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46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464A
KR20170079464A KR1020150190074A KR20150190074A KR20170079464A KR 20170079464 A KR20170079464 A KR 20170079464A KR 1020150190074 A KR1020150190074 A KR 1020150190074A KR 20150190074 A KR20150190074 A KR 20150190074A KR 20170079464 A KR20170079464 A KR 2017007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transflective
light
vehicle
transflectiv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박기만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9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464A/ko
Publication of KR2017007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3
    • F21S48/1317
    • F21S48/138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8Optical design with elliptical curvature
    • F21W2101/02
    • F21W2101/10
    • F21W2101/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는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와 초점을 공유하는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형성되어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로 조명 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의 외부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 또는 리어 램프 등을 통해 표현되는 광 이미지는 차량 디자인에 대한 심미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동차 생산 업체 및 차량용 부품 생산 업체는 헤드 램프 및 리어 램프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광 이미지를 다양화하고 있다. 헤드 램프 또는 리어 램프 등을 통해 복잡한 광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광원과 광 이미지의 복잡함에 비례하는 각종의 광학 기구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광원으로 복수의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는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와 초점을 공유하는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형성되어,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를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1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고,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를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1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투과율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은 차량의 전방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의 후방이며,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리플렉터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하이빔, 포지션, DRL(Daytime running light), 턴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을 차량의 후방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방이며,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리플렉터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미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턴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플렉터는 파라볼릭 리플렉터일 수 있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리플렉터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플렉터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제2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는 제3 리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3 리플렉터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의 광원으로 복수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광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원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S)과 복수의 리플렉터(11 ~ 15)를 포함한다.
광원(S)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LED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리플렉터(11 ~ 15)는 제3 리플렉터(11), 제2 리플렉터(13), 제1 리플렉터(15) 및 반투과형 리플렉터(12, 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반투과형 리플렉터(12, 14)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를 포함한다.
제3 리플렉터(11), 제2 리플렉터(13) 및 제1 리플렉터(15)는 알루미늄, 크롬 등과 같이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증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반투과형 리플렉터(12, 14) 역시 알루미늄, 크롬 등과 같이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증착될 수 있다. 다만, 반투과형 리플렉터(12, 14)는 제3 리플렉터(11), 제2 리플렉터(13) 및 제1 리플렉터(15)에 비해 증착율이 낮게 증착되어 반투과형 리플렉터(12, 14)로 입사된 빛 중 일부는 반투과형 리플렉터(12, 14)를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리플렉터(11),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 및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를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 리플렉터(11)가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는 제3 리플렉터(1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의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2 리플렉터(13)와 제1 리플렉터(15)는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리플렉터(15)는 제2 리플렉터(13)의 상부에 위치한다.
전방과 후방은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차량 전방에 장착되는 헤드 램프에 장착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이 대략 차량의 전방을 향해 조사되는 경우에는, 전방은 차량 전방을 의미하고, 후방은 차량 후방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차량 후방에 장착되는 리어 램프에 장착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이 대략 차량의 후방을 향해 조사되는 경우에는, 전방은 차량 후방을 의미하고, 후방은 차량 전방을 의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S)은 제3 리플렉터(11)를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다.
광원(S)은 일정 범위의 출사각을 갖는 빛을 출사하며, 도 3에 도시된 빛(L1, L2)은 출사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각도로 출사되는 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3 리플렉터(11)는 광원(S)으로부터 출사된 빛(L1, L2)을 후방에 위치하는 제2 리플렉터(13)를 향해 반사한다. 제3 리플렉터(11)는 제1 초점(F1)과 제2 초점(F2)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형 리플렉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점(F1)은 광원(S)에 인접하거나 광원(S)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초점(F2)은 제3 리플렉터(11)와 제2 리플렉터(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S)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제3 리플렉터(11)에서 반사되어 제2 초점(F2)에서 집광된 후, 제2 리플렉터(13)로 진행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플렉터(13)로 입사되는 빔 패턴은 광원(S)으로부터 출사된 빔 패턴보다 확장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13)는 제3 리플렉터(11)로부터 출사된 빛(L1, L2)을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로 각각 반사한다.
이를 위해 제2 리플렉터(13)는 상하로 배치된 2개의 타원형 리플렉터(13a, 13b)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플렉터(13)의 상부를 형성하는 타원형 리플렉터(13b)는 제2 초점(F2)과 제3 초점(F3)을 초점으로 갖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제3 초점(F3)은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와 제2 리플렉터(13) 의 상부를 형성하는 타원형 리플렉터(13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13)의 상부에서 반사된 빛(L1)은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로 진행한다.
한편, 제2 리플렉터(13)의 하부를 형성하는 타원형 리플렉터(13a)는 제2 초점(F2)과 제4 초점(F4)을 초점으로 갖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제4 초점(F4)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와 제2 리플렉터(13)의 하부를 형성하는 타원형 리플렉터(13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13)의 하부에서 반사된 빛(L2)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로 진행한다.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로 입사된 빛(L1) 중 일부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를 투과하며 외부에서 관측되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의 표면 상에 광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로 입사된 빛(L1) 중 다른 일부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에서 반사되어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리플렉터(15)로 진행하게 된다.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는 제3 초점(F3)과 제5 초점(F5)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초점(F5)은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와 제1 리플렉터(1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로부터 반사된 빛(L1)은 제5 초점(F5)을 통과하며 제1 리플렉터(15)를 향해 반사된다.
제1 리플렉터(15)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로부터 반사된 빛(L1)을 전방을 향해 반사한다. 제1 리플렉터(15)는 제5 초점(F5)을 초점으로 하는 파라볼릭 리플렉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플렉터(15)는 제5 초점(F5)을 통과하여 입사된 빛(L1)을 전방을 향해 대략 직진하도록 반사한다.
제1 리플렉터(15)에서 반사된 빛(L1)이 반사형 리플렉터(12, 14)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로부터 반사된 빛(L1)이 제1 리플렉터(15)에 입사되는 지점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로 입사된 빛(L2) 중 일부는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를 투과하며 외부에서 관측되는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의 표면 상에 광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로 입사된 빛(L2) 중 다른 일부는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에서 반사되어 후방에 위치하는 제1 리플렉터(15)로 진행하게 된다.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는 제4 초점(F4)과 제5 초점(F5)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형 리플렉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로부터 반사된 빛(L2) 역시 제5 초점(F5)을 통과하며 제1 리플렉터(15)를 향해 반사된다.
제1 리플렉터(15)는 제5 초점(F5)을 통과하여 입사된 빛(L2) 역시 전방을 향해 대략 직진하도록 반사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5)에서 반사된 빛(L2)이 반사형 리플렉터(12, 14)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로부터 반사된 빛(L2)이 제1 리플렉터(15)에 입사되는 지점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하나의 광원(S)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용해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의 표면에서 관측되는 제1 광 이미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의 표현에서 관측되는 제2 광 이미지, 제1 리플렉터(15)에서 반사되어 출사되는 제3 광 이미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과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는 서로 투과율이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과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에 알루미늄, 크롬 등과 같이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코팅/증착할 때에 서로 다른 증착율로 증착될 수 있다.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과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는 서로 투과율이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의 표면에서 관측되는 제1 광 이미지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의 표현에서 관측되는 제2 광 이미지는 서로 다른 밝기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광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출사되는 광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다른 차량용 램프가 일렬로 배열된 리어 램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광 이미지(B1, B2, B3)를 출사한다.
3개의 광 이미지(B1, B2, B3) 중 가장 아래에 형성되는 제1 광 이미지(B1)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12)의 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이고, 중간에 형성되는 제2 광 이미지(B2)는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14)의 표면에서 출사되는 것이고, 가장 위에 형성되는 제3 광 이미지(B3)는 제1 리플렉터(15)로부터 반사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제3 리플렉터(11) 및 광원(S)은 리어 램프의 베젤(100)에 의해 가려져 차량의 외부로부터 관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리어 램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 이미지(B1, B2, B3)는 미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턴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 이미지(B1, B2, B3)는 하이빔, 포지션, DRL(Daytime running light), 턴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일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20)의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22) 및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24)는 광 이미지(B1, B2)가 출사되는 표면에 옵틱(22a, 24a)이 형성된다.
옵틱(22a, 24a)은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22) 및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24)로부터 출사되는 빔 패턴을 가시각 법규에 만족하도록 굴절시키거나,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22) 및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24)에 의해 형성되는 광 이미지(B1, B2)를 설계자가 의도하는 특정 광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22)에 형성되는 광 이미지(B1)와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24)에 형성되는 광 이미지(B2)가 서로 형상의 광 이미지가 되도록,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22)에 형성되는 제1 옵틱(22a)과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24)에 형성되는 제2 옵틱(24a)은 서로 다른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옵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램프 10, 20: 렌즈
11: 제3 리플렉터 12, 22: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13: 제2 리플렉터 14, 24: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
15: 제1 리플렉터 100: 베젤
B1: 제1 광 이미지 B2: 제2 광 이미지
B3: 제3 광 이미지 F1: 제1 초점
F2: 제2 초점 F3: 제3 초점
F4: 제4 초점 F5: 제5 초점
S: 광원

Claims (13)

  1.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는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제2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와 초점을 공유하는 파라볼릭 리플렉터로 형성되어,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로부터 반사된 빛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1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를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1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고,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 중 일부를 제1 방향으로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상기 제1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투과율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반투과형 리플렉터는 타원형 리플렉터인, 차량용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차량의 전방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의 후방이며,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리플렉터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하이빔, 포지션, DRL(Daytime running light), 턴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차량의 후방이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차량의 전방이며,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 및 상기 제1 리플렉터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미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턴 시그널 중 적어도 하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는 제2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상기 제1 리플렉터의 하부에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플렉터는 타원형 리플렉터인, 차량용 램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제2 리플렉터를 향해 반사하는 제3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플렉터는 상기 반투과형 리플렉터의 하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플렉터는 타원형 리플렉터인, 차량용 램프.
KR1020150190074A 2015-12-30 2015-12-30 차량용 램프 KR20170079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74A KR20170079464A (ko) 2015-12-30 2015-12-30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74A KR20170079464A (ko) 2015-12-30 2015-12-30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64A true KR20170079464A (ko) 2017-07-10

Family

ID=5935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074A KR20170079464A (ko) 2015-12-30 2015-12-30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4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441B1 (ko) 차량용 램프
CN102865539A (zh) 车辆用前照灯
KR102289755B1 (ko) 헤드 램프용 로우빔 쉴드
JP2013222553A (ja) 車両用灯具
US11168860B1 (en) Automotive lamp
KR101600564B1 (ko) 차량용 램프
KR102006319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70059077A (ko) 차량용 램프
KR20160123138A (ko) 차량용 램프
JP4459095B2 (ja) 車両用ベンディングランプ
CN114321828A (zh) 车辆用灯具
KR20170063035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9464A (ko) 차량용 램프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JP2015185480A (ja) 車両用ランプ
KR102250659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차량용 램프
KR20160012465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2005542U (zh) 一种增强汽车近光车灯远场亮度的照明装置
KR20170077400A (ko) 차량용 램프
KR102243936B1 (ko)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1767993B1 (ko) 차량용 램프
KR101928751B1 (ko) 차량용 램프
KR20220056471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