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830A -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830A
KR20170076830A KR1020150185606A KR20150185606A KR20170076830A KR 20170076830 A KR20170076830 A KR 20170076830A KR 1020150185606 A KR1020150185606 A KR 1020150185606A KR 20150185606 A KR20150185606 A KR 20150185606A KR 20170076830 A KR20170076830 A KR 20170076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hydraulic line
pilot
hydraulic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558B1 (ko
Inventor
구본성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8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5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14Steering gears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30Safety devices, e.g. alternate emergency power supply or transmission means to ensure steering upon failure of the primary ste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궤도차량 조향변속기의 조향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유압라인,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에 작동유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비례제어밸브, 메인유압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서브유압라인,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메인유압라인이나 서브유압라인의 작동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선택밸브, 메인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인가하는 파일럿유압라인, 파일럿유압라인으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을 개폐하는 제1파일럿개폐밸브, 제1파일럿개폐밸브와 선택적으로 파일럿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제2파일럿개폐밸브, 궤도차량의 조향각에 비례하여 제어압력을 산출하고, 운전시 조향각에 따른 압력신호를 비례제어밸브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무단 조향방식과 기계식 조향방식을 전환시키는 밸브의 고장시에도 수동으로 조향방식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A hydraulic steering device of a track vehicle }
본 발명은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궤도차량 조향변속기의 조향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궤도차량은 변속기 출력축에서 좌우측 속도차에 의해 조향되고, 조향장치 내의 기어비에 따라 좌우측 속도차가 달라지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압식 조향장치는 유압에 의해 궤도차량 조향변속기의 조향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로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유압라인(110), 상기 메인유압라인(110)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에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작동유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비례제어밸브(121,122,123), 상기 메인유압라인(110)과 병렬로 구비되는 서브유압라인(131,132,133),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상기 메인유압라인(111,112,113)이나 서브유압라인(131,132,133)의 작동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선택밸브(141,142,143), 상기 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인가하는 파일럿유압라인(150), 상기 메인유압라인(110)으로부터 상기 파일럿유압라인(150)으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을 개폐하는 파일럿개폐밸브(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메인유압라인(111,112,113)을 이용하는 무단 조향방식과, 서브유압라인(131,132,133)을 이용하는 기계식 조향방식이 선택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즉, 유로선택밸브(141,142,143)에 의해 메인유압라인(111,112,113)과 서브유압라인(131,132,133)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메인유압라인(111,112,113)이나 서브유압라인(131,132,133)의 작동유압 중 어느 하나가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메인유압라인(111,112,113)과 서브유압라인(131,132,133)을 선택하는 유로선택밸브(141,142,143)는 파일럿유압라인(150)으로 공급되는 파일럿압력에 의해 동작하고, 파일럿개폐밸브(160)는 메인유압라인(110)으로부터 파일럿유압라인(150)으로 파일럿압력을 인가하게 된다.
무단 조향방식의 경우, 상기 메인유압라인(110)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압이 비례제어밸브(121,122,123)를 통해 가변되므로 연속적인 방향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해 기계식 조향방식의 경우, 비례제어밸브(121,122,123)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각 조향단의 기어비가 정해져 있어 조향단의 변경시 절도 있는 방향전환이 일어나게 된다.
기계식 조향방식은 온오프(on-off)제어로 조향응답성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조향변속시 기어비에 따른 속도차이로 조향충격이 발생되고 궤도차량이 급격하게 방향전환되어 안정적인 운전을 저해하고 조향감 및 승차감을 저해하게 된다. 따라서, 기계식 조향방식은 무단 조향방식의 운전이 불가한 경우에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방식의 전환을 결정하는 파일럿개폐밸브(16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유로를 개폐하는데, 솔레노이드가 고장나거나 전기적인 문제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파일럿유압라인(150)을 제대로 개폐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운전여건에 따라 운전자가 임의로 조향방식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로 파일럿개폐밸브(160)를 조작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무단조향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비례제어밸브(121,122,123)의 고장시에만 기계식 조향방식으로 자동전환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임으로 조향방식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무단 조향방식과 기계식 조향방식을 전환시키는 밸브의 고장시에도 수동으로 조향방식을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고 자동전환방식에서도 운전자의 의지로 임의로 조향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유압에 의해 궤도차량 조향변속기의 조향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로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유압라인, 상기 메인유압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에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작동유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비례제어밸브, 상기 메인유압라인과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서브유압라인,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상기 메인유압라인이나 서브유압라인의 작동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선택밸브, 상기 메인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구비되고 상기 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인가하는 파일럿유압라인, 상기 메인유압라인으로부터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으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을 개폐하는 제1파일럿개폐밸브,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와 선택적으로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제2파일럿개폐밸브, 궤도차량의 조향각에 비례하여 제어압력을 산출하고, 운전시 조향각에 따른 압력신호를 상기 비례제어밸브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에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를 우회하는 바이패스라인이 분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와 병렬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는 제어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는 운전자의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는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의 고장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클러치는 서로 다른 감속비를 갖는 조향1단 클러치와 조향2단 클러치 및 조향3단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압라인은 상기 조향1단 클러치와 조향2단 클러치 및 조향3단 클러치의 각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메인유압라인, 제2메인유압라인, 및 제3메인유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유압라인은 상기 조향1단 클러치와 조향2단 클러치 및 조향3단 클러치의 각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제1서브유압라인, 제2서브유압라인, 및 제3서브유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선택밸브는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이나 제1서브유압라인을 선택하는 제1유로선택밸브, 상기 제2메인유압라인이나 제2서브유압라인을 선택하는 제2유로선택밸브, 및 상기 제3메인유압라인이나 제3서브유압라인을 선택하는 제3유로선택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은 상기 제1유로선택밸브, 제2유로선택밸브, 및 제3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각각 인가하는 제1파일럿유압라인, 제2파일럿유압라인, 및 제3파일럿유압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의하면, 무단 조향방식과 기계식 조향방식을 전환시키는 밸브의 고장시에도 수동으로 조향방식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자동전환방식에서도 운전자의 의지로 임의로 조향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를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를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유압라인(10),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에 작동유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비례제어밸브(21,22,23), 상기 메인유압라인(10)과 병렬로 구비되는 서브유압라인,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상기 메인유압라인(10)이나 서브유압라인의 작동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선택밸브, 상기 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인가하는 파일럿유압라인(50), 상기 메인유압라인(10)으로부터 상기 파일럿유압라인(50)으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을 개폐하는 제1파일럿개폐밸브(60), 상기 파일럿유압라인(50)에 분기되어 구비되는 바이패스라인(70), 상기 바이패스라인(70)에 구비되는 제2파일럿개폐밸브(75), 궤도차량의 조향각에 비례하여 제어압력을 산출하고 운전시 조향각에 따른 압력신호를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유압라인(10)은 제1메인유압라인(11), 제2메인유압라인(12), 제3메인유압라인(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유압라인(10)에는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인가되는 작동유압을 개폐하는 메인개폐밸브(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11)은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로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2메인유압라인(12)은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로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3메인유압라인(13)은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유압을 공급한다.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11)과 제2메인유압라인(12) 및 제3메인유압라인(13)은 3개의 비례제어밸브(21,22,23)를 통해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 및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공급되는 유압을 각각 제어하게 된다.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는 상기 메인유압라인(10)에 구비되고 제어부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에 작동유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는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11), 제2메인유압라인(12), 제3메인유압라인(13)을 통해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 및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공급되는 각 유압을 각각 비례적으로 개폐하여 미세한 각도로 무한조향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어부(도면미도시)는 제어알고리즘에 의해 제어된 유압을 개폐하도록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이때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는 제어된 유압을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 및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각각 공급되게 비례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에 의해 제어된 압력이 클러치에 공급되면 급격한 압력증가에 따른 조향 변속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게 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브유압라인은 메인유압라인(10)과 선택적으로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에 작동유압을 공급한다. 즉, 작동유압은 메인유압라인(10)을 통해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에 공급되거나 서브유압라인을 통해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P1,P2,P3)로 공급된다.
상기 서브유압라인은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 및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작동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서브유압라인(31), 제2서브유압라인(32), 및 제3서브유압라인(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로선택밸브는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11)이나 제1서브유압라인(31)을 선택하는 제1유로선택밸브(41), 상기 제2메인유압라인(12)이나 제2서브유압라인(32)을 선택하는 제2유로선택밸브(42), 및 상기 제3메인유압라인(13)이나 제3서브유압라인(33)을 선택하는 제3유로선택밸브(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서브유압라인(31)과 제2서브유압라인(32) 및 제3서브유압라인(33)에는 항시 유압이 공급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유로선택밸브(41)와 제2유로선택밸브(42) 및 제3유로선택밸브(43)가 제1서브유압라인(31)과 제2서브유압라인(32) 및 제3서브유압라인(33) 쪽을 개방하면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 및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유압을 공급한다.
상기 파일럿유압라인(50)은 상기 메인유압라인(10)으로부터 분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선택밸브, 제2유로선택밸브, 및 제3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각각 인가하는 제1파일럿유압라인(51), 제2파일럿유압라인(52), 및 제3파일럿유압라인(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60)는 파일럿유압라인(50)상에 구비되어 메인유압라인(10)으로부터 제1파일럿유압라인(51), 제2파일럿유압라인(52), 및 제3파일럿유압라인(53)으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을 개폐한다.
정상작동시, 상기 유로선택밸브는 메인유압라인(10) 쪽을 선택하여 개방시켜 비례제어밸브(21,22,23)에 의한 비례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70)는 상기 파일럿유압라인(61,62,63)을 닫아 상기 제1유로선택밸브(41)와 제2유로선택밸브(42) 및 제3유로선택밸브(43)가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11), 제2메인유압라인(12), 제3메인유압라인(13) 쪽의 유압을 인가시킨다.
상기 비례제어밸브(21,22,23)의 고장시(Fail aftey Mode), 제어부는 제1서브유압라인(31)과 제2서브유압라인(32) 및 제3서브유압라인(33)의 유압이 조향1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1), 조향2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2), 및 조향3단 클러치 액츄에이터(P3)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7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메인유압라인(10)의 유압이 상기 파일럿유압라인(61,62,63)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1유로선택밸브(41)와 제2유로선택밸브(42) 및 제3유로선택밸브(43)를 작동시켜 상기 제1서브유압라인(31)과 제2서브유압라인(32) 및 제3서브유압라인(33)을 개방하게 된다. 이에 종래의 유압시스템과 같이 제1서브유압라인(31)과 제2서브유압라인(32) 및 제3서브유압라인(33)에 대기하고 있던 유압이 클러치로 공급된다.
상기 바이패스라인(70)은 상기 파일럿유압라인(50)과 병렬로 구비되어 파일럿압력이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60)를 우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이패스라인(70)에는 제2파일럿개폐밸브(75)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파일럿유압라인(50)과 바이패스라인(70)이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75)가 바이패스라인(70)에 구비됨으로써 제1파일럿개폐밸브(60)와 제2파일럿개폐밸브(75)도 병렬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60)의 고장에 의해 파일럿유압라인(50)이 폐쇄된 경우 제2파일럿개폐밸브(75)가 바이패스라인(70)을 개방함으로써 파일럿압력을 서브유압라인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60)는 제어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가 고장나거나 전기적인 문제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파일럿유압라인(50)을 제대로 개폐할 수 없게 된다. 실제 제1파일럿개폐밸브(6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는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이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75)는 운전자의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바이패스라인(70)를 개폐한다. 운전자가 조향방식을 변경하고자 할 때 제1파일럿개폐밸브(60)가 고장인 경우 제2파일럿개폐밸브(75)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바이패스라인(70)를 개방하여 파일럿압력을 서브유압라인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운전자가 서브유압라인을 이용하는 조향방식에서 무단조향방식으로 다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의지로 임의로 제2파일럿개폐밸브(75)를 조작하여 바이패스라인(70)를 닫음으로써 조향방식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메인유압라인
11 : 제1메인유압라인
12 : 제2메인유압라인
13 : 제3메인유압라인
21,22,23 : 비례제어밸브
31 : 제1서브유압라인
32 : 제2서브유압라인
33 : 제3서브유압라인
41 : 제1유로선택밸브
42 : 제2유로선택밸브
43 : 제3유로선택밸브
50 : 파일럿유압라인
51 : 제1파일럿유압라인
52 : 제2파일럿유압라인
53 : 제3파일럿유압라인
60 : 제1파일럿개폐밸브
70 : 바이패스유로
75 : 제2파일럿개폐밸브
80 : 메인개폐밸브

Claims (5)

  1. 유압에 의해 궤도차량 조향변속기의 조향클러치를 작동시키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유압라인;
    상기 메인유압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에 작동유압을 가변적으로 공급하는 비례제어밸브;
    상기 메인유압라인과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서브유압라인;
    상기 조향클러치의 액츄에이터로 상기 메인유압라인이나 서브유압라인의 작동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선택밸브;
    상기 메인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구비되고, 상기 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인가하는 파일럿유압라인;
    상기 메인유압라인으로부터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으로 인가되는 파일럿압력을 개폐하는 제1파일럿개폐밸브;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와 선택적으로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을 개폐하는 제2파일럿개폐밸브;
    궤도차량의 조향각에 비례하여 제어압력을 산출하고, 운전시 조향각에 따른 압력신호를 상기 비례제어밸브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에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를 우회하는 바이패스라인이 분기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는 상기 바이패스라인에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와 병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는 제어부로부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는 운전자의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제2파일럿개폐밸브는 상기 제1파일럿개폐밸브의 고장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클러치는 서로 다른 감속비를 갖는 조향1단 클러치와 조향2단 클러치 및 조향3단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압라인은 상기 조향1단 클러치와 조향2단 클러치 및 조향3단 클러치의 각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메인유압라인, 제2메인유압라인, 및 제3메인유압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유압라인은 상기 조향1단 클러치와 조향2단 클러치 및 조향3단 클러치의 각 액츄에이터로 작동유압을 공급하는 제1서브유압라인, 제2서브유압라인, 및 제3서브유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유로선택밸브는 상기 제1메인유압라인이나 제1서브유압라인을 선택하는 제1유로선택밸브, 상기 제2메인유압라인이나 제2서브유압라인을 선택하는 제2유로선택밸브, 및 상기 제3메인유압라인이나 제3서브유압라인을 선택하는 제3유로선택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럿유압라인은 상기 제1유로선택밸브, 제2유로선택밸브, 및 제3유로선택밸브로 파일럿압력을 각각 인가하는 제1파일럿유압라인, 제2파일럿유압라인, 및 제3파일럿유압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1020150185606A 2015-12-24 2015-12-24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101756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06A KR101756558B1 (ko) 2015-12-24 2015-12-24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606A KR101756558B1 (ko) 2015-12-24 2015-12-24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830A true KR20170076830A (ko) 2017-07-05
KR101756558B1 KR101756558B1 (ko) 2017-07-11

Family

ID=5935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606A KR101756558B1 (ko) 2015-12-24 2015-12-24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55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380B1 (ko) * 2013-12-27 2015-05-29 현대다이모스(주)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JP2015174559A (ja) * 2014-03-14 2015-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558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7208B2 (ja) オートマチック式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の油圧式制御装置
JP5148853B2 (ja) オートマチック式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の油圧式制御装置
US8544263B2 (en) Construction equipment having electric control lever
EP1790859B1 (en) Hydraulic controller for working machine
CN107110345B (zh) 用于车辆的阀装置、自动变速器和用于控制阀装置的方法
KR20090008713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US7591214B2 (en) Driving motor controlling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US20180319429A1 (en) Hydraulic steering unit
BG112870A (bg) Хидравлична система за управление
KR101491253B1 (ko) 림프홈모드 상태에서 전/후진 주행이 가능한 변속기 유압회로
WO2020031816A1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1756558B1 (ko)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102177250B1 (ko) 특수 차량용 자동 조향 제어 시스템
JP5516613B2 (ja) 前後進設定油圧切換え装置および自動変速機
KR101524380B1 (ko) 궤도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20160142131A (ko) 건설기계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KR10177672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장치
JP7189746B2 (ja) 車両
WO2019188061A1 (ja) 作業車両の油圧回路
KR10120520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장치
JP4926627B2 (ja) 電油システム
JPH11303808A (ja) 油圧駆動式作業車両の油圧システム
JP4957207B2 (ja) 前後進設定油圧切換え装置および自動変速機
KR101684066B1 (ko) 림프-홈 모드 구현을 위한 유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4954A (ko) 유압식 건설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