-04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서의 프로세서 코어 통신
KR20150064286A (ko) * 2013-12-02 2015-06-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150116052A (ko) * 2014-04-04 2015-10-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19326A (zh) 2018-07-24
KR102550422B1 (ko) 2023-06-30
CN108319326B (zh)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347B1 (ko) 클록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 온 칩 및 그 동작방법
KR102467172B1 (ko) 반도체 장치
US10296065B2 (en) Clock management using full handshaking
TWI439853B (zh) 多核心微處理器之共享電源的分散式管理
US11789515B2 (en) Semiconductor device
WO2012174395A1 (en) Improved multi-part clock management
US11275708B2 (en) System on chip including clock management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on chip
US10732697B2 (en) Voltage rail coupling sequencing based on upstream voltage rail coupling status
TWI772300B (zh) 半導體裝置
US10248155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channel management circuit
KR102550422B1 (ko) 반도체 장치
US20220050493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90084443A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TWI752067B (zh) 半導體裝置及半導體系統
CN108345350B (zh) 片上系统、半导体系统以及时钟信号输出电路
KR20170088750A (ko) 반도체 장치, 반도체 시스템 및 반도체 장치의 동작 방법
CN108268086B (zh) 半导体装置、半导体系统以及操作半导体装置的方法
KR20220020763A (ko) 반도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