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870A - 문합 도구 및 이를 구비한 키트 - Google Patents

문합 도구 및 이를 구비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870A
KR20170078870A KR1020177017745A KR20177017745A KR20170078870A KR 20170078870 A KR20170078870 A KR 20170078870A KR 1020177017745 A KR1020177017745 A KR 1020177017745A KR 20177017745 A KR20177017745 A KR 20177017745A KR 20170078870 A KR20170078870 A KR 20170078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tool
anastomotic
rigid membe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029B1 (ko
Inventor
앤더스 그론베르그
Original Assignee
카포노붐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포노붐 에이비 filed Critical 카포노붐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07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1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of the digestive tract, e.g. bowels or oesophag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7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 A61B17/07207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a row of staples in a single action, e.g. the staples being applied simultaneously the staples being applied sequ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with means for removing a constriction after performing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25Forceps, specially adapted for performing or assisting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2End-to-end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문합 도구의 연질 링 형상 부재를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 상에 장착하는 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도구는 상기 장착 도구의 말단부에서 상기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104) 및 상기 수용부(104)에 인접한 핸들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04)는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및 관형 전치 요소(201)를 포함하되, 상기 관형 전치 요소는 상기 시트 요소(101)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 요소(101)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서, 쉘프(401)가 상기 관형 전치 요소(201)의 원주에 그리고 상기 시트 요소(101)에 이격되어 획득된다. 상기 쉘프(401)는 상기 연질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 상에 문합 도구의 연질 링 형상 부재를 수용하는 장착 도구가 또한 제공된다. 이 도구는 상술한 것에 따른 장착 도구의 중심 통로 또는 관내강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의 가이딩 요소(801) 및 상기 가이딩 요소(801)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판(802)을 포함한다. 연결판(802)은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키트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문합 도구 및 이를 구비한 키트{ANASTOMOSIS DEVICE AND K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공 개방 구성의 경질부재 및 연질부재를 포함하는 문합 도구를 관형 구조의 일단에 조립하는 장착 도구 분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문합 도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착 도구는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를 수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부, 및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제2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 및 제2부는 협력하여 상기 연질부재를 상기 경질부재의 외주에 배열한다.
결장직장암은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암으로, 매년 약 백만 건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암은 선진국에서 상당히 훨씬 더 많이 발생한다.
중공 기관의 문합을 기계적으로 시행하는 현재 기술은 원형의 기계적 스테이플러를 사용하는데, 절제된 중공 기관의 조직 끝단을 금속 또는 플라스틱 스테이플러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광범위하게 다양한 수술용 스테이플러가 위, 식도 및 장 수술을 위해 개발되었다. 외과 문합적 스테이플링을 시행할 때, 일반적으로 중공 기관의 두 부분은 스테이플 고리에 의해 폐쇄된 루프스테이플러로 접합된다. 단대단 문합은 한 쌍의 엇갈린 스테이플 고리를 전달하는 관내 외과 스테이플러에 의해 일반적으로 시행된다. 이 과정 중에, 원형 칼날이 원형 링 내에 고정된 조직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분리된 조직은 이후 스테이플러로 제거되어 원형 개방구를 스테이플링 선을 따라 관내강 내에 형성한다.
문합 치료에 관한 주요 이슈는 치료 과정 중 문합의 혈액 순환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수술 기업의 실질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문합 누출로 인한 위장관 절제 후 이환율 및 사망률은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다. 치료 과정의 자연스런 일부인 허혈 및 염증은 환자의 스테이플링 부위에 치명적일 수 있는 누출 및 2차 감염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문합 부위의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장루를 시행하는데, 특히 하부 결장이나, 직장에 문합술을 시행한 경우에 주로 시행된다. 상처 치유기간 동안 압력과 대변 흐름을 경감시켜 줌으로써, 누출 사고를 줄이고 문합부위의 열개라는 치명적 결과를 피할 수 있다. 약 3~6개월의 기간 동안 환자는 임시적인 장루를 가지고 있어야만 하고, 이후 장루를 닫기 위한 2차 수술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은 명백하다. 많은 경우에서 불행하게도 장루의 폐쇄는 가역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환자는 관리 비용 증가와 관련된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오는 영구장루를 가지고 살기를 강요받을 수 있다. 문합의 스테이플링으로부터 야기되는 또 다른 문제는 문합성 협착이다. 상처 치유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는 연결되어 있는 속이 빈 조직의 두 말단부 사이의 접촉영역이다. 연결된 부위는 방액이 되어야 하고, 관내강의 단면은 본래의 관 내강처럼 넓고, 유연해야만 한다. 스테이플러의 크기는 관내강의 크기 즉, 두 말단부 사이의 접촉영역의 크기를 결정한다. 수술용 스테이플러는, 속이 빈 조직의 두 말단부를 연결하는 스테이플 때문에 본래의 관내강의 단면에 비해 작고, 더욱 단단한 개방구를 만든다. 다시 말하면, 협착을 유도하는 칼라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복적인 확장이 요구된다.
이에 관해, WO 2007/122223는 장과 같은 관형 구조의 문합을 위한 문합 도구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장치는 중공 개방 구성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각각은 경성부 및 탄성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협착을 최소화함으로써 문합을 개선하면서, 자기 파기(self-discarding) 시스템을 제공한다.
WO 2007/122220은 그러한 문합 도구를 장의 일단에 장착하는 장착 도구를 개시하고 있다. 장착 도구는 상기 장치의 경질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경질부재를 향하는 상기 경질부재보다 크거나 같은 직경을 가진 대단부 및 소단부를 가진 원뿔부를 포함한다. 원뿔부는 그 직경을 확장해서 탄성부를 대단부를 넘어서 수용부에 배치 가능한 경질부재까지 전달하기 위한 관형 구조 내부에 이미 배치된 탄성부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양이 대장, 즉, 직장의 하부로부터 제거될 때, 장관계의 이 부분들은 복강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다. 소골반은 매우 좁고 깔때기 형상이어서, 위로부터 손을 삽입하여 문합술를 수행하기 거의 불가능하다. 이 사실은 그 부위에서 작업하고 봉합할 가능성을 심각하게 방해한다. 직장의 마지막 부분, 즉, 깔때기 형상의 바닥 및 괄약근으로부터 5 내지 10cm에서는, 복강으로부터 도달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개선된 장착 시스템은 유용하며, 특히, 증가된 유연성, 비용 효율성, 대장, 직장 및 항문의 하부에 대한 개선된 접근, 및/또는 장 내부에서 연질부재의 개선된 제어는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합 도구의 연질 링 형상 부재를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 상에 장착하는 도구로서, 상기 장착 도구는, 상기 장착 도구의 말단부에서 상기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한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 및 관형 전치 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관형 전치 요소는 상기 시트 요소 내에 배치되어 상기 시트 요소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서, 쉘프가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원주에 그리고 상기 시트 요소와 이격되게 획득되며, 상기 쉘프는 상기 연질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도구; 및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 상에 문합 도구의 연질 링 형상 부재를 수용하는 장착 도구에 있어서, 문합 도구의 연질 링 형상 부재를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 상에 장착하는 장착 도구의 중심 통로 또는 관내강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의 가이딩 요소; 및 상기 가이딩 요소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장착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위에서 판명된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결점 및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의 단점을 완화, 경감 또는 제거하고, 상술한 문제를 적어도 해결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추구한다.
본 발명의 장점이 있는 특징들은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이 할 수 있는 이들 및 다른 측면들,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술할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시트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전치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신장된 관형 절단 요소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실시예의 수용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실시예의 y-z 평면에서의 스프링 배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실시예의 x-z 평면에서의 스프링 배치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고정 요소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장착 도구의 제2 부의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제2부의 실시예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장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장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장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도구의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단면을 도시한다.
후술할 설명은 문합 도구를 조립하기 위한 장착 도구에 집중하는데, 상기 문합 도구는 장의 일단부까지 대체로 중공 개방 구성의 경질부재 및 연질부재를 포함한다. 그러한 문합 도구는 공개 번호 WO 2007/122223을 가진 국제 특허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그러한 문합 도구는 대체로 중공 개방 구성의 제1 및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각각 경질부재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문합 도구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한다. 각 탄성부는 각 경질부재의 원주에 배열되어 사용시 탄성부 중간의 접촉 영역에서 문합될 수 있다. WO 2007/1222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부재는 상기 경질부재 중 하나를 수연결부로 하고 나머지를 암연결부로 구성함으로써 연결된다. 절개된 장의 양 단부는 장의 양 단부를 경질부재와 탄성부재 사이에 클램핑함으로써 경질부재에 각각 연결된다. 장의 단부는 장의 일부를, 절개와 같은, 제거함으로써 획득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그러한 문합 도구를 장착하는 장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착 도구는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를 수용하는 부분을 가진 제1 부재, 및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상호 협력하여 경질부재의 원주에 연질부재를 배열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용도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다른 관형 구조에서 그러한 문합 도구의 배치를 포함하는 많은 다른 기술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도구는 제1 부재(100)를 포함한다. 도 1에 따르면, 제1 부재(100)는 신장된 관형 시트(sheet) 요소(101)를 포함한다. 제1 부재의 근단부에 핸들부(103)이 배치된다. 제1 부재(100)의 말단부에 거기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104)가 배치된다. 핸들부(103) 및 수용부(104)는 중심부(105)를 통해 연결된다. 중심부(105)의 횡단면의 단면의 외경은 핸들부(103)의 횡단면의 단면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부재(100)는 장 문합중인 환자의 괄약근을 통해 삽입된다. 제1 부재의 수용부(104)가 삽입되면, 중심부(105)는 환자의 괄약근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중심부의 지름이 작을수록 괄약근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도 2에 따르면, 시트 요소(101) 내에 관형 전치 요소(201)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들부(103)는 전치 요소(201)의 근단부에서 전치 요소(201)와 일체로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전치 요소(201)의 말단부에는 말단 부분(204)가 시트 요소(101)의 수용부(104) 내에 위치된다. 말단 부분(204)은 시트 요소(101)의 말단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관형 전치 요소(201)는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내에서,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및 관형 전치 요소(201)는 횡단면에서 고리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관형 전치 요소(201)의 외경이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관형 전치 요소(201)는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관형 전치 요소(101) 및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내부에 신장된 관형 절단 요소(301)가 배치될 수 있다. 관형 절단 요소(301)는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및/또는 관형 전치 요소(201) 내에서 그리고 이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절단 요소(301)의 말단부에는 말단 부분(304)가 시트 요소(101)의 수용부(104) 내부에서 전치 요소(201)의 말단 부분(204) 내에 위치된다. 말단 부분(304)의 외경은 시트 요소(101)의 말단부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동시에 말단 부분(304)의 절단 에지는 절단 요소(301)의 가장 먼 말단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관형 절단 요소(301)의 가장 먼 말단부에는 나이프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나이프 요소는 절단 요소(301)의 중심 부재에 일체될 수 있어서, 절단 요소(301)의 말단부는 날카로운 에지로 깍여지거나 날카롭게 되어서 나이프 요소를 형성한다. 이후 절단 요소(301)는 비절단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로 길이 방향으로 그리고 이격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관형 절단 요소(301)는 횡단면으로 고리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관형 절단 요소(301)의 외경은 신장된 관형 전치 요소(201)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여서, 관형 절단 요소(301)는 신장된 관형 전치 요소(201)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첫 번째 상태에서, 관형 전치 요소(201)는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와 이격되게 연장될 수 있어서, 수용 쉘프(401)가 관형 전치 요소(201)의 원주에서 그리고 관형 시트 요소(101)와 이격되어 획득된다. 도 4는 수용부(104)의 단면을 개시한다. 쉘프(401)는 상술한 바에 따르는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전치 요소(201)의 말단 부분(204)은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를 수용하도록 채택된 환형 홈(403)을 가질 수 있다. 홈(403)에 의해,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는 전치 요소(201)에 개선된 고정(improved seating)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괄약근을 통한 제1 부재(100)의 삽입 이전에 쉘프(401)에는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가 사전 탑재될 수 있다. 관형 전치 요소(201)와 이격되게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를 제2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용 쉘프(401)에 배치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는 쉘프(201)에서 밀려서 분리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관형 전치 요소(201)와 이격되게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용부(104)의 지름이 중심부(105)보다 큰 경우에는, 관형 시트 요소(101)와 관형 전치 요소(201) 중간에 공극(void; 404)이 수용부(104)의 근단부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공극(404)은 관형 시트 요소(101)와 관형 전치 요소(201) 사이의 가까운 이동 및 먼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동은 공극이 제거되면 정지하여서, 관형 시트 요소(101)와 관형 전치 요소(201)는 수용부(104)의 근단부에서 상호작용한다. 시트 요소(101)의 말단부는 깍여지거나 컵 형상일 수 있어서, 깍인 면 또는 컵 형상 면(405)은 제1 부재(100)로부터 바깥쪽을 향한다. 따라서, 수용 쉘프(401)에 배치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가 쉘프(401)로부터 밀려서 분리될 때, 깍인 면 또는 컵 형상 면(405)은 연질부재(402)를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미는 반면 동시에 연질부재(402)를 쉘프(401)로부터 이격되게 분리시킨다. 이는 연질부재(402)를 제1부재(100)에서 멀리 위치된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쪽으로의 개선된 이송을 보장한다.
관형 시트 요소(101) 및 관형 절단 요소(301)의 근단부와 같이 수용부(104)와 인접하게, 상기 관형 시트 요소(101) 및 절단 요소(301)에 스프링 부하가 적용될 수 있다. 관형 시트 요소(101)는 스프링(106)에 의해 스프링 부하가 적용되어서 스프링 부하의 해제는 시트 요소(101)를 전치 요소(201)에 대해서 이격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전치 요소(201)에는 스프링 부하의 해제가 전차 요소(201)를 시트 요소(101)에 대해 인접하게 이동시키도록 스프링 부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핸들부(103)는 시트 요소(101)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요소(301)는 전치 요소(201)와 함께 인접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절단 요소(301)에는 스프링 부하의 해제가 절단 요소(301)를 시트 요소(101) 및/또는 전치 요소(201)에 대해 이격되게 이동시키도록 스프링(302)에 의해 스프링 부하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동작은 전치 요소(201)가 절단 요소(301)와 함께 이미 인접하게 이동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요소(101), 전치 요소(201), 및 절단 요소(301)에는 스프링 부하가 각각 해제될 때, 제1 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각각 인접하게 그리고 이격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각각 스프링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스프링 부하의 해제는, 시트 요소(101) 또는 전치 요소(201), 및 절단 요소(301)의 이동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세트의 해제 바(107) 및 제2 세트의 해제 바(207)를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1 및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부하의 해제는 시트 요소(101) 및 절단 요소(301)의 이동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세트의 해제 바(107) 및 제2 세트의 해제 바(207)를 누름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나, 제1 세트의 해제 바(107)의 배치를 반대로 해서, 이하에서 설명되듯이, 시트 요소(101)에 대한 전치 요소(201)에 근접하는 이동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실시예에 대한 스프링 배치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1 해제 바(107)의 세트 및 제2 해제 바(207)의 세트는 시트 요소(101) 및 절단 요소(301)에 각각 대응한다.
도 5는 y-z 평면으로 제1 세트의 해제 바(107)의 단면을 도시한다. 해제 바(107)는 지지 돌기(501)를 가진다. 관형 전치 요소(201)에 고정된 스프링 부하 와셔(502)는 스프링(106)이 스프링 부하 와셔(502)와 시트 요소(101) 사이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는, 스프링 부하 와셔는 관형 전치 요소(201)에 일체화될 수 있다. 말단부에서, 제1 해제 바(107)가 스크류(503)에 의해 시트 요소(101)에 연결된다. 지지 돌기(501)의 말단부에는 안쪽으로 향하는 플랜지(505)가 구비된다. 스프링이 장전된 위치에서, 플랜지(505)는 전치 요소(201)와 같은 하부 관형 요소의 노치(506)와 체결된다. 제1 해제 바(107)의 근접 부재, 즉, 자유단부를 안쪽-제1 부재(100)의 중심축을 향해-으로 밀면, 지지 돌기(501)는 레버에 의해서 누르는 힘을 전달해서 텅(tongue; 504)과 플랜지(505)를 들어올린다. 이후, 플랜지(505)가 들어올려져서 전치 요소(201)와 같은 하부 관형 요소의 노치(506)와 분리된다. 이것은, 부하를 시트 요소(101)의 길이 방향으로 먼 쪽으로의 이동에 전달하는 스프링 부하를 해제시켜서, 시트 요소(101)가 해제된 위치에 있게 된다. 두 개의 제1 해제 바(107)가 사용될 때, 양 제1 해제 바(107)가 안쪽으로 눌러질 때까지 시트 요소는 해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도 6은 x-z 평면으로 제2 세트의 해제 바(207)의 단면을 도시한다. 해제 바(207)는 지지 돌기(601)를 가진다. 지지 돌기(601)는 스크류(606)에 의해 관형 전치 요소(201)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부하 와셔(602)는 스프링(30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부하 와셔는 관형 전치 요소(201) 또는 절단 요소(301)에 고정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다. 스프링 부하 와셔(602)는 관형 전치 요소(201) 또는 절단 요소(301)와 나사산에 의해서 접속될 수도 있어서, 스프링 장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해제 바(207)는 텅(603)에 의해 지지 돌기(601)에 연결된다. 텅(603)의 근단부에는 안쪽으로 향하는 플랜지(604)가 구비된다. 스프링이 장전된 위치에서, 플랜지(604)는 하부 관형 요소의 노치(605)와 체결된다. 제2 세트의 해제 바(207)의 근단부는 제2 해제 바(207)의 텅(603)에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므로, 제2 해제 바(207)의 자유 근단부가 획득된다. 따라서, 제2 해제 바(207)의 근단부, 즉, 자유 단부가 바깥쪽으로 당겨지면-제1 부재(100)로부터 밖으로-, 지지 돌기(601)는 레버에 의해서 당기는 힘을 전달해서 텅(603)과 플랜지(604)를 들어올린다. 이후 플랜지(604)가 들어올려져서 하부 절단 요소(301)의 노치(605)와 분리된다. 이것은, 부하를 절단 요소(301)의 길이 방향으로 먼 쪽으로의 이동에 전달하는 스프링 부하를 해제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제2 해제 바(302)가 사용될 때, 양 제2 해제 바(302)가 바깥쪽으로 당겨질 때까지 시트 요소는 해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 관형 전치 요소(201), 및 관형 절단 요소(301) 내에서, 중심 통로 또는 관내강이 형성된다. 이 중심 통로는 제1 부재(100)의 근단부에서 흡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보호 요소가 제1 부재(100)의 말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요소는 쉘프(401)로부터 이격되게 그리고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 공기 팽창식 디스크일 수 있어서, 쉘프(401)에 위치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가 환자의 괄약근을 통해 제1 부재(401)를 삽입하는 동안 쉘프(401) 상에서 유지될 수 있다. 공기 팽창식 디스크는 삽입하는 동안 중심 통로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길이 방향의 중공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이후, 공기 팽창식 디스크는 핸들부에 인접하여 주입 장치에 연결될 수 있어서, 공기 팽창식 디스크 내의 압력은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가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보호하는 효과를 유지하는데 충분히 높도록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력은, 제1 부재(100)의 핸들부 내의 밸브 부재에 의해 공기 팽창식 디스크 내에서 충분히 높도록 준비될 수 있다. 괄약근을 통해 제1 부재(100)를 삽입한 이후에, 공기 팽창식 디스크는 수축/배출될 수 있으며, 그 이후 공기 팽창식 디스크와 함께 길이 방향의 중공 요소는 중심 통로를 통해 인접하게 당겨질 수 있어서, 쉘프(401)에 위치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보호 요소는, 제1 부재(100)의 삽입 후 중심 통로를 통해 인접하게 당겨지도록 구성된 연질 쿠션 요소이다.
중심 통로 또는 관내강에, 도 7에 따른 관형 고정 요소(701)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요소(701)는 관형 커넥터 요소(702)를 포함한다. 관형 커넥터 요소(702)의 말단부에, 탑 커넥터(703)가 배치된다. 탑 커넥터(703)는 관형 요소이다. 탑 커넥터(703)의 내경은 인접-이격 방향으로 증가한다. 이에 대해서, 내경은 근단부에서 d1이고 말단부에서 d2인데, d1은 d2보다 크다. 커넥터 요소(702)는 d1에서 d2로 전환하는 중심 변형 지역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요소(702)의 근단부에서, 커넥터 요소(702)는, 나사산에 의해서와 같이, 커넥터 유닛(704)에 부착된다. 전치 요소(201)도 나사산에 의해서와 같이, 커넥터 유닛(704)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요소(702) 내부에서, 관형 락킹 요소(705)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704)은, 스프링(706)과 스프링 부하 와셔(707)를 포함하는 스프링 메커니즘에 부착된 채로, 락킹 요소(705)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근단부에서, 관형 락킹 요소(705)는 외부에서 락킹 손잡이(708)와 나사산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관형 락킹 요소(705)의 말단부에서, 랑킹 요소(705)는 락킹 유닛(709)과 나사산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락킹 유닛(709)은, d1에서 d2로 인접하게 이동할 때, 탑 커넥터(703) 내에서 방사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암접속 연결을 형성하는 말단 락킹 텅(710)을 포함한다. 락킹 텅(710)은 내부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텅(710) 내에 위치된 대응하는 수접속 연결은 락킹 유닛(709) 및 그에 따라 텅(710)이 탑 커넥터(703) 내에서 d1에서 d2로 인접하게 움직일 때 먼쪽으로의 이동으로부터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요소(701)는 관형 요소이므로, 고성 요소를 관통하는 관내강 또는 중심 통로가 존재한다.
제1 부재가 쉘프(401) 상에 배치된 미리 탑재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와 함께 환자의 괄약근을 통해 삽입되면, 신장된 관형 시트 요소(101)와 절단 요소(301)가 스프링 장전 위치에 있는 동안, 쉘프(401)에 위치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는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상에 배치될 수 있는 상태이다.
제1 부재(100)가 배치되어 수용부(104)가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가 배치될 장의 일단에 매우 근접하게 되면, 중심 통로(403)에 연결된 흡입 장치가 턴온 될 수 있다. 흡입 장치가 턴온되면, 장의 일단은 중심 통로(403) 안으로 빨려 들어온다. 일반적으로, 절개된 장은 절단 단부에서 봉합되거나 꿰매져서, “블라인드” 장, 즉, 괄약근부터 봉합 또는 꿰맨 부위까지 캐비티를 형성한다. 장의 일단이 중심 통로로 빨려 들면, 쉘프(401) 상에 위치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흡입을 생략하고, “블라인드” 장의 하부로 제1 부재(100)를 산입하는 것만도 가능하다. 그 후, 도 8에 따른 제2 부재(800)가 제1 부재와 협력하도록 배치되어, 그들 사이의 장을 클램핑하고 장 및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 인근에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2 부재(800)는 길이 방향의 가이딩 요소(801)를 포함한다. 가이딩 요소(801)는 중공 구조일 수 있다. 가이딩 요소(801)가 중공 구조이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된 카테터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부재(800)의 말단부에, 연결판(802)이 위치된다. 연결판(802)은 그 말단부에서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들어맞는 스냅-인 또는 스크류가 되도록 구성된다.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는 연결판(802)의 먼 부분 상에 고정될 수도 있어서, 그 후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가 연결판과 후드(803)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동시에, 연결판의 근단부는 제1 부재(100)의 수용부(104)에 끼움 및/또는 부착하여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전치 요소(201)의 말단 부분(204)가 연결판(802)의 근단부와 협력한다. 이에 관해서, 연결판(802)의 근단부는 가이딩 요소(801)와의 연결쪽으로 실질적으로 원뿔형일 수 있다. 가이딩 요소(801)는 연결판(802)을 통해 연장될 수 있어서, 연결판(802)과 경질부재 사이의 지나치게 이른 분리의 위험이 감소되어야 한다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를 통과할 수도 있다. 제2 부재(800)가 카테터를 내장한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되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 연결판(802)을 통해 멀리 연장되는 부분에는 관통 슬롯(804)이 구비되어서, 텅(805)이 그 사이에 생성된다.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된 카테터는 상기 관통 슬롯의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할 수 있다. 연결판(802)이 카테터를 내장한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로부터 자유로워지면, 카테터를 텅(805)을 따라서 관통 슬롯(804)의 입구를 통해 꺼낼 수 있다. 경질부재와 연결판(802) 사이의 지나치게 이른 분리의 위험이 감소되어야 한다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로부터 멀리 후드(803)가 가이딩 요소(801) 및/또는 텅(805)에 부착될 수 있다. 후드(803)는 문합 도구의 먼 지름에 적어도 대응하는 지름을 가진 경질부재의 디스크 형상 유닛일 수 있어서, 제2 부재 상에서 경질부재를 유지할 수 있다. 후드(803)와 가이딩 요소(801) 및/또는 텅(805) 사이의 연결은 스크류 고정 또는 스냅인 고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후드(803)는 중심 통로가 있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어서, 가이딩 요소(801) 및/또는 텅(805)이 거기를 통해 지나가서 후드(803)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후드 락커(806)에 연결될 수 있다. 후드 락커(806)는 가이딩 요소(801) 및/또는 텅(805)의 내부 상에 있는 암나사산에 대응하는 수나사산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가이딩 요소(801)로부터 이격되어 그리고 연결판(802)로부터 인접하여 수락킹 유닛(807)이 배치된다. 수락킹 유닛(807)은 고정 요소(701)의, 락킹 텅(710)에 의해 형성된, 암접속 연결에 협력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근단부에서 락킹 유닛(807)은 고정 요소(701)와 제2 부재 사이의 고정 동작을 강화하는, 그로부터 이격된 홈(809)을 가진, 원뿔 형상의 수부재(808)를 포함한다. 제2 부재의 근단부에, 제1 부재(100)를 통한 제2 부재(800)의 개입을 가능하게 하는 팁부(810)가 구비된다. 장이 “블라인드” 장으로 봉합 또는 꿰매진 경우에, 팁부(810)는 장의 관통을 가능하게 하는 스파이크로 구비될 수 있다.
이후 팁부(810)는 제1 부재의 중심 관내강, 즉, 관형 락킹 요소(705)의 중심 관내강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팁부(810)는 제1 부재(100)를 통과해서, 제1 부재(100)의 근단부에 있는 락킹 손잡이(708)로 나온다. 이후 팁부(810)는 인접하게 잡아당겨져서, 원뿔 형상의 수부재(808)가 락킹 텅(710)에 의해 형성된 암접속 연결에 삽입된다. 이후 텅(710)의 플랜지는 수부재(808)에서 먼 홈(809)에 스냅 결합된다. 그 후, 락킹 손잡이(708)가 조여져서, 락킹 유닛(709)은 d1에서 d2로 인접하게 당겨져서, 락킹 유닛(807)을 고정 요소(701)에 락킹한다. 락킹 손잡이(708)를 추가로 조임으로써, 연결판(802)이 전치 요소(201)에 대해서 장을 압착할 때까지, 제2 부재가 당겨지고 제1 부재(100)를 통해/안에서 중앙으로 모이게 된다. 이 위치에서, 스프링 바(107)는 안쪽으로 눌러져서 스프링(106)을 해제해서, 시트 요소(101)와 전치 요소(20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쉘프(401)에서 연질부재(402)가 밀려서 분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중공 가이드는 연결판(802) 및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를 통과해서 후드(803) 또는 후드 락커(806)에 이격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제2 부재(800)는 제1 부재의 먼 개구에 가이딩 요소(800)를 삽입하고, 가이딩 요소(801)를 제1 부재를 통과해서 핸들부로 나오게 함으로써 제1 부재와 협력한다.
대안적으로, 가이딩 요소(801)는 제1 부재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제1 부재(100)의 핸들에 스크류로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장은 전치 요소(201)와 연결판(802)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딩 요소(801)의 근단부에는 핸들부와 같은 제1 부재상의 암나사산에 접속하는 수나사산이 구비된다.
도 9는 제2 부재(800) 상의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 F 및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 R의 배치의 전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상술한 설명에 따라 장 I 내부에 배치된 제1 부재(100)를 도시한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장 I는 “블라인드” 장으로 봉합되고 꿰매졌다. 제2 부재(800)는 장 I을 통해서 배치되어서,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402)가 그 말단부에 배치된다.
장이 전치 요소와 연결판 사이에서 압착되면, 제1 부재(100)의 제1 해제 바(107)는 시트 요소(101)와 전치 요소(201)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작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어서, 전치 요소(201)에 대한 시트 요소(101)의 말단 이동이 획득된다. 시트 요소(101)가 전치 요소(201)에 대해 이격되게 이동하면, 문합 도구의 연질부재는 쉘프에서 밀려서 분리되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상에 위치한다. 이것이 도 1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1은 제2 부재(800)가 고정 요소(701)와 제2 부재(800)의 수부재(808)의 협력에 의해 제1 부재(100)에 고정되는지를 도시한다. 장 I은 연결판(802)과 전치 요소(202) 사이에서 압착된다. 상술한 설명에 따라, 제1 세트의 해제 바(107)는 작동되어 연질부재(402)를 경질부재(1101)로 민다.
이후, 제2 해제 바가 작동되어서, 절단 요소가 전치 요소에 대해 이격되게 이동해서, 절단 요소가 원뿔 연결판의 근접한 표면에 닿으면, 전치 요소의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장을 절단한다. 이에 관해서, 연결판의 원뿔 형상의 근접한 표면은 적합한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경도는 70에서 100 쇼어(shore)의 구간 내에 있는 경도이며, 바람직하게는 85에서 95 사이의 구간 내에 있는 경도일 수 있다.
도 12는 상술한 설명에 따라 제2 세트의 해제 바(207)가 가동되어 절단 요소(301)를 시트 요소(101)와 전치 요소(201)에 대해 이격되게 이동시켜서, 장 I가 절단되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의 관내강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홀을 생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후드가 경질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 후, 그 사이의 스냅 고정 또는 스크류 고정을 해제하여 후드(803)는 후드 락커(806)를 가이딩 요소(801), 텅(805), 또는 중심 와이어를 분리함으로써 가이딩 요소(801)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후드(803)가 제거되면,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이제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와 연질부재 사이에 압착된 장과 함께-는, 그 사이에 압착된 장의 타단부와 함께, 거기에 연질부재를 내장한 다른 경질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경질부재는 예를 들어 공개번호 WO 2007/122220의 국제특허출원에 개시된 장착 도구를 이용해서 장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문합 도구의 두 경질부재가 연결되면, 제1 부재(100)와 제2 부재는 경질부재를 연결판으로부터 분리하고 연결판의 근접한 원뿔 표면과 전치 요소 사이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로부터 해제된다. 이는 연결판과 경질부재 사이의 스크류 또는 스냅 고정을 해제하고 가이딩 요소와 제1 부재 사이의 스크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소 및 요소는 물리적이고, 기능적이고 논리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기능성은 단일 유닛, 복수의 유닛 또는 다른 기능 유닛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서 설명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고 의도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며, 상술한 특정 실시예 이외의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가능하다.
청구항에서, 용어 “포함하다/포함하는”는 다른 구성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개별적으로 열거되었으나, 복수의 수단, 구성 요소 또는 방법 단계는 예를 들어, 단일 유닛 또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특징들이 서로 다른 청구항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가능하게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청구항에의 포함은 특징의 조합이 가능하지 않거나 및/또는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용어 “하나”, “제1”, “제2” 등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항의 참조 기호는 단순히 예시를 명확하게 하는 것으로 제공되었으며, 청구항의 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장착 도구;
    링 형상의 연질부재; 및
    경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 형상의 연질부재는 상기 경질부재 상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도구는,
    상기 장착 도구의 말단부에서 상기 링 형상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한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관형 시트(sheet) 요소,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내에 배치된 관형 전치 요소, 및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내부에 관형의 절단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전치 요소는, 상기 관형 시트 요소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쉘프(shelf)가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주변에 그리고 상기 시트 요소의 말단에 획득되고, 상기 쉘프는 상기 링 형상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형 절단 요소는,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내부에서 상기 관형 전치 요소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쉘프가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내로 후퇴되고,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말단부는 상기 문합 도구의 상기 경질부재의 근단부(proximal end)에 대하여 압축되고,
    상기 수용부의 스프링 부하의 해제는,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및 상기 관형 전치 요소 사이에 상대적 움직임을 주도록, 상기 관형 절단 요소가 구성되는 문합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부는 상기 핸들부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중심부는 상기 핸들부 또는 상기 수용부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의 외경을 가지는 문합 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및 상기 관형 전치 요소는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외경은 상기 관형 시트 요소의 내경에 대응하여, 상기 관형 전치 요소가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문합 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요소는 링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관형 절단 요소의 외경은 상기 전치 요소의 내경에 대응하는 문합 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세트의 해제 바(bar) 또는 제2 세트의 해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세트의 해제 바 및 상기 제2 세트의 해제 바는,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및 상기 관형 절단 요소에 각각 대응되며, 작동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 부하를 해제하는 문합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의 해제 바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돌기의 말단부에는 안쪽으로 향하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는, 스프링이 장전된 위치에서,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노치와 체결되는 문합 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트의 해제 바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세트의 해제 바는 텅(tongue)에 의해 상기 지지 돌기에 연결되고, 상기 텅의 근단부에는 안쪽으로 향하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는, 스프링이 장전된 위치에서, 상기 관형 절단 요소의 노치와 체결되는 문합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도구의 근단부에서 흡입 장치와 연결을 위한 중심 통로를 포함하는 문합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말단부에 관형 탑 커넥터를 가지고, 근단부에 커넥터 유닛과 연결되는 관형 커넥터 요소 및
    상기 관형 커넥터 요소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고, 말단부에서 락킹 유닛을 가지는 관형 락킹 요소를 포함하는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문합 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은 내부 플랜지를 구비한 말단 락킹 텅을 포함하고,
    상기 말단 락킹 턴은, 근부로 이동할 때에 상기 관형 탑 커넥터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암접속 연결을 형성하는 문합 도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통로를 통하여 지나는 길이 방향의 가이딩 요소; 및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딩 요소 상 말단부에 정렬되고, 상기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문합 도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요소는 중공 구조를 가지는 문합 도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근단부가 꼭지점이고 말단부가 베이스인 원뿔형이고, 말단부에서 상기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와 스냅인 고정 또는 원주방향으로 스크류 고정이 되도록 구성되는 문합 도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말단부 원뿔면은, 상기 장착 도구의 수용부에 끼워지거나 부착되는 문합 도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가이딩 요소는, 상기 연결판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의 말단부와 연결된 상기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를 통과하여 지나는 문합 도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을 통하여 말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길이방향의 가이딩 요소의 부분에는 관통 슬롯들이 제공되고, 관통 슬롯들 사이에 텅이 형성되는 문합 도구.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에 부착된 상기 문합 도구의 경질부재에 이격되어, 상기 길이방향의 가이드 요소와 분리될 수 있게 연결되는 후드를 포함하는 문합 도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중심 통로를 구비한 디스크 형상 유닛인 문합 도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가이딩 요소는, 상기 후드의 상기 중심 통로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후드에 이격되어 위치되는 후드 락커에 연결되는 문합 도구.
  20. 문합 도구와 관형 고정 요소를 포함하고,
    a) 상기 문합 도구는,
    장착 도구, 링 형상의 연질부재 및 경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 형상의 연질부재는 상기 경질부재 상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도구는,
    상기 장착 도구의 말단부에서 상기 링 형상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인접한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관형 시트(sheet) 요소,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내에 배치된 관형 전치 요소, 및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내부에 관형의 절단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전치 요소는, 상기 관형 시트 요소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쉘프(shelf)가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주변에 그리고 상기 시트 요소의 말단에 획득되고, 상기 쉘프는 상기 링 형상의 연질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형 절단 요소는,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내부에서 상기 관형 전치 요소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쉘프가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내로 후퇴되고, 상기 관형 전치 요소의 말단부는 상기 문합 도구의 상기 경질부재의 근단부(proximal end)에 대하여 압축되고,
    상기 수용부의 스프링 부하의 해제는, 상기 관형 시트 요소 및 상기 관형 전치 요소 사이에 상대적 움직임을 주도록, 상기 관형 절단 요소가 구성되며,
    b) 상기 관형 고정 요소는,
    관형 커넥터 요소 및 상기 관형 커넥터 요소 내부의 관형 락킹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관형 커넥터 요소는, 말단부에서 관형 탑 커넥터를 구비하고, 근단부에서 커넥터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관형 락킹 요소는, 상기 관형 커넥터 요소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관형 커넥터 요소의 말단부에서 락킹 유닛을 구비하는, 키트(kit).
KR1020177017745A 2009-03-25 2010-03-18 문합 도구 및 이를 구비한 키트 KR101860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42009P 2009-03-25 2009-03-25
SE0950189A SE533609C2 (sv) 2009-03-25 2009-03-25 Monteringsverktyg för anastomosanordning
SE0950189-1 2009-03-25
US61/163,420 2009-03-25
PCT/EP2010/053525 WO2010108844A2 (en) 2009-03-25 2010-03-18 Mounting tool for anastomosis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200A Division KR20120022817A (ko) 2009-03-25 2010-03-18 문합 도구 장착용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870A true KR20170078870A (ko) 2017-07-07
KR101860029B1 KR101860029B1 (ko) 2018-07-05

Family

ID=422386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745A KR101860029B1 (ko) 2009-03-25 2010-03-18 문합 도구 및 이를 구비한 키트
KR1020117025200A KR20120022817A (ko) 2009-03-25 2010-03-18 문합 도구 장착용 도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200A KR20120022817A (ko) 2009-03-25 2010-03-18 문합 도구 장착용 도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289214B2 (ko)
EP (1) EP2410925B1 (ko)
JP (2) JP5499152B2 (ko)
KR (2) KR101860029B1 (ko)
CN (1) CN102387752B (ko)
AU (1) AU2010227633A1 (ko)
BR (1) BRPI1013504B8 (ko)
CA (1) CA2755291C (ko)
ES (1) ES2643317T3 (ko)
HK (1) HK1162902A1 (ko)
MX (1) MX2011009849A (ko)
SE (1) SE533609C2 (ko)
SG (1) SG174385A1 (ko)
TW (1) TWI581752B (ko)
WO (1) WO20101088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917A (zh) * 2018-05-17 2018-09-28 南京微创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消化道自助吻合夹及其释放装置
WO2020196887A1 (ja) * 2019-03-28 2020-10-0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7891A (en) * 1981-12-31 1986-02-04 Kanshin Nikolai N Device for establishing compression anastomoses
SU1475611A1 (ru) * 1987-06-10 1989-04-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697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трубчатых органов
US5346501A (en) * 1993-02-05 1994-09-13 Ethicon, Inc. Laparoscopic absorbable anastomosic fastener and means for applying
US5423330A (en) * 1993-03-10 1995-06-13 The University Of Miami Capsule suction punch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US6338737B1 (en) * 1997-07-17 2002-01-15 Haviv Toledano Flexible annular stapler for closed surgery of hollow organs
US6117148A (en) * 1997-10-17 2000-09-12 Ravo; Biagio Intraluminal anastomotic device
US20050021085A1 (en) * 1998-05-11 2005-01-27 Surgical Connections, Inc. Surgical stabilizer devices and methods
US20020091397A1 (en) * 2001-01-05 2002-07-11 Te-Chuan Chen Structure of intestinal anastomosis gun
JP4166785B2 (ja) 2002-07-22 2008-10-15 ニティ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管内吻合装置
IL150853A0 (en) 2002-07-22 2003-02-12 Niti Medical Technologies Ltd Imppoved intussusception and anastomosis apparatus
EP1551313B1 (en) * 2002-07-22 2008-10-08 Niti Surgical Solutions Ltd. Improved intussusception and anastomosis apparatus
US20050137614A1 (en) * 2003-10-08 2005-06-23 Porter Christopher H.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implanted conduits
EP1802237B1 (en) * 2004-10-18 2018-08-08 Covidien LP Compression anastomosis device
SE530213C2 (sv) 2006-04-21 2008-04-01 Carponovum Ab Anordning och sätt för anastomos
SE530212C2 (sv) 2006-04-21 2008-04-01 Carponovum Ab Hjälpverktyg för en anordning för anastomos
US7527185B2 (en) * 2006-07-12 2009-05-05 Niti Surgical Solutions Ltd. Compression anastomosis ring assembly and applicator for use therewith
US8205782B2 (en) * 2006-07-12 2012-06-26 Niti Surgical Solutions Ltd. Compression assemblies and applicators for use therewith
EP2043529A4 (en) * 2006-07-12 2016-10-05 Niti Surgical Solutions Ltd COMPRESSION ASSEMBLIES AND APPLICATORS FOR USE WITH THE SAME
US7967181B2 (en) * 2007-08-29 2011-06-28 Tyco Healthcare Group Lp Rotary knife cutt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74385A1 (en) 2011-10-28
CN102387752A (zh) 2012-03-21
US20120071906A1 (en) 2012-03-22
KR101860029B1 (ko) 2018-07-05
TW201039795A (en) 2010-11-16
JP5499152B2 (ja) 2014-05-21
EP2410925B1 (en) 2017-07-12
BRPI1013504B1 (pt) 2020-10-06
JP2012521234A (ja) 2012-09-13
CA2755291A1 (en) 2010-09-30
ES2643317T3 (es) 2017-11-22
CA2755291C (en) 2017-06-27
SE0950189A1 (sv) 2010-09-26
AU2010227633A1 (en) 2011-10-06
KR20120022817A (ko) 2012-03-12
CN102387752B (zh) 2015-12-16
SE533609C2 (sv) 2010-11-02
WO2010108844A2 (en) 2010-09-30
BRPI1013504B8 (pt) 2021-06-22
TWI581752B (zh) 2017-05-11
JP5908013B2 (ja) 2016-04-26
EP2410925A2 (en) 2012-02-01
JP2014207974A (ja) 2014-11-06
US9289214B2 (en) 2016-03-22
WO2010108844A3 (en) 2010-11-18
MX2011009849A (es) 2011-10-06
BRPI1013504A2 (pt) 2017-05-16
HK1162902A1 (zh)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8418B1 (en) An anastomotic applier
US5425738A (en) Endoscopic anastomosis ring inser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795308B2 (en) Laparoscopic gastric and intestinal trocar
CA2275403C (en) Transanal anastomosis ring insertion device
US53280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BRPI0404238B1 (pt) Aplicador para anastomose
JP2008514244A (ja) 独立して作動する脚部を有する内視鏡装置
CA2705818A1 (en) A rectal resection device for rectal resection
KR101860029B1 (ko) 문합 도구 및 이를 구비한 키트
US11678885B2 (en) Circular stapling device and method of use
EP0568774A1 (en) Endoscopic anastomosis ring insertion device
AU2015261554B2 (en) Mounting tool for anastomosis device
EP2219532A1 (en) A rectal resection device for rectal resection
EP2224859A1 (en) A rectal stump closure device for rectal re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