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340A -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340A
KR20170086340A KR1020160006057A KR20160006057A KR20170086340A KR 20170086340 A KR20170086340 A KR 20170086340A KR 1020160006057 A KR1020160006057 A KR 1020160006057A KR 20160006057 A KR20160006057 A KR 20160006057A KR 20170086340 A KR20170086340 A KR 20170086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s
wire cable
waterproofing
sheath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320B1 (ko
Inventor
서성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콤텍
Priority to KR102016000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32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01B7/285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by completely or partially filling interstices in the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와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결합된 전선케이블에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수단을 삽입하여 열융착으로 방수시, 상기 방수수단을 커넥터가 결합된 전선케이블의 다수의 심선과 상기 전선케이블을 함께 삽입하여 용융시켜 상기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 함께 방수되게 융착 함으로써,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 사이가 보강되게 되므로 상기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 사이에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APPARATUS FOR WATERPROOFING OF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와 기기를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접속된 전선케이블의 다수의 심선들에 수분 침투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핫 멜트를 방수시, 핫 멜트로 방수되는 다수의 심선들과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격으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 또는 전자장치를 연결시, 일측과 타측에 커넥터를 구비한 전선케이블로 연결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전선케이블은 내측에 절연물로 각각 피복된 다수의 심선들을 하나의 외피로 피복하게 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를 탈피하여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의 끝단에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커넥터가 결합된 전선케이블의 다수의 심선들은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은 부분이 길게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어 상기 커넥터와 노출이 되지 않은 전선케이블과는 강도에 많은 차이가 있어, 가령 외력이 작용할 경우 쉽게 단선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노출된 다수의 심선들의 외측으로 별도의 테이프로 감아주거나 또는 튜브를 끼워 강도를 보강하여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선케이블은 실내에 설치되는 전자기기 또는 전자장치에 결합하는데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실외에 설치되는 방범감시카메라 혹은 신호등 또는 차량용 후방카메라 및 차량의 전장장치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기후 변화에 따른 눈, 비 또는 습기와 같은 인한 수분이 노출된 다수의 심선들을 따라 흘러 전선케이블 또는 커넥터의 내부로 스며들어 합선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26179호(명칭;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장치)(종래기술)에 의하면, 외장부로 감싸여진 다수의 전선에서 상기 외장부를 탈피한 다수의 전선에 열가소성 핫멜트 접착제로 제작되고 외측홈에 형성된 와이어홀더를 삽입하고, 상기 다수의 전선과 와이어홀더의 외측으로 가열 열로 열융착되는 열수축 튜브로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홀더와 열수축 튜브를 용융시켜 용융된 와이어홀더가 상기 외장부가 탈피된 다수의 전선 사이들로 스며들게 하여 다수의 전선들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 수분으로 인한 쇼트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외장부가 탈피된 다수의 전선에 삽입되는 와이어홀더 및 상기 와이어홀더와 다수의 전선들을 감싸주는 열수축 튜브를 열 융착시 상기 와이어홀더는 외장부가 탈피된 다수의 전선들의 일부분에만 삽입되어 용융되게 되므로 상기 용융되는 와이어홀더는 열수축 튜브에 의해 다수의 전선들과 외장부의 일부분에만 스며들게 되면서 일부분 만을 고형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상기 다수의 전선들과 외장부의 사이에 일부만이 고형화되게 되므로 고형화되지 않은 다수의 전선들과 외장부에는 상기 외장부가 탈피된 다수의 전선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상기 고형화되지 않은 부분 강도가 약하여 단선을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홀더의 용융시 용융된 와이어홀더가 다수의 전선들과 외장부 사이로 골고루 스며들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를 눌러 문질러가면서 상기 용융된 와이어홀더가 다수의 전선에 골고루 퍼져 전체가 고형화되도록 평탄작업을 하여 방수해 오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종래기술은 용융되는 와이어홀더를 눌러 문질러가면서 골고루 퍼지도록 작업을 한다 하더라도 상기 용융된 와이어홀더는 상기 다수의 전선의 외장부가 탈피되지 않은 단부까지는 스며들지 않게 되어 상기 용융된 와이어홀더가 스며들지 않은 단부는 상기 와이어홀더가 스며들어 고형화된 여타 부위에 비하여 강도가 약하게 되어 자그마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쉽게 단선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에 방수수단을 삽입하여 열융착으로 전선케이블 방수시, 상기 방수수단을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을 함께 열 융착시켜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 간에 단선을 방지하면서 방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에 따른 본 발명의 수단은 다수의 심선들이 외피로 피복된 전선케이블,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에 삽입되어 용융되는 방수수단, 상기 다수의 심선들과 방수수단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열에 의해 수축되어 밀봉되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수단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면의 내측 동심원상으로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함께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타측면으로 관통되고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 및 상기 삽입홈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피가 탈피되지 않은 전선케이블의 중앙으로 삽입되어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를 서로 밀착시키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방수수단은 일측면의 내측 동심원상에 타측면으로 요입된 환형의 요입면과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요입면과 인접되게 형성되고 동심원상의 방사상에 상기 타측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의 중심에 상기 관통공의 관통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방수수단은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방수체, 상기 방수체가 일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에 다수의 심선들로부터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삽입되는 자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방수체는 외측면이 일부만 삽입되도록 어느 일측을 테퍼링(TAPERING)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자켓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방수체의 일부만 삽입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테퍼링된 결합구, 타측에 상기 결합구와 연통되고 다수의 심선들로부터 전선케이블의 외피까지 삽입되는 삽입구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수단은 상기 방수수단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측으로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 타측에 내측으로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고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함께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전자기기와 전자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결합된 전선케이블에 외부의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수단을 삽입하여 열융착으로 방수시, 상기 방수수단을 커넥터가 결합된 전선케이블의 다수의 심선과 상기 전선케이블을 함께 삽입하여 용융시켜 상기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 함께 방수되게 융착 함으로써,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 사이가 보강되게 되므로 상기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 사이에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방수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결합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방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결합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재로 피복된 다수의 심선들(1)을 하나의 외피(2)로 피복하고 상기 피복된 외피(2)를 탈피하여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에 전자기기 또는 전자장치를 서로 연결하는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4)가 결합되는 전선케이블(10), 상기 다수의 심선들(1) 및 전선케이블(10)의 외피(2) 외측으로 삽입되어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압착하게 되는 열수축튜브(30)로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상기 전선케이블(10)은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4)가 결합된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을 열 수축되는 열수축튜브(30)를 삽입하여 압착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는 외측으로 열수축 튜브(30)에 의해 피복되게 되므로 외부의 수분이 상기 커넥터(3)(4) 또는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을 타고 전선케이블(10)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는 일측단과 타측단에 제1커넥터(3)와 제2커넥터(4)를 결합하기 위한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 상기 다수의 심선들(1)이 삽입되고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 다수의 심선들(1)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는 방수수단(20), 상기 방수수단(2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열 수축으로 상기 방수수단(20)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를 피복하는 열수축 튜브(30)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수단(20)은 원통형 형상으로 폴리아마이드(polyamide)기반으로 열에 쉽게 용융되고, 빠른시간에 경화되는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핫 멜트(hot melt) 접착제로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는 상기 방수수단(20)에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과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가 함께 삽입되고, 상기 방수수단(20),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의 외측에 열수축 튜브(30)를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수축 튜브(3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방수수단(20)은 상기 열수축 튜브(30)에 열을 가하면 상기 열수축 튜브(30)은 열에 의해 수축되고 상기 열은 방수수단(20)에 전달되면서 방수수단(20)을 용융시키게 되며, 상기 용융되는 방수수단(20)은 열수축 튜브(30)와 함께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이 서로 밀착되면서 접착되어 상기 전선케이블(10)과 다수의 심선들(1)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수분이 다수의 심선들(1)을 타고 침투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상기 전선케이블(10)과 다수의 심선들(1) 사이에 단선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수단(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21), 관통공(22), 밀착돌기(23)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삽입홈(21)은 어느 일측면 내측 동심원상에 타측면으로 요입된 환형의 요입면(211)과 바닥면(212)으로 형성하여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과 함께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가 상기 요입면(211)과 바닥면(212)에 맞닿도록 삽입되게 구비된다.
이렇게 환형으로 구비된 삽입홈(21)은 요입면(211)으로 전선케이블(10)의 외피(2)의 외측을 잡아주게 되어 상기 방수수단(20)의 용융시 용융되는 방수수단(20)이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측을 도포하게 됨으로써,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와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 사이를 메워주게 되어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사이에 방수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 간에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삽입홈(21)의 바닥면(212)에 상기 요입면(211)과 인접되게 형성되고 동심원상의 방사상에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이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관통공(22)은 삽입되는 다수의 심선들(1)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아 주게 되므로 상기 방수수단(20)의 용융시 용융되는 방수수단(20)이 다수의 심선들(1)들 사이사이를 전체적으로 메워주게 되므로 상기 다수의 심선들(12)의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밀착돌기(23)는 상기 삽입홈(21)의 바닥면(212)의 중심에 상기 관통공(22)의 관통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하여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중앙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전선케이블(10)의 다수의 심선들(1)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밀착돌기(23)는 다수의 심선들(1)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전선케이블(10)은 상기 밀착돌기(23)가 밀고 들어간 만큼 외피(2)가 벌어지면서 외측으로 밀어주게 되지만,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는 상기 삽입홈(21)의 요입면(211)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는 내측과 외측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긴밀하게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수단(20)의 용융시 용융된 방수수단(20)은 상기 전선케이블(10)의 다수의 심선들(1)의 중심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를 함께 긴밀하게 융착시키게 되므로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 사이에는 단선을 방지하면서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방수할 수 있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방수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수단(40)은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이 삽입 관통되고 열에 의해 용융되는 방수체(41), 일측에 상기 방수체(41)가 삽입되고 타측에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로부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까지 삽입되는 자켓부(42)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방수체(41)는 외측면의 일부만이 삽입되도록 어느 일측 일부가 테퍼링(TAPERING)된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하고, 그 내측에는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상기 외피(2)가 탈피된 전선케이블(10)의 다수의 심선들(1)이 삽입 관통되어 타측면으로 관출되는 다수의 관통공(411)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자켓부(42)는 일측에 상기 방수체(41)의 일부만 삽입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테퍼링된 결합구(421)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결합구(421)와 연통되고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로부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까지 삽입되는 삽입구(422)를 구비하게 된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방수수단(40)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켓부(42)의 일측에 구비되고 내측으로 테퍼링된 결합구(421)에,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다수의 관통공(411)이 내측에 구비되며 외측면의 어느 일측으로 일부가 테퍼링된 방수체(41)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켓부(42)의 결합구(421)에 삽입되는 방수체(41)는 상기 결합구(421)의 내측과 방수체(41)의 외측면에 테퍼링 면에 의해 더이상 삽입되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자켓부(42)의 결합구(421)에 방수체(41)의 일부만이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심선들(1)들을 길게 감싸주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방수체(41)가 결합된 자켓부(42)의 삽입구(422)에는 상기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로부터 전선케이블(10)을 삽입하되, 상기 다수의 심선들(1)은 상기 방수체(41)의 다수의 관통공(411)으로 삽입 관통되게 되어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까지 삽입구(422)에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방수수단(40)에 삽입된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은 상기 방수체(41)와 자곗부(42)가 용융시, 용융되는 상기 방수체(41)가 다수의 관통공(411)에 의해 다수의 심선들(1) 사이로 스며들면서 공간을 메워주게 되고, 상기 자켓부(42) 역시 용융되면서 상기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를 메워주게 되어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 사이에 수분의 침투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의 방수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수단(50)은 원통형 형상으로 일측면의 내측에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이 삽입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51), 상기 다수의 관통공(51)에 연통되고 타측면의 내측에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가 삽입되는 삽입구(52)를 일체로 구비하게 된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방수수단(50)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구(52)의 내측을 통해 일측에 구비된 다수의 관통공(51)에 외피(2)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1)을 삽입 관통에 따라 상기 삽입구(52)의 내측으로 전선케이블(10)의 외피(2)까지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방수수단(50)에 삽입된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는 상기 방수수단(50)의 용융시, 용융되는 상기 방수수단(50)은 다수의 관통공(51)에 삽입된 다수의 심선들(1)과 삽입구(52)에 삽입된 전선케이블(10)의 전체를 메워주게 되어, 상기 다수의 심선들(1)과 전선케이블(10)의 외피(2)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수분의 침투 및 단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다수의 심선들 2; 외피
3; 제1 컨넥터 4; 제2 커넥터
10; 전선케이블 20,40,50; 방수수단
21; 삽입홈 211; 요입면
212; 바닥면 22,411,51; 관통공
23; 밀착돌기 30; 열수축 튜브
41; 방수체 42; 자켓부
421; 결합구 422,52; 삽입구

Claims (6)

  1. 다수의 심선들이 외피로 피복된 전선케이블,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에 삽입되어 용융되는 방수수단,
    상기 다수의 심선들과 방수수단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열에 의해 수축되어 밀봉되는 열수축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수단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면의 내측 동심원상으로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함께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 타측면으로 관통되고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 및
    상기 삽입홈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피가 탈피되지 않은 전선케이블의 중앙으로 삽입되어 다수의 심선들과 전선케이블의 외피를 서로 밀착시키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일측면의 내측 동심원상에 타측면으로 요입된 환형의 요입면과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상기 요입면과 인접되게 형성되고 동심원상의 방사상에 상기 타측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의 중심에 상기 관통공의 관통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돌기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방수체,
    상기 방수체가 일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에 다수의 심선들로부터 상기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삽입되는 자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체는 외측면이 일부만 삽입되도록 어느 일측을 테퍼링(TAPERING)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상기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켓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방수체의 일부만 삽입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테퍼링된 결합구,
    타측에 상기 결합구와 연통되고 다수의 심선들로부터 전선케이블의 외피까지 삽입되는 삽입구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수단은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내측으로 동심원상의 방사상으로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이 삽입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
    타측에 내측으로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고 외피가 탈피된 다수의 심선들과 함께 전선케이블의 외피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KR1020160006057A 2016-01-18 2016-01-18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KR10180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57A KR101806320B1 (ko) 2016-01-18 2016-01-18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057A KR101806320B1 (ko) 2016-01-18 2016-01-18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340A true KR20170086340A (ko) 2017-07-26
KR101806320B1 KR101806320B1 (ko) 2017-12-07

Family

ID=5942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057A KR101806320B1 (ko) 2016-01-18 2016-01-18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3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0746A (zh) * 2017-09-15 2018-02-09 慈溪市宏晟机械设备有限公司 全自动单压单穿塑壳套管机
CN112425020A (zh) * 2018-08-07 2021-02-26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热熔块、电缆的制造方法及电缆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2924A (ja) * 2011-03-02 2012-09-20 Sumitomo Wiring Syst Ltd 線間止水用の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および該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の端末止水方法ならびに端末止水構造
JP2015090818A (ja) * 2013-11-06 2015-05-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0746A (zh) * 2017-09-15 2018-02-09 慈溪市宏晟机械设备有限公司 全自动单压单穿塑壳套管机
CN107680746B (zh) * 2017-09-15 2024-04-16 宁波宏晟智能科技有限公司 全自动单压单穿塑壳套管机
CN112425020A (zh) * 2018-08-07 2021-02-26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热熔块、电缆的制造方法及电缆
US20210167587A1 (en) * 2018-08-07 2021-06-03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Hot melt block, cable manufacturing method, and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320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3426T3 (es) Conector eléctrico blindado
US5168124A (en) Waterproof seal construction for wire harness
US3816641A (en) Underwater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278357A (en) Electric wire holding case preventing of oil leak
WO2009136460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止水構造および止水部の形成方法
WO2012117608A1 (ja) 線間止水用の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および該ホットメルトブロックを用いた多芯ケーブルの端末止水方法ならびに端末止水構造
JP2009146771A (ja) 防水ジョイント部の形成方法および該方法で形成された防水ジョイント部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US5711685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movable seal at cable entry end
JP2008067545A (ja) シールド線の止水方法および止水構造
KR101806320B1 (ko) 전선케이블의 방수 장치
JP2002044837A (ja) ケーブル引込部の防水構造
JPH05146041A (ja) 長手方向水封性のケーブルスリーブ
JP6172067B2 (ja) 防水コネクタ
JP409717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7101334A (ja) 給湯器用温度センサ
EP3619782B1 (en) Spliced shielded wire cab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214397B (zh) 模块用连接器
KR101598046B1 (ko) 센서 모듈 및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CN100541952C (zh) 中压电缆的终接端头
JPH094538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スプライス構造
KR101526179B1 (ko) 와이어홀더를 이용한 전선의 방수 장치
JP2016162631A (ja) 止水用保護チューブ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EP121357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aled temperature probe and probe thus manufactured
JP2008066034A (ja) 電線接続部の被覆チューブ及び電線接続部の保護構造
US2871283A (en) Cable 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