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7848A -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7848A
KR20170017848A KR1020160100870A KR20160100870A KR20170017848A KR 20170017848 A KR20170017848 A KR 20170017848A KR 1020160100870 A KR1020160100870 A KR 1020160100870A KR 20160100870 A KR20160100870 A KR 20160100870A KR 20170017848 A KR20170017848 A KR 2017001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nterlocking
coupled
gear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ublication of KR2017001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7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5Sectional doors
    • E06B3/486Sectional doors with hinges being at least partially integral part of the section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조립체(1)는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21,31) 사이에서 각각의 상기 측단 모서리면(21,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20,30)과 연접되는 접속틀체(2); 및 일단은 상기 접속틀체(2)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문짝(20,30)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문짝(20,30)의 상기 접속틀체(2)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22,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 시 상기 문짝(20,30)을 연동시키는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은 상기 문짝(20,30)의 어느 한 쪽이 개폐될 때 기어부(4`,5`)가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상기 문짝(20,30)의 다른 한 쪽도 동시에 동일한 회전 각도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 문짝이 접속틀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문틀에 문짝을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Detachable Connecting Hinge Assembly For A Folding Type Door And Assembling Method For A Folding Type Door Having The Detachable Connecting Hinge Assembly}
본 발명은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게 연결된 문짝과 문짝으로 이루어진 접이식문에 있어서, 문짝을 연결하는 접속틀체에 대해 각각의 문짝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문짝의 조립 또는 해체 등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문이란 복수의 문짝을 힌지 등을 이용해 접을 수 있도록 나란히 연결한 문을 이르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등록특허 제10-1219095호)를 들 수 있다.
이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출입구를 이루는 문틀(103)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문틀(103)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문짝(105)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문짝(105)들 끼리는 연결힌지(107)에 의해서 접을 수 있게 연결되며, 최외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문짝(105)은 도시된 것처럼 고정힌지(109)에 의해 문틀(103) 측방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문짝(105)은 문짝틀(111)에 유리를 끼운 형태로 제작되며, 유리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갤러리 창(113)이 설치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힌지(107)에 의해 각각의 문짝(105)들이 접을 수 있게 연결되는 바, 폴딩도어(101)를 설치하기 위해 상호 연결된 문짝(105) 전체를 문틀(103)에 조립할 때, 중첩된 문짝(105)의 수만큼 전체 중량이 배증되고, 각각의 문짝(105)이 서로 간에 상대 회전을 할 수 있어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등 조립 작업을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1909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이식문의 문짝과 문짝을 상호 착탈 가능한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문틀에 문짝을 조립할 때 또는 조립된 문짝을 문틀에서 해체할 때 작업 편리성 및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문짝의 측단 모서리와 제2 문짝의 측단 모서리면 사이에서 상기 측단 모서리면와 측단 모서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과 연접되는 접속틀체; 일단은 상기 접속틀체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문짝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접속틀체와 인접한 상기 문짝의 일측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 시 상기 제1 문짝을 상기 제2 문짝에 연동시키는 제1 연동수단; 및 일단은 상기 접속틀체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문짝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접속틀체와 인접한 상기 문짝의 일측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 시 상기 제2 문짝을 제1 문짝에 연동시키는 제2 연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연동수단은 상기 접속틀체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에 기어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연동수단은 상기 접속틀체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기어부가 배치되어, 상기 문짝의 어느 한 쪽이 개폐될 때 상기 기어부가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상기 문짝의 다른 한 쪽도 동시에 동일한 회전 각도로 개폐되도록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연동수단은, 상기 기어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연동수단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연동기어; 및 헤드부에 상기 제1 연동기어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가 상기 모서리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끼움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동수단은, 상기 기어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연동수단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연동기어; 및 헤드부에 상기 제2 연동기어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가 상기 모서리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끼움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연동수단은, 상기 기어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연동수단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연동기어; 헤드부에 상기 제1 연동기어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가 상기 모서리를 덮도록 연장되는 제1 끼움쇠; 및 상기 일측 모서리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끼움쇠와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고정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동수단은, 상기 기어부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연동수단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연동기어; 헤드부에 상기 제2 연동기어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가 상기 모서리를 덮도록 연장되는 제2 끼움쇠; 및 상기 일측 모서리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끼움쇠와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끼움쇠는 상기 몸체부 자유단에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판은 상기 끼움홈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제1 끼움쇠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끼움홈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제2 끼움쇠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및 제2 문짝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 상에 제1 연동수단의 제1 연동기어 및 제2 연동수단의 제2 연동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뒤, 상기 제1 연동기어 상에 제1 끼움쇠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끼움쇠 일단이 상기 접속틀체의 제1 미끄럼 지지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틀체와 제1 연동수단을 조립하고, 상기 제2 연동기어 상에 제2 끼움쇠를 결합하여 상기 제2 끼움쇠 일단이 상기 접속틀체의 제2 미끄럼 지지면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틀체와 제2 연동수단을 조립하는 접속틀체 준비단계; 상기 제1 문짝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의 일측단 모서리에 제1 고정판을 결합하는 제1 고정판 조립단계; 상기 제1 끼움쇠를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속틀체 조립단계; 문틀의 일측단 모서리에 제1 문짝의 타측단 모서리를 힌지 결합하는 제1 문짝 조립단계; 상기 제2 문짝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의 일측단 모서리에 제2 고정판을 결합하는 제2 고정판 조립단계; 상기 문틀의 상하단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2 문짝의 안내롤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문짝 조립단계; 및 상기 제2 끼움쇠를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문짝 연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이웃한 두 문짝 사이의 틈새를 접속틀체에 의해 문짝의 개폐 상태와 무관하게 상시로 메워 마감하므로, 별도의 방음 또는 방풍 부재로 틈새를 메우지 않고도, 접이식문의 차단 기능 및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속틀체를 통해 연결되는 이웃한 두 문짝이 끼움쇠와 고정판을 통해 접속틀체에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문틀에 문짝을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 끼움쇠와 받이대의 결합 또는 분해를 통해 이웃한 문짝을 순차적으로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문짝의 조립 또는 해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가 적용된 접이식문을 부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이식문을 완전 폐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문짝이 접속틀체에서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연결힌지 조립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연결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문을 완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접이식문을 문틀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중 접속틀체 조립단계, 제1 문짝 조립단계, 제2 고정판 조립단계, 및 제2 문짝 조립단계를 차례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위 조립방법 중 문짝 연결단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문(D)의 문짝 즉,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결하는 구조체로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접속틀체(2)와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접속틀체(2)는 연결힌지 조립체(1)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서로 마주보는 측단 모서리면(21,31) 사이에 개재되어 연결힌지 조립체(1)의 외부 몸체의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접이식으로 되어 있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메우면서,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결하는 역할도 겸한다.
이를 위해, 접속틀체(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속이 빈 중공의 통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시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과 압박홈(1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의 측단 모서리면(21)과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이며,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31)과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으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의 측단 모서리면(21)과,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31)과 각각 맞닿음되는 바, 각각이 원호 모양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때, 각각의 미끄럼 지지면(11,12)과 맞닿음되는 각각의 측단 모서리면(21,31)도 마찬가지로 원호 모양을 그리면서 정합되는 형태로 오목하게 만곡되므로, 제1 미끄럼 지지면(11)은 제1 문짝(20)에 대해, 제2 미끄럼 지지면(12)은 제2 문짝(30)에 대해 각각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접촉한다.
한편, 접속틀체(2)는 위와 같이 외부적으로는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절첩 가능하게 매개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보스블럭(3)을 수용하는데, 이를 위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을 잇는 경계 부분에 한 쌍의 압박홈(13)이 형성된다. 이 압박홈(13)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을 연결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데, 내부 공간(S)의 상하로 삽입되는 상하측 한 쌍의 보스블럭(3) 각각을 압박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며, 접속틀체(2)에 대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접속틀체(2)는 전체적으로 보아 8자와 유사한 외형을 갖는다.
한편, 접속틀체(2)는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의 일단을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하단 적어도 일측에서 내부 공간(S)에 축방향으로 보스블럭(3)이 삽입되는 바, 이 보스블럭(3)은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나 제1 및 제2 끼움쇠(6,7)를 접속틀체(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기 위한 일종의 시트 부재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틀체(2) 내부 공간(S)으로 삽입되도록, 예컨대 6각으로 각진 환형 단면을 갖는 몸통(15)과, 이 몸통(15)의 양측면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리브(17)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통(15)의 전면과 후면에는 평탄면(19)이 형성되어, 보스블럭(3)이 내부 공간(S)에 삽입될 때 압박홈(13)과 맞닿음됨으로써 내부 공간(S)에 억지끼움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보스블럭(3)은 접속틀체(2)의 축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바, 제1 연동수단(10-1)의 제1 힌지핀(25)을 결합하기 위한 제1 체결공(27)과, 제2 연동수단(10-2)의 제2 힌지핀(26)을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공(28)이 양측변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보스블럭(3)은 접속틀체(2) 내에서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평탄면(19) 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15)의 양측면에 한 쌍의 지지리브(17)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지지리브(17)는 도 5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미끄럼 지지면(11,12)의 내측에 맞닿음되는데, 이 미끄럼 지지면(11,12)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말단에 T자 모양의 밀판(23)이 형성된다.
특히, 보스블럭(3)은 접속틀체(2)의 내부 공간(S)에 삽입됨에 있어, 그 위 또는 아래 쪽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4,5)가 접속틀체(2)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을 정도의 깊이를 남긴 상태로 내부 공간(S)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는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제1 및 제2 고정판(8,9)에 의해 마감 처리되므로, 외부 노출이 방지되어 연결힌지 조립체(1)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은 제1 문짝(20)과 제2 문짝(30)을 연동시키는 연결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접속틀체(2)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 즉, 상하단 어느 한 쪽에 또는 양쪽 모두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문짝(20,30)의 상하단 어느 한 쪽에 또는 양쪽 모두에서 문짝(20,30)의 접속틀체(2)와 인접한 일측 모서리(22,32)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은 접속틀체(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에 기어부(4`,5`)가 형성되는 바, 이 기어부(4`,5`)는 상호 맞물림되어 문짝(20,30) 중 어느 한 쪽이 개폐될 때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문짝(20,30)의 다른 한 쪽도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각도만큼 동기하여 개폐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은 하나의 실시 형태로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와 제1 및 제2 끼움쇠(6,7)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는 위 기어부(4`,5`)가 형성된 부분으로,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의 일단에 즉, 접속틀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기어부(4`,5`)를 통해 상호 맞물림된다. 또한, 제1 및 제 2 연동기어(4,5)는 제1 및 제2 힌지핀(25,26)을 통해 보스블럭(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따라서 상호 맞물림된 상태에서 보스블럭(3)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는 문짝(20,30)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치수 및 형상을 갖는 동일한 규격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때 방향은 반대방향이지만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의 중심을 잇는 직선 즉, 접속틀체(2)의 횡축선이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문틀(40) 상단의 종축선과 항상 나란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의 중심을 잇는 직선은 문(D)이 도 3과 같이 폐쇄된 상태이든, 도 7과 같이 개방된 상태이든, 또는 도 2와 같이 부분 개방된 상태이든 상관없이 항상 상단 문틀(40)의 종축선과 나란한 방향을 유지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를 제1 및 제2 문짝(20,30)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에 일체로 결합되는 헤드부(33)와,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접속틀체(2)와 인접한 모서리(22,32)를 덮도록 연장된 몸체부(34)로 이루어지는 바, 헤드부(33)는 접속틀체(2) 위 또는 아래에 놓이는 원판 형태로 되어 있으며, 몸체부(34)는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통해 제1 및 제2 문짝(20,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보스블럭(3)에 내측단이 각각 끼워진 제1 및 제2 힌지핀(25,26) 외측단이 헤드부(33) 중심에 각각 끼워지며, 제1 및 제2 힌지핀(25,26)의 외측단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나사가 헤드부(33)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에 각각 나사 체결됨으로써 각각의 연동기어(4,5) 위 또는 아래에 각각 결합된다.
한편,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와 제1 및 제2 끼움쇠(6,7) 외에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더 포함하여, 제1 및 제2 연동기어(4,5), 제1 및 제2 끼움쇠(6,7), 및 제1 및 제2 고정판(8,9)으로 이루어지는 바, 제1 및 제2 연동기어(4,5)와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위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및 제2 고정판(8,9)은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함께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과 제1 및 제2 문짝(20,30)을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연결, 고정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접속틀체(2) 쪽 모서리(22,32)의 말단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각각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제1 및 제2 고정판(8,9)은 각 문짝(20,30)의 측단 모서리면(21,31)과 인접한 문짝(20,30)의 모서리(22,32) 말단 부분에 예컨대, 사각판 형태로 각각 결합되는 바, 대응하는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각각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각각의 문짝(20,30)과 각각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각각의 연동기어(4,5)와는 일체로 되어 동기 회전하지만, 각각의 힌지핀(25,26)에 대해서는 상대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제1 및 제2 고정판(8,9)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제1 및 제2 문짝(20,30)을 조립 또는 해체할 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끼움쇠(6,7)가 제1 및 제2 고정판(8,9)에 각각 착탈된다. 이때, 각각의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제1 및 제2 고정판(8,9)에 대해 착탈 가능하면서도 상대 회전을 일으키지 않도록 평면 상으로 정합을 이룬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끼움쇠(6,7)의 몸체부(34)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고정판(8,9)은 제1 및 제2 끼움쇠(6,7)의 몸체부(34)를 정합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사각 횡단면을 형성하는 안내레일(37)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제1 및 제2 고정판(8,9)은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끼움쇠(6,7) 몸체부(34) 자유단에 각각 형성된 끼움홈(35)과, 제1 및 제2 끼움쇠(6,7) 몸체부(34) 자유단을 끼움홈(35)을 통해 제1 및 제2 고정판(8,9)의 받이면(39)에 착탈식으로 결합하는 체결나사(41)에 의해 제1 및 제2 끼움쇠(6,7)와 제1 및 제2 고정판(8,9)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체결나사(41)는 끼움홈(35)에 끼워진 상태로 받이면(39)에 나사 결합되어, 제1 및 제2 끼움쇠(6,7) 몸체부(34) 자유단을 제1 및 제2 고정판(8,9) 받이면(39)과의 사이에 파지한다.
다만,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 각각은 제1 및 제2 끼움쇠(6,7)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속틀체(2)와 인접한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일측 모서리(22,32)에 각각 복수의 체결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볼트는 제1 및 제2 문짝(20,30)의 일측 모서리(22,32)가 중공체이므로, 각 모서리(22,32)의 외벽 변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1)를 구비한 접이식문(D)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1)가 적용된 접이식문(D)은 폐쇄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 내에서 제1 및 제2 문짝(20,30)이 일자로 곧게 펴져 출입구를 막는다. 이때, 연결힌지 조립체(1)도 도 3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문짝(20,30)을 따라 일자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따라서 당연히 접속틀체(2)에 의해 틈새를 메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밀거나 당기게 되면, 접이식문(D)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또는 바깥쪽 어느 한 쪽으로 회동하여 출입구를 개방하기 시작하며,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접히면서 접이식문(D)을 개방한다. 이때, 연결힌지 조립체(1)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이등변 삼각형의 등변과 같이 절곡되었다가 도 7과 같이 완전히 접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제2 문짝(30)의 회동으로 인해 제2 연동기어(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 연동기어(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1 연동기어(4)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문짝(2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접속틀체(2)는 제1 및 제2 문짝(20,30)들이 회동하는 동안 항상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과 나란한 배치를 유지하므로, 제1 및 제2 문짝(20,30) 사이의 틈새를 안정적으로 메우면서 문(D)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한다.
반대로, 도 7의 문(D)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문짝(30)을 밀어 펼치게 되면, 문(D)은 도 2의 상태를 거쳐 도 3의 상태로 폐쇄되는데, 이때 제2 문짝(30)은 제2 연동기어(5)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2 연동기어(5)에 의해 제1 연동기어(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1 연동기어(4)는 제1 문짝(20)과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문짝(20)을 펼침으로써 문(D)을 폐쇄한다.
따라서, 접이식문(D)을 조립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접속틀체 준비단계, 제1 고정판 조립단계, 접속틀체 조립단계, 제1 문짝 조립단계, 제2 고정판 조립단계, 제2 문짝 조립단계, 및 문짝 연결단계를 거쳐 조립을 수행하는 바, 접속틀체 준비단계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틀체(2)의 상하단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의 내부 공간(S)에 보스블럭(3)을 끼우고, 보스블럭(3) 상에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의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를 제1 및 제2 힌지핀(25,2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때, 제1 및 제2 연동기어(4,5)는 기어부(4`,5`)를 통해 상호 맞물림된다. 그리고 나서, 제1 및 제2 연동기어(4,5) 상에 제1 및 제2 끼움쇠(6,7)의 헤드부(33)를 동축 상으로 결합하여 제1 및 제2 끼움쇠(6,7)의 몸체부(34)가 접속틀체(2)의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11,12) 밖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접속틀체(2)와 제1 및 제2 연동수단(10-1,10-2)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 다음, 제1 고정판 조립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문짝(20)의 상하단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의 일측단 즉, 도면 상 우측단 모서리(22)에 복수의 나사(미도시)로 제1 고정판(8)을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접속틀체 조립단계에서 작업자는 위 접속틀체 준비단계에서 조립 준비가 완료된 접속틀체(2)를 위 제1 고정판 조립단계에서 제1 고정판(8)이 조립된 제1 문짝(20)에 결합하는 바, 도 9 상단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틀체(2)에 조립된 제1 끼움쇠(6)를 체결나사(41)에 의해 제1 문짝(20)에 결합된 제1 고정판(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제1 끼움쇠(6)를 제1 고정판(8)의 안내레일(37)을 따라 끼워 제1 끼움쇠(6)의 몸체부(34)를 제1 고정판(8)의 받이면(39) 위에 포갠 후, 체결나사(41)를 제1 끼움쇠(6)의 끼움홈(35)에 끼워 제1 고정판(8)에 나사 결합한다.
그 다음, 제1 문짝 조립단계에서는 위 접속틀체 조립단계에서 접속틀체(2)가 우측단에 결합된 제1 문짝(20)을 도 8 및 도 9 상단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의 일측단 즉, 도면 상 좌측단 모서리에 결합하는 바, 제1 문짝(20)은 도면 상 좌측단 모서리(22`)가 힌지(H)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H)에 힌지핀을 꼽는 형태로 제작된다.
다음으로, 제2 고정판 조립단계에서는 위 제1 고정판 조립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문짝(30)의 상하단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의 일측단 즉, 도면 상 좌측단 모서리(32)에 복수의 나사(미도시)로 제2 고정판(9)을 결합한다.
그 다음, 제2 문짝 조립단계에서 작업자는 도 9의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위 제2 고정판 조립단계에서 제2 고정판(9)이 결합된 제2 문짝(30)을 문틀(40)의 상하단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에 결합하는 바, 제2 문짝(30)의 상하단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의 중앙에 장착된 안내롤(R)을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의 상하단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의 내주면에 가공된 안내홈(g)에 끼워 넣음으로써, 제2 문짝(30)을 문틀(4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안내롤(R)은 제2 문짝(3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2 문짝(30)이 문틀(40)을 따라 이동할 때 문틀(4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문짝 연결단계에서 제1 및 제2 문짝(20,30)은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틀체(2)를 사이에 두고 상호 연결된다. 즉, 제1 문짝(20)의 도면 상 우측단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틀체(2)의 제2 끼움쇠(7)와 제2 문짝(30)의 도면 상 좌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 고정판(9)이 체결나사(41)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제2 끼움쇠(7)를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2 고정판(9)에 끼운 뒤 체결나사(41)를 끼움홈(35)에 걸어 받이면(39)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2 문짝(30)을 접속틀체(2)를 통해 제1 문짝(20)에 대해 착탈 가능하면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문짝(20,30) 분해 시에는 위와 역순으로 제1 및 제2 문짝(20,30)과 접속틀체(2)를 해체하면 된다.
1 : 연결힌지 조립체 2 : 접속틀체
3 : 보스블럭 4, 5 : 제1 및 제2 연동기어
6, 7 :제1 및 제2 끼움쇠 8, 9 : 제1 및 제2 받이대
11, 12 : 제1 및 제2 미끄럼 지지면
13 : 압박홈 15 : 몸통
17 : 지지리브 20, 30 : 제1 및 제2 문짝
21, 31 : 측단 모서리면 23 : 밀판
25, 26 : 제1 및 제2 힌지핀 27, 28 : 제1 및 제2 체결공
35 : 끼움홈 37 : 안내레일
39 : 받이면 40 : 문틀
41 : 체결나사 D : 접이식문
S : 내부 공간

Claims (5)

  1. 서로 마주보는 제1 문짝(20)의 측단 모서리(21)와 제2 문짝(30)의 측단 모서리면(31) 사이에서 상기 측단 모서리면(21)와 측단 모서리(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어, 상기 문짝(20,30)과 연접되는 접속틀체(2);
    일단은 상기 접속틀체(2)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문짝(20)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접속틀체(2)와 인접한 상기 문짝(20)의 일측 모서리(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 시 상기 제1 문짝(20)을 상기 제2 문짝(30)에 연동시키는 제1 연동수단(10-1); 및
    일단은 상기 접속틀체(2)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문짝(30)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에서 상기 접속틀체(2)와 인접한 상기 문짝(30)의 일측 모서리(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 시 상기 제2 문짝(30)을 제1 문짝(20)에 연동시키는 제2 연동수단(1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연동수단(10-1)은 상기 접속틀체(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에 기어부(4`)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연동수단(10-2)은 상기 접속틀체(2)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단에 상기 기어부(5`)가 배치되어, 상기 문짝(20,30)의 어느 한 쪽이 개폐될 때 상기 기어부(4`,5`)가 맞물려 돌아감으로써 상기 문짝(20,30)의 다른 한 쪽도 동시에 동일한 회전 각도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수단(10-1)은,
    상기 기어부(4`,5`)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연동수단(10-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연동기어(4); 및
    헤드부(33)에 상기 제1 연동기어(4)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34)가 상기 모서리(22)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끼움쇠(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동수단(10-2)은,
    상기 기어부(4`,5`)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연동수단(10-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연동기어(5); 및
    헤드부(33)에 상기 제2 연동기어(5)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34)가 상기 모서리(32)를 덮도록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끼움쇠(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수단(10-1)은,
    상기 기어부(4`,5`)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1 연동수단(10-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1 연동기어(4);
    헤드부(33)에 상기 제1 연동기어(4)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34)가 상기 모서리(22)를 덮도록 연장되는 제1 끼움쇠(6); 및
    상기 일측 모서리(22)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끼움쇠(6)와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고정판(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연동수단(10-2)은,
    상기 기어부(4`,5`)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연동수단(10-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제2 연동기어(5);
    헤드부(33)에 상기 제2 연동기어(5)가 일체로 결합되고, 몸체부(34)가 상기 모서리(32)를 덮도록 연장되는 제2 끼움쇠(7); 및
    상기 일측 모서리(32)의 말단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끼움쇠(7)와 연동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고정판(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끼움쇠(6,7)는 상기 몸체부(34) 자유단에 형성된 끼움홈(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판(8)은 상기 끼움홈(35)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나사(41)에 의해 상기 제1 끼움쇠(6)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판(9)은 상기 끼움홈(35)을 통해 결합되는 체결나사(41)에 의해 상기 제2 끼움쇠(7)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5. 제1 및 제2 문짝(20,30)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틀체(2) 상에 제1 연동수단(10-1)의 제1 연동기어(4) 및 제2 연동수단(10-2)의 제2 연동기어(5)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뒤, 상기 제1 연동기어(4) 상에 제1 끼움쇠(6)를 결합하여 상기 제1 끼움쇠(6) 일단이 상기 접속틀체(2)의 제1 미끄럼 지지면(11)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틀체(2)와 제1 연동수단(10-1)을 조립하고, 상기 제2 연동기어(5) 상에 제2 끼움쇠(7)를 결합하여 상기 제2 끼움쇠(7) 일단이 상기 접속틀체(2)의 제2 미끄럼 지지면(12) 밖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틀체(2)와 제2 연동수단(10-2)을 조립하는 접속틀체 준비단계;
    상기 제1 문짝(20)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의 일측단 모서리(22)에 제1 고정판(8)을 결합하는 제1 고정판 조립단계;
    상기 제1 끼움쇠(6)를 체결나사(41)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판(8)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속틀체 조립단계;
    문틀(40)의 일측단 모서리에 제1 문짝(20)의 타측단 모서리(22`)를 힌지 결합하는 제1 문짝 조립단계;
    상기 제2 문짝(30)의 상하단 적어도 한 쪽의 일측단 모서리(32)에 제2 고정판(9)을 결합하는 제2 고정판 조립단계;
    상기 문틀(40)의 상하단 적어도 일측에 상기 제2 문짝(30)의 안내롤(R)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문짝 조립단계; 및
    상기 제2 끼움쇠(7)를 체결나사(41)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판(9)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문짝 연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KR1020160100870A 2015-08-07 2016-08-08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KR20170017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70 2015-08-07
KR1020150111870 2015-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7848A true KR20170017848A (ko) 2017-02-15

Family

ID=5811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870A KR20170017848A (ko) 2015-08-07 2016-08-08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78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932A (ko) 2020-08-07 2022-02-15 조성우 4 패널 슬라이딩접이구조를 이용한 접이식 미닫이문 시스템
KR20220018931A (ko) 2020-08-07 2022-02-15 조성우 2 패널 슬라이딩접이구조를 이용한 접이식 미닫이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932A (ko) 2020-08-07 2022-02-15 조성우 4 패널 슬라이딩접이구조를 이용한 접이식 미닫이문 시스템
KR20220018931A (ko) 2020-08-07 2022-02-15 조성우 2 패널 슬라이딩접이구조를 이용한 접이식 미닫이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775B1 (ko)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US20070094846A1 (en) Hinge and hinge mounting door
KR20170017848A (ko) 접이식문의 착탈식 연결힌지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한 접이식문의 조립방법
ITPD20120117A1 (it) Chiusura a battente per porte, finestre o simili
KR101551173B1 (ko) 슬라이딩 및 스윙식 기능성 방 도어
KR20120125998A (ko) 노출 차단형 경첩
JPH02186696A (ja) 折りたたみドア付キャビネット
CA2989736C (en) A support system for a wheel assembly to be used with a closure member
KR101754763B1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120084853A (ko) 방충망의 힌지장치
KR20170083001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WO2020259659A1 (zh) 铰链结构、铰链装置及电子设备
CN115988111A (zh) 一种可折叠电子设备
EP4100608A1 (en) Shutter assembly
KR20200134195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JPH0338841B2 (ko)
KR101195214B1 (ko) 도어에 매설되는 경첩
KR20150071855A (ko) 방화문의 경첩장치
KR20150103794A (ko) 천정판과 좌우측판이 접히는 접이식 부스
JPH02252875A (ja) 両開き折れ戸装置
CN212473060U (zh) 一种可折叠支架、遮挡装置和带遮挡装置的车辆
KR20030060205A (ko) 외부 노출 차단형 경첩
JP2840811B2 (ja) パネルの連結装置
WO2022099857A1 (zh) 铰链装置和门体组件
JP2003129760A (ja) 開き戸の框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