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283A -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 Google Patents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283A
KR20170084283A KR1020177016410A KR20177016410A KR20170084283A KR 20170084283 A KR20170084283 A KR 20170084283A KR 1020177016410 A KR1020177016410 A KR 1020177016410A KR 20177016410 A KR20177016410 A KR 20177016410A KR 20170084283 A KR20170084283 A KR 2017008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functional
organic
reaction
alcoho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주안 마오
Original Assignee
샤오싱 루이캉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오싱 루이캉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샤오싱 루이캉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14Unsaturated ethers
    • C07C43/178Unsaturated ether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43/1785Unsaturated ether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having more than one ether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3/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3/02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reactions involving the formation of amino groups from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groups or etherified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5/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4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5/4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carbon chains not further substituted by hydroxy groups
    • C07C215/5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groups linked to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o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y carbon chains not further substituted by hydroxy groups with amino groups and the six-membered aromatic ring, or the condensed ring system containing that ring,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9/00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 C07C319/02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thiols
    • C07C319/12Preparation of 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of thiol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mercapt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0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07C323/41Y being a hydrogen or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01Preparation of ethers
    • C07C41/16Preparation of ethers by reaction of esters of mineral or organic acids with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56Nitrogen atoms
    • C07D211/58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 C07D2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51/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5-tr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51/40Nitrogen atoms
    • C07D251/54Three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2Mel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08K5/34926Triazines also containing heterocyclic groups other than triaz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08K5/3725Sulfides, e.g. R-(S)x-R' containing nitro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안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아래 구조 (A)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R1은 연결사슬을 말하며, 해당 연결사슬은 지방족 사슬, 방향족 사슬, 지방족과 방향족 혼합 구조형 사슬이며, R2는 (B)이고, X는 O, S, N혹은 NH 혹은 -CONR-이고, Z는 O, S, N 혹은 NH이고, X와 Z는 서로 동일하지 않으며, R은 지방족 사슬, 방향기, 입체장애 아민 혹은 입체장애 페놀이고,R3은 지방족 사슬, 방향기, 입체장애 아민 혹은 입체장애 페놀이고, R과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R과 R3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며, n은 1의 양의 정수를 포함하고, n1은 1의 양의 정수를 포함하고,n과 n1은 서로 동일하거나 n과 n1은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MULTIFUNCTIONAL SYNERGISTIC MACROMOLECULAR ANTI-OXIDATION STABILIZER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다기능 헤테로화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으로서, 신재료 항산화 안정첨가제를 말하며, 고분자재료에 사용되어 품질보증, 색상보증, 기능유지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항산화 안정첨가제를 말하며, 플라스틱류,고무,섬유,도료,페인트, 석유 등과 같은 계열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전 세계 항산화 안정첨가제 판매 시장은 매우 방대하여 플라스틱류 항산화제만 보더라도 2011년 전 세계 판매량이 42만 톤 가량된다. 현재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사용량이 가장 크며 그 다음이 유럽과 북미 지역이고, 2016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재료 항산화 안정제 재품의 판매액은 약 4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재료 항산화 안정첨가제의 수요와 생산은 점차적으로 미국, 서유럽, 일본에서 아시아의 신흥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특히 중국과 인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동해 가고 있다. 현재 국내 항산화제의 소비량의 증가 추세는 비교적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에도 여전히 소수 대형 공급업체에 의해 재료 항산화 안정제의 시장 가격이 제어되고 있는 추세이다.
항산화 안정첨가제 사장은 특히 열안정제 시장은 인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율을 나타내고 있다. 전용 항산화 안정제는 폴리머 재료의 응용 분야의 성장과 기술 발전에 따라 함께 성장해 나가고 있다. 현재 자동차업, 유기전자, 농업, 동영상, 플라스틱류, 고무, 섬유, 계산기 재료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특수한 전용 항산화 첨가제와 안정제를 사용해 이러한 대응되는 재료들의 사용 기한과 응용 범위를 확산해 나가고 있다.
항산화 안정첨가제의 수요는 또한 대량으로 플라스틱류 공업에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알켄류 폴리머,염소화 고분자 화합물(PVC) 영역의 발전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PVC 제품은 주로 건축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며, 특히 파이프라인과 케이블 제조에 85%가 넘는 항산화 첨가제가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수요는 더욱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형 항산화 첨가제의 사용량은 더욱 신속하게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 제품의 사용량은 더욱 상상을 초월하게 될 것이다.
대다수의 폴리머 재료는 200℃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가공 혹은 처리를 진행해야 하고 이렇게 연속적으로 고온과 강한 광선 환경 하에서 보통 재료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변색, 혹은 강도 쇄약 및 재료 표면의 약화로 균열 현상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특정한 항산화 안정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거나 손상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미관 및 내구성, 원가 절감, 폐기물 재료 감소, 환경 보호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현재 시중에 사용되는 항산화 안정첨가제는 분자량이 작고 쉽게 휘발되며 손상이 잘되는 편이라 재료 중에서 그 분포가 불균형하여 재료에 첨가하여 사용하거나 특히 고온 및 강한 광선 환경 하에서 쉽게 손상되어 여전히 그 수명이 단축되거나 변색, 혹은 강도 쇄약 및 재료 표면의 약화로 균열 현상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금년부터 광선 저항 및 열저항 기능을 갖춘 분자를 사용한 다기능 항산화 안전제와 관련된 기사들이 나오고 있으며, 일부 국제 대기업에서는 이미 이러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수치적인 측면에서 보면 이러한 다기능 황산화제가 재료에 대한 상조적 보호 기능이 두 종류의 항산회제를 함께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우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인은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에 관해 다년 간의 연구를 거듭한 끝에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함과 동시에 재료가 고온과 강한 광선 환경 하에서도 안정적인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해 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기술이 가진 상기 문제에 대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해당 신형 고분자재료 다기능 헤테로화 항산화안정제는 안정적인 에테르 결합 혹은 티오에스테르 결합 혹은 아민 결합 혹은 아마이드 결합을 1급 광선 저항과 열 저항 헤테로화 체인 결합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1급과 2급 항산화안정제의 체인 결합 방식으로 사용하여 적합한 공간 제어 구조 방식을 통해 다기능 상조적 항산화 안정제를 완성하였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실현하였다.
본 발명인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추고 있다.
Figure pct00001
그 중, R1은 연결사슬이고, 해당 연결사슬은 지방족 사슬, 방향족 사슬, 지방족과 방향족 혼합 구조형 사슬 중 하나이며;
R2은
Figure pct00002
X는 O, S, N 혹은 NH 혹은 -CONR-이고, Z는 O, S, N 혹은 NH이며, X와 Z는 서로 다르며;
R은 지방족 사슬, 방향기, 입체장애 아민 혹은 입체장애 페놀이며,R3은 지방족 사슬, 방향기, 입체장애 아민 혹은 입체장애 페놀이며, R과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R과 R3은 서로 다르며;
n은 1을 포함한 양의 정수,n1은 1을 포함한 양의 정수,n은 n1과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n과 n1은 서로 다르다.
상기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는 :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상기 R3은 H, 지방 탄화수소 곁사슬, 방향 탄화수소 곁사슬, 지방 방향 탄화수소 혼합 곁사슬 혹은 헤테로 원자가 있는 곁사슬이며, n은 양의 정수이다.
이러한 종류의 항산화 안정제를 사용한 실예의 구조에서 해당 항산화안정제는: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포함하게 된다.:
n은 ≥1 의 자연수이고,
1당량의 알코올 원료를 질소 보호 하에서 1.5-5당량의 NaH를 포함한 무수의 THF, DMF, 아세톤, 초산에틸,메틸벤젠, 메틸 시아나이드(1;5-15, w/v) 용제 중에 추가하고, 실온 혹은 섭씨 30-50도 하에서 30분에서 1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준 후, 1.2-5.0당량의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 혹은 염소화합물에 10%의 NaI혹은 KI를 넣은 것을 떨어뜨려 추가하거나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예:알코올의 메틸벤젠황산염,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등)을 떨어뜨려 추가하여 해당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에서 1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주고 40-90℃까지 가열하여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포화NH4Cl 수용액(반응 유기 용제 체적의 1-3배)에 담금질 반응을 거친 후 초산에틸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을 충분히 혼합한 후, 유기상과 수상을 3회 추출 분리하며,Na2OS4 건조 합병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여과하여 유기용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고체산물은 재결정 과정을 통해 획득하며, 오일형태 혹은 액체형태의 산물을 추출 혹은 실리카겔 컬럼법으로 순화시키고, 그 산율은 79-96%이다.
혹은,
1당량의 알코올 원료를 1-3당량의 NaOH와 10-20%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w/w)을 함유한 THF, 아세톤, 초산에틸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다이클로로메테인,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20, w/v)용제 중에 추가하고, 실온 혹은 섭씨 30-50도 하에서 1시간에서 3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준 후, 1.2-5.0당량의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 혹은 염소화합물에 10%의 NaI혹은 KI를 넣은 것을 떨어뜨려 추가하거나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 (예:알코올의 메틸벤젠황산염,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등)을 떨어뜨려 추가하여 해당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주고 40-100℃까지 가열하여 1-25시간을 반응시켜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이어서 고체산물은 재결정 과정을 통해 획득하며, 오일형태 혹은 액체형태의 산물을 추출 방법으로 순화시키고, 그 산율은 83-92%이다.
혹은
질소 보호 하에서 1당량의 알코올 원료를 1.1-5당량의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 혹은 10-20%의 NaI혹은 KI 포함한 염소화합물에 추가하거나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예:알코올의 메틸벤젠황산염,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등)건조 THF, DCM,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에탄올, 메틸알코올,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15, w/v)에 추가한 후, 다시 Na2CO3 혹은 K2CO3 등의 무기염기 혹은 NEt3 혹은 DMAP혹은 DBU 등의 유기염기(1.2-2.0 당량)등과 같은 유기 염기 용액 내에 추가하여, 해당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가량 고르게 저어주고 다시 40-90℃까지 가열하면서 5-12시간 고르게 저어주고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NaCl포화 수용액과 등량의 초산에틸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을 반응 체계에 추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유기상과 수상을 동일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3회 씻어내며, Na2OS4 건조 합병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여과하여 유기용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고체산물은 재결정 과정을 통해 획득하며, 이어서 추출 혹은 실리카겔 컬럼법으로 오일형태 혹은 액체형태의 산물을 획득하며, 그 산율은 78-97%이다.
혹은
1당량의 아민을 다이클로로메테인, 초산에틸,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THF, 에탄올, 메틸알코올,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20, w/v) 용제 중에 용해 시키고, 질소 보호 하에서 골고루 저어주며 다시 1-3당량의 유기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10-50% NaI,w/w), 염소화합물(10-50% NaI,w/w)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류 화합물을 (MsO-,TsO-,TfO-) 동일한 유기용제1-3당량 염기(NaOH,KOH, Na2CO3, K2CO3, NEt3, DBU, DMAP 등 무기 혹은 유기염기)의 용액 중에 추가하며, 무기염기를 추가량에 따라 이에 10%에 해당하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을 추가하여 실온에서 1-3시간 저어준 후, 다시 40-90℃ 가열하여 추가로 1-25 시간 저어준다. 냉각 후, NH4Cl수용액으로 염기성과 수용성 잡물질 제거하고,재결정을 통해 유기상 안의 고체산물을 획득하고, 액체 혹은 오일형태의 산물은 실리카겔 컬럼법을 통해 분리 혹은 추출시키며, 그 산율은 67-93%이다.
1당량의 아민과 1당량의 염기(무기염기 혹은 유기 염기) 무수의 다이클로로메테인, THF, MTBE,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클로로포름, 메틸벤젠 혹은 DMF용제(1:5-20, w/v)에 용해 혹은 현탁시키고, 질소 보호 하에 0-10℃에서 1-2당량의 카르복시기 클로라이드와 동일한 건용제(1:5-10,w/v)의 용역에 혼합물을 0-10℃에서 30분 간 고르게 저어주고, 실혼이나 30-60℃까지 가열하여 3-24시간 반응하여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추가된(1:20)의 다이클로로메테인, 초산에틸 혹은 MTBE 와 0.1N의 염산 아이스 수용액을 골고루 혼합사여 유기상으로 분리한 후, 수상은 동일한 유기용제로 2회 씻어 낸 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킨 유기상을 얻게 되며, 이를 통해 여과 및 농축을 하게 된다. 고체산물은 재결정을 통해 얻게 되며, 액체 혹은 끈적한 오일형태이 산물은 실리카겔 컬럼법 혹은 추출을 통해 순화시키고, 그 산율은 75-96%이다.
혹은
여러 개의 관능기 원료을 통해 n 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기능항산화안정제 고분자 산물의 평균 분자량을 1000에서 5000 돌턴 사이로 조정한다.
1당량의 디아민, 리그닌 아민을 건조한 다이클로로메테인, 초산에틸, THF,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에탄올, 메틸알코올,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15,w/v) 중에 넣고, 다시 골고르 저은 후 질소의 보호 하에 폴리요오드화, 폴리브롬화 혹은 폴리염소화된 유기물 원료를(브롬과 염소화합물은 10-50%의 NaI 혹은 KI 및 서로 대응되는 Bu4NBr을 추가) 추가한 후, 실온에서 30분-1시간을 저어준 후, 침전물이 더 증가되지 않을 때까지 40-100℃로 가열하여 6-72 시간 반응 시킨다. 여과해 낸 고체 분말 제품(흰색 혹은 연한 황색)은 다이클로로메테인 용제를 이용해 3회 씻어내며, (1;2=w/v),그 산율은 약 87-100%이다.
폴리 관능기 원료는 리그닌 아민 이외의 기타 폴리 관능기 원료있으며, 예를 들어 다원 알코올,다원 유황 알코올, 다원 유기산, 다원 알데하이드,다원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의 제조방법과 관련된 반응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7
일종의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를 항산화제로 응용하여 사용한다.¬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상기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는 플라스틱류, 고무, 석유품, 도료, 섬유 제품 혹은 페인트 중에 응용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설계된 공간의 연결사슬(Link Spacer)을 통과하여 티오에스테르 결합을 하며, 2급 아민 결합 혹은 3급 아민 결합 및 에테르 결합을 교량으로 하여 광선 저항 및 열저항 기능, 가공 저항 기능을 갖춘 각 종류의 항산화 기능 도막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갖춘 항산화안정제를 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항산화안정제는 공간 연결사슬과 대체 곁사슬을 통해 항산화안정제와 고분자의 특정 구조의 정합성을 조절하여 현존하는 항산화안정제가 고분자 중에서 이전할 때 누출되거나 추출되는 결함을 개선하는 한 편, 또 다른 방면으로 항산화 기능그룹의 종류를 도입함으로써 서로 다른 헤테로화 다기능 상조적 작용을 하는 신형 항산화안정제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도입한 항산화 기능 그룹은 동일한 유형에 속하며(예: 주요 열저항 입체장애 페놀 기능 도막, 주요 광선 저항 입체장애 아민 기능 도막), 설계 공간을 통해 도막과 곁사슬 구조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대분자량의 고분자와 서로 정합되는 신형 열저항 광선 저항 항산화제를 만들게 된다. 도입한 항산화 기능의 도막이 소로 다른 종류의 항산화 기리일 때(예: 주요 항산화 기능 열저항 기능 입체장애 페놀과 광선 저항 입체장애 아민,주요 항산화 기능 입체장애 페놀과 입체장애 아민 도막과 보조 항산화 기능 도막 황화물 혹은 서브 인산에스테르) 신형 다기능헤테로화 상조적 항산화안정제를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고분자 헤테로화 상조적 항산화안정제의 성질은 서로 다른 항산화제 성질을 가합한 것일 뿐만 아니라 분자 보호에 더욱 강력한 기능이 있는 우월성과 서로 다른 구조 특징의 고분자 정합성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 최초로 다기능 잡화를 개발하였고, 천천히 오래 효과가 지속되며 물에 용해되지 않고, 산에도 강하며, 염기에도 강한 우수한 품질의 항산화안정제를 개발하였다. 안정적인 에테르 결합 혹은 아민 결합 혹은 아마이드 결합으로 일급 광선 저항과 열 저항 헤테로화 사슬 결합 방식을 사용해 그 적합한 제어 공간 구조로 다기능 상조적 작업을 하는 항산화안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는 모두 안정적 사슬 구조인 다기능 헤테로화 상조적 성질, 열 저항 능력, 수용 저항 능력, 산 저항 및 염기 저항 능력 등 다양한 우수한 특징을 갖추고 있어 시장에서 기존의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약점을 보충하여 새로운 신세대의 유효 항산화안정제 기초를 다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다기능 헤테로화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에 관한 것으로서, 신재료 항산화 안정첨가제를 말하며, 고분자재료에 사용되어 품질보증, 색상보증, 기능유지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플라스틱류,고무,섬유,도료,페인트, 석유 등과 같은 계열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1. 구조식
Figure pct00008

2. 합성선로
Figure pct00009

3. 4-브롬 메틸기-2,6-Di-tert-butylphenol(중간체1) 합성 순서1:
5그램 2,6-Di-tert-butylphenol(22.69 몰)을 CCl4 혹은 CHCl3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THF 혹은 메틸벤젠 혹은 DMF 등 용제(20-50밀리리터) 중에 용해 시키고, 질소의 보호와 자외등(수은등350와트)을 비추는 환경에서 액체 브롬(1.2-1.5몰)이상을 용제 용액에 떨어뜨려 추가하고(15-50밀리리터), 이때 떨어뜨려 추가하는 속도는 반응 속도에 따라 조절을 하게 되며, TLC검측반응 과정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추가 작업이 끝난 후, 5-20분 가량 저어주며,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를 제고하고, 오일형태의 산물은 직접 다음 과정에서 사용한다.
4. 4-브롬 메틸기-2,6-Di-tert-butylphenol(중간체1)합성 순서2:
5.0 그램2,6-Di-tert-butylphenol(22.69 몰)을 CCl4 혹은 CHCl3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THF 혹은 클로로벤젠 등 용제(25-50밀리리터)에 용해 시키고, 4.1그램NBS (22.90몰)에 3-10%의 과산화 벤졸을 포함한 물질을 동일한 용제(20-60밀리리터)의 용액 내에 떨어뜨러 추가시킨다. 혼합물은 2-5시간이 지났을 때 온실로 냉각시키며 고체 부유물을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여 연한 갈색의 액체를 직접 다음 과정에서 사용한다.
5. 목표 산물1의 제조 과정:
2그램 Pentaerythrotol(1.98몰), 수산화칼륨 혹은 수산화나트륨(11.89몰)과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0.5몰)을 20밀리리터THF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아세톤 혹은 DMF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시간 저은 후, 50-70℃로 가열하여 30분에서 2시간 동안 저어준다.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시키며, 질소의 보호 하에 3.49그램2,6-di-tertibutyl-4-브롬 메틸기 벤젠 (15.45몰)을 추가하여 혼합물을 18시간 흘린 후, Pentaerythrotol원료가 모두 소실 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행하여 주요 산물을 하나 생성하게 된다. 0.1N 아이스 워터 염산 용액과 동일한 체적의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을 충분히 혼합하여 유기상을 분리해 내고, 수상은 동일한 유기용제를 사용해 2회 추출하고, 무수 Na2SO4을 유기상으로 건조, 여과시켜 진공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며, ,실리카겔 컬럼법을 통해 순화하여 3.98그램의 목표 산물 1을 얻으며 그 산율은 83.7%이다.
1H NMR(400MHz,CHCl3), (ppm): 7.26 (s, CHCl3 이 CDCl3 내에),7.15(s,2H, 2CH), 7.00(s,2H,2CH), 6.92(s,2H,2CH), 6.87(s, 2H,2CH), 6.66(s,4H,2CH2),5.62(s,4H),3.17(s,4H,2CH2), 2.29(s,4H, 2CH2), 2.26(s,4H,2CH2), 1.22-1.43(m, 72H,24CH3).
실시예 2
1. 구조식
Figure pct00010

2. 합성 선로
Figure pct00011

3. 중간체1의 제조 과정:
6.1 그램 메르캅탄(42.30 몰) 3그램을 2,2-디클로 에틸아민(21.12 몰)과 10-50% KI의 THF 혹은 아세톤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에탄올 등(1:5-20,w/v) 용액 중에 추가하여, 혼합물을 40-90 ℃까지 가열시킨 후3-9시간 반응시켜 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한다. 진공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고, NaCl수용액과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을 추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유기상 분리를 하여 수상에서 2회 추출 작업을 한다. 무수 Na2SO4 로 유기상을 건조하여, 여과, 농출 시킨 후의 중간체1를 직접 다음 과정에서 사용한다.
4. 중간체2의 제조 과정:
5.93그램3-(3,5-di-tertibutyl-4-히드록시기 벤젠)프로피온산(21.30몰)을 건조한 THF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 혹은 MTBE 혹은 아세톤 등(1:5-20, w/v)에 용해 시킨 후, 0-10℃로 냉각하고, 질소 보호 하에 1.82밀리리터 Oxalyl chloride(21.50몰)과 0.5밀리리터의 DMF를 떨어뜨려 30분 간 고루 저은 후, 온도를 실온까지 올려 2-7시간 저어 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 검측반응을 진행한다. 진공에서 유기용제와 과량의Oxalyl chloride을 제거하고 남은 중간체2를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한다.
5. 목표산물 1의 제조 과정
중간체1(21.12 몰)과 중간체2(21.30몰)를 건조한 아세톤 혹 혹은 THF 혹은 초산에틸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메틸벤젠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등의 유기용제에 용해 시키고, 0-10℃까지 냉각 시켜 트리에틸아민(21.30몰)을 떨어 뜨린 후, 혼합물을 0-10℃에서 1시간 동안 고루 저어서 다시 실온에서 3-7시간 저은 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ㅇ르 진행한다. 반응 체계를 향해 0.1N의 아이스 염산수용액과 동일한 체적의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을 떨어 뜨려 충분히 혼합하고, 유기상을 분리하며, 유기상은 0.1N 아이스 워터 염산에 2회 씻는다. 이어서 NaCl포화 용액에 2회 씻고, 무수 Na2SO4 건조하여, 여과시키고,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여,실리카겔 컬럼법으로 순솨시켜 9.87그램의 목표 산물1을 얻는다. 그 산율은 75.1%이다.
1H NMR (400MHz, CDCl3),
Figure pct00012
(ppm): 7.25(s,CHCl3 는 CDCl3에서 얻는다),6.97(s,2H,2CH),2.76-2.99(m,8H,4CH2),1.52-1.59(m,4H,2CH2), 1.43(s,18H,2But), 1.26-1.43(m,24H,12CH2), 0.88(t,6H,3JHH=7.20,2CH3).
실시예 3
1. 구조식
Figure pct00013

2. 합성선로
Figure pct00014

3. 2,2,6,6-di-tertibutyl-4-브롬 메틸기 페놀(중간체1)의 합성 순서1:
5그램의 2,2,6,6-Di-tert-butylphenol(27.11몰)을 CCl4 혹은 CHCl3 혹은 CH2Cl2 혹은 THF 혹은 클로로벤젠 혹은 메틸벤젠 혹은 에틸렌다이브로마이드 용제(1:5-20,w/v) 중에 용해 시키고, 질소의 보호 하에, 350와트 수은등을 비추는 환경에서 브롬(28.01-37.57몰)과 동일한 체적의 용제 용액에 떨어뜨려 추가하고 TLC 검측반응을 진행한다. 해당 물질을 떨어뜨린 후 5-40분 동안 저어주며,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여 연한 홍갈색의 오일형태를 얻은 후, 이를 다음 반응 중에 직접 사용하며, 그 산율은 95-100%이다.
4. 2,2,6,6-di-tertibutyl-4-브롬 메틸기페놀(중간체1)의 합성 순서2:
5그램2,2,6,6-Di-tert-butylphenol(27.11몰)을 CCl4 혹은 CHCl3 혹은 CH2Cl2 혹은 THF 혹은 클로로벤젠 혹은 메틸벤젠 혹은 에틸렌다이브로마이드 용제(1:5-20,w/v)에 용해 시킨 후, 3-10%의 과양화 벤졸를 떨어뜨려 추가하여 가열하여 흐르게 하며, 6.3그램의 NBS(35.25몰)를 동일한 체적의 동일한 용제 용액에 떨어뜨려 추가하며, 떨어뜨려 추가한 후, 다시 2-5시간 흐르게 한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시켜 부유 고체를 여과시키고, 여과시킨 액체를 진공 하에서 연한 빨간색 오일 형태가 될 때까지 농축시켜 이것을 다음 순서에 직접 사용하며, 그 산율은 90-95%이다.
5. 2,2,6,6-di-tertibutyl-4-암모니아 메틸기페놀(중간체2)의 합성 순서:
3그램의 2,2,6,6-di-tertibutyl-4-브롬 메틸기페놀을 THF 혹은 아세톤 혹은 에탄올 혹은 메틸알코올 등 용제에 용해 시키고, 암모니아수를 추가하거나 혹은 암모니아 기체를 통과시킨 후, 실온에서 2-6시간 반응시키고, 벤질화 브롬 원료가 소실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하며, 이어서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석유에테르 혹은 초산에틸 혹은 메틸벤젠 혹은 MTBE 을 추가하여 벤질아민 산물을 유기상 안(10mlx3)으로 추출한다. 무수 Na2SO4에 건조 통합된 유기상을 여과시켜 여과시킨 액을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하며, 이어서 연한 황색의 밀납형태 고체를 얻어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하며, 그 산율은 81-93%이다.
6. 목표산물1의 제조 과정:
1그램의 염화시아눌산(5.42몰)을 무수의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THF 혹은 MTBE 혹은 초산에틸 혹은 에탄올 혹은 아세톤 혹은 DMF 등 용제(1:5-20,w/v)에 용해 시키며, 질소의 보호 하에 5.75그램의 Na2CO3(5.42몰)과 위에서 제조한 비교적 거친 벤질아민(21.68몰)을 추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저어주며, 40-80℃까지 2-18시간 가열하고, 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한다. NaCl수용액,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10mlx3) 추출 산물을 추가하고, 무수의 Na2SO3를 건조 합병된 유기상을 여과시켜서, 진공 하에서 압축하며, 실리카겔 컬럼법으로 백색 고체 3.18그램을 획득하고, 그 산율은 75.2 %이다. 1H NMR(400MHz, CDCl3), (ppm): 7.31(t,3H, 3CH), 7.30(s,CHCl3는 CDCl3에서 얻는다) ,7.18(t, 3H,3CH), 2.35(s,6H,3CH2), 1.31(s,54H,18CH3).
실시예 4
1. 구조식
Figure pct00015

2. 합성선로
Figure pct00016

3. 목표산물 2의 제조 방법:
1그램2,2,6,6-Di-tert-butyl-4-브롬 메틸기페놀(3.342 몰)을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 혹은 석유에테르 혹은 THF 혹은 MTBE 혹은 아세톤 혹은 에탄올 등 용제(1:5-20,w/v)에 용해 시키고, 질소의 보호 하에 n-octadecylamine와 K2CO3 혹은 Na2CO3 혹은 NaOH 혹은 트리에틸아민 혹은 DBU 혹은 DMAP등 염기 물질을 동일한 체적의 용제 용액 중에 떨어뜨려 추가하고, 혼합물을 실온 하에서 1-5시간 고르게 저어 준 후, 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한다. NaCl수용액,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 혹은 MTBE 혹은 석유에테르유기용제 추출 산물(10mlx3)을 추가하고, 무수의Na2SO4이용해 건조, 여과 시키며,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실리카겔 컬럼법을 통해 황색 오일형태의 산물을 획득하며, 그 산율은 83-92%이다. 1H MNMR(400MHz,CDCl3), (ppm): 7.34(s,CHCl3 은 CDCl3에서 얻는다),7.15(s,2H,2CH), 3.45(m,2H, CH2N), 2.76(m, 2H, CH2N), 1.13-1.49(m, 52H).
실시예 5
1. 구조식
Figure pct00017

2. 합성선로
Figure pct00018

3. 중간체1의 합성:
6그램1,2-디클로 에톡시기 에탄(32.08몰)을 아세톤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메틸벤젠 혹은 에탄올 혹은 MTBE 용제(1:5-20,w/v)에 용해 시키고, 10-20% 의 NaI 혹은 KI,32.08몰Na2CO3 혹은 K2CO3 혹은 NEt3 혹은 DBU 혹은 NaOH등의 유기 혹은 무기 염기와 10.16그램의 4-암모니아기-2,2,6,6-Tetramethyl피페리딘(65.00몰)을 동일한 체적의 동일한 용제 용액 내에 추가한다. 혼합물을 40-70℃까지 가열하여 3-18시간 고르게 저어주며, TLC 검측반응을 진행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이어서 NaCl수용액,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 혹은 MTBE 혹은 석유에테르을 추가하여 중간체1을 3회(20mlx3)추출 하고, 무수의Na2SO4건조 유기상을 여과하여 여과된 액체를 진공 중에서 농축하며, 실리카겔 컬럼법을 통해 연한 황색의 분말 중간체1를 획득하며, 그 산율은 81-92%이다.
4. 중간체 2의 합성 순서:
5.93그램3-(3,5-di-tertibutyl-4-히드록시기 벤젠)프로피온산(21.30몰)을 건조한 THF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 혹은 MTBE 혹은 아세톤(1:5-20, w/v)에 용해 시키며, 0-10℃까지 냉각시킨 후, 질소의 보호 하에 1.82밀리리터 Oxalyl chloride(21.50몰)과 0.5밀리리터 방울 DMF을 떨어뜨린 후, 30분 간 고르고 저어서 실온까지 온도를 올려 다시 2-7시간 저어주며, 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한다. 진공 하에서 유기용제와 과량의 Oxalyl chloride을 제거하고, 남은 중간체2를 다음 반응 중에 직접 사용한다.
5. 목표산물1의 제조 과정:
3그램중간체 1(7.06 몰)와 7.36몰Na2CO3 혹은 K2CO3 혹은 NEt3 혹은 DMAP 혹은 DBU등 염기물질을 무수의 아세톤 혹은 THF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초산에틸용제 중에 용해 시키고, 0-10℃로 냉각한 후, 14.25몰중간체 2 동일한 체적의 동일한 용제 용액을 떨어뜨려 추가하며, 추가가 완료된 혼합물을 0-10℃에서 30분간 저어주며, 실온에서 1-3시간 두고 다시 40-60℃까지 가열하여 별도로 2-5 시간 저어준다. 용해되지 않은 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액체를 농축하여 일반 용제를 제거하며, 동일한 체적의 석유에테르를 추가하여 저으면서0℃까지 냉각시켜 백색 고체 4.79그램을 획득하며, 그 산율은 71.7%이다.
1H NMR (400MHz, DMSO-D6), (ppm): 6.92(s,2H, 2CH), 6.89(s,2H, 2CH), 6.75(s,CH2Cl2 용제),4.01(m,4H, 2OCH2), 3.58(sb, H2O), 3.41(m, 4H, 2OCH2), 2.71(m, 6H,2NCH2, 2NCH), 2.50(m, DMSO 은 DMSO-d6에서 얻는다),2.42(m,4H, 2CH2), 2.26(m,4H, 2CH2), 1.59(m,4H), 0.93-1.48(m, 64H).
실시예 6
1. 구조식
Figure pct00019

2. 합성선로
Figure pct00020

3. 중간체1의 합성:
1그램염화시아눌산(5.42몰)과 5.42몰Na2CO3 혹은 K2CO3 혹은 NEt3 혹은 DBU 혹은 DMAP 을 건조한 아세톤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THF 혹은 메틸벤젠 용제에 용해시키고, 질소의 보호 하에 1.03 그램 옥틸 메르캅탄(7.05 몰)을 추가하여 혼합물을 1시간 저어주며, 35-65℃까지 가열하여 2-7시간 저어주고, 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하며, 본 반응이 끝난 후의 물질을 다음 순서에서 합성을 한다.
4. 중간체 2 의 합성:
3그램1,6-디브로모헥산(12.30 몰),10-30%의 NaI 혹은 KI와 25몰Na2CO3 혹은 K2CO3 혹은 NEt3 혹은 DBU 혹은 DMAP등의 염기물질을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아세톤 혹은 THF 혹은 MTBE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메틸벤젠 혹은 에탄올 등 용제(1:7-20,w/v)내에 용해시키고, 실온 하에서 3.88그램4-암모니아기-2,2-6,6-Tetramethyl피페콜(24.80몰)을 추가한다. 이어서 실온에서 1시간 저어 준 후, 다시 40-70℃까지 가열하여 3-15시간 저어주고,반응이 완전히 완료될 때까지 TLC검측반응을 진행한다. NaCl수용액을 추가하고, 다이클로로메테인 혹은 초산에틸 혹은 MTBE을 통해 중간체2(15mlx3)를 추출하며, 무수의 MgSO4 건조 합병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여과하여 용제를 제거하여, 해당 거친 제품 중간체2를 다음 과정에 직접 사용한다.
5. 목표산물 1(고분자화합물)의 제조 과정:
등몰용액의 중간체2를 등몰용액의 중간체1의 반응 체계 중에 추가하고, 이와 동시에 등몰용액의 Na2CO3 혹은 K2CO3 혹은 NEt3 혹은 DBU 혹은 DMAP 유기 혹은 무기 염기를 추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저어주며, 50-90℃까지 가열하여 5-18시간 저어준다. 가열 온도와 반응시간을 통해 제품 고분자량의 크기를 조절한다. 실온으로 냉각 시킨 후, 아이스 수용액을 추가하고 수용성 잡물질을 씻어내면 유기용제에 용해가 되는 오일형태 물질이 형성되고, 이어서 밀랍형 고체 물질을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 얻은 백색 고체산물을 목표 산물 1로 사용하며 그 산율은 73-91%이다. 1H NMR(400MHz, CDCl3), (ppm):7.32(s,CHCl3은 CDCl3에서 얻는다),4.86(m,2H, 2CHN), 3.41(m, 2H, 2CHN), 3.05(m, 8H, 4CH2N), 1.98(m, 2H, CH2S), 1.67(m, 8H), 1.11-1.49(m, 63H).
상술한 내용은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7)

  1.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Figure pct00021

    그 중, R1은 연결사슬이고, 해당 연결사슬은 지방족 사슬, 방향족 사슬, 지방족과 방향족 혼합 구조형 사슬 중 하나이며; R2는
    Figure pct00022


    X는 O, S, N 혹은 NH 혹은 -CONR-이고, Z는 O, S, N 혹은 NH이며, X와 Z는 서로 다르며;
    R은 지방족 사슬, 방향기, 입체장애 아민 혹은 입체장애 페놀이며,R3은 지방족 사슬, 방향기, 입체장애 아민 혹은 입체장애 페놀이며, R과 R3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R과 R3은 서로 다르며;
    n은 1을 포함한 양의 정수,n1은 1을 포함한 양의 정수,n은 n1과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n과 n1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는: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이고, 상기 R3은 H, 지방 탄화수소 곁사슬, 방향 탄화수소 곁사슬, 지방 방향 탄화수소 혼합 곁사슬 혹은 헤테로 원자가 있는 곁사슬이며, n은 양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술된 황산화안정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또는
    Figure pct00027

  4. 제2항에 있어서,
    n은 ≥1 의 자연수이고,
    1당량의 알코올 원료를 질소 보호 하에서 1.5-5당량의 NaH를 포함한 무수의 THF, DMF, 아세톤, 초산에틸,메틸벤젠, 메틸 시아나이드(1;5-15, w/v) 용제 중에 추가하고, 실온 혹은 섭씨 30-50도 하에서 30분에서 1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준 후, 1.2-5.0당량의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 혹은 염소화합물에 10%의 NaI혹은 KI를 넣은 것을 떨어뜨려 추가하거나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예:알코올의 메틸벤젠황산염,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등)을 떨어뜨려 추가하여 해당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에서 1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주고 40-90℃까지 가열하여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포화NH4Cl 수용액(반응 유기 용제 체적의 1-3배)에 담금질 반응을 거친 후 초산에틸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을 충분히 혼합한 후, 유기상과 수상을 3회 추출 분리하며,Na2OS4 건조 합병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여과하여 유기용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고체산물은 재결정 과정을 통해 획득하며, 오일형태 혹은 액체형태의 산물을 추출 혹은 실리카겔 컬럼법으로 순화시키고;
    혹은
    1당량의 알코올 원료를 1-3당량의 NaOH와 10-20%의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w/w)을 함유한 THF, 아세톤, 초산에틸 혹은 메틸 시아나이드, 다이클로로메테인,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20, w/v)용제 중에 추가하고, 실온 혹은 섭씨 30-50도 하에서 1시간에서 3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준 후, 1.2-5.0당량의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 혹은 염소화합물에 10%의 NaI혹은 KI를 넣은 것을 떨어뜨려 추가하거나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 (예:알코올의 메틸벤젠황산염,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등)을 떨어뜨려 추가하여 해당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가량 고르게 저어주고 40-100℃까지 가열하여 1-25시간을 반응시켜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이어서 고체산물은 재결정 과정을 통해 획득하며, 오일형태 혹은 액체형태의 산물을 추출 방법으로 순화시키고;
    혹은
    질소 보호 하에서 1당량의 알코올 원료를 1.1-5당량의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 혹은 10-20%의 NaI혹은 KI 포함한 염소화합물에 추가하거나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예:알코올의 메틸벤젠황산염,트리플루오로 아세테이트 등)건조 THF, DCM,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혹은 에탄올, 메틸알코올,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15, w/v)에 추가한 후, 다시 Na2CO3 혹은 K2CO3 등의 무기염기 혹은 NEt3 혹은 DMAP혹은 DBU 등의 유기염기(1.2-2.0 당량)등과 같은 유기 염기 용액 내에 추가하여, 해당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가량 고르게 저어주고 다시 40-90℃까지 가열하면서 5-12시간 고르게 저어주고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NaCl포화 수용액과 등량의 초산에틸 혹은 다이클로로메테인을 반응 체계에 추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유기상과 수상을 동일한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3회 씻어내며, Na2OS4 건조 합병된 유기상을 진공 하에서 여과하여 유기용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고체산물은 재결정 과정을 통해 획득하며, 이어서 추출 혹은 실리카겔 컬럼법으로 오일형태 혹은 액체형태의 산물을 획득하며;
    혹은
    1당량의 아민을 다이클로로메테인, 초산에틸,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THF, 에탄올, 메틸알코올,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20, w/v) 용제 중에 용해 시키고, 질소 보호 하에서 골고루 저어주며 다시 1-3당량의 유기 요오드화물, 브로민화물(10-50% NaI,w/w), 염소화합물(10-50% NaI,w/w) 혹은 활성화된 알코올류 화합물을 (MsO-,TsO-,TfO-) 동일한 유기용제1-3당량 염기(NaOH,KOH, Na2CO3, K2CO3, NEt3, DBU, DMAP 등 무기 혹은 유기염기)의 용액 중에 추가하며, 무기염기를 추가량에 따라 이에 10%에 해당하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롬화물을 추가하여 실온에서 1-3시간 저어준 후, 다시 40-90℃ 가열하여 추가로 1-25 시간 저어준다. 냉각 후, NH4Cl수용액으로 염기성과 수용성 잡물질 제거하고,재결정을 통해 유기상 안의 고체산물을 획득하고, 액체 혹은 오일형태의 산물은 실리카겔 컬럼법을 통해 분리 혹은 추출시키며;
    혹은
    1당량의 아민과 1당량의 염기(무기염기 혹은 유기 염기) 무수의 다이클로로메테인, THF, MTBE,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클로로포름, 메틸벤젠 혹은 DMF용제(1:5-20, w/v)에 용해 혹은 현탁시키고, 질소 보호 하에 0-10℃에서 1-2당량의 카르복시기 클로라이드와 동일한 건용제(1:5-10,w/v)의 용역에 혼합물을 0-10℃에서 30분 간 고르게 저어주고, 실혼이나 30-60℃까지 가열하여 3-24시간 반응하여 TLC검측반응을 통해 반응 작용이 완료되면 된다 추가된(1:20)의 다이클로로메테인, 초산에틸 혹은 MTBE 와 0.1N의 염산 아이스 수용액을 골고루 혼합사여 유기상으로 분리한 후, 수상은 동일한 유기용제로 2회 씻어 낸 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킨 유기상을 얻게 되며, 이를 통해 여과 및 농축을 하게 된다. 고체산물은 재결정을 통해 얻게 되며, 액체 혹은 끈적한 오일형태이 산물은 실리카겔 컬럼법 혹은 추출을 통해 분리 혹은 추출시키며;
    혹은
    여러 개의 관능기 원료을 통해 n 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기능항산화안정제 고분자 산물의 평균 분자량을 1000에서 5000 돌턴 사이로 조정하고,
    1당량의 디아민, 리그닌 아민을 건조한 다이클로로메테인, 초산에틸, THF, 아세톤, 메틸 시아나이드, 에탄올, 메틸알코올,클로로포름,메틸벤젠 혹은 DMF(1:5-15,w/v) 중에 넣고, 다시 골고르 저은 후 질소의 보호 하에 폴리요오드화, 폴리브롬화 혹은 폴리염소화된 유기물 원료를(브롬과 염소화합물은 10-50%의 NaI 혹은 KI 및 서로 대응되는 Bu4NBr을 추가) 추가한 후, 실온에서 30분-1시간을 저어준 후, 침전물이 더 증가되지 않을 때까지 40-100℃로 가열하여 6-72 시간 반응 시키고, 반응온도와 시간에 따라 폴리머 산물 평균 분자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고체 분말 제품을 여과하여 다시 다이클로로메테인용제로 3회 씻어 내어 고체 산물을을 획득하거나 혹은 추출 방식으로 순화된 끈적이는 오일형태의 산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5. 제4항에 있어서,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의 제조 방법과 관련된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Figure pct00028

  6.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황산화 안정제는 황산화제에 응용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황산화 안정제.
  7. 제6항에 있어서,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는 플라스틱류, 고무, 석유품, 도료, 섬유 제품 혹은 페인트에 응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황산화 안정제.

KR1020177016410A 2014-12-15 2015-12-09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KR20170084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77531.1 2014-12-15
CN201410777531.1A CN104530476B (zh) 2014-12-15 2014-12-15 一种多功能协同高分子抗氧化稳定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PCT/CN2015/096773 WO2016095735A1 (zh) 2014-12-15 2015-12-09 一种多功能协同高分子抗氧化稳定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283A true KR20170084283A (ko) 2017-07-19

Family

ID=5284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410A KR20170084283A (ko) 2014-12-15 2015-12-09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1395B2 (ko)
EP (1) EP3235862A4 (ko)
JP (1) JP6594982B2 (ko)
KR (1) KR20170084283A (ko)
CN (1) CN104530476B (ko)
WO (1) WO2016095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0476B (zh) * 2014-12-15 2016-03-23 绍兴瑞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协同高分子抗氧化稳定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857723A (zh) * 2016-01-26 2018-03-30 绍兴瑞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羧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624140A (zh) * 2016-03-29 2016-06-01 常州大学 一种提高过氧化氢酶存储稳定性的方法
CN106674591B (zh) * 2016-12-07 2019-02-01 绍兴瑞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硫醚长效抗高温抗氧化稳定剂及其应用
CN114933742A (zh) * 2020-11-11 2022-08-23 绍兴瑞康生物科技有限公司 空间位阻可调型弱碱光稳定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249649B (zh) * 2021-11-30 2024-05-24 天集化工助剂(沧州)有限公司 一种受阻酚类抗氧剂的制备方法
CN114230880B (zh) * 2022-01-11 2023-04-25 潍坊潍星联合橡塑有限公司 胶管外胶层用混炼胶及其制备方法
CN116554426B (zh) * 2023-03-21 2024-04-09 中国农业科学院农业环境与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紫外吸收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818A (en) * 1960-10-03 1963-07-31 Shell Int Research Novel antioxidant 3,5-dialkyl-4-hydroxybenzyl ethers and their preparation
US3346648A (en) * 1961-09-01 1967-10-10 Ethyl Corp Benzyl ethers
US3282939A (en) * 1963-04-29 1966-11-01 Geigy Chem Corp Stabilization of organic material with stabilizers containing a substituted phenol group
GB1063079A (en) * 1963-04-29 1967-03-30 Geigy Ag J R Hydroxyphenyl alkanoamides and their use in stabilizing organic materials
DE2656769A1 (de) * 1975-12-29 1977-07-14 Ciba Geigy Ag Neue phenol-stabilisatoren
DE3066156D1 (en) * 1979-06-21 1984-02-23 Ciba Geigy Ag Polyalkylpiperidyl ureas, their application as stabilizers and polymers thus stabilized
US4526972A (en) * 1984-06-27 1985-07-02 Texaco Inc. Ultraviolet light stabilizing sterically hindered polyoxyalkylene amines
IT1237126B (it) * 1989-11-07 1993-05-18 Ciba Geigy Spa Stabilizzanti polimerici contenenti gruppi amminici impediti e gruppi idrossilamminici
FR2818985B1 (fr) * 2000-12-29 2004-02-20 Nylstar Sa Procede de fabrication de compositions stabilisees a base de polyamide
MXPA05009108A (es) * 2003-02-26 2005-10-20 Ciba Sc Holding Ag Alcoxiaminas sustituidas con hidroxi estericamente impedidas compatibles con agua.
JP4318611B2 (ja) * 2004-08-09 2009-08-26 株式会社Adeka 安定化ポリマーの製造方法
MX2013003960A (es) * 2010-10-20 2013-05-20 Basf Se Estabilizadores de luz de amina estericamente impedida con funcionalizacion mixta.
CA2848788A1 (en) * 2011-09-23 2013-03-28 Borealis Ag Stabilizing of organic material with amino-triazine based mannich-compounds
CN104530475B (zh) * 2014-12-15 2017-05-10 绍兴瑞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协同抗氧化稳定剂的制备方法
CN104530476B (zh) * 2014-12-15 2016-03-23 绍兴瑞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协同高分子抗氧化稳定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34821A1 (en) 2017-11-23
US10501395B2 (en) 2019-12-10
JP6594982B2 (ja) 2019-10-23
JP2018507270A (ja) 2018-03-15
EP3235862A1 (en) 2017-10-25
WO2016095735A1 (zh) 2016-06-23
EP3235862A4 (en) 2018-08-01
CN104530476B (zh) 2016-03-23
CN104530476A (zh)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4283A (ko) 다기능 상조적 고분자 항산화 안정제 및 그 제조 방법과 응용
CN104903367B (zh) (甲基)丙烯酸五溴苄基酯的聚合方法、获得的聚合物及其用途
EP2530076B1 (en) Fused heterocyclic compound and composition
Wu et al. Bis-uracil based high efficient heat stabilizers used in super transparent soft poly (vinyl chloride)
KR101272840B1 (ko) 광경화성 디안히드로헥산헥솔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TWI496818B (zh) 減碘聚芳硫醚的製備方法
CN104530475B (zh) 一种多功能协同抗氧化稳定剂的制备方法
CN111269459B (zh) 一种环氧腰果酚醚酯增塑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566512B (zh) 一种长短链甜菜碱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CN105693545A (zh) 一种羧酰胺或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69422B1 (ko) 폴리메르캅탄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 경화제,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RU2014133035A (ru) Политиоэфиры, влагозатвердева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Hanabusa et al. Easy preparation and prominent gelation of new gelator based on L-lysine
GB2447179A (en) Functionalised dopants and conducting polyaniline materials, blends and process therefor
CN108641019B (zh) 一种松香基硫醇化的聚氯乙烯梳状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Mariano et al. Synthesis,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and vulcanization activity of a new compound containing the anion bis (4-methylphenylsulfonyldithiocarbimato) zincate (II)
CN106674591A (zh) 一种含硫醚长效抗高温抗氧化稳定剂及其应用
JP2002128889A (ja) メルカプト脂肪酸と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化合物との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801845A (zh) 一种二茂铁-三嗪环双基聚酰胺协效成炭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2442083A (zh) 一种带有酸酐的含磷阻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080338A (ko) 양말단에 힌더드 아민을 갖는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944949B1 (ko) 고무 조성물용 분산제 및 이를 포함한 고무 조성물
CN112480294A (zh) 一种高分子阻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Sharma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5-and 6-coordinated monoorganotin (IV) complexes of 2-aminocyclopentene-1-carbodithioic acid and its N-/S-alkyl derivative having NS and SS donor system
CN112442077A (zh) 一种带有反应基团的含磷阻燃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