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580A -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580A
KR20150100580A KR1020150046529A KR20150046529A KR20150100580A KR 20150100580 A KR20150100580 A KR 20150100580A KR 1020150046529 A KR1020150046529 A KR 1020150046529A KR 20150046529 A KR20150046529 A KR 20150046529A KR 20150100580 A KR20150100580 A KR 2015010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uxiliary
unit
auxiliary washing
wa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형
원용권
김준호
김현철
은성용
정관수
신영선
미츠히로 시게리
김현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0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도어와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는 도어어셈블리의 회동구조를 개선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도어와 보조세탁유닛은 록킹부에 의해 결합되어 보조세탁을 요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어셈블리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에만 록킹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켜 도어와 보조세탁유닛이 각각 별개로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Washing Machine Having A Manual Washing Uni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고정조와, 고정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펄세이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세탁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세탁수 수류의 변화시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교반식 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한다. 와류식 세탁기는 회전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펄세이터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생기는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한다. 드럼 세탁기는 내면에 다수의 리프터(lifter)가 돌출된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세탁기는 형태에 따라 탑로딩 세탁기와 프론트 로딩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탑로딩 세탁기는, 상부면에 구비된 개구를 통해 세탁물을 회전조에 인입시킬 수 있는 세탁기이다. 프론트 로딩 세탁기는 측면에 구비된 개구를 통해 세탁물을 회전조에 인입시킬 수 있는 세탁기이다. 일반적으로 교반식 세탁기, 와류식 세탁기는 탑로딩 세탁기의 형태로 구비되고, 드럼식 세탁기는 프론트 로딩 세탁기로 구비된다.
그러나 세탁물에 있는 찌든 때나, 국부적인 얼룩같은 경우에는 이러한 세탁기의 세탁과정으로는 세탁하기가 힘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한 세탁공간을 형성하나,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을 위한 공간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장소에서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을 거친 후 세탁기를 통한 세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한 세탁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세탁기 자체에서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별도의 세탁장소가 필요하지 않고, 또한 손빨래 또는 별도의 세탁에서 이루어졌던 세탁수를 세탁기의 세탁과정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손빨래를 위한 공간이 형성된 손빨래 용기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메인세탁공간을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개구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메인세탁공간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한 보조세탁공간이 형성되는 보조세탁유닛;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동핀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핀유닛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핀유닛은,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상기 보조세탁유닛과 상기 도어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의 회동이 상기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조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핀유닛은 상기 보조회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핀유닛은, 바디;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도어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회동핀;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동핀이 상기 도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제한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여 상기 회동핀유닛을 상기 도어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핀유닛은, 상기 바디의 타측에서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동핀이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제한하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과,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상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을 댐핑하는 댐핑유닛을 갖고, 상기 개구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핑유닛은, 상기 도어의 회동을 댐핑하며 상기 도어의 회동축상에 마련되는 도어댐핑유닛;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을 댐핑하며,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상에 마련되는 보조댐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댐핑유닛과 상기 보조댐핑유닛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댐핑유닛과 상기 보조댐핑유닛은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댐핑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도어댐퍼; 상기 도어댐퍼와 연결되어 댐핑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댐퍼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댐퍼축은, 상기 도어댐퍼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어댐퍼축; 상기 제 1 도어댐퍼축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회동축의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2 도어댐퍼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댐핑유닛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보조댐퍼;
상기 보조댐퍼와 연결되어 댐핑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세탁유닛과 함께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조댐핑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의 회동이 상기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조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댐퍼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보조회동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댐핑유닛은, 스프링댐퍼와 오일댐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도어로부터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동축과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은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와 동일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고,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 상기 회동축에 배치되며, 상기 도어어셈블리가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회동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샤프트는,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회동샤프트는, 상기 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도어구속부; 상기 도어구속부로부터 상기 회동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을 구속하는 보조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구속부와 상기 보조구속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를 개폐하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와,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고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고,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핀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핀홀더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고정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로부터 상기 보조세탁유닛 회동축의 축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핀홀더는,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도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홀더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도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홀더본체로 삽입되는 삽입위치를 이동하고, 상기 삽입위치에서 상기 돌출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이동돌기의 이동경로상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유닛몸체; 상기 유닛몸체의 회동이 상기 도어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유닛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보조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홀더는 상기 보조회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동축과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은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 세탁물이 세탁되는 메인세탁공간을 갖고, 상기 고정조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조;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을 갖고, 상기 개구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의 측방 중 어느 일측과 인접한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메인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세탁통; 및 상기 개구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보조세탁공간이 형성된 제1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공간의 상부를 덮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어-본체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어-본체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메인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세탁통; 및 상기 개구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보조세탁공간이 형성된 제 1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공간의 상부를 덮는 제 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제2 도어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어-도어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1 도어-도어 결합부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어-도어 결합부 및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도어-본체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메인세탁공간을 형성하는 세탁통; 및 상기 개구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어셈블리는 보조세탁공간이 형성된 제1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공간의 상부를 덮는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어는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어-본체 결합부 및 상기 제2 도어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어-도어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2 도어는 상기 제1 도어-도어 결합부와 힌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도어-도어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개구에 마련되는 도어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보조세탁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세탁유닛; 및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록킹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록킹하는 경우,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일체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보조세탁유닛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록킹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록킹부를 간섭하는 간섭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외력이 없는 한 상기 간섭부와의 간섭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에는, 상기 록킹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부는 상기 관통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록킹부를 간섭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에는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동작시키는 핸들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핸들부 및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구비되는 보조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핸들부의 길이는 상기 도어핸들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핸들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일체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동일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될 수 있도록 보조급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보조세탁공간의 세탁수를 배수할 수 있는 보조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배수구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보조세탁공간에 저수된 세탁수가 상기 보조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메인세탁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개구 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및 메인세탁공간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한 보조세탁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세탁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록킹부에 의해 상기 도어에 록킹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에 의해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록킹되면, 상기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일체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각각 별도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개구를 커버하도록 위치시켜 보조세탁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개구 상에 배치되는 폐쇄위치,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도어가 개방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에 의해 개구가 커버되는 보조세탁위치 및 상기 도어 및 상기 보조세탁유닛이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보조세탁유닛을 갖추어 보조세탁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세탁방법과 독립적으로 보조세탁이 가능하여, 세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세탁유닛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세탁을 위한 보조세탁유닛의 작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와 보조세탁유닛은 록킹부에 의해 결합되어 보조세탁을 요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도어어셈블리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에만 록킹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켜 도어와 보조세탁유닛이 각각 별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분해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9a,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댐핑유닛에 관한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댐핑유닛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17a, 17b, 17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분리동작에 관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록킹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록킹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은 도 23a의 I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개방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보조세탁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9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록킹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2, 3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
도 34, 3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어셈블리(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캐비닛(10) 내에서 현가장치(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 및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2)의 바닥에는 고정조(12)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개방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구(24)에는 도어어셈블리(100)가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10)에는 도어(11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투명부재(112)는 도어프레임(11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세탁공간(12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2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도어(11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의 회동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은 유닛몸체(122)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124)는 보조세탁공간(12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124)는 평평하게 마련될 수도 있고,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측면부(126)는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되며, 바닥부(124)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된다.
바닥부(124)와 측면부(126)는 대략적으로 오목한 보조세탁공간(12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120a)에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마찰돌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돌기(128)는 유닛몸체(122)에 마련되며,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면부(126)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닛몸체(122)의 내면 구비되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마찰돌기(128)는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유닛(120)의 내면에서 인접한 내면보다 볼록하게 형성된다. 마찰돌기(12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찰돌기(128)의 형상과 배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배수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공간(120a)에서 세탁된 세탁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별도의 개폐부재를 갖고 보조세탁공간(120a)의 바닥부(12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닛몸체(122)에서 측면부(126)에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경우,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기울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배수구(130)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보다 낮게 형성되는 보조배수구(130)의 둘레(126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보조배수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배수구(13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세탁유닛(120)을 기울였을 때, 보조세탁공간(120a)에 저수된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안착플랜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보조세탁유닛(120)의 상단에서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의 형상을 가지고 형성되어, 캐비닛(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안착플랜지(132)는 유닛몸체(122)의 상단을 따라 플랜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개구(24)측의 내측면에는, 개구(24)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안착부(24a)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플랜지(132)는 안착부(24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됨으로서, 보조세탁유닛(120)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보조세탁유닛(120)의 저면에는 쿠션부(133)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쿠션부(133)는 안착플랜지(132)의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도 8c 참고). 쿠션부(133)에 의해 안착플랜지(132)가 안착부(24a)에 안착될 때의 충격이 완화되어, 보조세탁유닛(120)이 캐비닛(10)에 안착될 때 보조세탁유닛(120) 또는 캐비닛(10)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전환유닛(168)은 3방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전환유닛(168)을 사이에 두고 급수관(162)으로부터 분기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이 급수밸브(18)에 연결되어 급수밸브(18)의 제어를 통해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일단이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는 메인급수관(164)과, 일단이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는 보조급수관(166)의 각각의 타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나,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으로 동시에 급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보조세탁유닛(120)에 의한 개구(24)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보조급수관(166)을 통한 세탁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를 폐쇄한 경우, 보조급수관(166)을 통해 공급된 세탁수는 보조세탁유닛(120)에 저수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를 개방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보조급수관(166)을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세탁물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을 씻을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급수관(166)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는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구(6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급수구(60)에 대응하여 세탁수유입구(134)가 마련된다. 세탁수유입구(134)는 유닛몸체(122)에서 인접한 유닛몸체(122)의 상단부(126a)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유입구둘레(126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닛몸체(122)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세탁수유입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탁수유입구(13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급수구(60)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시에 유닛몸체(122)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보조세탁공간(120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형상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은 ABS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빨래에 필요한 내충격성과 강성등을 갖춘 재질이면 이를 만족한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메인도어(110)와 손빨래용기(120)라고 칭할 수도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결합에 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에 대해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은 동일한 축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따라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도어회동부(110a)에 의해 캐비닛(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세탁유닛(120)은 보조회동부(140)에 의해 도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회동부(110a)는 캐비닛(10)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110)에는 수용부(114)가 마련되고, 도어회동부(110a)가 수용부(114)에 삽입됨으로서,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의 외측면에서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1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회동부(1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어(110)는 보조회동부(1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110)의 일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16)가 마련되고, 삽입부(116)에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회동축(140a)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동돌기(118)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에는 회동돌기(118)에 대응하여 회동홀(14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40a)이 일치하도록 보조회동부(140)가 도어(110)의 일부에 삽입되어 회동하게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120)은 캐비닛(10)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해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캐비닛(10)에 연결되고, 도어(110)는 캐비닛(10)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도어(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회전축은 보조회동축(120a)이 될 수 있고, 제 1 회전축은 도어회동축(114a)일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는 각각 제 1 도어(120)와 제 2 도어(110)로 칭할 수 있다. 제 1 도어는 제 2 도어와 힌지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어-도어결합부를 포함한다.
제 1 도어-도어결합부는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회동부(140)일 수 있다.
제 2 도어는 제 1 도어-도어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도어-도어결합부와, 본체와 힌지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도어-본체결합부를 포함한다. 제 2 도어-도어결합부는 도어(110)의 삽입부(116)일 수 있다. 제 2 도어-본체결합부는 도어(110)의 수용부(114)일 수 있다. 
회동홀(142)에는 회동핀유닛(143)이 삽입될 수 있다.
회동핀유닛(143)는, 바디(144), 바디(144)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된 회동핀(145), 바디(144)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된 간섭부(146), 바디(144)의 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어 바디(144)에 대해 탄성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부(147)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간섭부(146)는 바디(144)에서 회동핀(145)과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147)는 바디(144)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회동홀(142)을 형성하는 보조회동부(140)의 내측면에는 간섭돌기(142a)가 형성되어 간섭부(146)와 슬라이딩부(147)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인 고정부(148)에 위치될 수 있다. 회동핀유닛(143)의 최장 길이는 회동홀(142)의 길이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회동핀유닛(143)는 보조세탁유닛이 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동핀유닛은 보조회동부의 회동홀에 배치되어 보조세탁유닛의 회동중심이 되는 보조회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이 도어(110)에 결합되기 위해, 회동핀(145)이 회동홀(142)의 일측을 향하도록 회동핀유닛(143)가 회동홀(142)에 삽입될 수 있다. 회동핀유닛(143)는 회동홀(142)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회동핀유닛(143)가 회동홀(142)에 삽입된 채로 회동홀(142)의 타측에는 회동돌기(118)가 삽입되도록 보조회동부(140)가 삽입부(116)에 삽입될 수 있다. 회동홀(142)의 타측에 회동돌기(118)가 삽입되면, 회동핀유닛(143)를 회동홀(142)의 일측으로 슬라이딩시킨다. 회동핀유닛(143)의 슬라이딩부(147)가 간섭돌기(142a)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간섭돌기(142a)가 고정부(148)에 위치되면, 회동핀유닛(143)의 간섭부(146)가 간섭돌기(142a)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회동핀유닛(143)는 더이상 회동홀(14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딩부(147)의 단부는 간섭돌기(142a)에 간섭되어, 회동핀유닛(143)이 더이상 회동홀(142)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간섭부(146)에 의해 회동핀(145)이 도어(110)의 회동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제한하고, 슬라이딩부(147)에 의해 회동핀(145)이 도어(110)의 회동홀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진행을 제한하게 된다. 회동핀(145)은 삽입부(116)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홀(미도시)에 삽입된다. 이로써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가능하게 도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조세탁유닛을 도어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회동핀유닛(143)을 회동홀(142)의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회동핀(145)이 삽입부(116)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홀(미도시)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한 후, 보조회동부(140)를 삽입부(116)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즉, 슬라이딩부(147)를 가압하여 슬라이딩부(147)의 단부가 간섭돌기(142a)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한 뒤, 회동핀유닛(143)을 회동홀(142)의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회동핀(145)이 삽입부(116)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홀(미도시)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보조회동부(140)를 삽입부(116)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를 분리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0)이 도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리가 필요하거나 사용자의 편의에 의한 경우 보조세탁유닛(120)을 도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회동하는 형상이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회동부(140)는 유닛몸체(1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40a)이 유닛몸체(1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120)의 회전시 유닛몸체(1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는 핸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50)는 도어(110)에 구비되는 도어핸들부(152) 및 보조세탁유닛(120)에 구비되는 보조핸들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는 일측에 마련되는 도어회동축(114a)에 대응하여 도어(11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보조핸들부(154)는 일측에 마련되는 보조회동축(140a)에 대응하여 보조세탁유닛(120)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상호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각각 도어(110)의 전방과, 보조세탁유닛(120)의 전방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도어핸들부(152) 또는 보조핸들부(154)를 조작하여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핸들부(152)의 동작으로 도어(110)를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핸들부(154)의 동작으로 보조세탁유닛(120)만을 회동시키거나, 보조세탁유닛(120)과 도어(11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의 전면에 대해 도어핸들부(152)는 제 1 길이(L1) 형성되고, 보조핸들부(154)는 제 1 길이(L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 길이(L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를 동작하면 도어(110)가 회동하고, 도어(110)가 개방된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도어(110)가 닫힌 경우 보조핸들부(154)를 동작하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함께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무게를 고려하여 제 2 길이(L2)은 제 1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핸들부(154)는 도어핸들부(15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와 보조핸들부(154)는, 도어어셈블리(100)의 구조 또는 사용환경 등에 따라 제1길이(L1)와 제2길이(L2)의 비율이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 8b,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이 회전축(114a,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폐쇄위치(CP), 보조세탁위치(SP) 또는 개방위치(OP)에 위치될 수 있다.
폐쇄위치(CP)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개구(24)상에 배치되어 도어어셈블리(10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위치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에 있을 때, 세탁기(1)의 세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보조세탁위치(SP)는, 도어어셈블리(100)의 폐쇄위치(CP)로부터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보조세탁유닛(120)에 의해 개구(24)가 폐쇄되는 위치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조세탁유닛(120)에서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개방위치(OP)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회전축(114a,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24)를 개방시키는 위치이다.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은 폐쇄위치(CP) 또는 보조세탁위치(SP)로부터 회전축(114a,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2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구(24)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도어핸들부(152)의 조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보조세탁위치(SP)를 이동하게 되고, 보조핸들부(154)의 조작에 의해 도어어셈블리(100)는 폐쇄위치(CP)와 개방위치(OP)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서 보조세탁을 마치고 난 뒤, 세탁수는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세히 도어어셈블리(1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를 제 1 위치(P1)라 하면, 보조세탁유닛(120)은 제 1 위치(P1)와,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메인세탁공간(11a) 또는 세탁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이 제 1 위치(P1)로부터 회동한 제 2 위치(P2)를 회동하게 마련된다. 제 2 위치(P2)는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보조세탁공간(120a)에 있는 세탁수가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배출되도록 기울어지는 위치를 말한다. 제 2 위치(P2)는 제 1 위치(P1)와,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보조세탁유닛(120)의 위치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보조배수구(130)는 인접한 측면부(126)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세탁수가 측면부(126)의 상단부를 넘어 흘러넘치지 않도록 기울여도 충분히 보조배수구(130)를 통해 세탁수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10)가 도어회동축(114a)을 축으로 본체에 대해 회동하고, 보조세탁유닛(1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축으로 도어에 대해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10)가 보조세탁유닛(12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무방하고, 보조세탁유닛(120)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댐핑유닛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힌지유닛(260)이 부각되도록 인접한 구성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힌지유닛(260)을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힌지유닛(260)을 포함한다.
힌지유닛(260)은 도어어셈블리(10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이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하여 개구(24)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힌지유닛(260)은 도어어셈블리(100)의 일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힌지유닛(260)은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축(114a, 140a)상에 마련되어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을 댐핑하는 댐핑유닛(262)을 포함할 수 있다.
댐핑유닛(262)은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개폐과정에서 개폐속도를 늦추도록 댐핑력을 발생시킨다. 댐핑유닛(262)을 통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개폐속도를 늦춰, 폐쇄시 캐비닛(10)와의 충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개폐과정에서 회동부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개폐할 때, 충격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댐핑유닛(262)은 도어(110)의 회동을 댐핑하며 도어(110)의 도어회동축(114a)상에 마련되는 도어댐핑유닛(270)과,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을 댐핑하며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회동축(140a)상에 마련되는 보조댐핑유닛(2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댐핑유닛(270)과 보조댐핑유닛(280)이 마련되어, 각각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에 영향을 주지만, 도어댐핑유닛(270)과 보조댐핑유닛(280) 중 어느 하나만이 배치되어 도어어셈블리(100)의 회동에 영향을 주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댐핑유닛(270)과 보조댐핑유닛(280)이 각각 복수개가 마련되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에 영향을 주어도 무방하다.
도어댐핑유닛(270)과 보조댐핑유닛(280)은 각각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과 결합되어, 각각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댐핑유닛(270)과 보조댐핑유닛(280)의 배치방향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상호간에 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호간에 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면,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어댐핑유닛(270)은 캐비닛(10)에 고정되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도어댐퍼(272)와, 도어댐퍼(272)와 연결되어 댐핑력을 전달받으며 도어(1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도어댐퍼축(27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댐퍼(272)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댐퍼(272)는 스프링댐퍼로 구성되므로, 캐비닛(10) 내부에서 공간활용성을 높이도록 캐비닛(10)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어댐퍼축(274)은 도어(110)의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댐퍼(272)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댐퍼축(274)의 일단은 도어댐퍼(272)에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10)에 고정되어 도어(11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배치을 통해 도어(110)의 회동시 도어댐퍼(272)로부터 댐핑력을 전달받아 도어(110)의 회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댐퍼축(27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댐퍼(272)에 연결되며, 도어(110)의 도어회동축(114a)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어댐퍼축(274a)과, 제 1 도어댐퍼축(274a)으로부터 절곡되어 도어(11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도어(110)의 도어회동축(114a)의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2 도어댐퍼축(27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어댐퍼축(274b)이 도어(110)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도어(110)의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도어(110)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도어댐퍼축(274b)은 도어(110)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댐퍼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어댐퍼축(27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댐퍼(272)가 도어(110)의 회동에 댐핑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댐핑유닛(280)은 캐비닛(10)에 고정되어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보조댐퍼(282)와, 보조댐퍼(282)와 연결되어 댐핑력을 전달받으며 도어(1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보조댐퍼축(284)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댐퍼(282)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댐퍼(282)는 스프링댐퍼로 구성되므로, 캐비닛(10) 내부에서 공간활용성을 높이도록 캐비닛(10)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조댐퍼축(284)은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보조댐퍼(282)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댐퍼축(284)의 일단은 보조댐퍼(282)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조세탁유닛(120)에 고정되어 보조세탁유닛(120)과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보조댐퍼축(284)의 타단은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회동부에 결합되어, 보조세탁유닛(120)과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시 보조댐퍼(282)로부터 댐핑력을 전달받아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보조댐퍼축(284)은 보조세탁유닛(120)의 보조회동축(140a)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보조댐퍼축(284a)과, 제 1 보조댐퍼축(284a)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보조회동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 2 보조댐퍼축(28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보조댐퍼축(284b)은 인접한 제 1 보조댐퍼축(284a)보다 단면적이 넓도록 형성되어, 보조회동부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조댐퍼축(284)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보조댐퍼(282)가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에 댐핑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이를 만족한다.
이하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13a, 1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댐핑유닛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힌지유닛(360)이 부각되도록 인접한 구성을 점선으로 도시하고, 힌지유닛(360)을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어셈블리(100)가 힌지유닛(360)을 포함한다.
힌지유닛(360)은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축(114a, 140a)상에 마련되어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의 회동을 댐핑하는 댐핑유닛(36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댐퍼유닛이 오일댐퍼인 것을 포함한다. 댐퍼유닛의 배치와 형상에 대해서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어댐퍼(372)와 보조댐퍼(382)가 오일댐퍼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댐퍼(372)와 보조댐퍼(382)는 오일댐퍼로 구성되고, 도어댐퍼축(374)과 보조댐퍼축(384)은 제 2 실시예서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도어댐퍼축(374a), 제 2 도어댐퍼축(374b), 제 1 보조댐퍼축(384a), 제 2 보조댐퍼축(384b), 댐퍼고정부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하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도어어셈블리(400)가 회동샤프트(460)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은 동일한 회동축(114a, 140a)을 가지고 회동하게 되는데,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의 동작을 회동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회동축(114a, 140a)상에 배치되는 회동샤프트(460)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샤프트(460)는 회동축(114a, 140a)상에 배치되어,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460)는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이 회동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460)는 대략 봉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에 고정 및 결합되도록, 단면이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동샤프트(460)는 도어(410)의 회동을 구속하는 도어구속부(462)와, 도어구속부(462)로부터 회동축(114a, 140a)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보조세탁유닛(420)의 회동을 구속하는 보조구속부(4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구속부(462)는 도어(410)의 도어회동축(114a)을 따라 형성되는 도어관통홀(410a)에 관통되어 도어(410)의 회동을 구속하며, 보조구속부(464)는 보조회동부의 보조관통홀(420a)에 관통되어 보조세탁유닛(420)의 회동을 구속하게 된다.
도어구속부(462)와 보조구속부(464)는 동일한 회동축(114a, 140a)을 가지고 회동하지만, 상호간에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410)와 보조세탁유닛(420)이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보조세탁유닛(520)이 도어(5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보조세탁유닛(520)은 보조세탁공간(120a)을 형성하고 도어(510)의 내측에서 회동하도록 마련되며, 도어(5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520)이 도어(5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도어(510)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면 이를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회동부(540)의 일측에는 도어(510)의 회동돌기(118)에 대응되는 회동홀(142)이 마련되어 도어(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이 되고, 보조회동부(540)의 타측에는 도어(510)의 삽입홀에 대응되는 핀홀더(560)가 배치되어 도어(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핀홀더(560)는 보조세탁유닛(520)에 배치되며, 보조세탁유닛(520)의 회동의 중심이 되는 보조회동축(140a)을 형성하여 도어(510)의 내측에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또한 도어(510)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핀홀더(560)가 형성하는 보조회동축(140a)은 도어(510)의 회동중심이 되는 도어회동축(114a)과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핀홀더(560)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회동부(540)에 배치될 수 있다. 핀홀더(560)는 보조세탁유닛(520)의 보조회동부(540)에 고정되는 홀더본체(562)와, 홀더본체(562)로부터 보조세탁유닛(520)의 보조회동축(140a)의 축방향을 따라 진퇴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도어(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돌기(56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본체(562)는 보조회동부(54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며, 보조회동축(140a)방향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는 이동돌기(564)가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돌기(564)는 홀더본체(562)에 대해 진퇴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40a)방향을 따라 홀더본체(562)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위치(564a)와, 홀더본체(562)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위치(564b)를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즉, 보조세탁유닛(520)이 도어(510)에 장착될 때는 이동돌기(564)가 돌출위치(564a)에 배치되어 보조세탁유닛(520)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며, 보조세탁유닛(520)을 도어(510)로부터 분리시킬 때는 삽입위치(564b)에 배치되어 보조세탁유닛(520)이 도어(5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핀홀더(560)는 탄성부재(5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66)는 이동돌기(564)의 이동경로상에 마련되며, 홀더본체(562)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동돌기(564)가 진퇴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동돌기(564)는 외력에 의해 돌출위치(564a)로부터 삽입위치(564b)로 이동하고, 탄성부재(566)의 복원력에 의해 삽입위치(564b)에서 돌출위치(564a)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동돌기(564)를 돌출위치(564a)와 삽입위치(564b)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돌기(564)에 모터를 연결하여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이동돌기(564)를 돌출위치(564a)에서 삽입위치(564b)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보조세탁유닛(520)을 도어(510)에 탈착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a, 17b, 17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보조세탁유닛의 분리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a와 같이 보조세탁유닛(520)이 도어(51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돌기(564)가 돌출위치(564a)에 배치된다. 보조세탁유닛(520)은 이동돌기(564)와 도어(510)의 회동돌기(118)를 통해 보조회동축(140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520)을 도어(510)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도 17b, 17c와 같이 이동돌기(564)를 돌출위치(564a)로부터 삽입위치(564b)로 이동시키면서 보조세탁유닛(520)이 도어(510)로부터 구속되지 않도록 한다. 보조세탁유닛(520)을 도어(510)로부터 분리시킨 후에는 탄성부재(566)에 의해 이동돌기(564)가 삽입위치(564b)로부터 돌출위치(564a)로 복귀하게 된다.
이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어셈블리(600)는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회동축(114a, 140a)이 개구(24)의 후방에 배치되어, 도어어셈블리가 이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610)의 도어회동축(614a)와 보조세탁유닛(620)의 보조회동축(640a)가 개구(24)의 측방에 배치되어, 도어어셈블리(600)가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도어어셈블리(600)는 개구(24)의 측방 중 어느 일측과 인접한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본체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어셈블리(600)의 도어(610)와 보조세탁유닛(620)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구(24)를 개폐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힌지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어어셈블리(700)는 도어(710)와 보조세탁유닛(720)이 모두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720)은 본체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캐비닛(10)에 연결되고, 도어(110)는 캐비닛(10)에 대해 회전하기 위해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캐비닛(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회전축은 보조회동부(740)를 지나는 보조회동축(740a)이 될 수 있고, 제 2 회전축은 수용부(714)를 지나는 도어회동축(714a)일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720)과 도어(710)은 각각 제 1 도어(720)와 제 2 도어(710)로 칭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회동부(740)와 수용부(714)는 각각 제 1 도어-캐비닛결합부(740)와 제 2 도어-캐비닛결합부(714)라 칭할수도 있다. 제 1도어-캐비닛결합부(740)와 제 2 도어-캐비닛결합부(714)는 각각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도어(710)에는 수용부(714)가 마련되고, 도어회동부(710a)가 수용부(714)에 삽입됨으로서, 도어(7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710)의 외측면에서 도어(710)가 도어회동축(714a)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도어회동축(714a)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회동부(710a)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도어(710)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보조세탁유닛(720)은 캐비닛(10)에 마련되는 보조힌지(749)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유닛(720)이 도어(7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세탁유닛(720)이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힌지(749)는 캐비닛(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보조힌지몸체(749a)와 보조힌지몸체(749a)로부터 돌출형성되어 보조세탁유닛(720)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힌지샤프트(749b)를 포함한다. 보조힌지샤프트(749b)을 통해 보조세탁유닛(720)의 보조회동축(740a)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힌지샤프트(749b)는 보조회동부(140)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40a)이 보조힌지샤프트(749b)를 지나도록 마련된다.
보조힌지몸체(749a)는 캐비닛(10)으로부터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며, 보조힌지샤프트(749b)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힌지몸체(749a)는 캐비닛(10)에서 개구(24)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힌지몸체(749a)에는 보조힌지댐퍼(미도시)가 마련되어, 보조힌지샤프트(749b)의 회동을 댐핑할 수 있다.
도면부호 712는 투명부재로서, 이전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록킹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고정하는 록킹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록킹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록킹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은 도 23a의 I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1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록킹 구조를 포함한다. 일례로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태의 록킹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록킹부를 간섭할 수 있는 간섭부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간섭부에 의한 간섭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10)에 록킹부(180)가 구비되고, 보조세탁유닛(120)에 간섭부(121a)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어(110)에는 록킹부(180)가 구비되고, 보조세탁유닛(120)에는 간섭부(121a)가 구비되어, 록킹부(180)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결합될 수 있다. 록킹부(180)는 도어핸들부(152) 측에 위치될 수 있다. 간섭부(121a)는 록킹부(180)가 위치되는 도어핸들부(152)의 위치에 대응되는 보조세탁유닛(120)의 전방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간섭부(121a)는 후술할 록킹부(180)의 돌출부(184)가 간섭될 수 있도록 보조세탁유닛(120)의 전방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록킹부(180), 간섭부(121a)의 위치, 형태는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록킹부(180)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되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도어어셈블리(100)가 록킹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록킹부(180)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상태를, 도어어셈블리(100)가 록킹 해제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의 하부에는 록킹부(180)가 위치될 수 있다. 록킹부(180)는 회전축(18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록킹부(180)는, 도어핸들부(152)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는 조작부(182), 조작부(182)의 일면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돌출연장된 연장부(183) 및 연장부(183)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83)는 조작부(182)의 일면과 약 90 °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84)는 연장부(183)의 단부 측에 위치한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84)는 보조세탁유닛(120)에 구비된 간섭부(121a)에 의해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조작부(182)의 일측에는 회동돌기(181)가 구비될 수 있다. 조작부(182)가 회전축(186)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돌기(181)는 회전축(186)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도어핸들부(152)에 인접한 도어(110)에는 회동돌기(181)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151)가 마련될 수 있다. 회동돌기(181)는 수용부(15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동돌기(181)의 일측에는 회동홀(181a)이 형성될 수 있다. 회동홀(181a)은 소정의 폭(La1)을 갖고 회전축(186)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어(110)에 마련된 수용부(151) 내에는 삽입부(151a)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51a)는 회전축(186)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동홀(181a)의 폭(La1)은 삽입부(151a)의 두께(La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회동돌기(181)가 회전축(186)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면, 회동홀(181a)의 내측면은 삽입부(151a)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돌기(181)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록킹부(180)는 탄성부재(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 위치(OP) 또는 폐쇄위치(CP)에 있을 때,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부재(185)는 돌출부(184)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킹부(180)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85)는 조작부(182)의 상부면을 하부로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85)에 의해 조작부(182)는 회전축(186)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184)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 위치(OP) 또는 폐쇄위치(CP)에 있고 외력이 없는 한,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록킹부(18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탄성부재(185)의 탄성력이 조작부(182)에 가하는 힘과 반대 방향의 힘을 조작부(182)를 가하여 록킹부(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탄성부재(185)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조작부(182)의 저면을 상부로 가압하면 조작부(182)는 회전축(18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출부(184)가 간섭부(121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록킹부(180)의 록킹 상태는 해제되고,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회동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에 있을 때, 사용자는 조작부(182)를 가압한 상태로 도어핸들부(152)를 동작시켜 도어(110)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개구(24) 커버하도록 배치된 보조세탁유닛(120)에서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어어셈블리(1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사용자는 조작부(182)를 가압한 상태로 보조핸들부(154)를 동작시켜 보조세탁유닛(120)에 의해 세탁기(1)의 개구(24)가 커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록킹부(180)에 의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록킹부(180)에 가해진 외력이 없으면 사용자는 핸들부(150)를 동작시켜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 보조세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록킹부(180)에 외력을 가하지 않고 핸들부(150)를 조작하여 도어어셈블리(100)를 개방위치(OP), 폐쇄위치(CP)에 편리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록킹부(180)의 조작부(182)를 가압하여 록킹부(180)의 록킹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록킹부(18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은 각각 별개로 회동축(114a, 140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어셈블리(100)를 보조세탁위치(SP)에 위치시켜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10) 또는 보조세탁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 측으로 회동시켜 돌출부(184)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돌출부(184)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될 수 있도록 위치되면, 외력이 없는 한 탄성부재(185)에 의해 돌출부(184)가 간섭부(121a)에 의해 간섭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어셈블리(100)는 록킹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도어핸들부(152)를 조작하여 도어(110)를 오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유닛(120)에서 보조세탁을 하고, 보조세탁이 끝나면 보조핸들부(154)를 조작하여 보조세탁유닛(120)을 도어(110) 측으로 회동시키고 세탁물을 메인세탁공간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세탁물이 메인세탁공간으로 투입되면 사용자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20)을 모두 회동시켜 개구(24)를 차단하도록 폐쇄위치(CP)에 위치시킨다. 도어어셈블리(100)가 폐쇄위치(CP)에 위치되면 세탁기(1)에 의한 본 세탁을 진행시킬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800)는 도어(810) 및 보조세탁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800)는 개구(801a)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8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100)에 관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800)는 캐비닛(801)의 상부에 마련되어, 개구(803)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캐비닛(801)의 일측에는 도어어셈블리(8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회동부(810a)가 마련될 수 있다. 회동부(810a)는 회동축 방향으로 돌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도어(810)에 마련된 수용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810)가 캐비닛(80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동부(810a)의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802는 세제공급장치(802)이다.
도어(810)에는 도어(810)가 개구(803)를 폐쇄하는 상태에서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812)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은 보조세탁공간(82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82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82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될 수 있고,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은 도어(810)의 회동축과 동일한 회동축을 갖고 도어(810)의 내측에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의 전방에는 핸들부(850)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850)를 조작하여 도어어셈블리(800)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800)가 캐비닛(801)에 장착되면, 핸들부(850)는 도어(8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어(810)의 전후 방향의 폭(W1)은 핸들부(850)를 포함한 보조세탁유닛(820)의 전후 방향의 폭(W2)보다 짧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의 보조세탁공간(820a)은 바닥부(824) 및 측면부(826)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부(824)는 보조세탁공간(820a)의 깊이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바닥부(824)는 평평하게 마련되거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826)는 바닥부(824)를 향해 구배되도록 형성된다. 바닥부(824) 및 측면부(826)는 대략적으로 오목한 보조세탁공간(820a)을 갖도록 마련되어, 보조세탁공간(820a)의 세탁수를 받아 별도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바닥부(824) 및 측면부(826)에는 복수의 마찰돌기(727)가 형성되어 손세탁시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켜 세탁물의 때가 잘 빠지도록 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은 보조배수구(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배수구(830)는 측면부(721a)에 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공간(820a)에 저수된 세탁수는, 보조세탁유닛(820)이 회동하면 보조배수구(8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보조배수구(830)의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세탁유닛(820)은 안착플랜지(8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랜지(832)는 보조세탁유닛(820)의 상단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캐비닛(801)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801)에는 안착플랜지(83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에는 보조급수구(60)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8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보조급수구(60)에 대응되는 세탁수유입구(834)가 마련될 수 있다. 세탁수유입구(834)는 보조세탁공간(820a)을 형성하는 측면부(721a)의 상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세탁수유입구(834)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급수구(60)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가 보조세탁유닛(820)의 측면부(721a)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개방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보조세탁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800)의 도어(810) 및 보조세탁유닛(820)은 캐비닛(80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어(810)의 회동축 및 보조세탁유닛(820)의 회동축은 동일한 측면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은 동일한 회동축(R)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세탁유닛(820)에는 회동축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보조회동부(840)가 형성되고, 도어(810)의 일측에는 보조회동부(840)에 대응되는 삽입부(816)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의 회동축과 도어(810)의 회동축이 일치하도록, 보조회동부(840)는 삽입부(816)에 삽입되어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100)와 유사하게, 도 25 내지 도 28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800)는 폐쇄위치(CP), 보조세탁위치(SP) 및 개방위치(OP)에 위치될 수 있다. 폐쇄위치(CP)는 도어어셈블리(800)가 개구(801a)를 폐쇄하도록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에 의해 개구(801a)가 커버되는 위치이다. 보조세탁위치(SP)는 보조세탁유닛(820)에 의해 보조세탁이 가능하도록 폐쇄위치(CP)로부터 도어(810)는 회동축(R)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보조세탁유닛(820)만에 의해 개구(801a)가 커버되는 위치이다. 개방위치(OP)는 개구(801a)를 통해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도어어셈블리(800)가 개구(801a)를 개방하는 위치이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에만 도어어셈블리(800)는 보조세탁위치(SP)에 위치시켜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도어(810)의 전후 방향의 폭(W1)은 핸들부(850)를 포함한 보조세탁유닛(820)의 전후 방향의 폭(W2)보다 짧게 마련되므로, 도어어셈블리(800)가 폐쇄위치(CP)에 있을 때 사용자가 핸들부(850)를 조작하여 도어어셈블리(800)를 회동시키면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이 함께 회동축(R)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어어셈블리(800)가 개방위치(OP)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세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핸들부(850)를 조작하여 도어어셈블리(800)를 회동축(R)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폐쇄위치(CP) 또는 개방위치(OP)로 편리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 도어어셈블리(800)가 개방위치(OP)에 있는 상태에서 보조세탁유닛(820)만을 회동축(R)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동시켜 도어어셈블리(800)가 보조세탁위치(SP)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800)가 개방위치(OP)에 있을 때,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록킹 수단이 도어어셈블리(8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을 고정하는 록킹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9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의 록킹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가 록킹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도어어셈블리(800)는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이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록킹 구조를 포함한다. 일례로 도어(810) 또는 보조세탁유닛(820)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형태의 록킹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록킹부를 간섭할 수 있는 간섭부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간섭부에 의한 간섭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810)에 록킹부(880)가 구비되고, 보조세탁유닛(820)에 간섭부(821a)가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록킹부(880)는 도어(810)의 전방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록킹부(880)는 도어(8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조작부(882) 및 조작부(88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88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882)는 회전축(88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도어(810)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810)의 일측에는 조작부(882)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811)가 구비되고, 회전축(886)은 수용부(811)의 내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820)에는 록킹부(88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82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821)의 하부에는 돌출부(884)를 간섭할 수 있는 간섭부(821a)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882)가 관통홀(821)을 통과하여 돌출부(884)가 간섭부(821a)에 의해 간섭되면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은 분리되지 않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도어어셈블리(800)가 록킹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 도어어셈블리(800)가 개방위치(OP)에 위치된 상태에서 조작부(882)를 조작하여 돌출부(884)가 간섭부(821a)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884)가 간섭부(821a)로부터 이격되도록 조작부(882)를 회전축(886)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도어어셈블리(80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이 각각 별개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조세탁유닛(820)을 캐비닛(801)의 상부에 안착시켜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보조세탁 중 또는 보조세탁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보조세탁유닛(820)을 도어(810) 측으로 회동시켜 돌출부(884)가 간섭부(821a)에 의해 간섭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어셈블리(800)가 다시 록킹 상태가 될 수 있다.
록킹부(880)는 탄성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록킹부(880)를 가압하여, 도어어셈블리(800)가 개방위치(OP) 또는 폐쇄위치(CP)에 있을 때 외력이 없는 한 돌출부(884)가 간섭부(821a)에 의해 간섭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810)와 보조세탁유닛(820)은 외력이 없는 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어셈블리(800)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다.
도어어셈블리(800)가 폐쇄 위치(CP)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850)를 조작하여 도어어셈블리(800)를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어어셈블리(800)를 개방위치(OP)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보조세탁이 필요하면, 사용자는 록킹부(880)를 가압하여 록킹 상태를 해제시키고 보조세탁유닛(820)을 캐비닛(801) 측으로 내려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보조세탁이 완료되면 보조세탁유닛(820)을 도어(810) 측으로 올려 세탁물을 메인세탁공간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세탁물을 투입한 후 도어어셈블리(800)를 내려 폐쇄위치(CP)에 위치시키고 세탁기(1)에 의한 본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록킹 수단에 의해 도어어셈블리가 록킹된 상태에서는 도어와 보조세탁유닛이 결합되어 함께 회동하고,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는 보조세탁유닛이 도어와 별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보조세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편리하게 도어와 보조세탁유닛을 한꺼번에 회동시킬 수 있고, 보조세탁이 필요한 경우에만 도어어셈블리를 록킹 해제시켜 도어어셈블리가 보조세탁위치(SP)에 위치되도록 하여 보조세탁을 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세탁유닛(920)은 바닥부(924)와 측면부(9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922)를 포함한다. 측면부(926)는 바닥부(924)를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닛몸체(922)에는 보조세탁이 용이하도록 마찰돌기(928)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찰돌기(928)는 복수의 물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찰돌기(928)의 형상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닥부(924)에는 제1보조배수구(931)가 형성되고 측면부(926)에는 제2보조배수구(9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보조배수구(931)는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9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커버(932)에 의해 제1보조배수구(931)가 개방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세탁유닛(920)에 물이 저수된 상태에서 보조세탁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커버(932)가 제1보조배수구(931)를 차단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세탁시 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커버(932)가 제1보조배수구(931)를 개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920)에 물이 저수된 상태에서 보조세탁이 이루어질 때, 측면부(926)에 형성된 제2보조배수구(930)를 통해 넘치는 물은 메인세탁공간으로 배수될 수 있다.
제2보조배수구(930)의 주변에는 나선형의 유로가이드(931a)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931a)에 의해 보조세탁유닛(920) 내의 배수가 더욱 잘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920)에는 비누보관함 또는 솔거치대 등이 더 마련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는 제 1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 33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어셈블리(1000)는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0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020)은 바닥부(1024)와 측면부(1026)로 구성되는 유닛몸체(10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020)은 각각 캐비닛(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110)는 도어회동축(114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1020)은 보조회동축(1040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040a)은 개구(104)로부터 다른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020)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회동축(114a)과 보조회동축(1040a)이 나란하게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도어(110)는 캐비닛(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고, 보조세탁유닛(1020)은 캐비닛(10)에 대해 캐비닛(10)의 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1020)은 보조회동부(1040)를 포함한다.
보조회동부(1040)는 유닛몸체(1022)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조회동축(1040a)이 유닛몸체(1022)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조세탁유닛(1020)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보조세탁유닛(1020)의 회전시 유닛몸체(1022)가 도어(110)나 캐비닛(1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측부에는 보조세탁유닛(1020)의 보조회동부(104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016)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도어(110)와 보조세탁유닛(1020)의 회동방향을 달리함으로서, 보조세탁유닛(1020)이 개구(104)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도, 이와 상관없이 도어(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보조세탁유닛(1020)과 도어(110)는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4, 3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어셈블리와 그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세탁기와 도어어셈블리의 회전결합구성을 달리하는 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도어어셈블리(1200)는 도어(1210)는 보조세탁유닛(122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보조세탁유닛(1220)은 캐비닛(10)에 대해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유닛(1220)은 캐비닛(10)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캐비닛(10)에 대해 연결되고, 도어(1210)는 캐비닛(10)에 대하여 회전하기 위해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보조세탁유닛(1220)에 대해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회전축은 보조회동축(1240a)일 수 있고, 제 2 회전축은 도어회동축(1214a)일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220)과 도어(1210)은 각각 제 1 도어(1220)와 제 2 도어(1210)로 칭할 수도 있다. 제 1 도어는 캐비닛(10)와 힌지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어-캐비닛결합부와, 제 2 도어와 힌지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도어-도어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도어-캐비닛결합부(1240aa)는 보조힌지(749)(제 7 실시예 참고)에 대응되는 보조세탁유닛(1220)의 보조회동부(1240)의 일측일 수 있다.
제 1 도어-도어결합부(1240bb)는 도어(110)의 삽입부(116)(제 1 실시예 참고)에 대응되는 보조세탁유닛(1220)의 보조회동부(1240)의 타측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회동부(1240)의 일측은 제 1 도어-캐비닛결합부로서, 보조회동부(1240)의 타측은 제 1 도어-도어결합부로서 마련되나, 제 1 도어-캐비닛결합부와 제 1 도어-도어결합부는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 2 도어는 제 1 도어-도어결합부와 힌지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도어-도어결합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어-도어결합부(1216)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110)의 삽입부(116)일 수 있다.
도면부호 1212 는 각각 투명부재로서, 이전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또한 도면부호 749, 749a, 749b는 각각 제 7 실시예에서의 보조힌지(749), 보조힌지몸체(749a), 보조힌지샤프트(749b)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고정조 11a : 메인세탁공간
12 : 회전조
100 : 도어어셈블리 110 : 도어
110a : 도어회동부
112 : 투명부재 114 : 수용부
114a : 도어회동축 116 : 삽입부
118 : 회동돌기 120 : 보조세탁유닛
120a : 보조세탁공간 122 : 유닛몸체
124 : 바닥부 126 : 측면부
128 : 마찰돌기 130 : 보조배수구
132 : 안착플랜지 134 : 세탁수유입구
140 : 보조회동부 140a : 보조회동축
142 : 회동홀 143 : 회동핀유닛
260 : 힌지유닛 262 : 댐핑유닛
270 : 도어댐핑유닛 272 : 도어댐퍼
274 : 도어댐퍼축 280 : 보조댐핑유닛
282 : 보조댐퍼 284 : 보조댐퍼축
410a : 도어관통홀 420a : 보조관통홀
460 : 회동샤프트 462 : 도어구속부
464 : 보조구속부
510 : 도어 520 : 보조세탁유닛
540 : 보조회동부 560 : 핀홀더
562 : 홀더본체 564 : 이동돌기
566 : 탄성부재

Claims (18)

  1. 제1세탁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부가 개방된 제2세탁공간이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
    상기 보조세탁유닛을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회동부를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회동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돌기; 및
    상기 이동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회동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회동홀; 및
    상기 회동홀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회동핀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핀유닛은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회동핀;과,
    상기 회동핀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회동핀이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가압되어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핀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세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간섭부와 상기 슬라이딩부 중 적어도 하나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8. 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대해 상대 운동이 가능한 보조세탁유닛; 및
    상기 도어에 대한 상기 보조세탁유닛의 상대 운동을 방지하는 록킹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보조세탁유닛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간섭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도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탁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도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돌출부와 간섭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세탁유닛으로부터 돌출되는 세탁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조작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동돌기와,
    상기 회동돌기를 수용하고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의 외면에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돌기의 회전을 제한하는 삽입부가 마련되는 세탁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조작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가 상기 간섭부와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도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세탁기.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가 상기 간섭부에 간섭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세탁유닛은 상기 도어와 함께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한 세탁기.
KR1020150046529A 2014-02-25 2015-04-01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KR20150100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98 2014-02-25
KR20140022198 2014-02-25
KR1020140027423 2014-03-07
KR20140027423 2014-03-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20A Division KR102350209B1 (ko) 2014-02-25 2015-01-22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580A true KR20150100580A (ko) 2015-09-02

Family

ID=542421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20A KR102350209B1 (ko) 2014-02-25 2015-01-22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KR1020150046529A KR20150100580A (ko) 2014-02-25 2015-04-01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520A KR102350209B1 (ko) 2014-02-25 2015-01-22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9340915B2 (ko)
EP (1) EP2952622B1 (ko)
KR (2) KR102350209B1 (ko)
CN (1) CN105189847B (ko)
BR (1) BR112015019226B1 (ko)
CA (1) CA2898050C (ko)
MX (1) MX363968B (ko)
MY (1) MY174737A (ko)
PH (1) PH12015501629A1 (ko)
PL (1) PL2952622T3 (ko)
WO (1) WO201513001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439A1 (en) * 2015-12-08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O2017119655A1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4713S1 (en) 2014-08-19 2016-12-20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59912S1 (en) * 2014-08-19 2016-06-21 Whirlpool Corporation Topload washing appliance
USD762931S1 (en) * 2014-10-10 2016-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board for washing machine
CA163035S (en) * 2014-12-22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for washing machine
CA163029S (en) * 2014-12-22 2016-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761506S1 (en) * 2014-12-22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for washing machine
USD772504S1 (en) * 2015-02-13 2016-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for washing machine
US10047474B2 (en) * 2015-03-13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807606S1 (en) 2015-08-17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board for washing machine
WO2017050441A1 (en) * 2015-09-24 2017-03-30 Unilever N.V. Substrate washing device
USD818220S1 (en) * 2015-12-03 2018-05-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818216S1 (en) * 2015-12-11 2018-05-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faucet and washbasin
USD827235S1 (en) * 2015-12-30 2018-08-2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827227S1 (en) * 2015-12-30 2018-08-2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D833091S1 (en) 2016-03-09 2018-11-06 Whirlpool Corporation Dryer
USD847444S1 (en) 2016-03-09 2019-04-30 Whirlpool Corporation Washing machine
CN107237095A (zh) * 2016-03-29 2017-10-1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7313212B (zh) * 2016-04-26 2021-01-26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一种洗涤盆和洗衣机
JP2018102753A (ja) * 2016-12-27 2018-07-0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洗濯機
KR102643325B1 (ko) 2017-01-03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US20180216281A1 (en) * 2017-02-02 2018-08-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with rotatable pretreat boards
CN106868776A (zh) * 2017-03-15 2017-06-20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US10422067B2 (en) 2017-03-15 2019-09-2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with a pretreat cover
US10246922B2 (en) * 2017-03-20 2019-04-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ampener for an appliance
CN107022868B (zh) * 2017-05-23 2021-09-21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分洗洗衣机及其运行控制方法
US10233587B2 (en) * 2017-05-23 2019-03-19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comprising a scrubbing tool
KR102407650B1 (ko) 2017-05-24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27460B1 (ko) 2017-05-24 202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22514B1 (ko) 2017-05-24 202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07299498B (zh) * 2017-05-26 2020-04-1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门盖组件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USD878686S1 (en) * 2017-07-12 2020-03-17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US10676856B2 (en) * 2017-09-07 2020-06-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107558103A (zh) * 2017-10-20 2018-01-09 深圳市奇思妙想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低噪洗衣机
US10753026B2 (en) 2018-02-21 2020-08-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
US20190382942A1 (en) * 2018-06-13 2019-12-1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Washing machine appliances having pre-treatment agitation features
USD942715S1 (en) 2018-10-08 2022-02-01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JP2020089458A (ja) * 2018-12-04 2020-06-1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槽の開閉蓋、および、これを備えた縦型洗濯機
US11371180B2 (en) * 2018-12-0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pray arm assembly
CN109893067A (zh) * 2019-03-27 2019-06-18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门体操控结构及洗碗机
US11499259B2 (en) 2019-10-15 2022-11-15 Whirlpool Corporation Detachable pretreat sink for laundry appliance having an operable washboard
CN110685107B (zh) * 2019-10-18 2024-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超声波装置和衣物处理设备
US11214998B2 (en) * 2019-12-30 2022-01-04 Whirlpool Corporation Resilient retainer for a hinge assembly of an appliance door panel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0037A (en) * 1917-04-23 1917-09-11 George T Ellis Washtub and washboard combined.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039286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Drain overflow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039284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Mounting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US3309903A (en) * 1966-02-07 1967-03-21 Shirley A Despins Diaper washing board
US3575020A (en) * 1969-01-14 1971-04-13 Philco Ford Corp Laundry apparatus
US3760612A (en) * 1971-08-10 1973-09-25 Gen Electric Additive dispensing system
FR2218421B1 (ko) * 1973-02-19 1976-09-10 Amiens Const Electro Mec
JPS588484U (ja) * 1981-06-01 198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脱水洗濯機
JPS588484A (ja) 1981-07-09 1983-01-18 Hidekazu Okuhara 小型船舶の推進力測定方法
KR930006264Y1 (ko) * 1991-05-25 1993-09-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삶아 세탁하는 세탁기의 수조개폐장치
KR930004677Y1 (ko) * 1991-06-11 1993-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삶아 세탁하는 세탁기의 응축수단을 갖는 수조뚜껑
JP2929881B2 (ja) 1992-01-31 1999-08-03 日本鋼管株式会社 エッチング加工性に優れたシャドウマスク用金属薄板
US5253493A (en) * 1992-02-18 1993-10-19 Shigeo Ohashi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JPH0711754Y2 (ja) * 1992-10-16 1995-03-22 重雄 大橋 洗濯機兼用洗槽
KR0130587Y1 (ko) * 1995-11-09 1998-12-15 김광호 세탁기의 뚜껑
KR100220751B1 (ko) * 1997-08-12 1999-09-15 윤종용 세탁기의 보조 세탁장치
WO1999034176A1 (fr) * 1997-12-26 1999-07-08 Ngk Insulators, Ltd. Detecteur de masse a deux tetes et procede de detection de masse
KR100277100B1 (ko) 1998-08-13 2001-01-15 윤종용 플렉스 방식 페이저의 자기위상 메시지 수신방법
KR20000013789U (ko) * 1998-12-29 2000-07-15 전주범 세탁기의 도어연결장치
US6327729B1 (en) * 1999-03-31 2001-12-11 Maytag Corporation Washer lid having fluid dispens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161401A (en) * 1999-03-31 2000-12-19 Maytag Corporation Apparatus for assembling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US6353954B1 (en) * 1999-03-31 2002-03-12 Maytag Corporation Laundry pretreatment system
US6216498B1 (en) * 1999-03-31 2001-04-17 Maytag Corporation Sealed top cover and lid for washing machine
TW457137B (en) * 1999-04-28 2001-10-01 Sharp Kk Washer having a partial washing apparatus
JP2002184666A (ja) 2000-12-13 2002-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露光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739293B2 (ja) *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KR100847555B1 (ko) * 2001-12-27 2008-07-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
US20050016073A1 (en) * 2002-10-28 2005-01-27 Gabriel Petta Casement window system and components and hardware therefor
JP2005000583A (ja) * 2003-01-20 2005-01-0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US20040200243A1 (en) * 2003-04-10 2004-10-14 Maytag Corp. Washing machine inner lid attachment
US8763619B2 (en) * 2003-09-09 2014-07-01 Heritage-Crystal Clean, Llc Combination agitating parts washer and sink washer
US7296443B2 (en) * 2003-09-15 2007-11-20 Haier America Trading, Llc Top-load sink/laundry combo
US20050274154A1 (en) * 2004-06-10 2005-12-15 Maytag Corporation Appliance wire harness clip
EP2295624B1 (en) * 2005-01-14 2012-05-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US8225804B2 (en) * 2007-03-02 2012-07-24 Safety-Kleen Systems, Inc. Multipurpose aqueous parts washer
KR100962839B1 (ko) * 2008-03-19 201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20110050060A1 (en) * 2009-07-31 2011-03-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N102182043A (zh) * 2011-04-29 2011-09-14 李守林 一种双洗便捷节水洗衣机
CN202055043U (zh) * 2011-04-29 2011-11-30 李守林 一种双洗便捷节水洗衣机
KR20130001857U (ko) * 2011-09-09 2013-03-19 조명숙 다목적 빨래판
US9404213B2 (en) * 2011-11-09 2016-08-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appliance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freshening contents thereof
KR102295086B1 (ko) * 2014-12-04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439A1 (en) * 2015-12-08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20170067401A (ko) * 2015-12-08 2017-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9873973B2 (en) 2015-12-08 2018-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08368663A (zh) * 2015-12-08 2018-08-03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CN108368663B (zh) * 2015-12-08 2021-01-01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
WO2017119655A1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가전기기
KR20170081845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가전기기
US10865513B2 (en) 2016-01-05 202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9226B1 (pt) 2023-02-14
CA2898050C (en) 2017-05-23
MX2015010627A (es) 2016-01-11
EP2952622A1 (en) 2015-12-09
CA2898050A1 (en) 2015-08-25
MX363968B (es) 2019-04-10
AU2015204394A1 (en) 2015-09-10
US11365508B2 (en) 2022-06-21
PL2952622T3 (pl) 2018-02-28
US20150267337A1 (en) 2015-09-24
WO2015130015A1 (ko) 2015-09-03
KR102350209B1 (ko) 2022-01-14
US9340915B2 (en) 2016-05-17
KR20150100498A (ko) 2015-09-02
MY174737A (en) 2020-05-12
CN105189847B (zh) 2017-04-12
US20150252508A1 (en) 2015-09-10
CN105189847A (zh) 2015-12-23
US10450687B2 (en) 2019-10-22
EP2952622B1 (en) 2017-09-13
BR112015019226A2 (pt) 2017-07-18
EP2952622A4 (en) 2016-11-30
US20200048811A1 (en) 2020-02-13
PH12015501629A1 (en)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580A (ko) 손빨래 용기를 구비한 세탁기
EP3272927B1 (en) Washing machine
KR20170067401A (ko) 세탁기
KR102412031B1 (ko) 세탁기
US10119218B2 (en) Washing machine
KR102424696B1 (ko) 세탁기
EP319022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detergent insert door
US11629451B2 (en) Washing machine
CN110291244A (zh) 洗衣机
US20190153654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JP201307092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543566B1 (ko) 세탁기
KR20160084077A (ko) 세탁장치
KR102363550B1 (ko) 세탁기
KR20150137663A (ko) 세탁기
KR102350183B1 (ko) 세탁기
KR20160110026A (ko) 세탁기
KR20240081108A (ko) 의류처리장치
JP2020074984A (ja) 縦型洗濯機
KR20150102544A (ko) 세탁기
KR20100081237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수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9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18

Effective date: 2016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