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396A - 콧물 흡인기 - Google Patents

콧물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396A
KR20170071396A KR1020160064763A KR20160064763A KR20170071396A KR 20170071396 A KR20170071396 A KR 20170071396A KR 1020160064763 A KR1020160064763 A KR 1020160064763A KR 20160064763 A KR20160064763 A KR 20160064763A KR 20170071396 A KR20170071396 A KR 20170071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pump
nasal
nozzle
aspi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유키 히라오카
카즈히코 키노시타
Original Assignee
젝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젝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젝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8Containers incorporating a flexible member creating suction
    • A61M1/682Containers incorporating a flexible member creating suction bulb-type, e.g. nasal mucus aspirators
    • A61M1/0023
    • A61M1/0001
    • A61M1/001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에 잡은 상태에서 펌프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 콧물을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고, 더욱이 비강 내부의 점막 등을 손상하지 않는 안전한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콧물 흡인기는, 손 조작으로 수축 복원하는 펌프와, 이러한 펌프의 개구에 연결되는 워농 형상의 접속통과, 이 접속통의 상측 개구에 결합되고 하부가 펌프와 연통하는 노즐본체로 구성된다. 노즐 본체는 상측 내경을 좁게 한 상태로 연장하여 두고, 접속통의 일부에는 외부에서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노즐 본체의 기단부에는 펌프에서 노즐 본체로의 유출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한 콧물 흡인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콧물 흡인기{Nasal suction device}
본 발명은 콧물을 효과적으로 흡입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기나 화분증 등에 기인하여 콧물이 생긴 경우에는, 종이를 시용하여 흡인시키는 처방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14-217716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218831
이와 같은 종래의 발명 가운데, 특허 문헌 1은 긴 흡인 노즐의 단부에 변형이 용이한 고무 등의 펌프를 접속하고, 그 볼을 미리 수축시켜 두고 노즐 선단을 비강 내부로 삽입하고, 펌프를 팽창시키는 것에 의하여 콧물을 흡인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노즐이 길어서 그것을 비강 내에 삽입한 경우에는 노즐의 선단에 의하여 점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회수한 콧물이 노즐 내에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는 다시 펌프를 수축시키면 잔류하고 있던 콧물이 노즐 선단에서 역류할 우려가 있고, 콧물을 효율적으로 흡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2는 전원을 구비하고 있어서, 콧물을 진공 흡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 상태를 형성하여 이것에 의하여 노즐 선단에서콧물을 흡인하는 것이어서, 흡입이 강하게 되고, 노즐 선단이 점막에 접촉한 경우에는 강한 흡인력에 의하여 점막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콧물 흡인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효율적으로 콧물을 흡인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비강 내부를 손상 없이, 더욱이 회수한 콧물이 역류하는 것이 없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콧물 흡인기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손 조작으로 수축 복원되는 펌프와, 이러한 펌프의 개구에 삽입 관통된 원통형의 접속통과, 상기 접속통의 상측 개구에 결합되고, 하부가 펌프와 연통하는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고, 노즐 본체는 선단측 내경을 좁힌 상태에서 연장되어 있고, 접속통이 일부에는 외부에서의 유입을 차폐하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노즐 본체의 기단부에는 펌프에서 노즐본체로의 유출을 차폐하는 역지방지밸브라는 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펌프를 압축한 상태에서 노즐 선단부를 비전정(鼻前庭)을 포함하는 인중(이하에서는 '비전정' 이라고 칭함)에 맺힌 콧물 부근으로 유도하고, 펌프에서 손을 분리하여 복원하면, 노즐 내부에 잔류한 콧물이 펌프 조작에 의하여 노즐 선단부에서 비강 내부로 역류하는 것은 없다.
또한 노즐 본체를 실리콘고무로 성형하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노즐의 선단부를 용이하게 비전정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같이, 비강 내부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더욱이 노즐 본체의 선단부를 노즐 본체의 중심선에서 경사로 하여 연장한 경우에는, 기구 전체를 비강의 기울기를 따라 삽입하는 것만으로 노즐 선단을 비전정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노즐본체의 선단부의 개구부의 개구면을 노즐 본체의 경사각 보다 더 경사진 타원호로 하는 수단도 이용한다. 즉 노즐의 경사각보다 더 경사진 상태의 절단면인 타원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선단부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개구부가 노즐본체의 중심선에 직각으로 설치된 원호(원형)보다 면적이 커지게 되고, 흡인력을 경감할 수 있어서 비강 점막을 손상하는 것을 더욱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노즐본체를 실리콘고무로 성형하고, 그 선단부를 노즐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한 경우에도 선단부는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서, 제2손가락 등으로 각도를 경사시켜 기구를 삽입하면 노즐 선단부는 비전정으로 유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두 개의 역류방지밸브를 실리콘고무에 의하여 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돔 형상부에 슬릿을 형성하면, 용이하게 역류방지밸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수단을 채용한 것이어서, 손에 잡은 상태에서 펌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콧물을 효과적으로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비강 내부의 점막 등을 손상하지 않고 안전한 기구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콧물 흡인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콧물 흡인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콧물 흡인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노즐본체의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여기서 도면 부호 1은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펌프, 2는 원통형상의 접속통, 3은 노즐 본체, 4는 노즐 선단부이고, 노즐본체(3)은 접속통(2)에 끼워진 상태이고, 선단측을 가늘게 하여 노즐 선단부(4)를 연속 성형하고 있다. 도면 부호 5는 접속통(2)의 측면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이고,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로 슬릿(5a)를 형성하여, 접속통(2)의 내부에서는 공기가 유출되지만, 외부에서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단면도에 있어서, 노즐 본체(3)의 기단(6) 측은 접속통(2)의 내부까지 침입하여 있고, 기단부(7)에는 역류방지밸브(5)와 동일한 구성의 별도의 역류방지밸브(8)가 설치되며, 동일하게 슬릿(8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밸브(8)는 노즐본체(3) 측에서 펌프(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하지만, 펌프(1)에서 노즐 본체(3)측으로의 공기의 유출은 차단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역류방지밸브는 실리콘고무에 의하여 돔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돔면에 슬릿을 형성하고 있어서, 제조는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콧물은 비강 내에서 분시되는 점액이나 혈관엣의 침출액의 혼합물의 총칭이지만, 콧물이 생기면 일단 비전정에 모이게 되고 방치하면 그 용량을 넘어선 양이 코구멍에서 유출된다. 이렇게 되면 콧물을 흡인하는 경우 비전정에 있는 양을 회수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더욱이 비강의 깊숙한 후미의 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콧물 흡인기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도 5의 노즐 본체(3)의 확대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선단부(4)를 노즐 기단부(6)에서 약 30도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람이 조작하는 경우에는 펌프(1)를 들고 있으면서 비전정으로 노즐 선단부(4)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비전정에 있는 콧물을 흡인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사각은 정확하게는 30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경사각을 크게 하여 대략 55도로 설정하면, 비강의 경사를 따라서 기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적절하게 비전정으로 노즐 선단부(4)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노즐본체(3)의 기단(6)의 상측의 접속통(2)에서 노출된 부분(9)은 콧구멍 보다도 큰 지름으로 하여 두고, 노즐본체(3)를 비강으로 삽입한 경우, 노출부분(9)의 지름이 콧구멍의 점막을 손상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노즐 선단부(4)의 개구부(10)는 중심선에 대하여 직각보다도 30도의 경사각을 보다 크게 하는 방향을 경사로 하여 타원호의 개구부(10)가 나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10)가 타원호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흡인력을 원호의 경우보다 작게하는 것에 이하여, 비강 점막에 대한 흡인 부하를 경감시키고 있다.
노즐본체(3)의 소재는, 조작하는 사람의 부주의로 노즐 선단부(4)가 비강 내부에 접촉한 경우에도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한 소재를 채택하면, 다른 실시 예로서 노즐 선단부(4)를 도 1과 같이 경사시키는 것 없이, 접속통(2)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작하는 자가 제2손가락 등을 가볍게 노즐 선단부(4) 측을 따르는 것만으로 소망의 각도로 휘어질 수 있고, 기구 전체를 경사로 하지 않고 노즐 선단부(4)를 비전정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노즐 선단부(4)의 실리콘 경도를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낮게 하거나 두께를 얇게 하면 더욱 비강 점막의 손상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기구의 사용 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펌프(1)를 누르는 압축 조작을 하면, 노즐 선단부(4)를 비정전에 위치시키는 조작을 먼저 수행하는 것은 적절하게 선택할 사항이지만, 펌프(1)를 쥐는 조작을 수행하면 역류방지밸브(5)를 통하여 펌프(1) 내부의 공기가 유출된다. 이 경우 역류방지밸브(8)는 닫힌 상태이다. 다음에 노즐 선단부(4)를 비정전 부근으로 유동하고, 펌프(1)를 수축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손을 놓게 되면, 역류방지밸브(5)가 닫힌 상태로 되고, 역류방지밸브(8)가 해방되는 것에 의하여 노즐선단부(4)에서 콧물이 노즐 본체(3)의 내부로 유입되고, 더욱이 역류방지밸브(8)를 경유하여 펌프(1) 내부로 회수된다. 그리고 일단 회수된 콧물은 점도가 비교적 낮아서 노즐 본체(3) 내에 잔류하여도 기구를 세운 상태에서 방지하면, 역류방지밸브(8)의 슬릿을 통하여 펌프(1) 내부로 적하(滴下)한다. 또한 노즐 본체(3) 내에 콧물이 잔류한 상태인 경우에도, 차회의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여도 펌프(1)를 압축하여도 역류방지밸브(8)는 닫힌 상태로 되고, 콧물이 비강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1 ..... 펌프
2 ..... 접속통
3 ..... 노즐 본체
4 ..... 노즐 선단부
5 ..... 역류방지밸브
6 ..... 노즐 기단부
8 ..... 역류방지밸브

Claims (6)

  1. 비강 내부에 있는 콧물을 흡인하는 기구이고, 손 조작으로 수축 복원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개구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접속통과, 상기 접속통의 상측 개구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펌프와 연통하는 노즐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노즐본체는 상측 내경이 좁은 상태로 연장되고, 상기 접속통이 일부에는 외부에서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는 한편, 노즐 본체의 기단부에는 펌프에서의 노즐 본체로의 유축을 차단하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는 콧물 흡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콧물 흡인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는, 노즐 본체의 중심선에서 경사지도록 연장된 콧물 흡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의 개구부의 개구면은, 노즐 본체의 경사각 보다 더 경사진 타원형을 이루는 콧물 흡인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의 선단부는, 노즐 본체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된 콧물 흡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역류방지밸브는 실리콘 고무를 돔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돔 형상부에 슬릿을 형성한 콧물 흡인기.

KR1020160064763A 2015-12-15 2016-05-26 콧물 흡인기 KR20170071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4070 2015-12-15
JP2015244070A JP6586004B2 (ja) 2015-12-15 2015-12-15 鼻水吸引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396A true KR20170071396A (ko) 2017-06-23

Family

ID=5908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763A KR20170071396A (ko) 2015-12-15 2016-05-26 콧물 흡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86004B2 (ko)
KR (1) KR20170071396A (ko)
CN (1) CN106880877B (ko)
TW (1) TWI684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159B1 (ko) * 2023-03-09 2023-06-02 백영진 유도벽을 형성한 비강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250U (ko) * 1989-07-28 1991-03-19
JP2579932Y2 (ja) * 1992-04-03 1998-09-03 株式会社太陽医療品製作所 赤子用鼻汁吸取器
JP3575433B2 (ja) * 2001-03-02 2004-10-13 ジェクス株式会社 鼻汁吸取具
CN2693245Y (zh) * 2004-04-04 2005-04-20 林哥婴儿用品(昆山)有限公司 防逆流手控吸鼻器
WO2010075265A2 (en) * 2008-12-23 2010-07-0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Lung aerosol collection device
JP3154499U (ja) * 2009-07-16 2009-10-22 ヨーキ産業株式会社 小型噴霧器
US20150133816A1 (en) * 2013-11-11 2015-05-14 James Zhou Liu Complete upper respiratory tract cleansing system and its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0473A (zh) 2017-06-16
CN106880877A (zh) 2017-06-23
JP6586004B2 (ja) 2019-10-02
TWI684467B (zh) 2020-02-11
CN106880877B (zh) 2021-03-02
JP2017108820A (ja)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835B2 (en) Compliant guard for use with an aspiration instrument
EP2535079A3 (en) Paranasal sinus lavage device
CN108136170B (zh) 用于抽吸和喂饲系统、方法及设备的双口管路
US20190269845A1 (en) Combination Suction and Irrigation Hand Tool
KR101981324B1 (ko) 석션팁
KR20170071396A (ko) 콧물 흡인기
CN109789034A (zh) 用于实施晶状体乳化的系统
US10596306B2 (en) Suction device
US8945093B2 (en) Suction device
KR102540159B1 (ko) 유도벽을 형성한 비강 카테터
KR200439067Y1 (ko) 부항컵용 밀착패드
EP3590467B1 (en) Atraumatic high-volume dental evacuation tip
KR102336540B1 (ko) 석션팁 고정부가 구비된 의료용 석션 시스템
CN211433429U (zh) 一种吸唾器
KR102527624B1 (ko) 지방 흡입용 캐뉼라
ES2941335T3 (es) Sistema y método de desatasco por aspiración
CN115486795B (zh) 内窥镜手柄和吸引阀门
EP0063907A1 (en) Surgical underwater drainage system
JP5989267B2 (ja) 流体用栓部及び挿入機器
US20090043158A1 (en) Conduit introducer, conduit assembly and conduit-implanting device
US20180221125A1 (en) Device to be fitted in the mouth in order to isolate a dental area, facilitating correct dental treatment
CN112999061B (zh) 一种多功能鼻窦冲洗装置
JP3425076B2 (ja) 痩身用吸引カップ
CN208003162U (zh) 一种腹部吸脂手术用器械、专用接头
TWM628718U (zh) 具有吸取力調節裝置的手術吸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