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456A -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 Google Patents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456A
KR20170072456A KR1020150180619A KR20150180619A KR20170072456A KR 20170072456 A KR20170072456 A KR 20170072456A KR 1020150180619 A KR1020150180619 A KR 1020150180619A KR 20150180619 A KR20150180619 A KR 20150180619A KR 20170072456 A KR20170072456 A KR 2017007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knife
floor
support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기영
Original Assignee
홍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영 filed Critical 홍기영
Priority to KR102015018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456A/ko
Publication of KR2017007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3/00Hand knives with fixed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26B11/006Several functions combined i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에 대한 것으로서, 지지부가 파지부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제1기능과 날부의 경사각도를 결정하도록 하는 제2기능을 수행하고, 이격부가 날단부와 칼날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3기능을 수행하여 안전성과 안심감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SANITARY KNIFE BEING EASY TO HOLD}
본 발명은 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파지의 용이성과 위생성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에 관한 것이다.
칼은 날을 통하여 식재료나 물품을 잘라낼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산업환경이나 식당 주방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엌칼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하측둘레부에 날부분(11)이 형성된 날부재(10)와, 상기 날부재(10)의 후단부에 구비된 손잡이(2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0)를 잡은 상태로 상기 날부재(10)를 이용하여 식재료 등을 잘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기능성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이 부가된 칼이 제시되고 있으며, 음식물 등이 칼날에 부착되지 않는 돌기를 부가하거나, 안전을 향상하기 위한 수납용구들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위생성을 향상하기 위한 예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4786호는 주방용 칼의 손잡이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 결합구조는 손잡이장착편과 손잡이를 밀착시킴으로써 외부로 손잡이장착편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칼들의 경우 칼날과 도마나 싱크대와 같은 부위와의 접촉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상시적인 오염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보통 칼을 수납하는 보관용기구에 삽입하는 경우에도 칼이 외부로 노출된 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오염을 피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칼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내구성이나 사용성에 이점을 가지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의 적용은 실용적으로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바닥이 놓인 경우에 손잡이가 바닥면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손으로 들어올리는 데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칼의 사용과정이나 보관상태에서 칼날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손으로 파지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 위생성과 편리성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으면서도 바닥면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날부를 포함하는 칼로서, 손잡이부측에 배치되고 바닥에 접촉하여 파지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해 날부측에 배치되어 칼날 및 날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날부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결정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과 위생성이 동시에 향상된다.
제1실시예로서, 상기 이격부는, 날부의 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상기 이격부는, 칼등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3실시예로서, 상기 이격부는, 지지부의 하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생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칼등에서 칼날 측으로 갈수록 바닥과 근접되도록 날부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은 지지부가 파지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사용과 거치의 반복시에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날부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보관상태에서 상해를 방지함은 물론 심리적인 안심감에도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이격부가 칼날 및 날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때문에 외부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부엌칼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에서 이격부재의 구체적인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의 보관상태에서 칼날의 각도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손잡이부와 날부를 포함하는 칼로서 손잡이부측에 배치되고 바닥에 접촉하여 파지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날부의 바닥에 대한 경사각도를 결정하는 지지부와, 날부측에 배치되어 날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바닥에 놓이는 보관상태에서 칼날과 날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위생성을 향상하는 동시에 지지부가 손잡이부측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파지의 용이성을 향상하는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와 이격부는 바닥과 접촉함으로써 파지부 및 칼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이격시키는데 여기서 바닥이란 도마의 면, 싱크대나 선반의 면 등 칼이 놓이는 다양한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반드시 평판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칼은 손잡이부와 날부가 구비되는 형태라면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날이 구비되는 검(劍) 형태나 도끼 형태의 절단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날부가 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전후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날단부를 구성하나 날단부가 첨단(尖端)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는 날부의 경우에도 손잡이와 먼 타단측을 날단부의 개념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적용되는 구성들은 상호 간에 교환적, 부가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날부의 경우 대략 평판 형태로서 상하면이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부와 이격부는 상하측의 선택된 부위 또는 상하측 모두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관상태에서 칼은 날부(100)의 일면이 대략 바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며 손잡이가 배치되는 측을 일측으로 날단부가 배치되는 측을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칼의 기본적인 형태에 따라 일측에 손잡이부(200)가 배치되고 손잡이부(200)의 타측으로 날부(100)가 연결된다.
지지부(220)는 손잡이부(200)측에 배치되어 바닥과 접촉하며 손으로 쥘 수 있는 파지부(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20)는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0)의 배치와 형태는 선택적일 수 있으나,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날부(100)에 인접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220)는 파지부(210)와 일체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체결 또는 부착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지지부(220)는 파지부(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날부(100)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결정할 수 있는 제2기능을 수행하는데, 따라서 지지부(220)는 바닥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의 면이 날부(100)의 각도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의 형성을 위한 각도란 지지부(220)의 저면의 경사진 형태는 물론 날부(100)가 바닥에 대한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두 군데 이상의 부위에서 접촉되는 돌부들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개념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날부(100)의 바닥에 대한 각도의 의미는 날부(100)의 중심선 또는 중심면에 대한 각도를 의미한다.
날부(100)는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방 및/또는 후방에 칼날을 구비하며 타단측에서 날단부(11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200)의 타측에 지지부(220)가 형성되어 파지부(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면 날부의 자중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날단부(110)가 바닥면에 접촉될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에서 칼날은 어느 정도 바닥으로부터 이격이 가능하나 날단부(110) 또한 절단 작업시에 찌르는 동작을 통하여 절단대상물과 지속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바닥과 접촉되면 오염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격부(120)가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즉, 이격부(120)는 날부(100)의 선택된 일면 또는 양면에 배치되어 날단부(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3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220)의 바닥과 접촉되는 부위를 넓혀서 지지부(220)만이 바닥과 접촉된 상태에서 파지부(210)와 날부(100) 전체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인데 이와 관련하여 제3실시예에서 후술한다.
이격부(120)의 형태와 배치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날단부(110)에 인접되는 부위에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기 형태는 반구형, 육면체형, 리브(rib)형 등이 구조적인 안정성과 미관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20)와 이격부(120)는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손잡이부(200)와 날부(100)의 상하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왼손과 오른손의 사용에 모두 적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3은 도 2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에서 이격부재의 구체적인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바라볼 때 손잡이부(200)는 파지부(210)와 지지부(220)로 구성되고 지지부(220)는 파지부(210)에 대해 상하측으로 돌출되고, 마찬가지로 날부(100)에서 이격부(120)도 상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부(220)는 손잡이부(200)와 날부(100)의 연결부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파지시 검지나 엄지가 감싸면서 힘을 더욱 가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두께감을 주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날부(100)의 체결부위(미도시)와 밀착되어 손잡이부(200)와 날부(100)의 이격부위를 제거함으로써 이물의 유입에 의한 오염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이격부(120)는 날부(100)의 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지지부(220) 및 이격부(120)가 최소한 칼날(111)과 날단부(110)를 바닥에 접촉하지 않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상기 이격부(120)가 칼등 부위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이격부(120)는 날부(100)의 폭방향 중심선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상태는 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유용하다.
도 4는 도 2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의 보관상태에서 칼날의 각도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지지부(220)는 파지부(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날부(100)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2기능을 수행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즉, 지지부(220)의 바닥과 접촉되는 부위에서는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격부(120)와 함께 작용하여 날부(100)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결정한다.
도시된 상태는 타측에서 바라보는 실시예들이며, 도 4의 (a)에서는 날부(100)와 바닥이 대략 수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격부(120)는 날단부(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하며, 지지부(220)는 상기 각도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220)의 접촉되는 면은 대략 날부(100)와 평행할 것이다. 여기서 지지부(220)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날부(100)는 타측으로 갈수록 지면에 가까워지며 여기서 각도의 의미는 날부(100)의 종단면상의 중심선이 바닥과 평행한 것임을 의미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의 (b)는 날부(100)가 바닥에 대해 하향경사진 경우를 나타내는데, 칼등에서 칼날(111)측으로 갈수록 바닥과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는 경우이다. 지지부(220)의 형상 역시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도 4의 (c)는 날부(100)가 바닥에 대해 상향경사진 경우를 나타내며, 칼등에서 칼날(111)측으로 갈수록 바닥과 점점 멀어진다. 지지부(220)의 형상도 이에 대응되며, 다만 이 경우 칼날(111)이 지나치게 상향경사진 경우 신체와 접촉하여 상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향경사의 각도는 하향경사의 경우에 비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날부(100)의 바닥에 대한 각도는 대략 평행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각각 10°이내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부는 돌기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음식물 등이 날부(100)의 면에 접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부(130)가 상하방향이 아닌 타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칼날(111)이 배치되는 측을 하측으로 이격부(130)가 배치되는 측을 하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날부(100)는 칼등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이격부(130)와, 칼날(111)이 형성되는 몸체(참조번호 미표시)와, 몸체와 이격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물체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부(132)와, 상기 칼날(111)의 상측에 형성되어 삽입부(132) 측에서 절단을 수행할 수 있는 상측칼날(1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격부(130)와 몸체는 별도의 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생산성을 고려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부(130)는 일종의 돌출부로서 몸체에 형성되는 날단부(110)보다 뭉툭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지부(220)가 바닥과 접촉시에 타단측에서 바닥과 접촉되어 날부(100)를 전체적으로 이격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에 비하여 칼날을 전체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으면서도 안전성을 더욱 향상향수 있다.
칼은 선단부측에서 찌르는 작동이 가능하도록 몸체부(120)의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함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특히, 선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몸체날부(121)를 상방으로 반전하여 사용시 안전사고의 발생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는데, 이격부(130)가 상측칼날(131)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되 상기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찌름에 의한 신체상해가 방지되고 반전 사용시에도 안전하다.
상기 이격부(130)는 날단부(110)와 타단이 대응되거나 조금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부(130)가 찌름 동작시 물체나 신체에 먼저 접촉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삽입부(132)는 손질의 대상 물체의 소정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반전사용의 필요성이 존재할 때 이격부(130)가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132)가 형성되는 몸체 선단부측의 상측에는 상측칼날(131)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상측칼날(131)은 칼날(111) 대향되어 형성되는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독립적으로 자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식칼이나 문구용 칼의 경우 칼날(111)을 상방으로 위치하여 반전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고, 이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개념과 같이 삽입부(132)의 저부에 형성되는 상측칼날(131)은 이러한 반전사용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대상물의 껍질을 제거하거나 얇게 벗겨낼 필요성 등이 있는 경우 이용자는 날단부(110)를 소정 부위에 찔러 넣은 이후에 상방 및 전방으로 가압하면서 상측칼날(131)을 통하여 자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사용자는 칼날(111)을 상측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의도치 않게 날부(100)가 대상물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칼등 또는 이격부(130)가 인체에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지부(220), 손잡이부(200) 및 날부(100)와 관련하여 상기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이격부(140)가 날부(100) 측에 배치되지 않고 지지부(220)에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220)는 손잡이부(200)의 타측에 일체로서 또는 결합되어 배치되며, 파지부(2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날부(100)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격부의 부재시 날부(100)의 하중에 의하여 날단부(110)가 바닥과 접촉되어 오염의 가능성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격부(140)는 지지부(220)의 상측 및/또는 하측의 단부에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중에 의한 기울어짐을 지지하도록 기능하여 날부(100)를 전체적으로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기능하게 된다.
상기 이격부(140)는 지지부(220)와 일체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지지부(220)의 접촉되는 면의 연장형태로 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이격부(140)는 소정의 판 형태로서 날부(100)의 각 면을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경우 날부(100)에 대한 돌기 형태 또는 돌출 형태를 생략할 수 있고 비교적 가공이 용이한 사출재질의 손잡이부(200)를 통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에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의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은 지지부가 파지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하여 사용과 거치의 반복시에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날부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보관상태에서 상해를 방지함은 물론 심리적인 안심감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이격부가 칼날 및 날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때문에 외부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오염의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써 위생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날부 110...날단부
111...칼날 120,130,140...이격부재
131...상측칼날 132...삽입부
200...손잡이부 210...파지부
220...지지부

Claims (5)

  1. 손잡이부와 날부를 포함하는 칼로서,
    손잡이부측에 배치되고 바닥에 접촉하여 파지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대해 날부측에 배치되어 칼날 및 날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날부의 바닥에 대한 각도를 결정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날부의 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칼등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지지부의 하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칼등에서 칼날 측으로 갈수록 바닥과 근접되도록 날부의 각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가 용이한 위생칼.
KR1020150180619A 2015-12-17 2015-12-17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KR20170072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19A KR20170072456A (ko) 2015-12-17 2015-12-17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619A KR20170072456A (ko) 2015-12-17 2015-12-17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456A true KR20170072456A (ko) 2017-06-27

Family

ID=5951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619A KR20170072456A (ko) 2015-12-17 2015-12-17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2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94A (ko) 2022-07-18 2024-01-25 이영준 내구성이 향상된 위생 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669U (ko) * 1985-08-29 1987-03-09
JP2001286685A (ja) * 2000-04-07 2001-10-16 Fujitora Kogyo Kk 包 丁
KR20100107575A (ko) * 2009-03-26 2010-10-06 권은선 받침대를 부착한 위생칼
KR101314304B1 (ko) * 2012-03-22 2013-10-02 오성준 자립형 위생 안전식칼
KR101390372B1 (ko) * 2012-10-26 2014-04-29 홍기영 보호수단을 구비한 칼 및 가위
KR200478225Y1 (ko) * 2014-05-27 2015-09-10 주식회사올리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669U (ko) * 1985-08-29 1987-03-09
JP2001286685A (ja) * 2000-04-07 2001-10-16 Fujitora Kogyo Kk 包 丁
KR20100107575A (ko) * 2009-03-26 2010-10-06 권은선 받침대를 부착한 위생칼
KR101314304B1 (ko) * 2012-03-22 2013-10-02 오성준 자립형 위생 안전식칼
KR101390372B1 (ko) * 2012-10-26 2014-04-29 홍기영 보호수단을 구비한 칼 및 가위
KR200478225Y1 (ko) * 2014-05-27 2015-09-10 주식회사올리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94A (ko) 2022-07-18 2024-01-25 이영준 내구성이 향상된 위생 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0201B2 (en) Eating utensil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US7827696B2 (en) Corn scraper
EP3488740A2 (en) Eating utensil system
US8959776B2 (en) Knife safety apparatus
CN205600766U (zh) 一种新型安全菜刀
US8857747B2 (en) Food preparation device
JP5960924B2 (ja) 保護手段を備えた刃物及びはさみ
US20170252937A1 (en) Food slicer
US10786911B2 (en) Knives
KR20170072456A (ko) 파지가 용이한 위생 칼
KR102019638B1 (ko) 안전 채칼 기구
US20200187721A1 (en) Food article cutting board and related method
CN204149175U (zh) 一种方便去蒜头皮的菜刀
JP6474927B1 (ja) ハンドツール用スタンド
JP3182067U (ja) おろし器
JP2007282786A (ja) ブロック肉等の切断用補助器
CN217620708U (zh) 一种多功能新型菜刀
CN204658466U (zh) 阻滑柄弯口式切菜刀
KR20200030814A (ko) 도마
WO2016137011A1 (ja) 包丁支持具
CN214856091U (zh) 多功能锅盖
CN212706882U (zh) 一种菜刀
US20220218157A1 (en) Food article cutting board and related method
KR200355786Y1 (ko) 칼 수납부를 갖는 도마
KR200413047Y1 (ko) 다기능 야채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