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919A -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919A
KR20170072919A KR1020177013426A KR20177013426A KR20170072919A KR 20170072919 A KR20170072919 A KR 20170072919A KR 1020177013426 A KR1020177013426 A KR 1020177013426A KR 20177013426 A KR20177013426 A KR 20177013426A KR 20170072919 A KR20170072919 A KR 20170072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spreading
length
complex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449B1 (ko
Inventor
지펭 유안
웨이민 리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07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04L27/2035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 H04L27/204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using a single or unspecified number of carriers with more than two phase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02Combining codes
    • H04J13/107Combining codes by concate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중, 상기 방법은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획득하고,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며, 여기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방안에 의하면,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하여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MULTI-USER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향 다중 사용자의 접속은 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공간 분할 다중접속(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등 여러 가지 다중접속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기술은 상향 다중 사용자의 접속 통신 기술중의 아주 중요한 한가지로 우수한 접속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많은 무선 통신 표준에 채택되었다.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접속 과정에 있어서 우선, 매개 접속 단말은 모두 우선 일정한 길이의 확산 시퀀스(예를 들어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란 그 확산 시퀀스가 L개의 심볼로 구성됨을 말하고, L개의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말하는 L개의 심볼/L개의 요소는 L개의 디지털 심볼일 수 있다)를 이용하여 디지털 진폭 위상 변조후의 데이터 심볼을 확산한다. 확산 과정은 매개 이미 변조한 데이터 심볼과 확산 시퀀스의 매개 심볼을 곱하여 최종적으로 이용한 확산 시퀀스의 길이와 동일한 심볼 시퀀스를 형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확산 과정에 있어서 매개 이미 변조된 데이터 심볼(예를 들어 직교 진폭 변조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로 약칭)기술로 변조한 후의 성상 점(Constellation Points) 심볼)과 확산 시퀀스의 매개 심볼을 곱하면 최종적으로 매개 이미 변조된 데이터 심볼은 이용한 확산 시퀀스와 길이가 동일한 심볼 시퀀스로 확산되고,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였으면 매개 이미 변조된 심볼은 L개의 심볼로 확산되고, 매개 이미 변조된 데이터 심볼이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에 적재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모든 접속 단말의 확산후 심볼 시퀀스는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에서 송신될 수 있다. 마지막에, 기지국이 수신하는 것은 모든 접속 단말의 확산 신호가 겹쳐진 집합 신호이고 다중 사용자 수신기 기술을 이용하여 집합 신호로부터 매개 단말의 유용 정보를 분리한다.
코드분할 다중접속을 이용한 통신 기술은 일반적으로 대역확산 통신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단말의 변조 심볼이 L배 심볼로 확산될 경우 확산된 후의 L배 심볼의 전송 시간이 확산전의 변조 심볼과 같아야 하면 필요한 대역폭은 반드시 L배 확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확산 시퀀스가 대역확산 시퀀스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매개 단말의 확산후 심볼이 멀티캐리어 기술(예를 들아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로 약칭), 필터뱅크 멀티캐리어(filter bank multi-carrier FBMC로 약칭))로 전송되면 이 두 가지 기술의 결합이 멀티캐리어 코드분할 다중접속(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C-CDMA)으로 불리는 기술이다.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에 있어서, 발사측의 확산 과정은 간단하고, 매개 변조 심볼, 예를 들어 매개 QAM 변조후의 심볼과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의 매개 심볼을 곱하면 확산후의 L개의 심볼을 얻을 수 있고, 그 다음 확산후의 심볼을 단일 캐리어 또는 멀티캐리어 기술을 이용하여 발사하면 된다. 이에 대응되는 기지국의 수신 과정은 간단하지 않다.
어떻게 양호한 코드분할 다중접속 성능을 얻을 것인가, 또는 더욱 간단하게는 기지국이 어떻게 집합 신호로부터 정확하게 각 단말의 유용한 데이터 정보를 분리할 것인가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핵심으로 주로 확산 시퀀스와 수신기의 두 측면에 관련되고 확산 시퀀스의 선택은 성능의 기반이고 수신기의 설계는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양호한 접속 성능을 얻으려면 서로 다른 단말이 이용하는 확산 시퀀스가 우선 양호한 상호상관 특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확산 시퀀스가 직접 무선 다중 경로 채널에서 전송되면, 단일 캐리어의 코드분할 다중화 기술의 경우 시퀀스가 양호한 자기상관 특성을 구비하여 시퀀스 자신의 지연 다중 경로 확산에 대항하여야 한다.
멀티캐리어 코드분할 다중화 기술은 멀티캐리어 기술에 의하여 다중 경로에 대항할 수 있음으로 확산 시퀀스는 다중 사용자 정보의 분리에 유리한 상호 관련 특성만을 고려하면 된다. 이것이 바로 시퀀스 선택에 있어서 단일 캐리어 코드분할 다중화와 멀티캐리어 코드분할 다중화의 두 가지 기술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양호한 확산 시퀀스는 성능의 기반이고 최종적인 다중 사용자 정보의 분리는 기지국 측에서 완성하며 기지국은 서로 다른 다중 사용자 수신 기술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성능을 얻는다. 최적의 다중 사용자 데이터 분리 성능을 얻으려면 기지국은 예를 들어 직렬 간섭 제거 수신기 기술 등 고성능의 복잡도가 높은 다중 사용자 수신기 기술을 이용하여야 한다.
확산 시퀀스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서로 다른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의 주요한 차이점은 확산 시퀀스의 선택에 있다. 다이렉트 시퀀스 대역확산 코드분할 다중접속(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S-CDMA) 기술은 가장 자주 이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로 이미 여러 가지 무선 통신 표준에 상향 다중 사용자 접속 기술로 채택되었고, 그 확산 시퀀스는 가장 간단한 2원 의사 잡음 부호 (Pseudo-Noise, PN) 실수 시퀀스를 기반으로 한다. 시퀀스의 간단성으로 인하여 PN 시퀀스에 기반한 DS-CDMA 역시 멀티캐리어 코드분할 다중화의 가장 주요한 기술중의 하나이다. 이 기술에 있어서, 매개 이미 변조된 심볼은 우선 2원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에 의하여 확산된 후 멀티캐리어 기술을 통하여 송신된다.
2원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는 이진법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로도 불리고 시퀀스 중의 매개 심볼은 일반적으로 0 또는 1로 표시되고, 0을 +1로 표시하고 1을 -1로 표시하거나 또는 0을 -1로 표시하고 1을 +1로 표시하는 쌍 극성 시퀀스로 표시할 수도 있다.
확산 시퀀스의 길이도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의 하나의 결정적인 량이다. 확산 시퀀스가 길수록 각 단말이 이용한 확산 시퀀스 사이의 낮은 상호상관성을 더욱 쉽게 보장할 수 있고 낮은 상호상관성을 가지는 시퀀스를 더욱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더욱 많은 동시 접속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동시에 접속되는 단말 수량이 확산 시퀀스의 길이를 초과하면 그 다중 사용자 접속 시스템이 과부하상태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의 과부하를 실현하는 것은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이 향후 무선 통신에서 돋보이는 한 핵심 속성이다.
영활한 시스템 설계를 제공하여 더욱 많은 사용자의 동시 접속을 지원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접속 단말이 이용하는 확산 시퀀스는 서로 직교되는 것이 아니고 다중 사용자 정보론 측면에서 보면 상향이 직교되지 않는 다중접속 방식을 이용하면 직교 다중접속 방식보다 더욱 큰 시스템 용량 또는 주변 처리량을 얻을 수 있다. 이는 각 단말의 확산 시퀀스가 서로 직교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경우 매개 사용자의 복조 성능이 동시에 접속되는 사용자 수량이 증가됨에 따라 약화되기 때문이다. 시스템이 과부하일 경우, 다중 사용자 사이의 간섭은 더욱 엄중하게 된다. 현재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의 비교적 큰 응용 상황은 랜덤 접속 또는 자원 경쟁 접속이다. 각 접속 사용자가 자신의 변조 심볼을 확산 시퀀스로 확산시킨 후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에서 송신함으로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경쟁하여 사용한다.
기존 기술에 있어서,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성능을 제약하는 한 중요한 요소는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사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시키는 것, 즉 모든 변조 심볼이 동일한 시퀀스에 의하여 확산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수신기가 직렬 간섭 제거 기술을 실현하는데 유리하고 직렬 간섭 제거의 실현을 간소화할 수 있지만, 단일 확산 시퀀스의 방안에 의하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으므로 비직교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접속 성능에는 불리하다.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시켜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에 대하여 아직 유효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상기 기수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에 있어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획득하고,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존재하는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며,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과, 사전 설정된 규범에 따라 길이가 상기 지정 길이인 시퀀스를 다수 개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리스트로부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식중의 한 방식으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이,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길이가 R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시퀀스를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로 등분하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이,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길이가 사전 설정된 길이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퀀스를 지정 횟수 중복하여 길이가 R인 시퀀스를 생성하며,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시퀀스를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로 등분하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리스트에는 L개의 길이가 모두 L인 시퀀스가 있고 상기 시퀀스가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며 여기서,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가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이, 상기 L개의 길이가 L인 시퀀스가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 중의 매개 요소에 제1 소정값을 곱하여 상기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가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이, 상기 L개의 길이가 L인 시퀀스가 L×L 하다마드 행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L×L 하다마드 행렬 중의 매개 요소에 제2 소정값을 곱하여 상기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교행렬은 단위행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는 실수 시퀀스, 복소수 시퀀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며,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복소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은 후, N개의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에 각각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의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정규화 후의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요소는 정수 집합 {0, 1, ……, D} 또는 집합 {1, 2, ……, D}으로부터 얻는 것이고,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D는 복소수 성상도중의 성상 점의 수량이며,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에서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M원 실수를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발생하고, 또는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에 각각 상기 실수 집합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에 각각 상기 실수 집합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인 조건중의 적어도 한 조건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원 실수 집합에 근거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와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와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값은 모두 상기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며,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은 후, N개의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에 각각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의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정규화 후의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값은 M×M원 정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상기 M×M원 정수 집합은 [0, M×M-1] 또는 [1, M×M] 범위내의 모든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에서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의 값은 2, 3, 4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 것이, 상기 변조 심볼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고, 변조후의 변조 심볼을 상기 송신기의 송신신호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에 있어서,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신호는 상기 K개 송신기가 각각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에 확산 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 상기 확산후의 변조 신호를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신호이고, 각 송신기는 N개의 변조 심볼을 대상으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N와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에 있어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획득하는 제1 획득수단과,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확산수단과, 여기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는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제1 확정수단과, 사전 설정된 규범에 따라 길이가 상기 지정 길이인 시퀀스를 여러 개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리스트로부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제2 획득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는 실수 시퀀스, 복소수 시퀀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는 발생수단과,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는 제2 확정수단과,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복소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구성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생수단은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요소는 정수 집합 {0, 1, ……, D} 또는 집합 {1, 2, ……, D}으로부터 얻고,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며 D는 복소수 성상도중의 성상 점의 수량이며,
선택수단은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제3 확정수단은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M원 실수를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발생하거나 또는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선택하고, 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에 있어서,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여기서, 상기 송신신호는 상기 K개 송신기가 각각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에 확산 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 상기 확산후의 변조 신호를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신호이고, 각 송신기는 N개의 변조 심볼을 대상으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N와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검측하는 검측수단을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는 N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기술방안을 통하여,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하여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의 일부분이고 본 발명에 예시적으로 나타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나타낸 다른 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의 다른 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과 실시예2에 따른 송신기 신호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송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른 송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3에 따른 송신기를 나타낸 모듈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4에 따른 수신기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4에 따른 수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4에 따른 수신기를 나타낸 모듈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5중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 생성의 일 실예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5중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 생성의 다른 일 실예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5중의 M원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6중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 생성의 일 실예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6중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 생성의 다른 일 실예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6중의 3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값을 얻은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6중의 4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값을 얻은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7중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 생성의 일 실예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7중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 생성의 다른 일 실예의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상호 충돌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 발명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기재된 특징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측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02~단계S106을 포함한다.
단계S102에 있어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얻는데,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다.
단계S104에 있어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데, 여기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다.
단계S106에 있어서,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한다.
상기 각 단계를 통하여,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는 N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기술방안을 통하여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하였다.
단계S104중의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할 수 있고 여기서는 그 중 한 실예만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결정하는 방식. (2) 사전 설정된 규범에 따라 사전 설정된 리스트로부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식.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리스트에 여러 개 시퀀스가 포함된다.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식(1)의 경우, 구체적인 실시과정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
첫번째 방식: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직접 길이가 R인 시퀀스를 출력하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시퀀스를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로 등분하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로 한다.
두번째 방식: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길이가 사전 설정된 길이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퀀스를 지정 횟수 중복하여 길이가 R인 시퀀스를 생성하며,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시퀀스를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로 등분하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로 한다. 예를 들어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사전 설정된 길이가 2인 시퀀스를 생성하면 N의 값이 4이고 지정 길이가 3일 경우, 이 시퀀스를 6회 중복하여 시퀀스 길이가 12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길이가 12인 시퀀스를 4등분하여 지정 길이가 3인 확산 시퀀스를 얻는다.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식(2)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리스트에 L개의 길이가 모두 L인 시퀀스가 있고 상기 시퀀스는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상기 길이가 L인 시퀀스를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Discrete Fourier Transform matrix)로 배열하거나, 또는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 중의 매개 요소에 제1 소정값을 곱하여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길이가 L인 시퀀스를 L×L 하다마드 행렬(Hadamard matrix)로 배열하거나, 또는 L×L 하다마드 행렬 중의 매개 요소에 제2 소정값을 곱하여 상기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중, 상기 제1 소정값과 상기 제2 소정값은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경험과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것임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 응용에 있어서, 직접 단위행렬을 상기 직교행렬로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확산 시퀀스는 실수 행렬일 수 있지만 실제 응용에 있어서, 현재 주요한 코드분할 다중접속 기술은 간단히 실현하기 위하여 대부분 2원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를 확산 시퀀스로 한다. 하지만 2원(binary)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 특히 길이가 짧은 2원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 사이의 저상관성을 쉽게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다중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엄중해지고 다중 사용자의 접속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기술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은 기술방안을 더 제공한다. 즉 상기 확산 시퀀스를 복소수 시퀀스로 실현할 수도 있고, 즉 매개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하고 복소 시퀀스가 구비하는 2원 실수 시퀀스보다 양호한 저상관 잠재력을 이용하여 접속 성능을 개선한다.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기와 같은 4가지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경우 하기 4가지 확정 방식을 결합할 수 있고 또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1) 하기 방식으로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며, 여기서, R=N×L이고 L는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real part)로 하고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imaginary part)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고,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복소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며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다.
그리고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에 각각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의 에너지 정규화 계수(energy normalization coefficient)를 곱하여 정규화된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직접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를 각각 출력하는 두 개 랜덤 시퀀스 발생기가 있을 수 있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에 근거하여 직접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확정할 수 있고 복소수 성상도를 이용하여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확정할 수도 있다.
2) 하기 방식으로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정수 시퀀스의 요소는 정수 집합 {0, 1, ……, D} 또는 집합 {1, 2, ……, D}으로부터 얻고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D는 복소수 성상도중의 성상 점의 수량이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3) 하기 방식으로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M원 실수를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발생하거나, 또는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선택하고, 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선택한 상기 모든 복소수 요소의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확정한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에 근거하여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확정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출력한 시퀀스로부터 데이터를 추출 선택하여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를 확정하고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확정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중의 실수 집합은 하기 조건중의 적어도 하나를 만족시킨다: 상기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고, 여기서, M는 홀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로 구성된 집합이, 여기서, M는 짝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에 각각 상기 실수 집합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고, 여기서, M는 홀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에 각각 상기 실수 집합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다. 여기서, M는 짝수이고 M의 값은 2, 3, 4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하기 방식으로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상기 M원 실수 집합에 근거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와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의 값은 모두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며, 여기서, i=1, 2, 3……, R, 얻은 R개의 요소로 차례로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다.
또한 복소수 시퀀스의 결과가 더욱 표준화되도록,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은 후, N개의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에 각각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의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정규화 후의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4) 하기 방식으로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한다: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값은 M×M원 정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상기 M×M원 정수 집합은 [0, M×M-1] 또는 [1, M×M] 범위내의 모든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며,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한 후, 상기 단계S106를 상기 변조 심볼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고 변조후의 변조 심볼을 상기 송신기의 송신신호로 하는 방식으로 실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상기 실시예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단"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조합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장치를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획득수단(20)과,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제1 획득수단(20)에 연결되어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도록 구성되는 확산수단(22)과, 여기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확산수단(22)에 연결되어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수단(24)을 포함한다.
상기 각 수단의 종합 작용에 의하여,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는 N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기술방안을 통하여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중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확산수단(22)에 연결되어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확정수단(26)과, 확산수단(22)에 연결되어 사전 설정된 규범에 따라 사전 설정된 리스트로부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획득수단(28)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사전 설정된 리스트에 여러 개 시퀀스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확산 시퀀스는 실수 시퀀스, 복소수 시퀀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경우, 상기 장치는,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발생수단(30)과,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발생수단(30)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도록 구성되는 제2 확정수단(32)과, 여기서, i=1, 2, 3……, R이고,
제2 확정수단(32)에 연결되어 얻은 R개의 복소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도록 구성되는 구성수단(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술방안을 더욱 개선하여, 발생수단(30)은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요소는 정수 집합 {0, 1, ……, D} 또는 집합 {1, 2, ……, D}으로부터 얻고,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며 D는 복소수 성상도중의 성상 점의 수량이며, 그리고, 발생수단(30)에 연결되어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선택수단(36)과, 선택수단(36)에 연결되어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확정수단(38)을 더 포함한다.
또한 선택수단(36)은 M원 실수를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발생하거나 또는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선택하고, 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고, 그리고 제3 확정수단(38)은 선택한 상기 모든 복소수 요소의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을 더욱 완벽화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측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402~단계S404를 포함한다.
단계S402에 있어서,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신호는 상기 K개 송신기가 각각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에 확산 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 상기 확산후의 변조 신호를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신호이고, 각 송신기는 N개의 변조 심볼을 대상으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N와 K는 모두 양의 정수이다.
단계S404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검측한다.
상기 각 단계를 통하여, 송신기가 송신한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는 N개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각 송신기내의 변조 심볼을 확산 처리하는 기술방안을 통하여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상기 실시예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이미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단"은 소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조합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장치를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장치는,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수단(50)과, 여기서, 상기 송신신호는 상기 K개 송신기가 각각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에 확산 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 상기 확산후의 변조 신호를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신호이고, 각 송신기는 N개의 변조 심볼을 대상으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N와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수신수단(50)에 연결되어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검측수단(52)을 포함한다.
상기 각 수단의 종합 작용에 의하여, 송신기가 송신한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는 N개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각 송신기내의 변조 심볼을 확산 처리하는 기술방안을 통하여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의 통신 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아래 몇 바람직한 실시예를 결합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례중의 "L"를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 중의 지정 길이로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1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송신기 신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과 대응되는 송신기, 수신기를 제공한다. 송신기(예를 들어 송수신 시스템중의 단말, 단말 송신기로도 불림)가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고 송신하려는 데이터 비트는 우선 부호화 변조되어 몇 데이터 심볼을 얻고, 여기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하여 얻은 한 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N개 데이터 심볼을 얻었다고 설정하고, 이러한 N개 데이터 심볼을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얻고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을 무작위화하는 목적을 실현하고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다시 캐리어 변조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1에 따른 송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702~단계S706을 포함한다.
단계S702에 있어서, 사용하려는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매개 시퀀스 길이가 L라고 함)를 어느 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통하여 발생하기로 확정한다.
단계S704에 있어서, 상기 N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려는 한 개 채널 부호화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형성한 N개 데이터 심볼에 차례로 확산 처리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단계S704중의 확산 처리는 부호화 변조후의 매개 변조 데이터 심볼과 대응되는 하나의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의 매개 요소를 곱하는 것이고 한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변조 심볼에 이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니다. 이로하여 한 변조 심볼이 확산되어 길이가 L인 심볼 시퀀스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한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N개의 변조 심볼이 확산되어 길이가 N×L인 심볼 시퀀스를 형성한다.
단계S706에 있어서,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송신한다.
본 단계S706에 있어서,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례에 있어서, 상기 단계S702에서 사용하려는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은 어느 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길이가 N×L인 시퀀스를 생성한 후 길이가 N×L인 시퀀스를 N 등분하여 형성할 수 있고,
어느 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직접 출력하거나 또는 중복하여 상기 길이가 N×L인 시퀀스를 생성할 수도 있고,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 발생기가 직접 출력하거나 또는 중복하여 두 개 길이가 N×L인 실수 시퀀스를 생성한 후 두 개 실수 시퀀스의 요소를 각각 N×L개 복소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로 하여 N×L개 복소수로 상기 길이가 N×L인 복소 시퀀스를 구성할 수도 있고,
한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 발생기가 직접 출력하거나 또는 중복하여 한 개 길이가 2×N×L인 실수 시퀀스를 생성한 후, 각각 N×L개 짝수 위치와 N×L개 홀수 위치의 요소를 N×L개 복소수의 실수부와 허수부로 하여 N×L개 복소수로 상기 길이가 N×L인 복소 시퀀스를 구성할 수도 있고,
어느 한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 발생기가 직접 발생하거나 또는 중복하여 한 개 길이가 N×L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한 후 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인덱스로 하나의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대응되는 복소수를 선택하여 상기한 길이가 N×L인 복소 시퀀스를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에 상기한 길이가 N×L인 시퀀스를 N등분하여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얻는다.
바람직한 실시예2
본 발명의 실시예2에서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과 대응되는 송신기, 수신기를 제공한다. 송신기(예를 들어 송수신 시스템중의 단말, 단말 송신기로도 불림)가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고 송신하려는 데이터 비트는 우선 부호화 변조되어 몇 데이터 심볼을 얻고, 여기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하여 얻은 한 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N개 데이터 심볼을 얻었다고 설정하고, 이러한 N개 데이터 심볼을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얻고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을 무작위화하는 목적을 실현하고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다시 캐리어 변조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802~단계S806을 포함한다.
단계S802에 있어서, 사용하려는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매개 시퀀스 길이가 L라고 함)를 송수신측에서 약정한 몇 길이가 L인 시퀀스로 구성되는 표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N회 선택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계S804에 있어서, 상기 N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려는 한 개 채널 부호화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형성한 N개 데이터 심볼에 차례로 확산 처리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본 단계중의 확산 처리는 부호화 변조후의 매개 변조 데이터 심볼과 대응되는 하나의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의 매개 요소를 곱하는 것이고 한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변조 심볼에 이용되는 확산 시퀀스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니다. 이로하여 한 변조 심볼이 확산되어 길이가 L인 심볼 시퀀스를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한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N개의 변조 심볼이 확산되어 길이가 N×L인 심볼 시퀀스를 형성한다.
단계S806에 있어서,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송신한다.
본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례에 있어서, 상기 단계S802에서 사용하려는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은 송수신측에서 약정한 몇 길이가 L인 시퀀스로 구성되는 표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N회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는 송수신측에서 약정한 몇 길이가 L인 상호 직교되는 시퀀스로 구성되는 표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N회 선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L개의 길이가 L인 상호 직교되는 시퀀스는 L×L의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DFT matrix)을 구성하거나 또는 직교행렬을 구성할 수 있고 직교행렬은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의 매개 요소를 동일한 값으로 나누어 얻은 행렬이다. 여기서 상기한 L개의 길이가 L인 상호 직교되는 시퀀스 역시 L×L의 하다마드 행렬(Hadamard matrix)을 구성하거나 또는 직교행렬을 구성할 수 있고 직교행렬은 L×L의 하다마드 행렬의 매개 요소를 동일한 값으로 나누어 얻은 행렬이다. 상기한 L개의 길이가 L인 상호 직교되는 시퀀스가 L×L의 단위행렬을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3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과 대응되는 송신기, 수신기를 제공한다. 송신기(예를 들어 송수신 시스템중의 단말, 단말 송신기로도 불림)가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고 송신하려는 데이터 비트는 우선 부호화 변조되어 몇 데이터 심볼을 얻고, 여기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하여 얻은 한 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N개 데이터 심볼을 얻었다고 설정하고, 이러한 N개 데이터 심볼을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얻고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을 무작위화하는 목적을 실현하고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다시 캐리어 변조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은 도 7 또는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702~단계S706 또는 단계S802~단계S806을 포함한다.
단계S702 또는 단계S802에 있어서, 사용하려는 N개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가 모두 복소수 확산 시퀀스인 것을 확정하고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각 요소는 복소수이고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은 모두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여기서, M는 2이상의 정수이다.
M원 실수 집합이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M원 실수 집합이 하기 집합중의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또는,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또는,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에 각각 대응되는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또는,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에 각각 대응되는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다.
단계S704 또는 S804에 있어서,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본 단계중의 확산 처리란 매개 부호화 변조후의 데이터 심볼과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매개 요소(복소수 심볼)에 복소수 곱셈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사용한 확산 시퀀스와 길이가 동일한 복소수 심볼 시퀀스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단계S706 또는 S806에 있어서,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송신한다.
본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례에 있어서, 상기 단계S702에서 사용하려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이, 의사 잡음 부호의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값은 상기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에 포함되는 요소의 수량은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요소의 수량 N×L과 동일하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허수부하여 이러한 실수부와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제i개 요소로 하며, 여기서, i=1, 2, …, N×L이고 L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얻은 N×L개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N개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얻고, 또는 상기 N등분한 L개 복소수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차례로 상기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일 실례에 있어서, 상기 단계S702에서 사용하려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이,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 시퀀스는 N×L개의 요소를 포함하고 그 중 모든 요소의 값은 모두 M×M원 정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상기 M×M원 정수 집합은 [0, M×M-1] 또는 [1, M×M] 범위내의 모든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고 L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 중의 N×L개의 요소에 근거하여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M×M점의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대응되는 N×L개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N×L개 성상 점에 대응되는 N×L개 복소수를 확정하고 상기한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N개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얻거나, 또는 상기 N등분한 L개 복소수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차례로 상기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응되게, 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중의 송신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퀀스 확정 장치(90)와, 확산 장치(92)와, 신호 송신 장치(94)를 포함한다.
시퀀스 확정 장치(90)는 사용하려는 N개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고, 상기 N개 확산 시퀀스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니고 모든 시퀀스의 각 요소는 복소수이고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은 모두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으며, 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다.
확산 장치(92)는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송신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생성한다.
신호 송신 장치(94)는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송신한다. 상기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여 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퀀스 확정 장치(90)가 확정한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이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또는,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또는,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에 각각 대응되는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또는,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M원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에 각각 대응되는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다.
상기 방안에 있어서, 송신기는 특정된 복소수 시퀀스를 확산 시퀀스로 하여 송신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기로 하여금 상기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를 식별하도록 한다. 다수의 송신기가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기로 정보를 송신할 경우, 매개 송신기는 각각 각자의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각자의 송신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수신기로 하여금 서로 다른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매개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복소수 시퀀스(즉 시퀀스 중의 매개 요소가 모두 복소수임)의 설계 자유도가 2원 실수 시퀀스보다 큼으로 쉽게 저상호상관성을 가지는 시퀀스 집합을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확산 시퀀스 집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방안에 의하면 더욱 양호한 코드분할 다중접속 성능을 얻을 수 있어 더욱 높은 시스템 과부하 수준을 지원할 수 있고 사용자의 비 직교 과부하 접속과 통신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4는 수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 및 대응되는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수신기(예를 들어 송수신 시스템중의 기지국)가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원리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고, 도 10에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각 송신기가 신호를 송신할 경우의 처리는 도 6을 참조)가 공중에서 무선 전송된 후, 수신기에서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가 겹쳐진 신호를 수신하고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가 겹쳐진 신호에 수신 검측을 수행하여 각 송신기가 송신한 데이터를 얻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는 직렬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신호 검측기이다.
도 11은 수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단계S1102~단계S1104를 포함한다.
단계S1102에 있어서,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는 상기 다수의 송신기 각각이 각자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각자가 송신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한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각각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변조하여 형성한 것이다.
단계S1102에 있어서, 상기한 매개 송신기가 이용한 확산 시퀀스는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니고 어느 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통하여 발생하거나 또는 송수신측에서 약정한 몇 길이가 L인 시퀀스로 구성되는 표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몇 회 선택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단계S1104에 있어서,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를 이용하여 수신한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수신 검측을 수행하고 검측시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이용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한다.
구체적인 수신 검측 방법에 대하여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검측 과정에 있어서, 수신기는 모두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이용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각 단말이 송신한 신호를 식별한다.
이에 대응되게, 본 실시예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중의 수신기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수신 장치(1200)와, 수신 검측 장치(1202)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 장치(1200)는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는 상기 다수의 송신기 각각이 각자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각자 송신하려는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여 생성한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각각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것이다.
수신 검측 장치(1202)는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를 이용하여 수신한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수신 검측을 수행하고 검측시 상기 다수의 송신기가 이용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확산 시퀀스의 수량은 채널 부호화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변조 심볼 수량과 같고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1과 바람직한 실시예2의 방안(송신기측과 수신기측의 다중 사용자의 코드분할 다중접속 통신 방법과 대응되는 송신기 및 수신기)은 구체적으로 응용될 때 MC-CDMA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쟁 접속되는 상황, 변조없이 접속되는 상황 등에 응용될 수도 있다.
MC-CDMA 시스템에 응용될 때, 송신기는 상기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N개의 변조 심볼에 확산 처리(즉 확산 시퀀스의 수량은 채널 부호화 코드 블록에 대응되는 변조 심볼 수량과 같다)를 수행하여 확산후의 심볼 시퀀스를 얻은 후, 수신기에 송신한다. 다수의 송신기는 동일한 주파수 영역 대역폭 또는 서브 캐리어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수신기는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 후,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수신 검측을 수행하여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이용한 다수의 단말을 유효하게 구분할 수 있어 시스템 용량을 유효하게 향상시키고 일정한 전송 속도 하에서 더욱 많은 단말 접속 수량을 감당할 수 있고 더욱 높은 시스템 과부하 수준을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비 직교 과부하 접속과 통신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쟁 접속되는 상황에 응용될 경우, 다수 심지어 대량의 사용자 단말이 동시에 시스템에 접속 요청하고 각 단말 송신기는 각각 상기 특정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면, 수신기는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를 이용하여 각 단말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수신 검측을 수행하여 각 단말이 송신한 신호를 유효하게 구분할 수 있고 더욱 높은 시스템 과부하 수준을 지원할 수 있고 시스템 접속 효율을 유효하게 개선하며 단말의 접속 체험을 개선할 수 있다.
변조없이 접속되는 상황에 응용될 경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용 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 단말이 동시에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각 단말 송신기는 각각 상기 특정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송신 데이터 심볼에 확산 처리를 수행하고 수신기는 간섭 제거 신호 검측기를 이용하여 각 단말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에 수신 검측을 수행하여 각 단말이 송신한 신호를 유효하게 구분할 수 있어 더욱 높은 시스템 과부하 수준을 지원하고 사용자 단말이 변조 없는 접속 및 통신 체험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이 스케쥴링하는 시그널링을 줄이고 단말 접속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5
본 실시예에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송신기는 우선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에 근거하여 길이가 N×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고 이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값은 실시예3에서 설명한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이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의 길이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길이와 동일하다. 마지막에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필요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는 각각 송신기중의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가 단독으로 생성한 것이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는 길이가 N×L인 의사 잡음 부호의 제1 실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는 길이가 N×L인 의사 잡음 부호의 제2 실수 시퀀스를 생성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송신기중의 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가 길이가 2×N×L인 의사 잡음 부호 기초 실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이 기초 실수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값은 실시예3에 설명한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의사 잡음 부호 기초 실수 시퀀스에 직렬-병렬 변환 또는 분할 저장 또는 주기적 샘플링을 수행하여 길이가 N×L인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와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를 형성한다.
여기서, 직렬-병렬 변환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의사 잡음 부호 기초 실수 시퀀스의 길이가 2×N×L이고 기초 실수 시퀀스의 요소 인덱스 초기값을 0으로 설정한다고 한다. 이것은 기초 실수 시퀀스의 짝수 위치의 요소로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를 형성하고 기초 실수 시퀀스의 홀수 위치의 요소로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를 형성하는 것에 대응된다.
주기적 샘플링 방식을 이용할 경우, 의사 잡음 부호 기초 실수 시퀀스의 길이가 N×L의 다수배라고 하면 기초 실수 시퀀스로부터 주기적으로 일부분의 위치상의 요소를 선택하여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로 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주기적으로 다른 일부분의 위치상의 요소를 선택하여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의 각 요소에 90도의 위상 변화(또는 ejπ/2를 곱한다)를 수행한 후,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의 각 요소와 자릿수마다 합하여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고, ComplexSeq = Seq1+Seq2×ejπ/2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ComplexSeq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표시하고 Seq1은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를 표시하며 Seq2는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를 표시하고 Seq2의 각 요소에 90도의 위상 변화(또는 ejπ/2를 곱한다)를 수행하는 것은 Seq2를 ComplexSeq의 허수부로 하는 것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공식중의 합하는 것은 자릿수마다 합하는 것을 말하고, 즉 Seq1의 제i개 요소를 실수부로 하고 Seq2의 제i개 요소를 허수부하여 이 실수부와 이 허수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복소수를 ComplexSeq의 제i개 요소로 하며, i=1, 2, …, L이다.
M=3을 예로 하면,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값은 3원 실수 집합 {1, 0, -1}으로부터 얻는다.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가 "1, -1, 0, -1, 1, 0, -1, 1"라고 하면 그 중의 각 요소를 90도 위상 변화하면 ejπ/2를 곱한 것에 대응되고 "ejπ/2, -ejπ/2, 0, -ejπ/2, ejπ/2, 0, -ejπ/2, ejπ/2"를 얻을 수 있다.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가 "-1, 0, 1, 1, -1, 1, -1, 0"라고 하면 양자를 자릿수마다 합하여 생성되는 복소수 시퀀스는 "-1+ejπ/2, -ejπ/2, 1, 1-ejπ/2, -1+ejπ/2, 1, -1-ejπ/2, ejπ/2"이고 이 복소수 시퀀스를 "-1+j, -j, 1, 1-j, -1+j, 1, -1-j, j"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복소수 시퀀스를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복소수 시퀀스에 진일보로 에너지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는데, 즉 복소수 시퀀스 중의 매개 복소수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복소수 시퀀스를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한다. 복소수 시퀀스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로 복소수 시퀀스의 각 요소의 에너지 합의 역수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소수 시퀀스 "-1+j, -j, 1, 1-j, -1+j, 1, -1-j, j"의 에너지 합은 2+1+1+2+2+1+2+1=12이다. 그러면 에너지 정규화 후의 복소수 시퀀스는 "(-1+j)/sqrt(12), -j/sqrt(12), 1/sqrt(12), (1-j)/sqrt(12), (-1+j)/sqrt(12), 1/sqrt(12), (-1-j)/sqrt(12), j/sqrt(12)"이고 여기서, sqrt()는 제곱근을 구하는 연산을 말한다.
상기 위상 변화는 0~2π 사이의 기타 값을 취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270도(또는 3π/2), -90도(또는 -π/2), -270도(또는 -3π/2) 등일 수 있다.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는 선형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가 n단계 선형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길이가 Mn-1인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를 생성한다고 하면 피드백 함수 또는 피드백 연결 다항식은 f= m0x0+m1x1+…+mn-1xn-1+mnxn로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m0, m1, …, mn-1, mn)는 피드백 계수이다. 클럭은 시프트 레지스터의 작업을 제어한다. 도 13 중의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의 경우, 양자가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피드백 함수 또는 피드백 연결 다항식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6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6은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의 원리는 도 16 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다. 송신기는 두 개 길이가 N×L인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에 근거하여 길이가 N×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한 후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N 등분하여 필요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의 생성과정은 실시예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 N×L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를 자릿수마다 복소수 성상도에 매핑하여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고 공식
(Seq1i, Seq2i) ―> ComplexSeqi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ComplexSeqi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표시하고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Seq1i, Seq2i)로부터 매핑하여 얻으며, Seq1i는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표시하고 Seq2i는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표시한다.
M=3을 예로 하면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값은 3원 실수 집합 {1, 0, -1}으로부터 얻는다.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에 대하여, 복소수 성상도가 9개 복소수 좌표 1+j, j, -1+j, 1, 0, -1, 1-j, -j, -1-j로 형성된 9개 성상 점이라고 사전 정의하고, (Seq1i, Seq2i)의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0, 1)일 경우 복소수 j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1, 0)일 경우 복소수 1로, 값이 (0, 0)일 경우 복소수 0으로, 값이 (-1, 0)일 경우 복소수 -1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0, -1)일 경우 복소수 -j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매핑된다고 사전 정의한다. 도 13을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가 "-1, 0, 1, 1, -1, 1, -1, 0"이고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가 "1, -1, 0, -1, 1, 0, -1, 1"이라고 하면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9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를 자릿수마다 9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상의 복소수 성상 점으로 매핑하여 복소수 시퀀스 "-1+j, -j, 1, 1-j, -1+j, 1, -1-j, j"를 얻고 이 시퀀스를 생성한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복소수 확산 시퀀스에 진일보로 에너지 정규화를 수행하여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에너지 정규화를 수행할 경우, 사용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는 복소수 성상도상의 9개 복소수 성상 점의 에너지 합의 역수일 수 있다.
M=4를 예로 하면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값은 4원 실수 집합 {3, 1, -1, -3}으로부터 얻는다.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에 대하여, 복소수 성상도가 16개 복소수 좌표 3+3j, 3+j, 3-j, 3-3j, 1+3j, 1+j, 1-j, 1-3j, -1+3j, -1+j, -1-j, -1-3j, -3+3j, -3+j, -3-j, -3-3j로 형성된 16개 성상 점이라고 사전 정의하고, (Seq1i, Seq2i)의 값이 (3, 3)일 경우 복소수 3+3j로, 값이 (3, 1)일 경우 복소수 3+j로, 값이 (3, -1)일 경우 복소수 3-j로, 값이 (3, -3)일 경우 복소수 3-3j로, 값이 (1, 3)일 경우 복소수 1+3j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1, -3)일 경우 복소수 1-3j로, 값이 (-1, 3)일 경우 복소수 -1+3j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1, -1)일 경우 복소수 -1-j로, 값이 (-1, -3)일 경우 복소수 -1-3j로, 값이 (-3, 3)일 경우 복소수 -3+3j로, 값이 (-3, 1)일 경우 복소수 -3+j로, 값이 (-3, -1)일 경우 복소수 -3-j로, 값이 (-3, -3)일 경우 복소수 -3-3j로 매핑된다고 사전 정의한다. 도 14를 참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가 "-1, 3, 1, -3, 1, 3, -1, -3"이고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가 "3, 1, -3, -1, 1, -1, -3, 3"이라고 하면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와 제2 실수 시퀀스를 자릿수마다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상의 복소수 성상 점으로 매핑하여 복소수 시퀀스 "-1+3j, 3+j, 1-3j, -3-j, 1+j, 3-j, -1-3j, -3-3j"를 얻을 수 있고 이 시퀀스를 생성한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복소수 시퀀스에 진일보로 에너지 정규화를 수행하여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에 대하여,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의 요소의 각 값의 집합을 이진법 인덱스로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1)을 0000으로, (-1, 1)을 0001로, …, (3, -3)을 1111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16개 복소수 성상 점도 같은 규칙에 따라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j를 0000으로, -1+j를 0001로, …, 3-3j를 1111로 표시할 수 있고, 즉 두 개 4원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의 요소의 각 값의 집합과 16개 복소수 성상 점이 하나하나 대응되는 관계를 형성하고, 그 다음 그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생성한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를 자릿수마다 16개 복소수 성상도상의 성상 점에 매핑하여 복소수 시퀀스를 얻고 그 복소수 시퀀스를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로 하거나, 또는 그 복소수 시퀀스에 에너지 정규화를 수행하여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M=4일 경우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를 매핑시키는 외, M=2일 경우 생성되는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를 매핑시킬 수 있다. M=2일 경우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의 요소의 값이 0 또는 1이거나 또는 1 또는 -1임으로 매번 실수 시퀀스 중의 2개 요소를 매핑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M=2일 경우의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가 "01100011"이고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가 "10111010"이라고 하면 의사 잡음 부호 제1 실수 시퀀스와 의사 잡음 부호 제2 실수 시퀀스로부터 차례로 두 개 요소를 동시에 선택하여 매핑하면 (01, 10)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상의 0110이 표시하는 복소수 성상 점에 매핑되고 (10, 11)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상의 1011로 표시하는 복소수 성상 점에 매핑되며, … 이와 유사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복소수 성상도 및 두 개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를 다른 방식으로 정의할 수도 있고 더욱 많은 복소수 성상 점으로 구성된 복소수 성상도 및 두 개를 초과하는 의사 잡음 부호 실수 시퀀스와 복소수 성상도 사이의 매핑관계를 정의할 수도 있으며 그 원리는 상기한 바와 유사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7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의 원리는 도 20 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송신기가 우선 하나의 길이가 N×L인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정수 시퀀스는 N×L개의 요소를 포함하고 모든 요소의 값은 M×M(M에 M을 곱함)원 정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상기 M×M원 정수 집합은 [0, M×M-1] 또는 [1, M×M] 범위내의 모든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고, 여기서, M, L는 모두 2 이상의 정수이다.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 중의 N×L개의 요소에 근거하여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M×M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대응되는 N×L개 성상 점을 선택하여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마지막에 길이가 N×L인 복소수 시퀀스를 N 등분하여 필요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얻는다. 또는 상기 N세트의 L개 복소수의 시퀀스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차례로 상기한 N개 길이가 L인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얻는다.
여기서 말하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는 실시예3과 동일한 것이고, 그 중 각 요소는 하나의 복소수이고 상기 복소수 확산 시퀀스 중의 모든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은 모두 하나의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는다.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로 생성할 수 있고 실시예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생성기는 선형 피드백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M×M=9원 정수 집합을 예로 하면, 송신기는 하나의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이 정수 시퀀스의 요소의 값은 모두 9원 정수 집합 {0, 1, 2, …, 8}으로부터 얻는다. 9원 정수 집합중의 요소와 M×M=9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복소수 성상 점 사이의 매핑관계(예를 들어 도 20)에 근거하여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를 자릿수마다 9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복소수 성상 점(매개 복소수 성상 점은 하나의 복소수를 표시)에 매핑하여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고, 공식
Seqi ―> ComplexSeqi으로 표시할 수 잇다.
여기서, ComplexSeqi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표시하고 9원 정수 집합중의 요소와 9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복소수 성상 점 사이의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Seqi 매핑하여 얻고 Seqi는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표시한다.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M×M=1 정수 집합을 예로 하면, 송신기는 하나의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이 정수 시퀀스의 요소의 값은 16원 정수 집합 {0, 1, 2, …, 15}으로부터 얻고, 16원 정수 집합중의 요소와 M×M=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복소수 성상 점 사이의 매핑관계(도 21를 참조)에 근거하여 그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를 자릿수마다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복소수 성상 점으로 매핑하여 복소수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고, 공식
Seqi ―> ComplexSeqi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ComplexSeqi는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제i개 값을 표시하고 16원 정수 집합중의 요소와 16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의 복소수 성상 점 사이의 매핑관계에 근거하여 Seqi 매핑하여 얻고 Seqi는 의사 잡음 부호 정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표시한다.
상기 M×M원 정수 집합, M×M개 점의 복소수 성상도 및 양자 사이의 매핑관계를 기타 방식으로 정의할 수도 있고 그 원리는 상기한 것과 유사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8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N개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N개 완전히 동일한 것이 아닌 확산 시퀀스는 송수신측에서 약정한 몇 길이가 L인 시퀀스로 구성되는 표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N회 선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송신기는 랜덤 생성된 인덱스 또는 사전 정의한 공식에 따라 계산한 인덱스에 근거하여 시퀀스 집합으로부터 N회 선택하여 N개 길이가 L인 확산 시퀀스를 생성하거나, 또는 기지국이 시그널링을 통하여 확산 시퀀스의 선택 방법을 단말 송신기에 통지하고 단말 송신기가 그 선택 방법에 따라 시퀀스 집합 또는 시퀀스 표로부터 시퀀스를 획득하여 확산 시퀀스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1이 시스템이 사전 정의한 복소수 시퀀스 집합이라고 하면, 이 복소수 시퀀스 집합은 n개 복소수 시퀀스를 포함하고 매개 시퀀스 길이는 L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복소수 시퀀스 집합 또는 복소수 시퀀스 표를 기타 방식으로 정의할 수도 있고 그 원리는 상기한 바와 유사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송신기는 랜덤 생성된 N개 의사 잡음 부호의 0~n-1 사이에 위치하는 정수를 표 인덱스로 하고, 예를 들어 생성된 첫번째 인덱스가 1이면 표1로부터 인덱스가 1인 복소수 시퀀스를 첫번째 변조 심볼의 확산 시퀀스로 선택한다. 또는 단말 송신기가 사전 정의된 공식에 따라 계산한 인덱스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계산한 첫번째 인덱스가 1이면 표1로부터 인덱스가 1인 복소수 시퀀스를 첫번째 변조 심볼의 확산 시퀀스로 선택한다.
다른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지국이 시그널링을 통하여 복소수 확산 시퀀스의 인덱스 생성 방법을 단말 송신기에 통지하고, 예를 들어, 기지국이 시그널링을 통하여 통지한 인덱스 생성 방법에 따라 생성한 첫번째 인덱스가 1이면 단말 송신기는 그 인덱스에 근거하여 표1로부터 인덱스가 1인 복소수 시퀀스를 첫번째 변조 심볼의 확산 시퀀스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집적회로로 실현할 수 있고 이러한 단계를 각각 하나의 집적회로 모듈로 형성하거나 또는 그 중의 다수의 모듈 또는 단계를 하나의 집적회로 모듈로 형성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이로하여 본 발명은 아무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기술방안을 실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를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하는데 기억매체가 광디스크, 플로피 디스켓, 하드 드라이버, 쓰기 및 소거 가능한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한 도면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 설명한 또는 도시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이러게 구분되는 대상들은 상황에 따라 서로 교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용어 "포함한다", "구비한다" 및 기타 변형 방식의 용어는 비 배타적 포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는 명확하게 설명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하게 기재하지 않은 단계 또는 유닛,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기기 고유의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수단 또는 각 단계를 범용 계산장치를 통하여 실현할 수 있고 단일 계산장치에 집중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계산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분포시킬 수 있고, 또한 계산장치가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실현할 수 도 있으므로, 기억장치에 기억하여 계산장치에 실행시킬 수 있고, 때로는 여기서 설명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도시한 또는 설명한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각각 집적회로 수단으로 만들거나 또는 그 중의 다수의 수단 또는 단계를 하나의 집적회로 수단으로 만들어 실현할 수 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여러 가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사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수정, 동등교체, 개량 등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산업이용가능성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기술방안에 의하면,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에 응용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는 N개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기술방안을 통하여 기존기술에 있어서 한 사용자가 하나의 확산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모든 변조 심볼을 확산하여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다중 접속 성능을 개선하여 각 접속 사용자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로 변조 심볼을 확산할 수 있어 사용자 사이의 간섭이 유효하게 무작위화 또는 평균화될 수 있다.

Claims (26)

  1. 송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에 있어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획득하고,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존재하는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며,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과,
    사전 설정된 규범에 따라 길이가 상기 지정 길이인 시퀀스를 다수개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리스트로부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식
    중의 한 방식으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이,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길이가 R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시퀀스를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로 등분하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것이,
    상기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가 길이가 사전 설정된 길이인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전 설정된 길이의 시퀀스를 지정 횟수 중복하여 길이가 R인 시퀀스를 생성하며,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시퀀스를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로 등분하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시퀀스를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리스트에는 L개의 길이가 모두 L인 시퀀스가 있고 상기 시퀀스가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며 여기서,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인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가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이,
    상기 L개의 길이가 L인 시퀀스가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L×L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 중의 매개 요소에 제1 소정값을 곱하여 상기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퀀스가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이,
    상기 L개의 길이가 L인 시퀀스가 L×L 하다마드 행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L×L 하다마드 행렬 중의 매개 요소에 제2 소정값을 곱하여 상기 L계 직교행렬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교행렬이 단위행렬인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는 실수 시퀀스, 복소수 시퀀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며,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복소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은 후,
    N개의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에 각각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의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정규화 후의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요소는 정수 집합 {0, 1, ……, D} 또는 집합 {1, 2, ……, D}으로부터 얻는 것이고,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D는 복소수 성상도중의 성상 점의 수량이며,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에서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M원 실수를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발생하고, 또는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선택하고, 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선택한 상기 모든 복소수 요소의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M원 실수 집합이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상기 M는 홀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2, (M-1)/2] 범위내의 M개 정수에 각각 상기 실수 집합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이거나,
    상기 M는 짝수이고 상기 실수 집합은 [-(M-1), (M-1)] 범위내의 M개 홀수에 각각 상기 실수 집합에 대응되는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얻은 M개 실수로 구성된 집합인 조건중의 적어도 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M원 실수 집합에 근거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와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와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값은 모두 상기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며,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은 후,
    N개의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에 각각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의 에너지 정규화 계수를 곱하여 정규화 후의 N개의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생성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값은 M×M원 정수 집합으로부터 얻고, 상기 M×M원 정수 집합은 [0, M×M-1] 또는 [1, M×M] 범위내의 모든 정수로 구성된 집합이고,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에서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방법.
  18. 청구항 13 내지 17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의 값이 2, 3, 4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 것이,
    상기 변조 심볼에 멀티캐리어 변조를 수행하고,
    변조후의 변조 심볼을 상기 송신기의 송신신호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수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에 있어서,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신호를 수신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신호는 상기 K개 송신기가 각각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에 확산 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 상기 확산후의 변조 신호를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신호이고, 각 송신기는 N개의 변조 심볼을 대상으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N와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21. 송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에 있어서,
    채널 인코더가 부호화한 코드 블록을 변조하여 얻은 N개의 변조 심볼을 획득하는 제1 획득수단과, 여기서, N는 2 이상의 양의 정수이고,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변조 심볼을 확산하는 확산수단과, 여기서,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는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확산후의 변조 심볼을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의 출력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확정하는 제1 확정수단과,
    사전 설정된 규범에 따라 길이가 상기 지정 길이인 시퀀스를 여러 개 포함하는 사전 설정된 리스트로부터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획득하는 제2 획득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확산 시퀀스는 실수 시퀀스, 복소수 시퀀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1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제2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제2 실수 시퀀스를 발생하는 발생수단과, 여기서,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고,
    상기 제1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실수부로 하고 상기 제2 실수 시퀀스의 제i개 요소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허수부로 하여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를 포함하는 복소수를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제i개 복소수 요소로 하는 제2 확정수단과, 여기서, i=1, 2, 3……, R이고,
    얻은 R개의 복소수 요소로 차례로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구성하고 상기 길이가 R인 복소수 시퀀스를 N등분하여 상기 지정 길이의 복소수 시퀀스를 얻는 구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발생수단은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에 의하여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를 발생하고, 여기서, 상기 정수 시퀀스의 요소는 정수 집합 {0, 1, ……, D} 또는 집합 {1, 2, ……, D}으로부터 얻고, R=N×L이고 L는 상기 지정 길이가 표시하는 값이며 D는 복소수 성상도중의 성상 점의 수량이며,
    선택수단은 상기 길이가 R인 정수 시퀀스의 요소를 사전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복소수 성상도로부터 상기 요소에 대응되는 성상 점을 선택하고,
    제3 확정수단은 상기 성상 점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M원 실수를 발생할 수 있는 의사 잡음 부호 시퀀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발생하거나 또는 M원 실수 집합으로부터 일정한 의사 잡음 부호 규칙에 따라 상기 복소수 시퀀스 중의 모든 복소수 요소의 실수부와 허수부를 선택하고, 여기서, M는 2 이상의 정수이고,
    상기 제3 확정수단은 선택한 상기 모든 복소수 요소의 상기 실수부와 상기 허수부에 근거하여 상기 복소수 시퀀스를 확정하는 장치.
  26. 수신기에 응용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에 있어서,
    K개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여기서, 상기 송신신호는 상기 K개 송신기가 각각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이용하여 변조 신호에 확산 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 상기 확산후의 변조 신호를 동일한 시간 주파수 자원으로 변조하여 형성한 신호이고, 각 송신기는 N개의 변조 심볼을 대상으로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를 가지고 상기 N개의 지정 길이의 확산 시퀀스에 서로 다른 확산 시퀀스가 적어도 두 개 있고 N와 K는 모두 양의 정수이고,
    상기 확산 시퀀스에 근거하여 상기 송신신호를 검측하는 검측수단을 포함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장치.
KR1020177013426A 2014-10-21 2015-07-07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432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564307.4A CN105591994B (zh) 2014-10-21 2014-10-21 码分多址接入的多用户通信方法及装置
CN201410564307.4 2014-10-21
PCT/CN2015/083479 WO2016062120A1 (zh) 2014-10-21 2015-07-07 码分多址接入的多用户通信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919A true KR20170072919A (ko) 2017-06-27
KR102432449B1 KR102432449B1 (ko) 2022-08-16

Family

ID=5576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426A KR102432449B1 (ko) 2014-10-21 2015-07-07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51887B2 (ko)
EP (1) EP3211846A4 (ko)
JP (1) JP6598857B2 (ko)
KR (1) KR102432449B1 (ko)
CN (1) CN105591994B (ko)
WO (1) WO20160621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230A (ko) * 2018-11-09 2021-07-15 지티이 코포레이션 심볼-그룹 기반 확산 방식의 설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1174A4 (en) * 2016-10-20 2019-08-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SENDING UPLINK DATA, NETWORK-SIDED DEVICE AND DEVICE DEVICE
CN108123903B (zh) * 2016-11-29 2021-12-1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中的信号处理方法和设备
CN108206723B (zh) * 2016-12-16 2022-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号发送、信息提取方法及装置、发射器、接收器
CN109217969B (zh) 2017-07-03 202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和处理器
CN109474408B (zh) 2017-09-08 202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序列的信号处理方法及装置
WO2019095426A1 (zh) * 2017-11-17 2019-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无线传输设备
CN109962751B (zh) * 2017-12-25 2022-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19136697A1 (en) * 2018-01-12 2019-07-18 Zte Corporation Signal spreading techniques for multiple access in wireless networks
CN114362875A (zh) * 2018-03-05 2022-04-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使用扩展码的传输
US11271691B2 (en) * 2018-07-09 2022-03-08 Huawei Technologies Canada Co. Ltd. Dynamic spectrum spreading of data symbols for multiple access transmission
CN110768922B (zh) * 2018-07-26 2022-06-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调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875794B (zh) * 2018-08-13 2022-04-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址接入方法和装置、及终端
WO2023090481A1 (ko) * 2021-11-18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4337901B (zh) * 2021-12-28 2024-03-22 哈尔滨工业大学 适用于多址接入系统的多幅值序列集合的构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271B1 (en) * 1997-12-31 2001-05-1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ellis coded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ignals
KR20010071456A (ko) * 1999-04-12 2001-07-28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광자 수 상태 발생 장치
KR20060083235A (ko) * 2000-03-23 2006-07-2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에 효과적인 확산기
KR20090097850A (ko) * 2006-10-03 2009-09-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 1차 동기 신호와 2차 동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56332A1 (en) * 2012-08-24 2014-02-27 Astrium Gmbh Generating and Processing of CDMA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389B2 (ja) * 1995-06-08 2000-04-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レイク方式の復調装置
KR100591904B1 (ko) * 2004-03-18 2006-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공간 부호를 이용한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전송다이버시티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4539969B2 (ja) * 2004-08-25 2010-09-08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キャリア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及びマルチキャリア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法
US7376173B2 (en) * 2004-09-27 2008-05-2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Unambiguously encoding and decoding signals for wireless channels
US7389099B2 (en) * 2005-04-22 2008-06-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interference from high power, high data rate signals
WO2007107090A1 (en) 2006-03-17 2007-09-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soft handoff in an ofdma-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01043725A (zh) 2006-03-21 2007-09-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系统中寻呼的方法
US8457221B2 (en) * 2006-09-08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transmission with localized sprea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140098782A1 (en) * 2012-10-05 2014-04-10 Sierra Wireless. Inc. Enhancement for lte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271B1 (en) * 1997-12-31 2001-05-1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trellis coded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ignals
KR20010071456A (ko) * 1999-04-12 2001-07-28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광자 수 상태 발생 장치
KR20060083235A (ko) * 2000-03-23 2006-07-20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대역 확산 통신 시스템에 효과적인 확산기
KR20090097850A (ko) * 2006-10-03 2009-09-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 1차 동기 신호와 2차 동기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56332A1 (en) * 2012-08-24 2014-02-27 Astrium Gmbh Generating and Processing of CDMA Sign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230A (ko) * 2018-11-09 2021-07-15 지티이 코포레이션 심볼-그룹 기반 확산 방식의 설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7512A (ja) 2017-12-14
EP3211846A4 (en) 2017-11-29
US20170353213A1 (en) 2017-12-07
CN105591994B (zh) 2019-08-02
US10651887B2 (en) 2020-05-12
CN105591994A (zh) 2016-05-18
KR102432449B1 (ko) 2022-08-16
WO2016062120A1 (zh) 2016-04-28
EP3211846A1 (en) 2017-08-30
JP6598857B2 (ja)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919A (ko) 코드분할 다중접속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
JP6522745B2 (ja) マルチユーザー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方法及び対応する送信機、受信機
WO2016078303A1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17112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6150241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16155390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7343321B (zh) 接入方法及装置、发射机、接收机、终端
WO2016045384A1 (zh) 一种扩频处理方法及装置
US20200351019A1 (en) Methods and computing device for facilitating multiple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131550B2 (ja) 拡散符号計算装置、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4313434B1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4276294B1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CN10996275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08029704A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ispositif de récep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de communication
GB25371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ultiuser environment
Gao The Correlations and the power characteristics of special classes of binary sequences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s
Engelberg Center for Scientific Computation And Mathematical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