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293A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293A
KR20170086293A KR1020160005959A KR20160005959A KR20170086293A KR 20170086293 A KR20170086293 A KR 20170086293A KR 1020160005959 A KR1020160005959 A KR 1020160005959A KR 20160005959 A KR20160005959 A KR 20160005959A KR 20170086293 A KR20170086293 A KR 20170086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parking
building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9303B1 (ko
Inventor
조태훈
설지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inside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7Parking aids, e.g. instru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5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the POI's being parking facilities
    • G06F17/30241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 및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예정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주차장의 주차 공간을 안내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의 다목적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자동차는 사용되는 원동기에 따른 분류에 의하면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외연기관(external combustion engine) 자동차, 가스터빈(gas turbine) 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등이 있다.
전기자동차는 전기를 에너지 삼아 전기 모터를 돌리는 자동차를 뜻하며,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있다.
한편, 최근 운전자, 보행자 등의 안전이나 편의를 위해 지능형 자동차(Smart Vehicle)의 개발이 활발히 되고 있다.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기술(IT) 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자동차로 스마트 자동차라고도 한다. 지능형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의 첨단 시스템 도입은 물론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능형 자동차는 ACC(Adaptive Cruise Control), 장애물 감지, 충돌 감지 또는 경감 장치 등과 같은 안전에 관련된 핵심 기술의 개발로 운전자, 탑승자 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까지 극대화하는 기술적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최근 인접해서 달리는 자동차끼리 자동으로 무선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운전을 하도록 유도하는 V2V(Vehicle to Vehicle) 기술이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V2V 기술을 통해, 자동차들은 스스로 도로 위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달릴 수 있다. 자세히, 근처 차량 위치와 속도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공유하여 주행함으로써, 갑작스러운 교통사고의 예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차량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의 발전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대한 길 안내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길 안내 기능은 실외에서 주로 제공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목적지에 대응하는 특정 건물 주변에 도착하면, 상기 길 안내 기능이 자동으로 종료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제 목적지는 건물 내의 지하 또는 지상에 존재하는 주차장이며, 이에 따라 건물 내부의 길 복잡도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주차 구역까지 가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센서 없이 건물 내부에서도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 및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예정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면,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 상에 출력하고, 상기 수신한 센서 정보 및 상기 출력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예정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운행 정보를 상기 출력부 상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서의 주차 공간에 대한 길 안내를 해줌으로써, 차량의 실질적인 목적지인 주차 공간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등록 설정에 따라 다수의 주차 구역 중 특정 주차 구역을 배정해줌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주차 요금을 실시간 안내할 뿐 아니라, 주차와 연계된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 차량의 건물 진입 여부 및 진입한 건물의 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지도 데이터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지도 데이터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예정 위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 안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예정 위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주차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연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내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차량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조작 수단(721A, 721B, 721C, 721D) 및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700)과 데이터 통신을 통해 필요 정보를 주고 받으며 운전을 보조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차량(700)의 유닛 중 일부의 집합을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로 정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의 장치일 때,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각 유닛들 중 일부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되지 않고, 차량 또는 차량(700)에 탑재된 다른 장치의 유닛일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각 유닛들을 직접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차량(700)에 직접 설치된 각 유닛들을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700)에 직접 설치된 각 유닛들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정차시 시동을 오프(off)하는 공회전 제한장치일 수 있으나, 이하 설명에서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가 시동을 온(on)하는 관점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일 수도 있다.
자세히,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모니터링부(150), 카메라(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운전 보조장치 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타차량(510), 단말기(600) 및 서버(500)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내비게이션(Navigation) 정보 또는/및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는 외부의 건물 관리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신되는 건물 내부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700)과도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또는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20)는 상기 서버(500)로부터 주차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주차장에 대한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와, 상기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 내에서 타차량에 의해 이미 주차 공간이 점령된 공간과, 비어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내비게이션 정보 또는/및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및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AVN 장치(400) 또는/및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700)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과의 거리 정보, 차량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700)의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700)의 입력부(7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즉, 입력부가 차량 자체 내에 구성으로 배치된 경우,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주차 예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정보나, 실내에서 길안내 기능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나, 다수의 주차 공간 중 상기 차량(700)을 실제 주차할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는 사용자를 촬영한 영상 정보,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50)는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5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된 영상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은 프로세서(170)에서 이미지 처리되어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촬영된 오브젝트, 오브젝트의 종류, 오브젝트가 표시하는 교통 신호 정보, 오브젝트와 차량 사이의 거리 및 오브젝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차량(700)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700)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카메라(160)는 차량 내부에서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60)는 차량 외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160)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전방 및 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 카메라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방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을 탑뷰에서 바라본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카메라는 차량의 천장 상에 배치되어 차량의 전후좌우를 모두 촬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16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 운전 보조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의한 주차 보조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실내 지도 데이터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80)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8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 및 정전용량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터치 시의 면적, 압력 및 정전용량을 기초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 손톱 터치, 손가락 마디 터치,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 터치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길 안내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85)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는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 운전 보조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170)(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170)(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센서 정보는, GPS 정보와는 달리 실내에서도 동작이 가능한 센서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이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상에서의 차량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센서 정보, 차량 속도 센서 정보, 요 센서 정보, 자이로 센서 정보, 휠 센서 정보 및 경사 감지 센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끊긴 상태에서도, 상기 차량(700)의 위치 추적 및 주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센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센서 정보, 차량 속도 센서 정보, 요 센서 정보, 자이로 센서 정보, 휠 센서 정보 및 경사 감지 센서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7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내에서의 차량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 및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예정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상기 GPS 모듈이 연결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를 판단한다. 즉,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나,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목적지 정보, 그리고 주변에 존재하는 AP(Access Point)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건물 정보를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차량(700)이 건물 내부의 주차장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GPS 연결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 연결이 해제된 최종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 정보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차량(700)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는 특정 주소, 건물명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네비게이션은 상기 특정 주소가 건물 내부일지라도, 상기 차량(700)이 상기 건물 주변에 접근하게 되면 길 안내 기능을 자동으로 종료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프로세서(170)는 상기와 같은 길 안내 기능에 따라 상기 차량(700)이 이동하는 목적지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주변 액세스 포인트(AP)로의 주기적인 접근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특정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면,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를 토대로 상기 건물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특정 건물 내로 진입하면,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가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서버(500)를 통해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목적지가 설정된 시점에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로 진입하면,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로 진입한 시점에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와 함께 상기 건물의 각각의 서비스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 주차 요금 정보 및 이벤트 정보 등도 함께 수신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가 출력된 시점에서 자동으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를 배정받을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사용자로부터 다수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위치를 주차 예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기설정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500)로부터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주차 상태 정보는, 상기 건물의 주차장의 주차 공간 중 타차량에 의해 이미 점령된 주차 공간과, 비어있는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00)는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어있는 주차 공간 중에서 상기 차량(700)이 주차할 주차 예정 위치를 배정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배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프로세서(170)는 상기 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주차 상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비어있는 주차 공간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주차 공간을 입력받아 상기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500)는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주차 상태가 변경되면, 이에 대한 변경 정보를 상기 통신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변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변경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하여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를 재설정받는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에서의 차량 위치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길 안내를 위한 운행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700)의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이동 속도 정보, 방향 지시 정보, 차선 정보, 방향 변경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는 실제 주차장의 실측 크기를 토대로 제공되며,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차량(700)의 OBD(On-board diagnostics) 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OBD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전/후/좌/우로 얼만큼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정확히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주차 보조 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상기 실내에서의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의 출구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출차 중 재주차 명령이 입력되면, 이전에 상기 차량(700)이 주차되었던 주차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전 주차 위치가 타차량에 의해 이미 점령되었을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170)는 다른 주차 예정 위치를 자동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주차 예정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IPS(Indoor Position System)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상기 건물 내의 서비스 지역 중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건물 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주차 연계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주차 요금 안내 서비스, 사용자 등록 정보에 따른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물품의 배달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의 길 안내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서의 주차 공간에 대한 길 안내를 해줌으로써, 차량의 실질적인 목적지인 주차 공간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등록 설정에 따라 다수의 주차 구역 중 특정 주차 구역을 배정해줌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주차 요금을 실시간 안내할 뿐 아니라, 주차와 연계된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170)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의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상기 프로세서(170)가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길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차량(700)이 외부가 아닌 특정 건물의 내부(예를 들어, 특정 건물의 주차장)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한다(110단계).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다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를 파악한다(120단계).
상기 건물 정보가 파악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확인한 건물 정보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130단계). 이때,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는 이전에 다운로드되어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140)에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500)를 통해 상기 건물정보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상에 존재하는 다수의 주차 공간 중에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를 설정한다(140단계).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 설정 단계는 필수 단계는 아니며, 이전에 이미 상기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다수의 주차 공간 중에서 상기 차량(700)이 주차될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한다(150단계). 여기에서, 상기 주차 예정 위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70)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차 예정 위치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서버(500)로부터 이미 배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의 센서 정보, 다시 말해서 OBD 정보와, 상기 실측 크기로 제공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로 상기 차량(700)이 이동하기 위한 운행 정보(길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160단계).
상기 운행 정보는, 상기 차량(700)을 상기 주차 예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차량(700)의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이동 속도 정보, 방향 지시 정보, 차선 정보, 방향 변경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서 차량의 건물 진입 여부 및 진입한 건물의 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과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차량(700)에 존재하는 GPS 모듈 또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내에 존재하는 GPS 모듈의 연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210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20단계). 다시 말해서, 상기 GPS 모듈은 상기 차량이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연결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차량이 건물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연결 해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 모듈의 연결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GPS 연결이 해제된 시점에서의 상기 차량(700)의 위치를 확인한다(230단계). 즉, 상기 GPS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는 상기 차량(70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GPS의 연결이 해제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획득된 상기 차량(7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어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위치에 존재하는 건물 정보를 확인한다(240단계).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확인한 건물 정보를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정보로 판단한다(250단계).
즉,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해제되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GPS 모듈의 연결 해제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시점에서의 최종 차량 위치에 존재하는 건물을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로 판단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제 1 장치와 통신을 통해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310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차량(700)에 존재하는 네비게이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가 GPS에 따른 길 안내 기능을 제공한다면, 상기 제 1 장치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네비게이션이나,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해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는 주소 정보일 수 있고, 아니면 특정 건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일반 길 안내 기능은, 상기 설정된 목적지의 주변까지만 길 안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목적지가 건물인 경우, 상기 건물 내부에 대한 길 안내 기능은 제공하고 있지 않다.
한편, 상기 목적지가 설정되고, 상기 목적지가 특정 건물이라면, 상기 차량(700)은 상기 건물 내부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의 목적지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설정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수신된 목적지 정보가 특정 건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320단계).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목적지가 특정 건물이면,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대응하는 건물로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330단계).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목적지 설정을 통해 상기 차량(700)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차량(700)이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건물 내로 진입할 것임을 미리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주변 액세스 포인트와 주기적인 연결을 시도한다(410단계).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120)가 특정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이어서,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120)가 특정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이 성공되었다면, 상기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에 존재하는 건물을 확인한다(430단계).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확인된 건물을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로 판단하다(430단계).
상기와 같이, 상기 차량(700)이 특정 건물 내로 진입하면, 상기 특정 건물 내에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통신부(120)는 상호 통신 연결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상기 통신부(120)가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토대로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을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차량(700)이 특정 건물 내부로 진입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력할 실내 지도 데이터가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이 상기 건물에 처음 진입한 경우,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의 다운로드는 아래와 같은 서로 다른 시점에 진행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지도 데이터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차량(700)의 목적지가 설정되었다면(510단계), 상기 설정된 목적지가 건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520단계).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가 특정 건물이라면, 서버(500)에 접속하여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한다(530단계).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차량(700)의 목적지는 LG 백화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700)은 추후 LG 백화점의 건물 내부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상기 LG 백화점의 건물 내부에 대한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화면(900)을 출력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화면(900) 상에서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의 다운로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서버(500)로부터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며, 상기 다운로드 진행 상태에 대한 화면(1000)을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한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다운로드한 실내 지도 데이터에 대한 화면(1100)를 우선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1100) 내에는 상기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차 공간은 장애인 차량의 주차를 위한 장애인 전용 구역(1110)과, VIP 고객 차량의 주차를 위한 VIP 전용 주차 구역(1120)과, 유아를 동반한 고객 차량의 주차를 위한 유아 동반 구역(1130)과, 노약자나 임산부 차량의 주차를 위한 노약/임산부 주차 구역(1140)과, 일반 고객 차량의 주차를 위한 일반 주차 구역(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신이 가고자 하는 건물 내의 주차 공간 또는 자신의 차량의 이미 진입한 건물 내의 주차 공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실내 지도 데이터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의 위치를 확인(610단계)하여,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20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다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을 확인한다(630단계).
이어서, 상기 건물이 확인되었다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확인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한다(640단계).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차량(700)이 특정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다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특정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화면(1300)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1300) 상에서 다운로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서버(500)를 통해 상기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그에 따라 상기 다운로드한 실내 지도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의 다운이 완료되면, 상기 다운완료된 실내 지도 데이터에 따른 주차 안내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화면(1400)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화면(1400) 상에는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을 바로 실행시키기 위한 바로 찾기 메뉴(1410)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차량(700)이 특정 건물 내부로 진입하였고, 상기 진입한 건물이 이전에 진입한 이력이 있는 건물임에 따라 상기 건물에 대한 실내 지도 데이터가 이미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실내 지도 데이터가 이미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가 이미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음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상기 저장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부에서의 주차 안내 기능이 실행됨을 알리는 화면(1500)을 표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예정 위치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우선적으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주차 예정 위치는 서버에서 임의적으로 배정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1600)을 표시한다.
상기 화면(1600)에는 상기 차량(700)이 주차될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예정 위치 정보(1610)가 포함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1700)을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700)에는 상기 차량(700)의 종류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과, 운전자의 성별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과 함께, 고령자 여부, 장애 여부, 임산부 여부, 거주자 여부 및 VIP 여부에 대한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설정 화면(1700)에는 추가 설정 항목으로, 주차 지도 여부 설정 항목, 자동 다운로드 여부 설정 항목, 자동 업데이트 여부 설정 항목 및 실내 주차장에만 주차할 것인지에 대한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주차 안내 기능의 초기 사용 시에 상기와 같은 화면(1700)을 표시하여 사용자 정보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운전자에 따라 주차 위치 추천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며, 예를 들어 고령자, 장애, 임산부 및 여성 운전자의 경우 지상으로부터 가까운 주차 공간으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사용자 등록 정보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르드 받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일 예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와 대조하여 활성화되며, 이에 따른 ARS 신원 조회 서비스 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설정된 항목에 따라 상기 차량(700)이 타 주차장으로 진입할 경우, 자동으로 해당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설정 항목에 따라 실내 주차장에 대한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실행 항목이 체크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700)이 건물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바로 상기 주차 안내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으로 실내 지도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사용자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차량(700)이 진입하는 건물마다 모두 동일한 설정 값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 예정 위치 설정은 상기 차량(700)의 운전자 및 동승자에 따라 차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동승자 인원수 및 아이 동반 여부 등에 따른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차등적으로 주차 예정 위치(예를 들어, 건물 입구에서 가까운 위치 또는 건물 입구에서 먼 위치 등)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건물 내부로 처음 진입 시에, 상기 프로세서(170)는 운전자 및 동승자 관련 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출력하여, 우선 순위 분석에 따른 주차 예정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170)는 장애인 등록 표지판이 부착된 차량에 대해, 사용자 입력 없이도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장애인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차량(700)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장애인 등록 표지판을 발부받지 않은 장애인 차량의 경우, 국가보훈처 및 보건복지부 시스템과 연계하여, 장애인 등록 차량의 자동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장애인 전용 주차 공간으로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건물에서 VIP로 지정한 고객 또는 내부인의 차량에 대해, 건물 내부 시스템과 자동 연계하여 사용자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VIP 전용 주차 공간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이 동반 차량은 카시트 설치 및 아이 탑승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건물이 진입한 실내 지도 데이터(1800)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에는 상기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역에 대한 주차 가능 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각각의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기설정된 요금제 선택에 따라 좋은 주차 위치(예를 들어, 지하/지상 복합 주차장일 경우, 1층 건물에 가까운 위치 또는 마트와 같은 서비스 업체 건물일 경우에 서비스를 쉽게 받을 수 있는 층의 건물 입구 등)로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주차 요금은 층별 및 구역별 주차 위치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건물의 경우, 건물 진입이 편한 층이나, 입구에서 가까운 위치에 더 비싼 주차 요금을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해당 건물의 첫 방문자에게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다운로드 시에 자신이 원하는 주차 요금제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건물에 복수 회 방문한 차량에게는 이전에 주차했던 위치를 자동으로 안내해줄 수 있으며, 주차 요금별 위치를 재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서 사용자의 의해 특정 주차 구역이 선택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주차 구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화면(1900)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화면(1900)과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주차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주차 요금, 주차 층, 입구로부터의 거리 정보 등, 1910))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세 정보는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음성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 안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주차 예정 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길 안내 화면(2000)을 표시한다.
상기 길 안내 화면(2000)에는 실내 지도 데이터가 기본적으로 포함되며, 그에 따라 미니 지도 데이터를 보기 위한 미니 맵 메뉴(2010)와, 상기 차량(700)의 현재 위치 및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의 정보(2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 안내 화면(2000)에는 상기 차량(700)이 가야하는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미니 맵 메뉴(2010)를 통해 미니 맵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미니 맵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예정 위치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1을 참조하면,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층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2100)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2100)에는 1층 주차장에 대한 주차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차 공간 정보는, 상기 1층 주차장의 각 주차 구역의 위치 정보 및 각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21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 주차 구역을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주차 예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면(2100)에 표시된 주차 공간 중 자신이 원하는 주차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른 층의 주차 공간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1층 주차장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영역을 선택한 상태에서 터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이동이 상에서 하로 이동하면, 현재 표시된 주차장의 아래층에 대응하는 주차 공간의 화면(2110)을 표시한다. 즉, 상기에서 상에서 하로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현재 표시된 1층 주차장의 아래층인 지하 1층의 주차 공간 화면(2110)이 표시된다.
또한,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이동은 하에서 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하에서 상으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현재 표시된 주차장의 윗층에 존재하는 주차 공간 화면이 표시된다.
즉, 지하 1층 주차장의 주차 공간에 대한 화면(22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하에서 상으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지하 1층의 윗층에 대응하는 1층 주차장의 주차 공간에 대한 화면(2210)이 표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상하로 터치 이동하여 층별 지도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자신의 차량의 주차를 원하는 층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동일 층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구역으로도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상하방향으로의 터치 이동이 아닌 좌우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즉, 1층 주차장의 중앙 영역의 주차 공간에 대한 화면(23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좌에서 우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1층 주차장 내에서 우측 영역의 주차 공간에 대한 화면(2310)이 표시된다.
이와 다르게,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1층 주차장의 중앙 영역의 주차 공간에 대한 화면(24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우에서 좌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1층 주차장 내에서 좌측 영역의 주차 공간에 대한 화면(2410)이 표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층 및 상기 층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구역으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동시켜, 자신이 실제 주차하고자 하는 구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특정 층에 존재하는 특정 구역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선택된 특정 구역의 상세 정보를 표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지하 1층 주차장이 선택되고, 상기 지하 1층 주차장 내에서 B 구역이 선택되면, 상기 지하 1층 주차장의 B 구역에 대한 상세 주차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2500)이 표시된다.
상기 화면(2500)에는 상기 지하 1층의 B 구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주차 공간에 대해, 주차 가능한 위치에 대한 정보(251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정보(2510)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주차 예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주차 예정 위치 선택은 미니 맵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26은 초기 표시되는 미니 맵 메뉴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미니 맵(2600)에는 수직 방향으로 층 아이콘(2610)이 표시되고, 수평 방향으로 해당 층 내에서의 주차 구역 아이콘(2620)이 표시된다. 이때, 초기에는 디폴트로 특정 주차 구역이 선택되며, 예를 들어 도 26에서와 같이 지하 1층의 A 구역이 디폴트로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미니 맵이 표시된 상태에서, 좌에서 우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동일 층 내에서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주차 구역 이동이 이루어진 미니 맵(2630)이 표시된다.
즉, 상기와 같이 좌에서 우로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현재 선택된 구역의 우측 영역의 구역이 선택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지하 1층의 A 구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동에 따라 지하 1층의 B 구역이 선택된 미니 맵(263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지하 1층의 A 구역이 선택된 미니 맵(27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하에서 상으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주차 구역 이동이 아닌 층 이동이 이루어진 미니 맵(2710)이 표시된다.
즉, 상기와 같이 하에서 상으로의 터치 이동이 이루어지면, 현재 선택된 층의 위층이 선택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지하 1층의 A 구역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이동에 따라 지하 2층의 A 구역이 선택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운행 정보를 디스플레이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 센서 정보와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실시간 이동 정보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차 예정 위치로 상기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운행 정보 화면(2800)을 표시한다.
상기 운행 정보 화면(2800)에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2810)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와 주차 예정 위치를 포함하는 전체 지도 정보(2820)와, 방향 변경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2830) 및 방향 지시 정보(284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운행 정보 화면(2800)을 보면서 상기 차량을 주차 예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설정된 또는 배정된 주차 예정 위치가 지하인 경우, 상기 운행 정보 화면(2800)은 전체 지도를 통해 주차장에서 내려가야 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른 위치 받기 버튼을 통해 새로운 주차 위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최종 설정되면, 해당 주차 예정 위치로의 안내를 시작하며, 상기와 같이 운행 정보 화면(2800) 내에는 지도의 바닥 영역에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며, 거리, 방향 및 속도에 정보를 추가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행 정보 화면(2800)은 HUD(Head Up Display)에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운행 정보 화면(2800)에서, 상기 차량이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3D 맵 뷰(또는 미니 맵)를 통해 전체화면으로 확대된 이동 경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아래층에 도달하면 다시 3D 탑 뷰나 카메라 뷰로 전환되어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경로 안내가 시작되면, 상기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의 비상 점멸등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주차 차량과 출차 차량의 구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동 경로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주차장은 회전 구간이 제한되어 있거나 상기 회전 구간의 정보가 명확히 제공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지점을 지나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 29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의 좌회전 지점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좌측 영역에 점멸 패턴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좌회전 지점을 정확히 안내한다. 또한, 도 29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차량의 우회전 지점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우측 영역에 점멸 패턴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의 우회전 지점을 정확히 안내한다. 또한, 도 29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접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및 우측 영역에 점멸 패턴이 표시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예정 위치를 지나치지 않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행 정보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주차 예정 위치)를 지면에 화살표로 표기하여, 상기 차량의 전진, 좌회전 및 우회전에 따른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증강 현실을 통해 안내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의 수에 따라 탄력적으로 주차 시설을 운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차를 시도하는 차량이 많아 장애인 구역이 평소보다 빨리 선점되면, 일반 구역을 장애인 구역으로 늘려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일반 주차 구역의 주차 공간에 대해, 증강 현실을 통해 장애인 구역으로 용도를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설정되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주차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예정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주차되는 경우, 이에 따른 경고 화면(3200)을 표시하여, 상기 주차 예정 위치로 상기 차량의 이동 주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이동 주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에 따른 패널티 부과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차량이 주차된 위치는 다른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로 이미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이 주차한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다른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가 재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주차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주차된 차량이 출차하는 경우,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내에서의 출구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상기 출구로의 이동 경로 정보(3300)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 경로 정보(3300) 내에는 재주차 메뉴(3310)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출차 중에도 재주차를 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한다. 즉,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출차 중에 사용자가 깜박 잊은 물건이 있어 다시 주차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와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차량의 재주차 위치를 안내한다.
이때, 상기 재주차 위치는 이전에 주차된 위치를 기준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새로운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즉,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이전 주차 위치가 다른 차량에 의해 선점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이전 주차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재주차를 안내하는 안내 화면(3400)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량의 출차가 이루어진 시점부터 일정 시간 동안은 다른 차량이 상기 차량의 이전 주차 위치에 주차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70)는 상기 차량의 이전 주차 위치가 다른 차량에 의해 이미 선점된 경우, 상기 이전 주차 위치에 인접한 새로운 주차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재주차를 안내하는 안내 화면(3500)을 표시한다.
한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량의 주차에 연계된 다양한 주차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주차 요금 안내 서비스, 사용자 등록 정보에 따른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물품의 배달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의 길 안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연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주차 요금 안내 서비스일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70)는 시간당 주차 요금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 및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요금 안내 화면(3600)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요금 안내 화면(3600)에는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메뉴(361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차량이 주차한 건물 내에는 다양한 서비스 지역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지역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지출 비용에 따라 상기 주차 요금의 할인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지출 비용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정보에 따른 주차 할인 정보를 포함한 안내 화면(3700)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내 화면(3700)에도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의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안내 메뉴(371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의 길 안내 서비스일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상기에서 안내 메뉴(3610, 3710)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까지 길 안내를 하기 위한 길 안내 화면(3800)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길 안내 화면(3800)은 증강 현실 뷰 및 맵 뷰(3810) 사이에서 토글 전환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차량의 주차 후에 사용자가 해당 건물 내에 머무는 동안에는 상기 차량의 주차 요금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된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주차 요금 정보 안내와 함께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서비스 이용 여부 및 주차 시간 경과에 따른 주차 요금 정보를 제공한다.
즉,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면, 상기 서비스의 이용 금액에 따라 무료 주차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390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무료 주차 가능 시간은 바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서비스 이용 금액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할 수 있으며, 상기 주차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주차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바 형태의 무료 주차 가능 시간은 감소하며, 이에 따른 변경된 무료 주차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3910)를 표시한다.
또한, 도 3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상기 무료 주차 가능 시간이 경과되면, 이에 따른 경과 시간 및 추가 소비 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3920)를 표시한다.
또한, 도 39의 (d)와 같이, 연관 쿠폰 및 매장 안내 등의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차 요금을 무료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소비를 늘리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최종 주차 정보(393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등록 정보에 따른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등록 정보는 투-두 리스트(4000)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상기 투-두 리스트(4000)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상기 투-두 리스트(4000)에 연계된 길 안내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묻는 안내 화면(4100)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 화면(4100) 상에서 안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투-두 리스트(4000)에 연계된 길 안내 정보가 제공된다.
즉,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두 리스트(4000)는 사야할 물품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상기 물품을 파는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길 안내 정보(4200)를 제공한다. 즉, 상기 물품은 TV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길 안내 정보(4200)는 상기 TV를 구매하기 위한 가전 제품 매장으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등록 정보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특성 정보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특성 정보에 따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승자에 아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묻는 화면(4300)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아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유아 동반 고객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431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 화면(4310) 상에서 특정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 정보(4320)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물품 배달 서비스일 수 있다.
즉,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 내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그에 따라 주차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구입한 물품을 상기 주차 위치로 옮겨주는 배달 서비스의 안내 화면(4400)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 내부에서의 주차 공간에 대한 길 안내를 해줌으로써, 차량의 실질적인 목적지인 주차 공간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등록 설정에 따라 다수의 주차 구역 중 특정 주차 구역을 배정해줌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하면, 주차 요금을 실시간 안내할 뿐 아니라, 주차와 연계된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해줌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45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이러한 차량 보조장치(100)는 차량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보조장치(100) 및 AVN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51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및 광통신 모듈(7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이하 설명 도 2참조)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D),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주차(P), 전진,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722)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722)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45에서는 모니터링부와 카메라(722)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7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보조장치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모니터링부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70)은 차량 보조장치의 실행 신호 전달에 따라서, 전달된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전술한 프로세서(170)의 역할을 위임할 수 있다. 즉, 차량 보조장치의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제어부(770)에 직접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차량 보조장치는 차량의 일부 구성들을 합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70)는 프로세서(170)에서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구성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AVN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 및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예정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상에서의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센서 정보, 차량 속도 센서 정보, 요 센서 정보, 자이로 센서 정보, 휠 센서 정보 및 경사 감지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OBD(On Board Diagnostics) 정보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GPS 모듈의 연결 상태가 연결 해제 상태이면,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물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위치 정보, 기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주변에 존재하는 AP(Access Point)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판단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운로드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가 설정된 시점 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건물로 진입한 시점에 이루어지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설정된 주차 예정 위치에 대한 주차 상태의 변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예정 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 현재 이동 속도 정보, 방향 지시 정보, 차선 정보, 방향 변경 지점까지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출차가 감지되면,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의 출구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차 중 재주차 명령이 입력되면, 이전 주차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건물 내의 서비스 지역 중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의 이동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차가 완료되면, 상기 건물 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주차 연계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주차 요금 안내 서비스, 사용자 등록 정보에 따른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물품의 배달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의 길 안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방법.
  14.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면,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진입한 건물의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차량의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 상에 출력하고,
    상기 수신한 센서 정보 및 상기 출력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 중 특정 주차 예정 위치로의 운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운행 정보를 상기 출력부 상에 출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지도 데이터 상에서의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 주행 정보를 토대로 상기 운행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센서 정보, 차량 속도 센서 정보, 요 센서 정보, 자이로 센서 정보, 휠 센서 정보 및 경사 감지 센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OBD(On Board Diagnostics) 정보인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GPS 모듈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차량이 건물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연결이 해제된 위치 정보, 기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주변에 존재하는 AP(Access Point)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한 건물 정보를 판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실내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가 설정된 시점 또는 상기 차량이 상기 건물로 진입한 시점에 상기 차량이 진입한 건물에 대응하는 실내 지도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건물 내의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주차 공간에 대한 주차 상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차량의 주차 예정 위치를 설정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 예정 위치에 주차되면, 상기 건물 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에 따른 주차 연계 서비스 정보를 상기 출력부 상에 출력하며,
    상기 주차 연계 서비스는,
    주차 요금 안내 서비스, 사용자 등록 정보에 따른 특정 서비스 지역으로의 길 안내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물품의 배달 서비스,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로의 길 안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KR1020160005959A 2016-01-18 2016-01-18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2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59A KR101929303B1 (ko) 2016-01-18 2016-01-18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959A KR101929303B1 (ko) 2016-01-18 2016-01-18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293A true KR20170086293A (ko) 2017-07-26
KR101929303B1 KR101929303B1 (ko) 2018-12-17

Family

ID=5942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959A KR101929303B1 (ko) 2016-01-18 2016-01-18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71B1 (ko) * 2018-12-18 2020-03-02 박주환 차량 위치 분석 방법 및 네비게이션 장치
CN113044022A (zh) * 2019-12-26 2021-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装置及方法
WO2022060499A1 (en) * 2020-09-15 2022-03-24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distributed reconstructed 3d map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1175B2 (ja) * 2006-02-23 2009-09-16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地図配信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6318901B2 (ja) * 2014-06-20 2018-05-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駐車管理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駐車管理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71B1 (ko) * 2018-12-18 2020-03-02 박주환 차량 위치 분석 방법 및 네비게이션 장치
WO2020130525A1 (ko) * 2018-12-18 2020-06-25 박주환 차량 위치 분석 방법 및 네비게이션 장치
CN113044022A (zh) * 2019-12-26 2021-06-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装置及方法
CN113044022B (zh) * 2019-12-26 2024-05-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控制车辆的行驶的装置及方法
WO2022060499A1 (en) * 2020-09-15 2022-03-24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distributed reconstructed 3d m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303B1 (ko) 201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9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90547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426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562786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관제 시스템
KR101942793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91599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US98540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KR101832466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264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N109849906B (zh) 自主行驶车辆及其控制方法
KR20190005442A (ko) 차량용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20190065042A (ko) 차량의 운행 시스템
KR20190086601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43538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의 차량 운전 보조방법
KR20190031050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79268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KR20190041172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1148674A (zh) 自动驾驶车辆及其控制方法
KR10191741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긴급 구조 서비스 제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60147557A (ko) 자동 주차 장치 및 차량
KR101929303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20922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72352B1 (ko)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0842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70041418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