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3001A - 접이식 문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접이식 문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3001A
KR20170083001A KR1020170082425A KR20170082425A KR20170083001A KR 20170083001 A KR20170083001 A KR 20170083001A KR 1020170082425 A KR1020170082425 A KR 1020170082425A KR 20170082425 A KR20170082425 A KR 20170082425A KR 20170083001 A KR20170083001 A KR 2017008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body
interlocking
folding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352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07126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54763B1/ko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17008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3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6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3); 상기 접속틀체(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결공(27,28)을 형성하는 보스블럭(5); 상기 제1 및 제 2 체결공(27,28)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25,26)에 의해 상기 보스블럭(5) 위에 상호 맞물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6,7); 및 상기 제1 문짝(20)은 상기 제1 연동기어(6)와, 상기 제2 문짝(30)은 상기 제2 연동기어(7)와 각각 동기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이웃한 두 문짝 사이의 틈새를 접속틀체에 의해 문짝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상시로 메워 마감함으로써 접이식 문의 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문짝의 연결하는 데 관여하는 부품을 접속틀체 내에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이식 문의 외관 또한 일층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문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A Folding Type Door}
본 발명은 접이식 문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게 연결된 문짝과 문짝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문에 있어서, 접이식 문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상시로 접이식 문의 문짝과 문짝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접이식 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문이란 복수의 문짝을 힌지 등을 이용해 접을 수 있도록 나란히 연결한 문을 이르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등록특허 제10-1219095호)를 들 수 있다.
이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출입구를 이루는 문틀(103)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문틀(103)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문짝(105)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문짝(105)들 끼리는 연결힌지(107)에 의해서 접을 수 있게 연결되며, 최외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문짝(105)은 도시된 것처럼 고정힌지(109)에 의해 문틀(103) 측방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문짝(105)은 문짝틀(111)에 유리를 끼운 형태로 제작되며, 유리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갤러리 창(113)이 설치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힌지(107)가 문짝틀(111)의 측단 모서리면에 부착되므로, 문짝(105)을 접었을 때는 문짝(105) 사이에 큰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나, 문짝(105)을 펼쳤을 때는 연결힌지(107)의 두께로 인해 문짝(105)들 사이에 큰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결힌지(107)가 문짝틀(111) 외곽의 테두리면에 부착되는 경우, 문짝(105)을 펼쳤을 때는 문짝(105) 들 사이에 틈새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문짝(105)을 조금만 접어도 문짝(105) 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두 경우 모두 도어(101)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힌지(107)가 폴딩도어(101) 전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있었다.
KR 10-121909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이식 문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문짝과 문짝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상시로 메워 마감하여 접이식 문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편, 접속틀체를 제외한 모든 부속품이 문짝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접이식 문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측단 모서리면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 상기 접속틀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되, 상기 접속틀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결공을 형성하는 보스블럭; 상기 제1 및 제 2 체결공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에 의해 상기 보스블럭 위에 상호 맞물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 및 상기 연동기어 위에 각각의 자유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측단 모서리면과 인접한 상기 문짝의 상하단 모서리의 말단 부분에 각각의 고정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문짝은 상기 제1 연동기어와, 상기 제2 문짝은 상기 제2 연동기어와 각각 동기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1 및 제2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접이식 문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연동기어는 동일한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상호 연동할 때 반대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하며,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문틀과 항상 나란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문 연결구조에 따르면, 이웃한 두 문짝 사이의 틈새를 접속틀체에 의해 문짝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상시로 메워 마감하므로, 별도의 방음 또는 방풍 부재로 틈새를 메우지 않고도, 특히 문 폐쇄 시 출입구의 안팎을 차단하는 접이식 문의 기능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틀체를 제외하고 문짝과 문짝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데 관여하는 모든 부품이 접속틀체 내에 또는 문틀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접이식 문의 외관을 일층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문 연결구조가 적용된 접이식 문을 상단 틀이 제거된 폐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이식 문을 좌측단 틀이 분리된 부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1 문짝과 접이식 문 연결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문 연결구조 중 보스블럭 외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보스블럭도 포함하여 분해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접이식 문을 완전히 개방한 상태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접이식 문을 문틀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문 연결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문 연결구조는 접이식 문(10)의 문짝 즉,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결하는 구조체로서,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접속틀체(3), 보스블럭(5), 제1 및 제2 연동기어(6,7), 및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접속틀체(3)는 연결구조(1)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21,31)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구조(1)의 외부 몸체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접이식으로 되어 있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 사이에 당연히 발생할 수밖에 없는 틈새를 메워,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결하는 역할도 겸한다.
이를 위해, 접속틀체(3)는 도시된 것처럼, 속이 빈 중공의 통체로서, 다시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과 압박홈(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은 제1 문짝(20) 및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21,31)과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의 측단 모서리면(21)과,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31)과 각각 맞닿음되는 바, 각각이 원호 모양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때, 각각의 미끄럼 지지면(11,12)과 맞닿음되는 각각의 측단 모서리면(21,31)도 마찬가지로 원호 모양을 그리면서 오목하게 만곡되므로,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에 대해,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에 대해 각각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촉한다.
한편, 접속틀체(3)는 위와 같이 외부적으로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절첩 가능하게 매개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보스블럭(5)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을 잇는 경계 부분에 한 쌍의 압박홈(13)이 형성된다. 이 압박홈(13)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을 연결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내부 공간(S)에 삽입된 보스블럭(5)을 압박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며, 접속틀체(3)에 대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접속틀체(3)는 전체적으로 보아 8자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상기 보스블럭(5)은 제1 및 제2 연동기어(6,7)나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접속틀체(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기 위한 일종의 시트 부재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틀체(3) 내부 공간(S)으로 삽입되되도록, 환형 단면을 갖는 몸통(15)과, 이 몸통(15)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리브(17)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통(15)의 전면과 후면에는 평탄면(19)이 형성되어, 보스블럭(5)이 내부 공간(S)에 삽입될 때, 압박홈(13)과 맞닿음됨으로써 보스블럭(5)이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보스블럭(5)은 접속틀체(3)의 축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바, 제1 및 제2 연동기어(6,7)의 제1 및 제2 힌지핀(25,26)을 결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체결공(27,28)이 양측변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보스블럭(5)은 접속틀체(3) 내에서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평탄면(19) 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5)의 양측면에 한 쌍의 지지리브(17)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지지리브(17)는 도 4 및 도 5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미끄럼 지지면(11,12)의 내측에 맞닿음되는데, 이 미끄럼 지지면(11,12)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말단에 T자 모양의 밀판(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동기어(6,7)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동시키는 전동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맞물림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통해 제1 및 제2 문짝(20,30)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어느 한 쪽 문짝(20,30)의 회전에 따라 다른 쪽 문짝(20,30)이 반대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연동기어(6,7)는 보스블럭(5)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바, 이를 위해 제1 및 제2 힌지핀(25,2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힌지핀(25,26)은 보스블럭(5)의 제1 및 제 2 체결공(27,28)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6,7) 각각은 상호 맞물림된 상태에서 보스블럭(5)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6,7)는 문짝(20,3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치수 및 형상을 갖는 동일한 규격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때 방향은 반대방향이지만 동기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동기어(6,7)의 중심을 잇는 직선 즉, 접속틀체(3)의 횡축선이 제1 및 제2 연동기어(6,7)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상단 문틀(40)의 종축선과 항상 나란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연동기어(6,7)의 중심을 잇는 직선 즉, 접속틀체(3)의 횡축선은 문(10)이 도 2와 같이 폐쇄된 상태이든, 도 7과 같이 개방된 상태이든, 또는 도 8과 같이 부분 개방된 상태이든 상관없이 항상 상단 문틀(40)의 종축선과 나란한 방향을 유지한다.
특히, 보스블럭(5)은 접속틀체(3)의 내부 공간(S)에 삽입됨에 있어, 그 위쪽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6,7)가 접속틀체(3)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남긴 상태로 내부 공간(S)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6,7)는 고정판(8,9)에 의해 상방이 마감 처리되므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어 연결구조(1)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8,9)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동기어(6,7)와 제1 및 제2 문짝(20,30)을 연결하는 연결, 고정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체로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문짝(20,30)에, 타단은 제1 또는 제2 연동기어(6,7)에 체결됨으로써, 제1 연동기어(6)는 제1 문짝(20)에, 제2 연동기어(7)는 제2 문짝(20,30)과 연동되도록 한다. 즉, 각각의 고정판(8,9)은 일단이 고정단부로서 문짝(20,30)의 상하단 모서리(22,32)의 말단 부분에 체결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타단이 자유단부로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6,7) 위에 체결 나사 등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고정판(8,9)은 각각의 연동기어(6,7)와는 일체로 되어 동기 회전하지만, 각각의 힌지핀(25,26)에 대해서는 상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문 연결구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접이식 문 연결구조(1)가 적용된 접이식 문(10)은 폐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 내에서 제1 및 제2 문짝(20,30)이 일자로 곧게 펴져 출입구를 막는다. 이때, 연결구조(1)도 도 2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문짝(20,30)을 따라 일자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따라서 당연히 접속틀체(3)에 의해 틈새를 메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접이식 문(10)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또는 바깥쪽 어느 한 쪽으로 회동하여 출입구를 개방하기 시작하며,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접히면서 접이식 문(10)을 개방한다. 이때, 연결구조(1)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등변 삼각형의 등변과 같이 절곡되었다가 도 7과 같이 완전히 접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문짝(30)의 회동으로 인해 제2 연동기어(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연동기어(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연동기어(6)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문짝(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틀체(3)는 제1 및 제2 문짝(20,30)들이 회동하는 동안 항상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과 나란한 배치를 유지하므로, 제1 및 제2 문짝(20,3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메우면서 문(10)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한다.
반대로, 도 7의 문(10)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밀어 펼치게 되면, 문(10)은 도 3의 상태를 거쳐 도 2의 상태로 폐쇄되는데, 이때 제2 문짝(30)은 제2 연동기어(7)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2 연동기어(7)에 의해 제1 연동기어(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 연동기어(6)는 제1 문짝(20)과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문짝(20)을 펼침으로써 문(10)을 폐쇄한다.
1 : 연결구조 3 : 접속틀체
5 : 보스블럭 6, 7 : 제1 및 제2 연동기어
8, 9 : 제1 및 제2 고정판 10 : 접이식 문
11, 12 :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 13 : 압박홈
15 : 몸통 17 : 지지리브
19 : 평탄면 20, 30 : 제1 및 제2 문짝
21, 31 : 측단 모서리면 23 : 밀판
25, 26 : 제1 및 제2 힌지핀 27, 28 : 제1 및 제2 체결공
S : 내부 공간

Claims (2)

  1.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21,31)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측단 모서리면(21,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20,30)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3);
    상기 접속틀체(3) 내부 공간(S)으로 삽입되되, 상기 접속틀체(3)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체결공(27,28)을 형성하는 보스블럭(5);
    상기 제1 및 제 2 체결공(27,28)에 각각 체결되는 제1 및 제2 힌지핀(25,26)에 의해 상기 보스블럭(5) 위에 상호 맞물림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6,7); 및
    상기 연동기어(6,7) 위에 각각의 자유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측단 모서리면(21,31)과 인접한 상기 문짝(20,30)의 상하단 모서리(22,32)의 말단 부분에 각각의 고정단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문짝(20)은 상기 제1 연동기어(6)와, 상기 제2 문짝(30)은 상기 제2 연동기어(7)와 각각 동기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문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동기어(6,7)는 동일한 치수 및 형상으로 되어, 상호 연동할 때 반대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하며,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문틀(40)과 항상 나란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1020170082425A 2015-05-21 2017-06-29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102257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425A KR102257352B1 (ko) 2015-05-21 2017-06-29 접이식 문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69A KR101754763B1 (ko) 2015-05-21 2015-05-21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1020170082425A KR102257352B1 (ko) 2015-05-21 2017-06-29 접이식 문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269A Division KR101754763B1 (ko) 2015-05-21 2015-05-21 접이식 문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35A Division KR20200134195A (ko) 2020-11-20 2020-11-20 접이식 문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001A true KR20170083001A (ko) 2017-07-17
KR102257352B1 KR102257352B1 (ko) 2021-05-27

Family

ID=5944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425A KR102257352B1 (ko) 2015-05-21 2017-06-29 접이식 문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5846A (zh) * 2018-12-12 2021-07-23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在至少两个维度上的门板可调性的电梯门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475B2 (ko) * 1975-01-11 1978-05-10
JP4412677B2 (ja) * 2007-03-09 2010-02-10 株式会社スギモト創建 回転折れ戸
JP2011184893A (ja) * 2010-03-05 2011-09-22 Toshiro Takamatsu 蝶番装置
JP4986717B2 (ja) * 2007-06-06 2012-07-2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JP2013122134A (ja) * 2011-12-09 2013-06-20 Itoki Corp 折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3475B2 (ja) 2007-09-28 2013-10-09 株式会社ティーアンドティー・タカマツタテグ 蝶番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475B2 (ko) * 1975-01-11 1978-05-10
JP4412677B2 (ja) * 2007-03-09 2010-02-10 株式会社スギモト創建 回転折れ戸
JP4986717B2 (ja) * 2007-06-06 2012-07-25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
JP2011184893A (ja) * 2010-03-05 2011-09-22 Toshiro Takamatsu 蝶番装置
JP2013122134A (ja) * 2011-12-09 2013-06-20 Itoki Corp 折戸装置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5846A (zh) * 2018-12-12 2021-07-23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在至少两个维度上的门板可调性的电梯门装置
CN113165846B (zh) * 2018-12-12 2023-02-21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在至少两个维度上的门板可调性的电梯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352B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9843B (zh) 軟性顯示屏幕之折收轉軸結構
TWI730758B (zh) 無縫鉸鏈及具有其的電子裝置
US11416039B2 (en) Complex moving/rotating pivot shaft device
KR101630298B1 (ko) 접이문용 힌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접이문
KR101903775B1 (ko)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ITPD20120117A1 (it) Chiusura a battente per porte, finestre o simili
CA2996999C (en) Hinge and hinge bracket
KR101206621B1 (ko) 노출 차단형 경첩
KR101754763B1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170083001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170017848A (ko)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JP5401277B2 (ja) 折戸
JP6566267B2 (ja) 内蔵型多軸丁番
ITUD20120171A1 (it) Apparato di incernieramento per incernierare una struttura mobile rispetto ad una struttura fissa mediante almeno una cerniera a scomparsa
KR20200134195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CN211009548U (zh) 软性显示屏幕的折收转轴结构
KR100961232B1 (ko) 힌지 조립체
KR20230007159A (ko) 접이식 문의 연결구조
EP3981940A1 (en) Door kit comprising a frame and interchangeable jambs
JP7177472B2 (ja) 折戸用の枠体、枠構造体及び折戸
KR20030060205A (ko) 외부 노출 차단형 경첩
JP3654121B2 (ja) 折り戸のヒンジ部の構造
JP2005113522A (ja) 筐体の扉構造
JP5401278B2 (ja) 折戸
JP2006207351A (ja) 折り戸のヒンジ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