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739A - 용량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용량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739A
KR20170076739A KR1020177013935A KR20177013935A KR20170076739A KR 20170076739 A KR20170076739 A KR 20170076739A KR 1020177013935 A KR1020177013935 A KR 1020177013935A KR 20177013935 A KR20177013935 A KR 20177013935A KR 20170076739 A KR20170076739 A KR 20170076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guide
guide passage
taper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433B1 (ko
Inventor
마사히로 하야마
히데키 히가시도조노
마사유키 후타쿠치
코헤이 후쿠도메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6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16K47/06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with a throttle in the form of a helical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
    • F16K25/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ero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1/00Spindle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8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 F16K47/1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and having a throttling member separate from the closure member, e.g. screens, slots, labyrinths the throttling channel being of helica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05D16/2024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the throttling means being a multipl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09Controlled pressure
    • F04B2027/1813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04B2027/1827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between crankcase and discharge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45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Discharg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4Valve controlling parameter
    • F04B2027/1854External parameters

Abstract

밸브체의 외주면과 보디의 내주면 사이에 침입하는 이물의 배출 기능 및 밸브체의 조심 기능을 현격하게 향상시킨다.
밸브 하우징(2)과, 밸브 하우징(2)의 가이드 통로(10)에 장착되어 제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15)와, 이 밸브체(15)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30)를 구비한 용량 제어 밸브(1)에 있어서, 밸브체(15)의 외주면(15a) 또는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의 일방에는 테이퍼부(13a)가 설치됨과 아울러 타방에는 나선 홈(22)이 설치되고, 테이퍼부(13a)는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과의 간극이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으로 커지도록 설정되고, 테이퍼부(13a) 및 나선 홈(22)은 밸브체(15)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의 전범위에 있어서 테이퍼부(13a)의 기점(14)이 나선 홈(22)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용량 제어 밸브{VOLUM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작동 유체의 유량 또는 압력을 가변 제어하는 용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공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 등의 토출량을 압력 부하에 따라 제어하는 용량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용량 제어 밸브는 예를 들면, 용량 가변형 압축기 내에서 작동하는 제어 유체와, 공급되는 토출 유체를 밸브에 의해 개폐하여 제어한다. 이 토출 유체에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내부에서 작동시에 마모되어 발생하는 철분이나 알루미늄분이 혼입된다. 이 분말의 직경은 10㎛ 전후이기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의 슬라이딩면 사이에 부착된다. 이 슬라이딩면을 구성하는 밸브 로드가 축선에 대해 경사지면, 경사진 측의 간극이 좁아지고, 좁은 부분으로 분말이 파고들어가기 때문에, 밸브 로드가 설정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개선이 촉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51)에 수납되고 또한 코일(52)이 둘러 감긴 보빈(50)과, 이 보빈(50) 중심부에 설치되어 자기 회로를 구성하는 코어(53)와, 코일(52)에의 통전에 의해 코어 방향으로 흡인되는 가동 철심(54)과, 이 가동 철심(54)에 일체로 조립된 로드(55)와, 이 로드(55)에 의해 눌리는 스풀 밸브(56)와, 이 스풀 밸브(56)를 안내하는 하우징(57)과, 스풀 밸브(56) 및 하우징(57)의 단차로 구성되는 피드백실(58)을 구비한 전자 밸브에 있어서, 입력 포트(59)와 피드백실(58) 사이에서, 또한 피드백실(58)과 코어(53) 사이에서, 하우징(57)의 내주에, 각각, 조심(調心) 홈(59a 및 59b)을 설치하고, 스풀 밸브(56)를 조심시키도록 한 발명이 알려져 있다(이하, 「종래기술 1」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66)와, 이 밸브체(66)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고정 철심(61), 튜브(62), 플런저(63) 및 솔레노이드(64)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60)와, 밸브체(66)측과 구동부(60)측에 걸쳐 연장되는 로드 가이드 구멍(67)과, 이 로드 가이드 구멍(67)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통과되어 밸브체(66)와 구동부(60)를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로드(68)를 구비한 용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 로드(68)의 외주면과 로드 가이드 구멍(67)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로드 길이 방향에서의 일부 또는 전역에 걸쳐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을 크게 형성하여, 로드(68)와 로드 가이드 구멍(67) 사이에 침입한 이물(異物)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 알려져 있다(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도 1 참조.).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 2와 동일한 용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 로드(68)의 외주면 또는/및 로드 가이드 구멍(67)의 내주면에 로드 길이 방향에서의 일부 또는 전역에 걸쳐 연장되는 나선 홈(69)을 설치하고, 로드(68)와 로드 가이드 구멍(67) 사이에 침입한 이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이 알려져 있다(이하, 「종래기술 3」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도 2 참조.).
일본 특개 2001-263529호 공보 일본 특개 2003-301773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종래기술 1에서는, 조심 홈(59a 및 59b)에 의해 스풀 밸브(56)의 조심은 향상되지만, 하우징(57)의 내주와 스풀 밸브(56) 외주 사이에 침입한 이물의 배출 기능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2에서는 로드(68)의 외주면과 로드 가이드 구멍(67)의 내주면과의 간극이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이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68)와 로드 가이드 구멍(67) 사이에 침입한 이물의 배출 기능은 향상되지만, 로드(68)의 조심 기능이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3에서는, 로드(68)의 외주면 또한 로드 가이드 구멍(67)의 내주면에 나선 홈(69)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68)와 로드 가이드 구멍(67) 사이에 침입한 이물의 배출 기능 및 로드(68)의 조심 기능은 어느 정도 향상되지만, 단지 나선 홈(69)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용량 제어 밸브의 밸브체의 외주면과 보디의 내주면 사이에 침입하는 이물의 배출 기능 및 밸브체의 조심 기능을 현격하게 향상시키도록 한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량 제어 밸브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가이드 통로에 장착되어 제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용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 또는 가이드 통로의 가이드면의 일방에는 테이퍼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타방에는 나선 홈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과 가이드 통로의 가이드면과의 간극이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으로 커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테이퍼부 및 상기 나선 홈은 상기 밸브체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의 전범위에서 상기 테이퍼부의 기점이 상기 나선 홈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특징에 의하면, 밸브체의 나선 홈 내를 유체가 흐름으로써 밸브 하우징에 대한 밸브체의 조심 작용이 향상되어, 밸브체의 작동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극이 좁은 부분의 형성이 방지되기 때문에, 미세 분말이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부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누설량을 저감할 수 있어서, 카 에어컨 등의 시스템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응답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카 에어컨 등의 시스템의 제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외주면과 가이드 통로의 가이드면과의 간극에 침입한 미세 분말은 나선 홈을 통과하고 단숨에 밀어내지기 때문에, 도중에 체류하지 않고 저압측으로 확실하게 배출되므로, 밸브체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용량 제어 밸브의 내이물성이 향상되어 안정한 작동성을 유지한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밸브체의 나선 홈 내를 유체가 흐름으로써, 밸브 하우징에 대한 밸브체의 조심 작용이 향상되어, 밸브체의 작동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극이 좁은 부분의 형성이 방지되기 때문에, 미세 분말이 파고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부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누설량을 저감할 수 있고 카 에어컨 등의 시스템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응답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카 에어컨 등의 시스템의 제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밸브체의 외주면과 가이드 통로의 가이드면과의 간극에 침입한 미세 분말은 나선 홈을 통과하여 단숨에 밀어내지기 때문에, 도중에 체류하지 않고 저압측으로 확실하게 배출되므로, 밸브체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용량 제어 밸브의 내이물성이 향상되어, 안정한 작동성을 유지한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의 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의 상세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며, 밸브체는 단면화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종래기술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 3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용량 제어 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용량 제어 밸브(1)는 금속 재료 또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밸브 하우징(2), 밸브 하우징(2) 내에 왕복운동 자유롭게 배치된 밸브체(15), 밸브체(15)를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감압체(感壓體)(25), 밸브 하우징(2)에 접속되어 밸브체(15)에 전자구동력을 끼치는 구동부로서의 솔레노이드(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솔레노이드(30)는 밸브 하우징(2)에 연결되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된 케이싱(31), 일단부가 닫힌 슬리브(32), 케이싱(31) 및 슬리브(32)의 내측에 배치된 원통 형상의 고정 철심(33), 고정 철심(33)의 내측에서 왕복운동 자유롭고 또한 그 선단이 밸브체(15)에 연결된 구동 로드(34), 구동 로드(34)의 타단측에 고착된 가동 철심(35), 밸브체(15)를 개변시키는 방향으로 가동 철심(35)을 탄성 가압하는 코일스프링(36), 슬리브(32)의 외측에 보빈을 통하여 권회된 여자용의 코일(37) 및 케이싱(31)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설치된 끝부 부재(3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 하우징(2)은 토출측 통로로서 기능하는 포트(3, 4, 5), 밸브체(15)의 연통로(19)와 함께 흡입측 통로로서 기능하는 포트(6, 5), 토출측 통로의 도중에 형성된 제1 밸브실(7), 흡입측 통로의 도중에 형성된 제2 밸브실(8), 토출측 통로 및 흡입측 통로에 형성된 제3 밸브실(9) 및 밸브체(15)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통로(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2)에는 제3 밸브실(9)을 획정하는 칸막이 조정 부재(11)가 압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토출측 통로 및/또는 흡입측 통로를 「제어 통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포트(5) 및 제3 밸브실(9)은 토출측 통로 및 흡입측 통로의 일부를 겸하도록 형성되고, 포트(4)는 제1 밸브실(7)과 제3 밸브실(9)을 연통시킴과 아울러 밸브체(15)를 삽입통과시키는(유체가 흐르는 간극을 확보하면서 밸브체(15)를 통과함) 밸브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밸브실(7)에 있어서, 포트(밸브 구멍)(4)의 가장자리부에는 후술하는 밸브체(15)의 제1 밸브부(16)가 자리하는 시트면(12)이 형성되고, 또한, 제2 밸브실(8)에 있어서 고정 철심(33)의 끝부에는 후술하는 밸브체(15)의 제2 밸브부(17)가 자리하는 시트면(3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Ps는 제어대상인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흡입 압력, Pd는 토출압력, Pc는 제어실 압력을 나타내고 있다.
밸브체(15)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측에 제1 밸브부(16), 타단측에 제2 밸브부(17), 제1 밸브부(16)를 사이에 끼고 제2 밸브부(17)와 반대측에 후부착에 의해 연결된 제3 밸브부(18), 그 축선 방향에서 제2 밸브부(17)로부터 제3 밸브부(18)까지 관통하고 흡입측 통로로서 기능하는 연통로(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3 밸브부(18)는 제1 밸브실(7)로부터 제3 밸브실(9)을 향하여 직경 축소된 상태로부터 직경 확장된 형상을 하고 있고, 직경 확장부에서 어댑터(20)와 대향하는 테이퍼 형상의 걸어맞춤면(18a)이 형성되어 있다.
감압체(25)는 제3 밸브실(9) 내에 배치되어 그 신장(팽창)에 의해 제1 밸브부(16)를 열리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력을 미치게 함과 아울러 주위의 압력 증가에 따라 수축하여 제1 밸브부(16)에 미치는 탄성 가압력을 약화시키도록 작동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체(15)의 외주면(15a)은 밸브 하우징(2)의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과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진다.
이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의 간극은 약 0.02부터 0.08mm의 범위에서 미세 분말(X)을 통과할 수 있는 범위이다. 이 간극의 치수는, 밸브체(15)가 밸브 시트(12)에 자리하여 개방될 때에, 서로의 면이 긴밀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밸브체(15)에 대해 어느 정도의 여유를 주는 크기로 함과 아울러, 밸브체(15)의 축심의 경사가 과대하게 되지 않는 것과 같은 범위 내로 설정된다.
동시에, 이 간극은 제1 밸브실(7)의 토출 유체 토출 압력(Pd)(고압측)과 제2 밸브실(8)의 흡입 압력(Ps)(저압측)과의 압력차에 따라 이것들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치수로 설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간극은 토출 압력(Pd)의 토출 유체가 미소한 누설에 그치는 범위 내의 치수이며, 미소한 누설은 용량 제어상 그다지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또한, 밸브체(15)의 작동시의 슬라이딩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하여, 밸브체(15)와 가이드 통로(10)와의 간극에는 실링용의 O링 등은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15)를 밸브 시트(12)에 대하여 접리(離接)하여 개폐하고, 고압의 토출 압력(Pd)의 유체를 도시 생략하는 용량 가변형 압축기의 크랭크실(제어실)로 제어 압력(Pc)의 유체로서 유입시켜 크랭크실 내를 제어한다.
도 2에 있어서, 가이드 통로(10)에 대향하는 밸브체(15)의 외주면(15a)에는, 나선 홈(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는 테이퍼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부(13a)는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내주면과의 간극이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으로 감에 따라 커지도록 설정된다.
테이퍼부(13a) 및 나선 홈(22)은 밸브체(15)의 스트로크의 시점부터 종점의 전범위에서 테이퍼부(13a)의 축 방향의 기점(14)이 나선 홈(22)의 축 방향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2의 경우, 밸브체(15)의 외주면(15a)에 나선 홈(22)이 설치되고,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는 테이퍼부(13a)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과 반대로,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 나선 홈이 설치되고, 밸브체(15)의 외주면(15a)에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밸브체(15)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의 전범위에 있어서 밸브체(15)의 외주면(15a)의 테이퍼부의 축방향의 기점이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의 나선 홈의 축방향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용량 제어 밸브(1)에 있어서, 제1 밸브실(7)에 유입한 토출 압력(Pd)의 토출 유체는, 밸브체(15)가 밸브 시트(12)로부터 벗어나서 열리면, 포트(4)로부터 제3 밸브실(9)로 흐른다. 이 때, 토출 압력(Pd)은 높은 압력 때문에 미량의 유체가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간극 방향으로도 흐른다. 그러나, 가이드 통로(10)의 스트레이트부(13b)의 길이는 수 밀리미터 이내임과 아울러 이 간극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은 높기 때문에, 유체 중에 포함되는 미세 분말(X)이 슬라이딩면 사이에 부착되어 물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통로(10)에 대향하는 밸브체(15)의 외주면(15a)에 나선 홈(2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15)의 축방향을 따라 고압측에서 저압측을 향하여 침입해 온 미세 분말(X)은 그 도중의 어느 하나의 부위에서 반드시 나선 홈(22)과 교차하므로, 나선 홈(22) 내로 떨어진다. 나선 홈(22) 내로 떨어진 미세 분말(X)은 나선 홈(22) 내를 흐르는 유체류에 의해 저압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동시에, 밸브체(15)는 나선 홈(22)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조심된다.
그 때,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는, 테이퍼부(13a)가 나선 홈(22)의 축방향의 도중부터 설치되어 있으므로, 미세 분말(X)은 보다 확실하게 유출된다.
즉, 스트레이트부(13b)에서는 간극은 작아 토출 압력(Pd)이 감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용하고 있으므로, 당해 스트레이트부(13b)에 대응하는 나선 홈(22) 내의 유체의 압력은 비교적 높다. 이에 반해, 테이퍼부(13a)에서는 저압측을 향하여 간극이 서서히 커짐과 아울러 유체의 압력도 손실에 의해 서서히 감압되기 때문에, 당해 테이퍼부(13a)에 대응하는 나선 홈(22) 내의 압력은 저압측을 향해 낮아지는 것과 같은 압력 구배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부(13b)에 대응하는 나선 홈(22) 내로 낙하한 미세 분말(X)은 고압 유체와 함께 마이너스의 압력 구배를 갖는 테이퍼부(13a)에 대응하는 나선 홈(22) 내를 향하여 체류하지 않고 단숨에 밀어내져 저압측으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미세 분말(X)은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간극의 사이로 파고들어가는 등하여 잔류되지 않고 확실하게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용량 제어 밸브는, 밸브체(15)의 외주면에 나선 홈(22)이 설치되고,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 테이퍼부(13a)가 설치되고, 테이퍼부(13a)는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과의 간극이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으로 커지도록 설정되고, 테이퍼부(13a) 및 나선 홈(22)은 밸브체(15)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의 전범위에 있어서 테이퍼부(13a)의 기점(14)이 나선 홈(22)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이하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밸브체(15)의 나선 홈(22) 내를 유체가 흐름으로써 밸브 하우징(2)에 대한 밸브체(15)의 조심 작용이 향상되어, 밸브체의 작동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간극이 좁은 부분의 형성이 방지되기 때문에, 미세 분말(X)이 파고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부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설정할 수 있어 누설량을 저감할 수 있고, 카 에어컨 등의 시스템의 효율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응답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카 에어컨 등의 시스템의 제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2) 밸브체(15)의 외주면(15a)과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과의 간극에 침입한 미세 분말(X) 나선 홈을 통과하여 단숨에 밀어내지기 때문에, 도중에 체류하지 않고 저압측으로 확실하게 배출되므로, 밸브체(15)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용량 제어 밸브의 내이물성이 향상되어 안정한 작동성을 유지한 용량 제어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변경이나 추가가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밸브체(15)의 외주면(15a)에 나선 홈(22)이 설치되고,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는 테이퍼부(13a)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에 나선 홈이 설치되고, 밸브체(15)의 외주면(15a)에 테이퍼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밸브체(15)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의 전범위에 있어서 밸브체(15)의 외주면(15a)의 테이퍼부의 축방향의 기점은 가이드 통로(10)의 가이드면(10a)의 나선 홈의 축방향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 된다.
1 용량 제어 밸브
2 밸브 하우징
3, 4, 5 포트
6 포트
7 제1 밸브실
8 제2 밸브실
9 제3 밸브실
10 가이드 통로
10a 가이드면
11 칸막이 조정 부재
12 시트면
13a 테이퍼부
13b 스트레이트부
14 테이퍼부의 축방향의 기점
15 밸브체
15a 외주면
16 제1 밸브부
17 제2 밸브부
18 제3 밸브부
18a 테이퍼 형상의 걸어맞춤면
19 연통로
20 어댑터
22 나선 홈
25 감압체
30 솔레노이드
31 케이싱
32 슬리브
33 고정 철심
33a 시트면
34 구동 로드
35 가동 철심
36 코일스프링
37 여자용의 코일
38 끝부 부재
Pd 토출 압력
Ps 흡입 압력
Pc 제어실 압력
X 미세 분말

Claims (1)

  1.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가이드 통로에 장착되어 제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용량 제어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 또는 가이드 통로의 가이드면의 일방에는 테이퍼부가 설치됨과 아울러 타방에 나선 홈이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밸브체의 외주면과 가이드 통로의 가이드면과의 간극이 고압측보다도 저압측쪽으로 커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테이퍼부 및 상기 나선 홈은 상기 밸브체의 스트로크의 시점으로부터 종점의 전범위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기점이 상기 나선 홈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제어 밸브.
KR1020177013935A 2014-12-25 2015-12-21 용량 제어 밸브 KR102060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3015 2014-12-25
JPJP-P-2014-263015 2014-12-25
PCT/JP2015/085608 WO2016104390A1 (ja) 2014-12-25 2015-12-21 容量制御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739A true KR20170076739A (ko) 2017-07-04
KR102060433B1 KR102060433B1 (ko) 2019-12-30

Family

ID=5615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935A KR102060433B1 (ko) 2014-12-25 2015-12-21 용량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7978B2 (ko)
EP (1) EP3239570B1 (ko)
JP (1) JP6756622B2 (ko)
KR (1) KR102060433B1 (ko)
CN (1) CN107002900B (ko)
WO (1) WO2016104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7681B1 (en) * 2012-05-24 2019-08-28 Eagle Industry Co., Ltd. Volume control valve
EP3575647B1 (en) 2017-01-26 2022-11-30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JP7051238B2 (ja) 2017-02-18 2022-04-11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CN114687984A (zh) 2017-11-15 2022-07-01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US11512786B2 (en) 2017-11-30 2022-11-29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control method for capacity control valve
WO2019112025A1 (ja) 2017-12-08 2019-06-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及び容量制御弁の制御方法
US11542929B2 (en) 2017-12-14 2023-01-03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pacity control valve
WO2019131694A1 (ja) * 2017-12-27 2019-07-0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及び容量制御弁の制御方法
JP7171616B2 (ja) 2017-12-27 2022-11-1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及び容量制御弁の制御方法
CN111630270B (zh) 2018-01-22 2022-04-15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JP6872800B2 (ja) * 2018-01-29 2021-05-19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6991890B2 (ja) * 2018-02-23 2022-01-13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スプールバルブ
CN108591597B (zh) * 2018-03-30 2019-08-02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防止杂质浸入的阀门
WO2020013155A1 (ja) * 2018-07-12 2020-01-1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WO2020013154A1 (ja) 2018-07-12 2020-01-16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CN112424473B (zh) 2018-07-13 2023-02-28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JP7289604B2 (ja) 2018-08-08 2023-06-12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EP3835578B1 (en) 2018-08-08 2023-12-06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JP2020067002A (ja) * 2018-10-22 2020-04-30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WO2020095918A1 (ja) 2018-11-07 2020-05-14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KR102541900B1 (ko) * 2018-11-26 2023-06-13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JP2020084904A (ja) * 2018-11-28 2020-06-04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US11473684B2 (en) 2018-12-04 2022-10-18 Eagle Industry Co., Ltd. Capacity control valve
JP7391486B2 (ja) 2019-03-01 2023-12-05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JP2020148134A (ja) * 2019-03-13 2020-09-1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2020148133A (ja) * 2019-03-13 2020-09-17 株式会社不二工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KR20210136128A (ko) 2019-04-03 2021-11-16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용량 제어 밸브
CN113661324B (zh) 2019-04-03 2023-06-06 伊格尔工业股份有限公司 容量控制阀
DE102019007194A1 (de) * 2019-10-16 2021-04-22 Vat Holding Ag Verstellvorrichtung für den Vakuumbereich mit Druckmessfunktionalitä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50435A1 (de) * 1966-02-25 1970-08-13 Wilhelm Odendahl Drosselvorrichtung
JPH11166635A (ja) 1997-12-02 1999-06-22 Kubota Corp 弁装置における軸受構造
JP2000065220A (ja) * 1998-08-12 2000-03-03 Kitz Corp 調節弁
JP2001263529A (ja) 2000-03-16 2001-09-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磁弁
JP4031945B2 (ja) * 2002-04-09 2008-01-09 サンデン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制御弁
US7104522B2 (en) * 2002-10-02 2006-09-12 Delphi Technologies, Inc. Coking-resistant shaft/bushing mechanism for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WO2006093149A1 (ja) * 2005-02-28 2006-09-08 Daikin Industries, Ltd. 膨張弁及び冷凍装置
CN100504253C (zh) * 2005-02-28 2009-06-24 大金工业株式会社 膨胀阀及制冷装置
CN101466986A (zh) * 2006-06-29 2009-06-24 大金工业株式会社 具备制冷剂分流结构的膨胀阀和使用该膨胀阀的冷冻装置
JP4292233B2 (ja) * 2007-05-24 2009-07-08 株式会社フロント 流量調節弁
DE102011077252B4 (de) * 2011-06-09 2018-10-04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Steuern eines Fluids
WO2012172914A1 (ja) * 2011-06-15 2012-12-20 イーグル工業株式会社 容量制御弁
EP2857681B1 (en) * 2012-05-24 2019-08-28 Eagle Industry Co., Ltd. Volume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2900A (zh) 2017-08-01
JP6756622B2 (ja) 2020-09-16
US10167978B2 (en) 2019-01-01
WO2016104390A1 (ja) 2016-06-30
EP3239570A4 (en) 2018-08-22
CN107002900B (zh) 2019-03-12
US20170284562A1 (en) 2017-10-05
EP3239570B1 (en) 2020-05-13
EP3239570A1 (en) 2017-11-01
KR102060433B1 (ko) 2019-12-30
JPWO2016104390A1 (ja)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6739A (ko) 용량 제어 밸브
JP4865703B2 (ja) 容量制御弁
EP3835578B1 (en) Capacity control valve
KR101988880B1 (ko) 용량 제어 밸브
CN111480002B (zh) 容量控制阀
EP3184817A1 (en) Variable-capacity compressor control valve
JP2009036182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CN110337555B (zh) 电磁比例阀
JP4331653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2004324740A (ja) 比例電磁弁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44940B1 (ko) 개폐 밸브
JP4492649B2 (ja) ブリード式バルブ装置
KR20210078541A (ko) 용량 제어 밸브
CN111692345B (zh) 电磁阀
EP3835577A1 (en) Capacity control valve
JP4457740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KR102603184B1 (ko) 용량 제어 밸브
JP6227520B2 (ja) 内部パイロット式3ポート切換弁
JP2006177210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EP3835576A1 (en) Capacity control valve
KR20230031365A (ko) 밸브
CN115435088A (zh) 电驱动阀
JP5998109B2 (ja) 液圧回転機の容量制御装置
JP2006188961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CN113474554A (zh) 容量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