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845A - 세탁기 및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845A
KR20170081845A KR1020160000790A KR20160000790A KR20170081845A KR 20170081845 A KR20170081845 A KR 20170081845A KR 1020160000790 A KR1020160000790 A KR 1020160000790A KR 20160000790 A KR20160000790 A KR 20160000790A KR 20170081845 A KR20170081845 A KR 20170081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amper
opening
outer door
push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337B1 (ko
Inventor
김재신
박완기
전갑진
김정환
이동익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337B1/ko
Priority to EP16884038.7A priority patent/EP3309284B1/en
Priority to AU2016385300A priority patent/AU2016385300B2/en
Priority to CN201680069699.4A priority patent/CN108291350B/zh
Priority to US16/068,223 priority patent/US10865513B2/en
Priority to PCT/KR2016/015334 priority patent/WO2017119655A1/ko
Publication of KR2017008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D06F2224/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 및 가전기기는 복수의 도어의 회동을 완충하도록 마련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복수의 도어의 각각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가전기기{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세탁기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의 문에 설치된 홈 바(home bar), 비데, 뚜껑식 냉장고(chest type refrigerator)의 도어 등, 복수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최근에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이중 도어로 구성된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고정조와,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세탁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세탁수 수류의 변화시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교반식 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한다. 와류식 세탁기는 회전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생기는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내면에 다수의 리프터(lifter)가 돌출된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세탁기는 형태에 따라 탑로딩 세탁기와 프론트 로딩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는, 상부면에 구비된 개구를 통해 세탁물을 회전조에 인입시킬 수 있는 세탁기이다.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측면에 구비된 개구를 통해 세탁물을 회전조에 인입시킬 수 있는 세탁기이다. 일반적으로 교반식 세탁기, 와류식 세탁기는 탑로딩 세탁기의 형태로 구비되고, 드럼식 세탁기는 프론트 로딩 세탁기로 구비된다.
그러나 세탁물에 있는 찌든 때나, 국부적인 얼룩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세탁기의 세탁과정으로는 세탁하기가 힘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한 세탁공간을 형성하나,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을 위한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장소에서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을 거친 후 세탁기를 통한 세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세탁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세탁기 자체에서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도의 세탁장소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에서 이루어졌던 세탁수를 세탁기의 세탁과정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도 절약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의 경우, 상부면에 구비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아우터도어 및 이너도어의 이중도어로 형성할 수 있고, 이너도어에 손빨래를 위한 별도의 세탁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의 각각의 도어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우터도어와 이너도어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아우터도어와 이너도어가 부드럽게 열리고 닫힐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상기 개구와 상기 아우터 도어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회동 속도를 늦추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너도어만 회동할 때 상기 가동 부재는 제1 변위 만큼 이동하고,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가 함께 회동할 때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1 변위 보다 큰 제2 변위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재는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만 회동할 때 상기 가동부재는 제3 변위 만큼 이동하고, 상기 제2 변위는 상기 제1 변위와 상기 제3 변위의 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회동에 대해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도어에 대한 댐핑력의 제공이 끝난 후에도 상기 제2 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도어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1 푸싱부 및 제2 푸싱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푸싱부 및 상기 제2 푸싱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상일 때 상기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는 서로 동시에 회동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2 도어의 상기 제2 푸싱부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개구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과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이너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는 댐핑구간이 남아있을 수 있고, 상기 아우터도어는 상기 남아있는 댐핑구간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이너도어의 폐쇄동작에 의해 제1 댐핑구간을 이동하고, 상기 아우터도어의 폐쇄동작에 의해 제2 댐핑구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핑구간은 상기 제2 댐핑구간에 비하여 거리가 길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가 동시에 회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 댐핑구간 및 상기 제2 댐핑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제1 푸싱부 및 제2 푸싱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위치에서, 상기 제1 푸싱부는 상기 제2 푸싱부에 비하여 상기 댐퍼를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우터도어,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개구 사이에서 회동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이너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한 후,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아우터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하는 제1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제1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1 푸싱부 및 제2 푸싱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푸싱부 및 상기 제2 푸싱부는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하일 때 상기 제1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푸싱부가 상기 제1 댐퍼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상기 아우터도어의 개도는, 상기 제2 푸싱부가 상기 제1 댐퍼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이너도어의 개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가 결합되어 회동할 때, 상기 아우터도어의 제1 푸싱부가 상기 제1 댐퍼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아우터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한 후,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이너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제2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3 푸싱부 및 제4 푸싱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푸싱부 및 상기 제4 푸싱부는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상일 때 상기 제2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가 결합되어 회동할 때, 상기 이너도어의 제4 푸싱부가 상기 제2 댐퍼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복수의 도어의 각각을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아우터도어와 이너도어를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다.
이너도어를 부드럽게 닫은 후 아우터 도어를 부드럽게 닫을 수 있고, 아우터도어를 부드럽게 연 후 이너도어를 부드럽게 열 수 있다. 또한, 아우터도어와 이너도어를 결합하여 일체로 부드럽게 여닫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너도어를 안착시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상부프레임과 캐비닛의 급수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하부프레임과 이너도어와 캐비닛을 분해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하부프레임과 이너도어와 캐비닛의 도어결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하부프레임과 이너도어와 캐비닛의 도어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상부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폐쇄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폐쇄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폐쇄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한 댐퍼의 댐핑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한 댐퍼의 댐핑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폐쇄 동작에 의한 댐퍼의 댐핑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개방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개방 동작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부에 개구가 마련된 세탁기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하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복수의 도어뿐만 아니라, 좌우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복수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가전기기의 본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세탁기의 캐비닛에 대응될 수 있고, 가전기기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어는 세탁기의 아우터도어 및 이너도어를 포함하는 도어어셈블리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캐비닛(10) 내에서 현가장치(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 및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개방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너도어를 안착시킨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구(24)에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100)는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아우터도어(110)는 상기 개구(24)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24)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아우터도어(110)에는 아우터도어(11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투명부재(112)는 도어프레임(111)의 상부프레임(111a)에 마련될 수 있다.
이너도어(120)는 보조세탁공간(12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2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이너도어(120)는 아우터도어(11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이너도어(120)는 아우터도어(110)와 개구(24)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너도어(120)는 아우터도어(110)의 회전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너도어(120)와 아우터도어(110)의 회동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너도어(120)는 보조세탁공간(120a)를 형성하는 유닛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공간(120a)은 대략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12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너도어(120)는 마찰돌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128)는 유닛몸체(122)에 마련되며,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마찰돌기(128)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너도어(120)의 내면에서 인접한 내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찰돌기(1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돌기(128)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너도어(120)는 보조배수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공간(12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가질 수 있고 보조세탁공간(120a)의 유닛몸체(122)에서 측면에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이너도어(120)가 회동하는 경우,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기울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너도어(120)는 안착플랜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이너도어(120)의 상단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캐비닛(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안착플랜지(132)는 유닛몸체(122)의 상단을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 에는, 개구(2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부(24a)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안착부(2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됨으로서, 이너도어(120)가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너도어(120)의 저면에는 쿠션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쿠션부(133)는 안착플랜지(132)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쿠션부(133)에 의해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될 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이너도어(120)가 캐비닛(10)에 안착될 때 이너도어(120) 또는 캐비닛(10)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이너도어(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8)은 3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전환유닛(168)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급수밸브(18)에 연결되어 급수밸브(18)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는 메인급수관(164)과, 일단이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는 보조급수관(166)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으로 동시에 급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이너도어(120)에 의한 개구(24)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보조급수관(166)을 통한 세탁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도어(120)가 개구(24)를 폐쇄한 경우, 보조급수관(166)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는 이너도어(120)에 저수될 수 있다. 이너도어(120)가 개구(24)를 개방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보조급수관(166)을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세탁물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을 씻을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급수관(16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이너도어(120)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이너도어(12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이너도어(1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너도어(120)은 보조급수구(60)에 대응하여 세탁수유입구(134)가 마련된다. 세탁수유입구(134)는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유입구(13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급수구(6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몸체(12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세탁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이너도어(120)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도어(120)는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는 각각 메인도어(110)와 손빨래용기(120)라고 칭할 수도 있고, 제1 도어(110)와 제2 도어(120)라고 칭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탁기(1)는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20)와 또 다른 하나 이상의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도어(110) 및 제2 도어(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도어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상부프레임과 캐비닛의 급수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하부프레임과 이너도어와 캐비닛을 분해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하부프레임과 이너도어와 캐비닛의 도어결합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하부프레임과 이너도어와 캐비닛의 도어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아우터도어의 상부프레임의 일부(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는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아우터도어(110)는 상부프레임(111a)과 하부프레임(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1a)에는 투명부재(112) 및 핸들부(150) 등이 마련될 수 있고, 하부프레임(111b)에는 아우터도어(110)와 캐비닛(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200)와 아우터도어(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1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의 상부에는 급수부(160), 도어결합부(220) 및 댐퍼(23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결합부(220)에는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는 도어회전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너도어(120)는 보조회전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전축(114a)과 보조회전축(140a)이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도어회전축(114a)과 보조회전축(140a)은 동일한 축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회전축(114a)과 보조회전축(140a)이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는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결합부(220)에 제1 회동핀유닛(240) 및 제2 회동핀유닛(2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결합부(220)는 캐비닛(10)에서 아우터도어(110) 또는 이너도어(120)가 도어회전축(114a) 또는 보조회전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아우터도어(110)에 마련된 힌지부(200)에 도어결합부(220)가 삽입된다. 도어결합부(220)와 힌지부(200)에는 각각 제1 회동핀유닛(240) 및 제2 회동핀유닛(250)이 관통할 수 있는 제1 회동홀(221, 201) 및 제2 회동홀(222, 202) 이 마련되고, 제1 회동핀유닛(240) 및 제2 회동핀유닛(250)에 의해 아우터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너도어(120)의 보조회동부(260)에도 제1 회동핀유닛(240) 및 제2 회동핀유닛(250)이 관통할 수 있는 제1 회동홀(261)과 제2 회동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회전축(114a)과 보조회전축(140a)이 일치하도록 보조회동부(260)가 아우터도어(110)의 힌지부(200)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
제1 회동핀유닛(240)은, 제1 바디(242)와 제1 바디(242)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회동핀(241)을 포함한다. 제1 회동핀(241)은 제1 회동홀(201,221,261)에 삽입되고, 제1 바디(242)는 하부 도어프레임(111b)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동핀유닛(250)은 제2 회동핀(251)과 제2 회동핀(251)을 지지하고 상기 도어결합부(220)에 고정되는 제2 바디(252)를 포함한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캐비닛(10)의 도어결합부(220)에 결합되기 위해, 제1 회동핀(241)이 제1 회동홀(201,221,261)을 관통하도록 도어의 힌지부(200) 외측에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동핀(251)이 제2 회동홀(202,222,262) 을 관통하도록 도어결합부(220)의 내측에서 삽입될 수 있다.
제1 회동핀(241)이 삽입되면, 제1 바디(242)는 하부 도어프레임(111b)에 고정되고, 제2 회동핀(251)이 삽입되면, 제2 바디(252)는 도어결합부(2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회동 가능하게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회동부(260)는 유닛몸체(1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전축(140a)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너도어(1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이너도어(120)의 회전시 유닛몸체(122)가 아우터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탄성부재(210)와 댐퍼(2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세탁기의 도어를 개폐를 위한 장치는 부품의 종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공정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힌지 구조는 도어의 개도가 기준 각도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닫히고 기준 각도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개방되는 기능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닫힘 시에 감성 품질이 좋지 않고, 댐퍼를 추가하면 비용 ?? 조립 공정이 추가되므로 비효율적이다. 또한, 댐퍼가 추가된다고 하더라도 도어의 개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부드럽게 닫히는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1)는 아우터도어(1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10)는 아우터도어(110) 또는 도어어셈블리(100)를 닫을 때 아우터도어(110) 또는 도어어셈블리(100)의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210)가 아우터도어(110) 또는 도어어셈블리(100)를 개방할 때 손쉽게 열릴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1)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부드럽게 캐비닛(10)에 안착하도록 댐퍼(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댐퍼(230)는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의 회동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댐퍼(230)는 도어어셈블리(100)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하일 때 도어어셈블리(100)의 회동을 댐핑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어셈블리(100)의 닫힘 동작 시에, 도어어셈블리(100)는 탄성부재(210)의 힘을 받으면서 임의의 각도를 회전한 후 댐퍼(230)의 작동각도에 이르면 완전히 캐비닛(10)에 안착될 때까지 댐퍼(230)가 작동하여 부드럽게 닫힐 수 있다.
댐퍼(230)는 도어어셈블리(100)뿐만 아니라, 도어어셈블리(100)에서 이너도어(120)를 분리하여 캐비닛(10)에 안착시키는 경우, 즉 이너도어(120)를 아우터도어(110)와 별개로 회동시켜 개구(24)를 폐쇄한 경우에도 이너도어(120)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하일 때 이너도어(120)의 회동을 댐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너도어(120)는 아우터도어(110)에 비하여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복원력 없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더라도 댐퍼(230)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가 닫힐 때와 유사한 양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즉, 이너도어(120)를 캐비닛(10)에 안착시키는 동작 시에, 이너도어(120)가 임의의 각도를 회전한 후 댐퍼(230)의 작동각도에 이르면 완전히 캐비닛(10)에 안착될 때까지 댐퍼(230)가 작동하여 부드럽게 내려올 수 있다. 또한, 댐퍼(230)는 이너도어(12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반력을 제공하여 손쉽게 개구(2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댐퍼(230)는 도어어셈블리(100)에서 이너도어(120)를 분리하여 아우터도어(110)와 별개로 회동시킨 후 아우터도어(110)를 회동시켜 개구(24)를 폐쇄한 경우에도 아우터도어(110)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하일 때 아우터도어(110)의 회동을 댐핑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의 회전동작과 댐퍼(230)의 댐핑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210)는 아우터도어(1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10)로서 토션바(210) 또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로서 토션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토션스프링의 일 단부는 아우터도어(110)에 지지되고 타 단부는 캐비닛(10)에 지지되어 회전에 의한 반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로서 토션바(210)를 사용하는 경우, 토션바(210)는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의 회전축선(114a, 140a) 상에 위치하도록 도어프레임(11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토션바(210)는 서로 대칭으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제1 토션바(211)와 제2 토션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션바(210)의 양 단부는 절곡되어 일 단부는 아우터도어(110) 내측에 지지되고, 타 단부는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하부 도어프레임(111b)에는 제1 토션바(211)와 제2 토션바(212)의 일 단부를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제1 지지부(213) 및 제2 지지부(214)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에 지지되는 토션바(210)의 타 단부는 토션바(23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캐비닛(10)의 도어결합부(220)의 내측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션바(210)의 타 단부는 제1 회동핀유닛(240)의 제1 회동핀(241)에 마련된 관통홀(243)을 관통하여 도어결합부(220)의 토션바 수용부(223)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회동핀유닛(240)의 제1 회동핀(241)에 마련된 관통홀(243)은 토션바(210)의 단부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일 방향이 길게 형성된 장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결합부(220)의 제1 회동홀(221)에도 토션바(210)를 관통시키기에 용이하도록 상측에 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댐퍼(230)는 도어결합부(220)에 인접하여 도어프레임(11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댐퍼(230)는 도어어셈블리(100)의 회전축선(114a, 140a)에 수직인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댐퍼(230)는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재(231)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재(231)는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댐퍼(230)는 피스톤(231) 및 실린더(232)를 포함하는 직동형 오일댐퍼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가동부재(231)는 피스톤(231)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231)은 아우터도어(110) 또는 이너도어(12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실린더(232)는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에는 댐퍼(230)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제1 푸싱부(203) 및 제2 푸싱부(26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의 회전동작과 댐퍼(230)의 댐핑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폐쇄 동작에 관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폐쇄 동작에 관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폐쇄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한 댐퍼의 댐핑 동작에 관한 도면이고,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한 댐퍼의 댐핑 동작에 관한 도면이며,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폐쇄 동작에 의한 댐퍼의 댐핑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11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100)는, 아우터도어(110) 또는 이너도어(120)가 회전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폐쇄위치(CP), 보조세탁위치(SP) 또는 개방위치(OP)에 위치될 수 있다.
폐쇄위치(CP)는,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개구(24)상에 배치되어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위치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에 있을 때, 세탁기(1)의 세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보조세탁위치(SP)는, 도어어셈블리(100)의 폐쇄위치(CP)로부터 아우터도어(110)가 도어회전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이너도어(120)에 의해 개구(24)가 폐쇄되는 위치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너도어(120)에서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개방위치(O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회전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24)를 개방시키는 위치이다. 아우터도어(110) 또는 이너도어(120)는 폐쇄위치(CP) 또는 보조세탁위치(SP)로부터 회전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2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구(24)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핸들부(150)의 조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 보조세탁위치(SP) 및 개방위치(O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도 11 및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결합된 도어어셈블리(100)가 회동시에는, 아우터도어(110)에 마련된 제1 푸싱부(203)가 이너도어(120)에 마련된 제2 푸싱부(263)에 비하여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아우터도어(110)에 마련된 제1 푸싱부(203)가 댐퍼(230)의 피스톤(231)을 가압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는 개방위치(OP)로부터 일정 각도를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해 감소된 도어어셈블리(100)의 하중에 의해 낙하한다. 즉, 도어어셈블리(100)는 개방위치(OP)로부터 아우터도어(110)의 제1 푸싱부(203)가 댐퍼(230)의 피스톤(231)에 닿을 때까지 낙하한다. 댐퍼(230)의 작용각도가 되면, 제1 푸싱부(203)가 댐퍼(230)의 피스톤(231)을 댐퍼(230)의 전체 댐핑구간(A)에 걸쳐 가압하면서,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까지 부드럽게 회동하여 개구(24)를 폐쇄한다.
도 12 및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도어어셈블리(100)로부터 이너도어(120)가 분리되어 회동시에는 이너도어(120)에 마련된 제2 푸싱부(263)가 댐퍼(230)의 피스톤(231)을 가압할 수 있다. 이너도어(120)는 개방위치(OP)로부터 일정 각도를 자중에 의해 낙하하고, 댐퍼(230)의 작용각도가 되면 보조세탁위치(SP)까지 부드럽게 회동하여 캐비닛(10)에 안착된다.
댐퍼(230)는, 이너도어(120)와 아우터도어(110)가 별개로 폐쇄되는 경우에, 이너도어(120)와 아우터도어(110)에 모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너도어(120)의 제2 푸싱부(263)는 아우터도어(110)의 제1 푸싱부(203)에 비하여 댐퍼(230)의 피스톤(231)을 향하여 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탁위치(SP)에서 제2 푸싱부(263)가 피스톤(232)을 가압한 길이(B)는, 폐쇄위치(CP)에서 제1 푸싱부(203)가 피스톤(232)을 가압한 길이(A)에 비하여 짧다. 즉, 피스톤(231)은 댐퍼(230)의 실린더(232)의 끝까지 가압되지 않고, 제1 댐핑구간(B)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가압된다.
도 13 및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이너도어(120)가 닫힌 상태, 즉 보조세탁위치(SP)에서 아우터도어(110)가 회동시에, 아우터도어(110)에 마련된 제1 푸싱부(203)는 제1 단계로 압축된 댐퍼(230)의 피스톤(231)을 제2 단계에 해당하는 길이(C)만큼 더 가압할 수 있다.
댐퍼(230)는 이너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피스톤(231)이 이동할 수 있는 댐핑구간(C)이 남아있고, 아우터도어(110)가 회동하면서 남아있는 댐핑구간(C)에서 피스톤(231)을 가압할 수 있다. 즉, 댐퍼(230)의 피스톤(231)은 이너도어(1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제1 댐핑구간(B)을 이동하고, 아우터도어(110)의 폐쇄동작에 의해 제2 댐핑구간(C)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도어(110)는 개방위치(OP)로부터 제1 푸싱부(203)가 댐퍼(230)의 피스톤(231)에 닿을 때까지 일정 각도를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해 감소된 도어어셈블리(100)의 하중에 의해 낙하하고, 댐퍼(230)의 제2 단계 작용각도가 되면 폐쇄위치(CP)가지 부드럽게 회동하여 개구(24)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제1 댐핑구간(B)은 제2 댐핑구간(C)에 비하여 거리가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한 위치(CP)에서 아우터도어(110)의 제1 푸싱부(203)가 이너도어(120)의 제2 푸싱부(263)에 비하여 더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아우터도어(110) 및 이너도어(120)가 동시에 회동하는 경우, 즉 도어어셈블리(100)가 회동하는 경우 아우터도어(110)의 제1 푸싱부(203)에 의해 댐퍼(230)의 피스톤(231)은 제1 댐핑구간(B) 및 제2 댐핑구간(C)을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해, 이너도어(120)만 회동할 때 가동 부재(231)는 제1 변위(B)만큼 이동하고,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함께 회동할 때 가동부재(231)는 제1 변위(B)보다 큰 제2 변위(A)만큼 이동하고, 아우터도어(110)만 회동할 때 가동부재(231)는 제3 변위(C)만큼 이동하고, 제2 변위(A)는 제1 변위(B)와 제3 변위(C)의 합이 될 수 있다.
한편,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한 위치(CP)에서 아우터도어(110)의 제1 푸싱부(203)가 이너도어(120)의 제2 푸싱부(263)에 비하여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제1 푸싱부(203)가 댐퍼(230)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아우터도어(110)의 개도는, 제2 푸싱부(263)가 댐퍼(230)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이너도어(120)의 개도보다 크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도어의 개방 동작에 관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도어의 개방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결합된 도어어셈블리(100)를 폐쇄위치(CP)로부터 개방 시에 도어어셈블리(100)의 자중 및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가 강하게 개방될 수 있어 세탁기의 감성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1)는 도어어셈블리(100)의 개방 시에 부드럽게 개방할 수 있도록 별도로 마련되는 또 다른 댐퍼(33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330)는 피스톤(331) 및 실린더(332)를 포함하는 직동형 오일 댐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에는 댐퍼(33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3 푸싱부(204) 및 제4 푸싱부(26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분리되어 개방되는 경우에는, 폐쇄 동작에서와 반대로 아우터도어(110)가 먼저 회동하여 개방되고 이너도어(120)가 그 후에 회동하여 개방된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의 개방 동작을 댐핑하는 댐퍼(330)도 역시 다단계로 압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가 이너도어(120)와 분리되어 회동시에는, 아우터도어(110)의 자중과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외력이 없이도 개방될 수 있는 임계 각도까지 개방이 되면, 아우터도어(110)에 마련된 제3 푸싱부(204)가 댐퍼(330)의 피스톤(331)을 가압하면서, 댐퍼(330)가 아우터도어(110)에 댐핑력을 제공하기 시작하여, 아우터도어(110)가 보조세탁위치(SP)까지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가 개방된 상태, 즉 보조세탁위치(SP)에서 이너도어(120)가 회동하여 개방될 때에는, 이너도어(120)의 제4 푸싱부(264)는 아우터도어(110)의 제3 푸싱부(204)에 비하여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너도어(120)에 마련된 제4 푸싱부(264)가 제1 단계로 압축된 댐퍼(330)의 피스톤(331)을 제2 단계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더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도어(120)가 자중에 의해 외력없이 개방될 수 있을 때까지, 즉 이너도어(120)의 무게중심이 개방하는 방향으로 넘어갈 때까지 외력에 의해 개방되면, 이너도어(120)는 제4 푸싱부(264)가 댐퍼(330)의 피스톤(331)에 닿을 때까지 자중에 의해 회전한 후, 제4 푸싱부(204)가 댐퍼(330)의 피스톤(331)을 가압한다. 댐퍼(330)가 이너도어(110)에 제공하는 댐핑력에 의해 이너도어(120)는 개방위치(OP)까지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다. 아우터도어(110)와 이너도어(120)가 결합된 도어어셈블리(100)의 개방 시에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도어어셈블리(100)의 자중과 탄성부재(210)의 복원력에 의해 외력 없이도 개방되는 일정 각도까지 개방되면, 제3 푸싱부(204)에 비하여 더 돌출된 이너도어(120)의 제4 푸싱부(264)가 댐퍼(330)가 작용하여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까지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11 내지 도 16c에 도시된 댐퍼(230)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댐퍼(33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도어(110)는 제1 댐퍼(230)와 제2 댐퍼(33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푸싱부(203, 204)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이너도어(120)는 제1 댐퍼(230)와 제2 댐퍼(33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푸싱부(263, 264)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탄성부재 및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도어 개폐 구조는 냉장고 홈바, 비데, 뚜껑식 김치냉장고 등 가전기기의 여러 형식의 도어에 활용할 수 있다.
가전기기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는 복수의 도어의 회동을 완충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복수의 도어의 각각의 회동에 의해 단계적으로 압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고정조 11a : 메인세탁공간
12 : 회전조 100 : 도어어셈블리   
110 : 아우터도어 110a : 도어회동부
112 : 투명부재   114a : 도어회전축    
120 : 이너도어 120a : 보조세탁공간
122 : 유닛몸체 128 : 마찰돌기
130 : 보조배수구 132 : 안착플랜지
134 : 세탁수유입구 140a : 보조회전축
200 : 힌지부 201, 221, 261 : 제1 회동홀
202, 222, 262 : 제2 회동홀 203 : 푸싱부
204 : 푸싱부 210 : 탄성부재
211 : 제1 토션바 212 : 제2 토션바
213 : 제1 지지부 214 : 제2 지지부
220 : 도어결합부 223 : 토션바 수용부
230 : 댐퍼 231 : 피스톤
232 : 실린더 240 : 제1 회동핀유닛
241 : 제1 회동핀 242 : 제1 바디
243 : 관통홀 250 : 제2 회동핀유닛
251 : 제2 회동핀 252 : 제2 바디
260 : 보조회동부 263 : 푸싱부
264 : 푸싱부 330 : 제2 댐퍼
331 : 피스톤 332 : 실린더

Claims (20)

  1.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상기 개구와 상기 아우터 도어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회동 속도를 늦추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회동 각도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도어만 회동할 때 상기 가동부재는 제1 변위만큼 이동하고,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가 함께 회동할 때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1 변위보다 큰 제2 변위만큼 이동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직선 왕복 운동하는 가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전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만 회동할 때 상기 가동부재는 제3 변위만큼 이동하고, 상기 제2 변위는 상기 제1 변위와 상기 제3 변위의 합인 가전기기.
  5.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도어 및 제2 도어; 및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의 회동에 대해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도어에 대한 댐핑력의 제공이 끝난 후에도 상기 제2 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할 수 있는 가전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개구와 상기 제1 도어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하는 가전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1 푸싱부 및 제2 푸싱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싱부 및 상기 제2 푸싱부는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상일 때 상기 댐퍼에 힘을 가하는 가전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는 서로 동시에 회동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제2 도어의 상기 제2 푸싱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전기기.
  9.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아우터도어;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개구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과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이너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피스톤이 이동할 수 있는 댐핑구간이 남아있고,
    상기 아우터도어는 상기 남아있는 댐핑구간을 가압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이너도어의 폐쇄동작에 의해 제1 댐핑구간을 이동하고, 상기 아우터도어의 폐쇄동작에 의해 제2 댐핑구간 이동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핑구간은 상기 제2 댐핑구간에 비하여 거리가 긴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가 동시에 회동하는 경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 댐핑구간 및 상기 제2 댐핑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세탁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제1 푸싱부 및 제2 푸싱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위치에서, 상기 제1 푸싱부는 상기 제2 푸싱부에 비하여 상기 댐퍼를 향하여 더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4. 상부에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우터도어;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개구 사이에서 회동하는 이너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이너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한 후,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아우터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하는 제1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제1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1 푸싱부 및 제2 푸싱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싱부 및 상기 제2 푸싱부는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하일 때 상기 제1 댐퍼에 힘을 가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싱부가 상기 제1 댐퍼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상기 아우터도어의 개도는, 상기 제2 푸싱부가 상기 제1 댐퍼를 가압하기 시작하는 이너도어의 개도보다 큰 세탁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가 결합되어 회동할 때, 상기 아우터도어의 제1 푸싱부가 상기 제1 댐퍼를 가압하는 세탁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아우터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한 후, 상기 이너도어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이너도어에 댐핑력을 제공하는 제2 댐퍼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상기 제2 댐퍼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제3 푸싱부 및 제4 푸싱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3 푸싱부 및 상기 제4 푸싱부는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의 개도가 일정 각도 이상일 때 상기 제2 댐퍼에 힘을 가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도어 및 상기 이너도어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도어와 상기 이너도어가 결합되어 회동할 때, 상기 이너도어의 제4 푸싱부가 상기 제2 댐퍼를 가압하는 세탁기.
KR1020160000790A 2016-01-05 2016-01-05 세탁기 및 가전기기 KR10248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90A KR102482337B1 (ko) 2016-01-05 2016-01-05 세탁기 및 가전기기
EP16884038.7A EP3309284B1 (en) 2016-01-05 2016-12-27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AU2016385300A AU2016385300B2 (en) 2016-01-05 2016-12-27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CN201680069699.4A CN108291350B (zh) 2016-01-05 2016-12-27 洗衣机和家用电器
US16/068,223 US10865513B2 (en) 2016-01-05 2016-12-27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PCT/KR2016/015334 WO2017119655A1 (ko) 2016-01-05 2016-12-27 세탁기 및 가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90A KR102482337B1 (ko) 2016-01-05 2016-01-05 세탁기 및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845A true KR20170081845A (ko) 2017-07-13
KR102482337B1 KR102482337B1 (ko) 2022-12-29

Family

ID=59273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790A KR102482337B1 (ko) 2016-01-05 2016-01-05 세탁기 및 가전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5513B2 (ko)
EP (1) EP3309284B1 (ko)
KR (1) KR102482337B1 (ko)
CN (1) CN108291350B (ko)
AU (1) AU2016385300B2 (ko)
WO (1) WO2017119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9790B2 (en) 2018-02-28 2020-06-23 Whirlpool Corporation Lid hinge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JP7456996B2 (ja) 2019-03-13 2024-03-27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2021013692A (ja) * 2019-07-16 2021-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US11499259B2 (en) 2019-10-15 2022-11-15 Whirlpool Corporation Detachable pretreat sink for laundry appliance having an operable washboard
CN111288734B (zh) * 2020-03-06 2021-06-04 深圳崀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开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812A (ko) * 2004-05-13 2006-10-2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자동차의 도어핸들장치
KR20150100580A (ko) * 2014-02-25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9293B2 (ja) *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3932968B2 (ja) * 2002-04-26 2007-06-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685380B2 (ja) * 2004-07-21 2011-05-18 株式会社ニフコ 移動体の衝撃吸収装置
KR100780756B1 (ko) * 2006-07-11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20110050060A1 (en) * 2009-07-31 2011-03-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8763431B2 (en) * 2009-07-31 2014-07-0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580447B1 (ko) *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5146469B2 (ja) * 2010-01-14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CN202466211U (zh) * 2012-03-22 2012-10-03 合肥荣事达洗衣设备制造有限公司 波轮式洗衣机开盖阻尼结构
AU2013245560B2 (en) * 2012-10-25 2016-01-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U2013245561B2 (en) * 2012-10-25 2016-05-26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with lid hinge having cam members
KR20150005060A (ko) * 2013-07-04 2015-01-14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6184795B2 (ja) * 2013-08-02 2017-08-23 不二ラテックス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KR102257346B1 (ko) * 2014-08-22 2021-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0538950B2 (en) * 2015-11-05 2020-01-21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and counterbalance sp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812A (ko) * 2004-05-13 2006-10-2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자동차의 도어핸들장치
KR20150100580A (ko) * 2014-02-25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9284B1 (en) 2020-02-19
EP3309284A4 (en) 2018-09-05
CN108291350B (zh) 2021-02-05
KR102482337B1 (ko) 2022-12-29
US20190032270A1 (en) 2019-01-31
EP3309284A1 (en) 2018-04-18
US10865513B2 (en) 2020-12-15
AU2016385300B2 (en) 2019-04-04
CN108291350A (zh) 2018-07-17
WO2017119655A1 (ko) 2017-07-13
AU2016385300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463B1 (ko) 세탁기
US11365508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manual washing unit
KR20170081845A (ko) 세탁기 및 가전기기
EP2987903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washing machine
AU2010206049B2 (en) Washing machine
EP3272927A1 (en) Washing machine
US20190249349A1 (en) Washing machine
US10669665B2 (en) Washing machine having multiple washing units
KR10193473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668123B2 (en) Washing machine
KR102351658B1 (ko) 세탁기
CA2711348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WO2022059434A1 (ja) 洗濯機
KR100854637B1 (ko) 세탁기
KR20160097100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