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692A -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692A
KR20170073692A KR1020177014296A KR20177014296A KR20170073692A KR 20170073692 A KR20170073692 A KR 20170073692A KR 1020177014296 A KR1020177014296 A KR 1020177014296A KR 20177014296 A KR20177014296 A KR 20177014296A KR 20170073692 A KR20170073692 A KR 2017007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code string
slit
slit patter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522B1 (ko
Inventor
진 이노우에
아키히데 시라츠키
게이타 모치즈키
히로시 다구치
마키토 세키
마사히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9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pulse code
    • G01D5/2497Absolute enco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 G01D5/200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inductance, e.g. by a movable armature by influencing the self-induction of one or mor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승강로 내의 층상마다 설치되어 복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슬릿 패턴을 가지는 식별판과, 엘리베이터 칸 측에 설치되어 슬릿 패턴의 일부에 대응하는 출력치를 생성하는 N 개의 코일을 가지는 센서와, N 개의 코일의 출력치를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N 비트의 부호열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식별판은 M 계열 부호가 생성되도록 슬릿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 혹은 하강할 때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함으로써 출력치를 생성하고, 신호 처리부는 M 계열 부호 중 일부를 N 비트의 부호열로서 추출하고, 도어 존 또는 리레벨 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CAR POSITION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있는 구조물(철)의 오검출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로 측에 배치된 금속제의 피검출체와, 엘리베이터 칸 측에 피검출체와 대향(對向)하여 배치된 2개의 와전류 검출기 1, 2를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에서, 2개의 와전류 검출기 1, 2는 승강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검출체와 대향하는 위치를 엘리베이터 칸이 통과할 때, 먼저 검출된 와전류 검출기 1의 출력치에 기초하여 기준 출력치(임계치)를 설정하고, 와전류 검출기 2의 출력치를 기준 출력치와 비교한다. 이러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현상에 따른 적절한 임계치를 설정한 후, 피검출체의 엣지 위치를 검출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절대 케이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을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설비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 특허 문헌 2는 가이드 레일에 승강 방향으로 배열된 유사 랜덤 코딩의 절대 코드 마크 패턴(단일 트랙 마그넷 패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코드 판독 장치는 연속 n+1개의 코드 마크를 주사하기 위한 판독 스테이션을 가지고, 엘리베이터 칸의 절대 위치를 판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59942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4397689호 공보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와전류 검출기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승강로 상에 금속물체가 있으면 피검출체로 오검출 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스케일이 마그넷이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고가가 되어 버린다. 게다가 특허 문헌 2에서는 보수 시에 드라이버 등의 자성체를 흡착해 버리고, 자성체가 접촉한 부분의 코드, 패턴이 변화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있는 구조물의 오검출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저렴한 구성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 층상에 정지시킬 때의 정지 위치 검출을 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서, 승강로 내의 층상마다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진 슬릿 패턴을 가진 금속판으로 구성된 식별판과, 엘리베이터 칸 측에 설치되어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함으로써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한 전압치를 출력하여, 식별판의 슬릿 패턴의 일부에 대응하는 출력치를 생성하는 N 개로 이루어진 복수의 코일을 가지는 센서와, 복수의 코일로부터의 각각의 출력치를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출력치에 대응하는 N 비트의 부호 열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식별판은 슬릿의 유무에 대응한 ON/OFF 신호에 의해 M 계열 부호가 생성되도록, 승강 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분할된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미리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슬릿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센서는 복수의 코일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 혹은 하강할 때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함으로써 출력치를 생성하고, 신호 처리부는 출력치를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M 계열 부호 중의 일부를 N 비트의 부호열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N 비트의 부호열이 M 계열 부호 중 도어 존의 위치에 대응한 부호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어 존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추출한 N 비트의 부호열이 M 계열 부호 중 리레벨 존의 위치에 대응한 부호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리레벨 존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M 계열 부호에 상당하는 슬릿 패턴이 형성된 식별판과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른 부호열을 M 계열 부호 중에서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있는 구조물(철)의 오검출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한 구성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식별판과 복수의 코일을 가지는 센서의 구체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슬릿 패턴에 대응하는 M 계열 부호와 도어 존, 리레벨 존과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내의 신호 처리부에서 실행되는 일련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코일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슬릿 형상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이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승강체)(2) 및 균형 추(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2) 및 균형 추는 승강로(1) 내에 설치된 복수의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개별적으로 안내되면서, 도시하지 않는 권상기(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로프(3)를 통해서 승강로(1)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로(1) 내에는 복수의 피검출체인 식별판(10)이 고정되어 있다. 식별판(10)은 엘리베이터 칸(2)의 이동 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져 설정된 복수의 기준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장 바닥면(4)의 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식별판(1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각 층에 대응하는 위치가 기준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어느 층상에 설치된 하나의 식별판(10) 만을 예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의 하부에는 각 층에 배치된 식별판(10)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검출기)(20)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20)로부터의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30)로 보내진다. 제어장치(30)에는 센서(20)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를 특정하는 신호 처리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30)는 신호 처리부(31)로 특정된 엘리베이터 칸(2)의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복수의 식별판(10), 센서(20) 및 신호 처리부(31)를 가지고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각 구성 요건에 대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식별판(10)은 슬릿(11)이 들어간 금속판으로 구성되며, 각 층의 착상 위치에서 승강로 구조물(1a)에 설치되고 승강로 전체 길이로는 설치되지 않는다. 또한, 식별판(10)에 설치된 슬릿(11)은, 슬릿(11)의 유무가 센서(20)에 의해 검출되는 전압치에 기초한 ON/OFF 신호로 판독됨으로써, M 계열 부호를 재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각 층 바닥에 설치되는 식별판(10)은 모두 같은 슬릿 패턴으로 구성되어 모두 같은 M 계열 부호를 재현하는 것으로 한다.
센서(20)는 복수의 코일(21)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코일(21)과 식별판(10)의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코일(21)에 발생하는 전압(진폭 전압)을 추출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식별판(10) 내의 슬릿(11)의 무유에 대응한 진폭 전압의 증감에 대해 임계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H/L 판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복수의 코일(21)의 각각의 H/L 판정 결과로부터 부호열을 취득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31)는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로(1) 내를 상승 혹은 하강함으로써 식별판(10)과 센서(2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해감에 따라, 슬릿 패턴에 맞게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특정 부호열을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특정 부호열의 검출 하에서 검출되는 개개의 부호열을 식별함으로써, 슬릿 유무의 경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31)는 특정 부호열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입력이라고 판단하고, 후속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부(31)는 슬릿 패턴에 의한 특정 부호열이 검출되었을 때만 위치 검출을 실시함으로써, 승강로 구조물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오검출을 막을 수 있다.
추가로, 신호 처리부(31)는 도어 존에 대응한 부호열, 리레벨 존에 대응한 부호열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검출 결과에 따라 도어 존 출력, 리레벨 존 출력을 ON 하여 제어장치(30)에 대해서 착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 부호열로 M 계열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식별판(10)과 센서(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식별판(10)과 복수의 코일(21)을 갖는 센서(20)의 구체적인 레이아웃을 나타낸 그림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슬릿 패턴에 대응하는 M 계열 부호와 도어 존, 리레벨 존과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먼저, 코일(21) 및 슬릿(11)의 개수 및 치수에 대해 설명한다. 리레벨 존을 a mm, 도어 존을 b mm(다만, a<b)으로 한 경우, 각각의 슬릿(11)의 길이 m은 a, b의 공약수가 된다.
또한, b/m 비트의 유사 난수(M 계열)로부터 위치 확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M 계열에서 아래 식 (1)을 충족시키는 p비트 이상의 데이터 판독이 필요하다.
2p-1≥b/m+(p-1)×2 (1)
즉,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 존에 상당하는 b/m 비트와 그 양쪽의 (p-1) 비트를 더한 부호열에서 중복된 p 비트의 부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M 계열의 주기가 되는 (2p-1)과 관련하여, 위 식 (1)의 부등식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센서(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코일(21)은 p 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코일간의 피치는 슬릿(11)의 길이 m과 같고, 각 코일의 길이 c는,
c≤m
이 된다.
M계열은 이하의 점화식 (2)로부터 생성된다.
M(n)=M(n-p) XOR M(n-q) (p>q) (2)
초기치:M(1), M(2),…M(p)
여기서, XOR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을 의미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a= 20mm
b= 300mm
m= 20mm(a와 b의 최대공약수에 상당)
으로 하면,
a/m= 1
b/m= 15
가 되어, 상기 식 (2)을 충족하는 p는
p≥5
로서 구해지게 된다.
단, 승강로 구조물에 의한 오검출 대책을 위해서는 복수의 코일(21)의 출력치로부터 생성되는 부호열에서 H 또는 L이 1개 이하가 되는 M 계열은 배제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p 비트로 추출되는 부호열이 항상 H와 L이 2개 이상이 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오검출 요인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p는,
p≥6
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p=6으로 한 경우의 구체적인 M 계열 부호와 리레벨 존, 도어 존의 위치 관계가 도 4에 정리되어 있다. 이러한 도 4를 예로 들면, 신호 처리부(31)는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시에는 n=1~6에 상당하는 부호열(0, 0, 1, 0, 0, 1)을 판독함으로써 도어 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n=8~13에 상당하는 부호열(1, 1, 0, 1, 1, 1)을 판독함으로써, 리레벨 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 처리부(31)는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시에는 n=20~25에 상당하는 부호열(1, 0, 1, 0, 1, 0)을 판독함으로써, 도어 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추가로 n=8~13에 상당하는 부호열(1, 1, 0, 1, 1, 1)을 판독함으로써, 리레벨 존에 들어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5에서는 p=6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신호 처리부(31)는 6개의 코일(21)의 각각의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진폭 전압)을 추출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한 전압치를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부호열을 생성하고, 그 부호열에 따라 도어 존, 리레벨 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내의 신호 처리부(31)에서 실행되는 일련 처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스텝 S601에서 신호 처리부(31)는 복수의 코일(21)로부터의 출력치를 판독한다. 다음으로, 스텝 S602에서 신호 처리부(31)는 임계치 처리에 의해 각 코일의 출력치를 H/L 판정하여 부호열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스텝 S603에서 신호 처리부(31)는 생성한 부호열이 식별판(10)에 설치된 슬릿 패턴으로부터 생성되는 M 계열 부호의 일부와 일치하는 특정 부호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603에서 신호 처리부(31)는 특정 부호열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스텝 S604으로 진행하여 도어 존 및 리레벨 존의 출력을 L 상태(미검출 상태)로 하여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603에서 신호 처리부(31)는 특정 부호열을 검출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05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605에서 신호 처리부(31)는 검출한 특정 부호열이 도어 존 내에 있는 것을 규정하는 부호열 중 어느 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605에서 신호 처리부(31)는,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07로 진행하여 도어 존의 출력을 H 상태(검출 상태)로 하여 스텝 S60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605에서 신호 처리부(31)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07로 진행하여, 도어 존의 출력을 L 상태(미검출 상태)로 하여 스텝 S608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608에서 신호 처리부(31)는 검출한 특정 부호열이 리레벨 존 내에 있는 것을 규정하는 부호열 중 어느 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608에서 신호 처리부(31)는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09로 진행하여, 리레벨 존의 출력을 H 상태(검출 상태)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608에서, 신호 처리부(31)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610으로 진행하여, 리레벨 존의 출력을 L 상태(미검출 상태)로 하여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M 계열 부호에 상당하는 슬릿 패턴이 형성된 식별판과 복수의 코일을 이용하여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위치에 따른 부호열을 M 계열 부호 중에서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검출한 M 계열 부호와 도어 존 또는 리레벨 존을 규정하는 부호열을 비교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있는 구조물을 오검출하는 것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저렴한 구성을 갖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부호열에 관하여 H 또는 L이 1개 이하가 되는 M 계열을 배제하도록 식별판을 형성하는 슬릿 패턴, 및 센서(20)를 구성하는 코일(21)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승강로 구조물에 의한 오검출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센서(20)에 의한 검출 S/N 을 앞선 실시 형태 1에 비해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코일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본 실시 형태 2에 따라, 이 도 7에 나타낸 구성은 앞선 실시 형태 1의 도 5의 구성과 비교하면 코일의 구성이 다르며, 이러한 점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에서는 도면을 간소화하기 위해 1채널 분의 코일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코일이 p개 병렬로 설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의 복수의 코일(21)의 각각은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과 한 쌍의 차동형 검출 코일(21a)에 끼워진 여자(勵磁) 코일(21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구성을 채용하면,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은 와전류 자계만을 픽업할 수 있다. 그 결과, 신호 처리부(31)는 식별판(10)이 없는 위치 또는 식별판(10)의 슬릿(11)의 위치에서는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이 없는 상태로 검지할 수 있어, 식별판(10)의 슬릿(11)이 없는 위치에서만 차동형 검출 코일(21a)의 출력을 검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여자 코일과 차동형 검출 코일로 구성된 검출 코일을 채용함으로써, 여자 코일로부터의 여자 자계를 픽업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식별판의 비슬릿부의 검출 S/N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검출 S/N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호 처리부에서 검출 코일에 의한 출력의 진폭치 이외에 위상을 편입시켜 H/L 판정을 해도 좋다.
실시 형태 3
본 실시 형태 3에서는 앞선 실시 형태 1에 비해 저비용화가 가능해지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개요도이다. 본 실시 형태 3에 따라, 이 도 8에 나타낸 구성은 앞선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 5의 구성과 비교하면 코일의 구성이 다르며, 이러한 점을 중심으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복수의 코일(21)의 각각은 1개의 여자 코일(21c)과 각 채널마다의 검출 코일(21d)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구성을 채용하면, 여자 계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검출 코일로서 앞선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차동형 검출 코일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검출 S/N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호 처리부에서 검출 코일에 의한 출력의 진폭치 이외에, 위상을 편입시켜 H/L 판정을 해도 좋다.
실시 형태 4
본 실시 형태 4에서는 센서(20)에 의한 검출 S/N을 앞선 실시 형태 1에 비해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코일 구성에 대하여, 앞선 실시 형태 2, 3과는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코일 형상의 설명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 4에 따른 코일(21)은 8자 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코일(21)로부터의 여자 자계와 식별판(10)으로부터의 와전류 자계가 폐루프가 된다. 그 결과, 신호 처리부(31)는 폐루프 자계를 이룸으로써, 검출에 기여하지 않는 누설 자계가 감소하여, 검출 S/N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8자 모양의 검출 코일로 구성된 센서를 채용함으로써, 폐루프 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어 식별판의 비슬릿부의 검출 S/N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검출 S/N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호 처리부에서 검출 코일에 의한 출력의 진폭치 이외에, 위상을 편입시켜 H/L 판정을 해도 좋다.
실시 형태 5
본 실시 형태 5에서는 승강로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m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슬릿(앞선 도 3 참조)에 관해, 슬릿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검출 코일의 출력 변동을 억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슬릿 형상의 설명도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 m으로 형성되는 1개의 슬릿(11)에 관해, 이하와 같은 3가지 패턴의 슬릿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패턴 A:1개의 슬릿(11)이 복수의 가로 구멍(11a)을 등간격 피치로 세로 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패턴 B:하나의 슬릿(11)이 복수의 세로 구멍(11b)을 등간격 피치로 가로 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패턴 C:하나의 슬릿(11)이 복수의 대각선 구멍(11c)을 등간격 피치로 대각선 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슬릿 형상을 패턴 A~패턴 C로 함으로써, 각각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패턴 A의 효과:Y 방향(횡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흔들림이 일어나도, 코일의 출력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X 방향(세로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2)이 움직이면 가로 구멍(11a)의 유무에 따라 출력이 맥동하지만, 코일(21)에 대해 충분히 구멍 간격이 좁으면 문제가 없다.
패턴 B의 효과:X 방향(세로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흔들림이 일어나도, 코일의 출력 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Y 방향(횡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2)이 움직이면, 세로 구멍(11b)의 유무에 따라 출력이 맥동하지만, 코일(21)에 대해 충분히 구멍 간격이 좁으면 문제가 없다.
패턴 C의 효과:패턴 A와 패턴 B의 양쪽 모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2)이 X, Y방향으로 움직였을 경우, 코일의 출력 변동이 X, Y방향으로 치우치는 일 없이 균등하게 생기기 때문에, 신호 처리에서 대처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5에 의하면, 하나의 비트를 검출하기 위한 슬릿 형상을 복수의 구멍을 등피치로 나란히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의 흔들림에 대한 센서 출력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슬릿 형상은 앞선 실시 형태 1~4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을 각 층상에 정지시킬 때의 정지 위치 검출을 실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서,
    승강로 내의 층상마다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으로 이루어지는 슬릿 패턴을 갖는 금속판으로 구성된, 식별판과,
    엘리베이터 칸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對向)함으로써 교류 자기 응답에 의한 전압치를 출력하고 상기 식별판의 상기 슬릿 패턴의 일부에 대응하는 출력치를 생성하는 N 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일을 가지는, 센서와,
    상기 복수의 코일로부터의 각각의 출력치를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상기 출력치에 대응하는 N 비트의 부호열을 추출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식별판은, 슬릿의 유무에 대응한 ON/OFF 신호에 의해 M 계열 부호가 생성되도록, 상기 승강 방향에 대해서 등간격으로 분할된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미리 슬릿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슬릿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코일이 상기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슬릿 패턴의 일부와 대향함으로써 상기 출력치를 생성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출력치를 상기 임계치 처리함으로써 상기 M 계열 부호 중 일부를 상기 N 비트의 부호열로서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N 비트의 부호열이 상기 M 계열 부호 중 도어 존의 위치에 대응한 부호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도어 존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추출한 상기 N 비트의 부호열이 상기 M 계열 부호 중 리레벨 존의 위치에 대응한 부호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리레벨 존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별판은, 상기 M 계열 부호 중에 같은 N 비트의 부호화 열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M 계열 부호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N 비트의 부호화 열 모두가 1 또는 0이 되는 비트가 각각 2개 이상 포함되도록 상기 슬릿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이 여자 코일과 차동형 검출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차동형 검출 코일에 의해 검출된 전압치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이 상기 전압치를 출력하는 복수의 검지 코일로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검지 코일에 대해서 공통으로 설치된 여자 코일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이 8자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판은, 상기 복수의 슬릿의 각각이 복수의 가로 구멍, 복수의 세로 구멍, 및 복수의 대각선 구멍 중 어느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KR1020177014296A 2014-10-29 2014-10-29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KR101979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8746 WO2016067385A1 (ja) 2014-10-29 2014-10-29 かご位置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692A true KR20170073692A (ko) 2017-06-28
KR101979522B1 KR101979522B1 (ko) 2019-05-16

Family

ID=5585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296A KR101979522B1 (ko) 2014-10-29 2014-10-29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11209B2 (ko)
KR (1) KR101979522B1 (ko)
CN (1) CN107074485B (ko)
DE (1) DE112014007124B4 (ko)
WO (1) WO2016067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746B (zh) 2017-03-24 2022-07-05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系统的动态补偿控制
JP6743974B2 (ja) 2017-05-10 2020-08-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装置
CN108152362B (zh) * 2017-11-30 2021-12-10 湖北工业大学 一种基于伪随机序列的磁致伸缩检测钢结构缺陷的方法
US20190382234A1 (en) * 2018-06-19 2019-12-19 Otis Elevator Company Position reference device for elevator
CN109484933B (zh) * 2018-12-29 2020-07-1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位置和速度检测系统及其自检方法
CN112083500B (zh) * 2019-07-11 2024-02-23 安徽省勘查技术院(安徽省地质矿产勘查局能源勘查中心) 一种厚覆盖层下陡倾斜脉状金矿识别方法及系统
CN110759194B (zh) * 2019-10-25 2022-01-14 上海新时达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平层插板的控制方法以及控制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0836A (ja) * 2003-07-09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変位センサおよびこの変位センサ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JP2006052092A (ja) * 2004-08-12 2006-02-23 Inventio Ag ケージおよびケージ位置を検出する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設備の動作方法
JP4397689B2 (ja) 2001-07-31 2010-01-13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絶対ケージ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測定システム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JP4599427B2 (ja) 2008-04-11 2010-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4156350A (ja) * 2013-01-16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位置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8508A (ja) * 1983-04-12 1984-10-25 Kawasaki Steel Corp 鋼材の変態量及び平坦性のオンライン検出装置
JPS59188508U (ja) * 1983-05-30 1984-12-14 昭和電工株式会社 テニスコ−ト等の床構造体
JP2788361B2 (ja) * 1991-08-14 1998-08-20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かご位置修正装置
JP2000337809A (ja) * 1999-05-28 2000-12-08 Nippon Steel Corp 差動型渦流距離計
FI118382B (fi) * 2006-06-13 2007-10-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AT509101B1 (de) * 2009-11-18 2011-10-15 Victor Vasiloiu Induktive messeinrichtung für längen- und winkelerfassung
JP5664304B2 (ja) * 2011-02-09 2015-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式位置検出装置
DE112012005839B4 (de) * 2012-02-08 2019-07-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kabinenstandorterfass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7689B2 (ja) 2001-07-31 2010-01-13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絶対ケージ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測定システム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JP2005030836A (ja) * 2003-07-09 200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変位センサおよびこの変位センサ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JP2006052092A (ja) * 2004-08-12 2006-02-23 Inventio Ag ケージおよびケージ位置を検出する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設備の動作方法
JP4599427B2 (ja) 2008-04-11 2010-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4156350A (ja) * 2013-01-16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位置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7124T5 (de) 2017-07-13
JPWO2016067385A1 (ja) 2017-04-27
CN107074485A (zh) 2017-08-18
KR101979522B1 (ko) 2019-05-16
CN107074485B (zh) 2018-12-11
WO2016067385A1 (ja) 2016-05-06
DE112014007124B4 (de) 2019-05-02
JP6211209B2 (ja)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522B1 (ko)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JP5416331B2 (ja) ケージおよびケージ位置を決定する装置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ならびに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設備の作動方法
CN106458507B (zh) 电梯的位置检测装置
JP2006052092A (ja) ケージおよびケージ位置を検出する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そのようなエレベータ設備の動作方法
CN103373653A (zh) 升降梯设备、测量装置、标记装置和引导元件
US9890016B2 (en) Position recovery via dummy landing patterns
US10040664B2 (en) Positioning apparatus, elevator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car by using classified position identifiers
CN104093658A (zh) 轿厢位置检测装置
CN106232513B (zh) 电梯的位置检测装置
JP6452887B2 (ja) かご位置検出装置
JP2017171485A (ja) 移動手摺り劣化診断装置および移動手摺り劣化診断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られる位置特定目印
KR102121127B1 (ko)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로프 진단 장치
CN104071665A (zh) 电梯轿厢位置检测装置及方法
WO2014184869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070338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34859B1 (ko) 이동체의 이동속도 및 위치 연산기능검증을 위한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0904865B1 (ko) 자동 안내차량의 정거장 정밀정차 방법
JP486446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JP6464993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