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156A - 전자기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156A
KR20170069156A KR1020160166521A KR20160166521A KR20170069156A KR 20170069156 A KR20170069156 A KR 20170069156A KR 1020160166521 A KR1020160166521 A KR 1020160166521A KR 20160166521 A KR20160166521 A KR 20160166521A KR 20170069156 A KR20170069156 A KR 20170069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re
body portion
extension
slope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3004B1 (ko
Inventor
게이타 오카다
마사히로 도미타
상훈 이
재훈 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덴소코리아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덴소코리아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7006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01F2005/043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having multiple pin terminals, e.g. arranged in two parallel lines at both sides of th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전자기 밸브는 가동 밸브(10) 및 전자기 솔레노이드(20)를 포함한다. 전자기 솔레노이드는 몸체부(52), 오목부(56)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54), 및 오목부의 저면(56a)을 몸체부의 몸체면(52a)에 연결하기 위해서 플랜지부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에서 연장되는 연장부(58)를 포함하는 보빈(50)을 갖는다. 연장부는 권선 와이어(43)를 단자부(41)에 연결하는 연결부(42)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0)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자기 밸브{ELECTROMAGNETIC VALVE}
본 개시내용은 전자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밸브는 가동 밸브를 구동하여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를 갖는다. JP 5167060 B2는 이러한 전자기 밸브를 위한 전자기 솔레노이드를 개시하며, 전자기 솔레노이드는 와이어 및 보빈(bobbin)을 갖는다. 와이어는 절연막으로 덮인 권선을 갖는다. 보빈은 몸체부 및 플랜지부를 갖는다. 권선은 몸체부 주위에 권취된다. 플랜지부는 몸체부로부터 돌출하며 권선의 변위를 규제한다.
몸체부와 플랜지부 사이의 코너부는 몸체부 주위에 연장되는 마루부를 일체로 갖는다. 권선이 제1 단부를 따라 마루부의 제2 단부까지 권취될 때, 권선은 마루부의 기부에 압접되고, 따라서 권선 와이어는 긴밀 접촉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권선의 최내층과 연결되는 연결부는 보빈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마루부까지 연장되는 권선의 일부와 부딪칠 수 있다. 전자기 밸브에 가해진 진동에 의해 부딪침이 반복되는 경우, 와이어의 절연막은 손상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와이어의 절연막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하는 전자기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르면, 전자기 밸브는 가동 밸브와 가동 밸브를 구동하여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를 갖는다. 전자기 솔레노이드는 절연막으로 덮인 권선 와이어와 보빈을 갖는다. 권선 와이어는 권선 와이어를 단자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다. 보빈은, 권선 와이어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어 있는 몸체부; 권선 와이어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로서, 플랜지부는 연결부를 몸체부까지 안내하기 위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는 반경 방향으로 몸체부의 몸체면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저면을 갖는, 플랜지부; 및 오목부의 저면을 몸체부의 몸체면에 연결하기 위해 플랜지부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에서 반경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로서, 연장부는 오목부로부터 권선 와이어의 최내층까지 연결부를 안내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연장부는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부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지며 축 방향(두께 방향)으로 플랜지부를 통과하는 플랜지부의 오목부에 의해 몸체부까지 안내될 수 있다. 연결부는 플랜지부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에서 축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연결부는 오목부의 저면을 오목부의 저면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몸체부의 몸체면에 연결하는 연장부를 따라 진행하도록 만들어진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몸체부와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가 오목부로부터 연장부를 통해 권선 와이어의 최내층까지 연장될 때, 연장부를 따라 진행하는 연결부는 복수의 층을 갖도록 몸체부 주위에 권취된 권선 와이어를 향해 변위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는 권선 와이어와 부딪치기가 어려워지고, 권선 와이어의 절연막은 손상이 억제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고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밸브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전자기 밸브의 보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전자기 밸브의 보빈과 권선 와이어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보빈 주위에 권취된 권선 와이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방향 V에서 본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보빈의 돌출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기초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밸브(100)는 차량에 장착되며 예를 들어 자동 변속 장치의 유압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밸브(100)는 가동 밸브(10)와 전자기 솔레노이드(20)를 포함한다. 전자기 솔레노이드(20)는 가동 밸브(10)를 구동하여 유체로서의 오일의 압력을 제어한다.
가동 밸브(10)는 슬리브(12), 스풀(14), 스프링(16) 및 스토퍼(18)를 갖는 스풀 밸브이다.
슬리브(12)는 대략적 원통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같은 비자성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슬리브(12)는 축 방향(AD)으로 통과하는 하나의 축방향 구멍(12a) 및 축방향 구멍(12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DD)으로 슬리브(12)의 외벽을 통과하는 복수의 오일 포트(12b)(반경방향 구멍)를 갖는다. 오일 포트(12b)는 입구 포트, 출구 포트, 배출 포트, 및 통기 포트이다.
스풀(14)은 슬리브(12)의 축방향 구멍(12a)에 활주가능하도록 유지된다. 스풀(14)은 오일 포트(12b)를 형성하는 랜드부(land)(14a) 및 랜드부(14a) 사이의 소직경부(14b)를 갖는다. 스풀(14)은 슬리브(12)에 대한 축 방향(AD)의 상대 위치에 따라 오일 포트(12b)의 개방 위치를 변경시키며, 따라서 오일 포트(12b)는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스프링(16)은 스풀(14)의 전자기 솔레노이드(20)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스토퍼(18)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스토퍼(18)는 슬리브(12)의 전자기 솔레노이드(20)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스프링(16)은 스풀(14)을 축 방향(AD)으로 전자기 솔레노이드(20)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전자기 솔레노이드(20)는 스테이터 코어(22), 플런저(24), 샤프트(26), 요크(28), 링 코어(30), 한 쌍의 단자(32a 및 32b), 와이어(40) 및 보빈(50)을 갖는다.
스테이터 코어(22)는 전체적으로 대략 기둥 형상이며 철 같은 자성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스테이터 코어(22)는 자기 흡인 코어(22a), 자기 컷오프 섹션(22b), 및 안내 코어(22c)를 일체로 갖는다.
플런저(24)는 대략적 기둥 형상을 가지며 철 같은 자성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플런저(24)는 안내 코어(22c)의 내주부에 배치되며 축 방향(AD)으로 왕복할 수 있다. 플런저(24)는 축 방향(AD)으로 통과하는 통기 세공(24a)을 갖는다.
샤프트(26)는 자기 흡인 코어(22a)의 내주부에 의해 지지되고 축 방향(AD)으로 활주할 수 있으며 스풀(14)과 플런저(24)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16)은 스풀(14)을 전자기 솔레노이드(20)를 향해 편향시키기 때문에, 스풀(14)에 인접한 샤프트(26)의 단부는 스풀(14)에 접촉하고 있고, 플런저(24)에 인접한 샤프트(26)의 단부는 플런저(24)에 접촉하고 있다.
요크(28)는 철 같은 자기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며 기부가 있는 대략적 원통 형상을 갖는다. 요크(28)는 스테이터 코어(22), 링 코어(30) 및 보빈(50)을 수용한다. 요크(28)는 스테이터 코어(22) 및 슬리브(12)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요크(28) 및 스테이터 코어(22)는 자기적으로 조합된다.
링 코어(30)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철 같은 자기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링 코어(3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플런저(24)를 둘러싸는 스테이터 코어(22)를 둘러싸며 요크(28)의 저부에 접촉한다. 따라서, 링 코어(30)는 요크(28)와 스테이터 코어(22) 사이의 자기 조합을 보조한다.
한 쌍의 단자(32a 및 32b)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단자(32a 및 32b)의 일부가 보빈(50)을 통해 가동 밸브(10)와 반대측 단부에서 돌출하는 커넥터 영역(34)으로부터 노출된다. 단자(32a, 32b)는 전자기 솔레노이드(20) 외측의 전원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4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전기 와이어이며, 권선 와이어(43), 한 쌍의 단자부(41 및 45), 및 한 쌍의 연결부(42 및 44)를 일체로 갖는다. 권선 와이어(43) 및 연결부(42, 44)은 절연막으로 덮인 리드(lead)로 만들어진다. 단자부(41, 45)는 와이어(40)의 각 단부이며, 리드는 절연막으로부터 노출된다. 포팅(potting)이 합성 수지에 의해 단자부(41, 45)에 실행될 수 있다. 리드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권선 와이어(43)는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몸체부(52) 주위에 권취된다. 단자부(41)는 단자(32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자부(45)는 단자(3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부(42)는 단자부(41)를 최내층(43a)에 대응하는 권선 와이어(43)에 연결한다. 연결부(44)는 단자부(45)을 최외층(43b)에 대응하는 권선 와이어(43)에 연결한다.
와이어(40)는 예를 들어 보빈(50)에 대해 권선기의 노즐의 위치를 조작하여 권선기의 노즐로부터 거미줄처럼 토출함으로써 배선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자부(41) 및 연결부(42)는 시작측이며, 연결부(44) 및 단자부(45)는 종료측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50)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며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22)를 둘러싸는 대략적 원통 형상을 갖는다. 보빈(50)은 몸체부(52), 플랜지부(54 및 55), 오목부(56), 연장부(58), 및 돌출부(60)를 갖는다.
몸체부(52)는 전체 원주가 원통형 몸체면(52a)인 원통 형상을 갖는다. 권선 와이어(43)는 복수의 층을 갖도록 몸체부(52) 주위에 권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권선 와이어(43)는 예를 들어 10개의 층을 갖도록 권취된다. 복수의 층은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계수할 때 홀수 층(43c)과 짝수 층(43d)이 번갈아 가면서 구성된다. 와이어(40)의 중심은 축 방향(AD)으로 홀수 층(43c)과 짝수 층(43d) 사이에서 와이어(40)의 반경만큼 어긋난다. 따라서, 반경방향 외측의 와이어(40)는 반경방향 내측의 와이어(40) 사이에 형성된 골부에 끼워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54 및 55)는 축 방향(AD)으로 몸체부(5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플랜지부(54, 55) 각각은 원주 전체를 덮는 링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52)의 몸체면(52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플랜지부(54, 55)는 몸체부(52)를 향하며 축 방향(AD)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규제벽(54a, 55a)을 갖는다. 규제벽(54a, 55a)은 권선 와이어(43)와 접촉하기 때문에, 축 방향(AD)의 권선 와이어(43)의 변위가 규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 와이어(43)의 홀수 층(43c)은 축 방향(AD)으로 플랜지부(54)의 규제벽(54a)과 접촉하는 접촉층을 형성한다. 짝수 층(43d)과 규제벽(54a) 사이에는 와이어(40)의 반경만큼 간극이 형성되며, 와이어(40)의 중심은 접촉층인 홀수층(43c)에 대해 대략 반경만큼 어긋난다.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되는 짝수층(43d)은 권선 와이어(43)의 최외층(43b)을 형성한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56)가 커넥터 영역(34)에 인접하는(단자(32a, 32b)에 인접하는) 플랜지부(54)에 형성된다. 오목부(56)는 축 방향(AD)(플랜지부(54)의 두께 방향)으로 플랜지부(54)를 통과하며 플랜지부(54)의 최외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다. 오목부(56)의 저면(56a)은 몸체부(52)의 몸체면(52a)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오목부(56)의 저면(56a)은 축 방향(AD)으로 연장되도록 보빈(50)의 몸체부(52) 반대 측에 형성되는 긴 홈부(62)의 저면(62a)과 동일 높이이다. 저면(56a)은 긴 홈 부분(62)의 저면(62a)으로부터 바로 연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42)는 단자(32a)와 연결된 단자부(41)를 권선 와이어(43)에 연결시키고, 단자(32a)와 오목부(56) 사이의 저면(62a)을 따라 진행하도록 만들어지며, 오목부(56)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오목부(56)는 단자(32a)로부터 몸체부(52)를 향해 연결부(42)를 안내한다. 한편, 오목부(56)는 오목부(56)를 통과하여 권선 와이어(43)의 최외층(43b)으로부터 단자(32b)를 향해 연결부(44)를 안내한다.
연장부(58)는 몸체부(52)와 커넥터 영역(34)에 인접하는 플랜지부(54)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그 공간의 일부를 원주 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연장부(58)는 축 방향(AD)과 교차하는 연장 방향(ED)으로 연장되며 오목부(56)의 저면(56a)을 몸체부(52)의 몸체면(52a)에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장부(58)는 축 방향(AD)과 교차하는 슬로프면(58a)을 갖는다. 슬로프면(58a)은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기울어지며 반경 방향(DD)과 교차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반경 방향(DD)으로 수직 간격을 갖는 오목부(56)의 저면(56a) 및 몸체면(52a)은 서로 연결된다.
플랜지부(54)는 슬로프면(58a)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플랜지부(54)는 슬로프면(58a)의 플랜지부(54) 인접 측에 수직벽(54b)을 형성한다. 플랜지부(54)는 슬로프면(58a)의 몸체부(52) 인접 측에 규제벽(54a)을 형성한다. 규제벽(54a)은 슬로프면(58a)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슬로프면(58a)이 연장 방향(ED)으로 몸체면(52a)을 향해 기울어지기 때문에 수직벽(54b)은 몸체부(52)를 향해 연장되고, 따라서 슬로프면(58a)의 폭은 축 방향(AD)으로 감소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8)는, 연결부(42)가 슬로프면(58a)을 따라 오목부(56)로부터 연장되기 때문에, 권선 와이어(43)의 최내층(43a)까지 안내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42)는 축 방향(AD)으로 오목부(56)를 통과하고 연장부(58)의 연장 방향(ED)으로 그리고 그 방향을 따라 연장 방향을 변경한다. 연결부(42)는 슬로프면(58a)의 플랜지부(54) 인접측에서 수직벽(54b)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42)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몸체면(52a)과 접촉하고 있는 권선 와이어(43)의 최내층(43a)까지 안내된다.
전원이 단자부(41, 45) 및 연결부(42, 44)를 통해 권선 와이어(43)에 공급될 때, 자기 회로가 스테이터 코어(22), 요크(28), 및 플런저(24)를 지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플런저(24)는 스테이터 코어(22)의 자기 흡인 코어(22a)에 유인되고, 스풀(14)은 샤프트(26)를 통해 스토퍼(18)를 향해 구동된다.
돌출부(60)는 몸체부(52)와 연결부(42) 사이의 위치에서 연장부(58)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한다. 상세하게는, 돌출부(60)는 연장 방향(ED)으로 슬로프면(58a)의 중간 지점과 오목부(56)의 저면(56a) 사이의 위치에서 돌출된다. 돌출부(60)는 경사 융기선부(60a), 폭 감소부(60b), 및 곡면부(60c)를 갖는다.
경사 융기선부(60a)는 돌출부(60)의 첨단부에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융기선부(60a)는 슬로프면(58a)의 구배에 따라 기울어지는 융기선의 형상을 갖는다. 슬로프면(58a)으로부터 슬로프면(58a)에 대해 수직 방향(ND)으로 돌출부(60)의 첨단부까지의 치수(LN), 즉 슬로프면(58a)으로부터 경사 융기선부(60a)까지의 치수(LN)는 와이어(40)의 반경보다 크다. 또한, 치수(LN)는 와이어(40)의 직경보다 작다. 또한, 오목부(56)의 저면(56a)에 인접하는 경사 융기선부(60a)의 단부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돌출부(60)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60)는 축 방향(AD)으로 최외측 접촉층(43f)을 향한다. 최외측 접촉층(43f)은 접촉층으로서의 홀수층(43c) 중 최외측에 위치되는 홀수층이다. 즉, 돌출부(60)와 최외측 접촉층(43f)은 몸체면(52a)으로부터 동일한 높이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감소부(60b)는 연장 방향(ED)으로 몸체면(52a)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돌출부(60)의 일부이다. 축 방향(AD)의 폭감소부(60b)의 폭은, 슬로프면(58a)의 폭 감소에 따라 몸체면(52a)을 향해 가면서 감소된다. 돌출부(60)의 폭 감소부(60b)를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볼 때, 폭 감소부(60b)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또한, 곡면부(60c)는 축 방향(AD)으로 몸체부(52)에 인접하는 돌출부(60)의 일부이며 몸체부(52)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지는 장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42)는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부(54)에서 내측으로 오목해지며 축 방향으로 플랜지부(54)를 통과하는 오목부(56)에 의해 몸체부(52)를 향해 안내된다. 연결부(42)는 플랜지부(54)와 몸체부(52) 사이에 위치되며 축 방향(AD)과 교차하도록 연장된다. 연결부(42)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을 반경 방향으로 오목부(56)의 저면(56a)의 내측에 위치되는 몸체부(52)의 몸체면(52a)에 연결하는 연장부(58)를 따라 진행하도록 만들어진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0)는 연장부(58)를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42)와 몸체부(5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부(42)가 오목부(56)로부터 연장부(58)를 통해 권선 와이어(43)의 최내층(43a)까지 안내되기 때문에, 연장부(58)에서 진행하는 연결부(42)는 몸체부(52) 주위에 권취된 권선 와이어(43)를 향해 변위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2)는 권선 와이어(43)와 부딪치기가 어려워지고, 와이어(40)의 절연막은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60)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한다. 돌출부(60)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을 향해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42)를 오목부(56)와 연장부(58)에 배치할 때, 연결부(42)는 돌출부(60)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2)는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절연막은 연결부(42)에서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60)는 축 방향(AD)으로 최외측 접촉층(43f)과 대향한다. 최외측 접촉층(43f)은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되고 축 방향(AD)으로 플랜지부(54)와 접촉한다. 따라서, 최외측 접촉층(43f)은 돌출부(60)에 대해 연결부(42)를 향해 변위되기가 어려워지고, 연결부(42)와 권선 와이어(43) 사이의 부딪침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최외측 접촉층(43f)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와이어(40)의 중심이 축 방향(AD)으로 반경만큼 어긋나 있는 최외층(43b)이 형성되지만, 연결부(42)를 오목부(56)와 연장부(58)에 배치할 때, 연결부(42)는 돌출부(60)와 접촉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2)는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연결부(42)에서 절연막의 손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58)는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기울어지며 반경 방향(DD)과 교차하는 슬로프면(58a)을 갖는다. 연결부(42)는 슬로프면(58a) 상에서 그리고 슬로프면(58a)을 따라 안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42)는 권선 와이어(43)의 최내층(43a)까지 안내될 수 있으며, 연결부(42)의 변위가 억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로프면(58a)으로부터 돌출부(60)의 첨단부까지의 치수(LN)는 와이어(40)의 반경보다 크다. 따라서, 슬로프면(58a)을 따라 배치된 연결부(42)의 중심은 돌출부(60)의 첨단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42)는 돌출부(60)에 대해 몸체부(52)를 향해 어긋나기가 더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연결부(42)는 권선 와이어(43)와 부딪치기가 어려워지고, 와이어(40)의 절연막은 손상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60)는 슬로프면(58a)의 경사를 따라 기울어진 경사 융기부(60a)를 갖는다. 경사로 인해, 연결부(42)는 슬로프면(58a)을 따라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슬로프면(58a)을 따라 그리고 슬로프면(58a) 상에서 연장되는 연결부(42)는 권선 와이어(4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60)는 몸체부(52)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부의 형상으로 만곡된 곡면(60c)을 갖는다. 만곡된 형상에 의해, 권선 와이어(43) 및 돌출부(60)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에도, 권선 와이어(43)의 절연막은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제1 변형으로서, 짝수층(43d)은 축 방향(AD)으로 플랜지부(54)와 접촉하는 접촉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최외측에 위치된 홀수층(43c)은 최외층(43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변형으로서, 돌출부(60)는 최외측 접촉층(43f)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3 변형으로서, 돌출부(60)는 오목부(56)의 저면(56a)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4 변형으로서, 단자(32a, 32b)의 일부가 노출되는 커넥터 영역(34)은 다른 위치에, 예를 들어 요크(28)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5 변형으로서, 오목부(56), 연장부(58), 및 돌출부(60)는 예를 들어 커넥터 영역(34)의 위치에 따라 가동 밸브(10)에 인접한 플랜지부(55)에 형성될 수 있다.
제6 변형으로서, 슬로프면(58a)은 곡면일 수 있다.
제7 변형으로서, 본 개시내용은 연료 같은 오일 이외의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밸브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8)

  1. 전자기 밸브이며,
    가동 밸브(10)와; 가동 밸브를 구동하여 유체의 압력을 제어하는 전자기 솔레노이드(20)를 포함하고, 전자기 솔레노이드는,
    절연막으로 덮인 권선 와이어(43)로서, 권선 와이어는 권선 와이어를 단자부(41)에 연결하는 연결부(42)를 갖는, 권선 와이어(43), 및
    보빈(50)을 갖고, 보빈(50)은,
    권선 와이어가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권취되어 있는 몸체부(52),
    권선 와이어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해 반경 방향(DD) 외측으로 몸체부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부(54)로서, 플랜지부는 연결부를 몸체부까지 안내하기 위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해진 오목부(56)를 갖고, 오목부는 반경 방향으로 몸체부의 몸체면(52a)의 외측에 위치되는 저면(56a)을 갖는, 플랜지부(54), 및
    오목부의 저면을 몸체부의 몸체면에 연결하기 위해 플랜지부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에서 축 방향(AD)과 교차하도록 연장하는 연장부(58)로서, 연장부는 연결부를 오목부로부터 권선 와이어의 최내층(43a)까지 안내하는, 연장부(58)를 포함하며,
    연장부는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는 연결부와 몸체부 사이의 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0)를 갖는, 전자기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반경 방향으로 오목부의 저면의 내측에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하는, 전자기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층은 내주측으로부터 계수되는 홀수층(43c)과 짝수층(43d)으로 구성되고,
    권선 와이어는 권선 와이어의 중심이 홀수층과 짝수층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권선 와이어의 반경만큼 어긋나는 상태에서 권취되고,
    홀수층과 짝수층 중 하나는 축 방향으로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접촉층을 형성하고,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되는 홀수층과 짝수층 중 다른 것은 최외층(43b)을 형성하며,
    돌출부는 축 방향으로 접촉층 중 하나(43f)를 향하며, 접촉층 중 하나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에 위치되는, 전자기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장부는 반경 방향(DD)과 교차하고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슬로프면(58a)을 가지며,
    연결부는 슬로프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자기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슬로프면의 수직 방향(ND)에 있어서의 슬로프면으로부터 돌출부의 첨단까지의 치수(LN)는 권선 와이어의 반경보다 큰, 전자기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슬로프면의 구배를 따라 경사지는 경사 융기선부(60a)를 갖는, 전자기 밸브.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몸체부를 향해 돌출하는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곡면부(60c)를 갖는, 전자기 밸브.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자기 솔레노이드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32a)를 더 포함하며,
    단자부(41)는 단자에 연결되고 절연막으로부터 노출되는 리드를 갖는, 전자기 밸브.
KR1020160166521A 2015-12-10 2016-12-08 전자기 밸브 KR101953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1507A JP6668726B2 (ja) 2015-12-10 2015-12-10 電磁弁
JPJP-P-2015-241507 2015-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156A true KR20170069156A (ko) 2017-06-20
KR101953004B1 KR101953004B1 (ko) 2019-02-27

Family

ID=5901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521A KR101953004B1 (ko) 2015-12-10 2016-12-08 전자기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84585B2 (ko)
JP (1) JP6668726B2 (ko)
KR (1) KR101953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067A (ko) * 2018-10-02 2021-03-2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솔레노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8636A1 (en) * 2021-06-09 2022-12-15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Assembly with a bobbin and a coil for an electromagnetic actu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94A (ja) * 1994-07-26 1996-02-13 Kazuaki Ikeda ワイヤー乱巻き防止ドラム及び部材
KR100279220B1 (ko) * 1997-05-14 2001-10-27 이시카와 타다시 제어밸브
JP5167060B2 (ja) * 2008-10-03 2013-03-21 浜名湖電装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用コイルのスプールおよび電磁ソレノイド用コイル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9682B1 (en) * 2000-09-27 2002-04-09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functional coil assembly for an injector
JP4981587B2 (ja) * 2007-08-29 2012-07-25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
US8253524B2 (en) * 2007-10-04 2012-08-28 Keihin Corporation Coil winding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molded coil
JP2010232543A (ja) * 2009-03-27 2010-10-14 Sumida Corporation コイル部品
JP5629304B2 (ja) * 2012-12-17 2014-11-19 昭和電線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ッツ線コイル
JP5920376B2 (ja) * 2014-02-21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JP6328461B2 (ja) * 2014-03-28 2018-05-23 株式会社Soken ソレノイド
JP2017141885A (ja) * 2016-02-10 2017-08-17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電磁弁のソレノイド
JP6677059B2 (ja) * 2016-04-20 2020-04-0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および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694A (ja) * 1994-07-26 1996-02-13 Kazuaki Ikeda ワイヤー乱巻き防止ドラム及び部材
KR100279220B1 (ko) * 1997-05-14 2001-10-27 이시카와 타다시 제어밸브
JP5167060B2 (ja) * 2008-10-03 2013-03-21 浜名湖電装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用コイルのスプールおよび電磁ソレノイド用コイル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167060호(2013.03.2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067A (ko) * 2018-10-02 2021-03-2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솔레노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7626A1 (en) 2017-06-15
JP2017106580A (ja) 2017-06-15
KR101953004B1 (ko) 2019-02-27
US10184585B2 (en) 2019-01-22
JP6668726B2 (ja)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27665B (zh) 具有小型结构的燃料喷射阀
CN104948813B (zh) 螺线管和具有所述螺线管的液压控制装置
JP5205008B2 (ja) 扁平型電磁アクチュエータ
KR20150033637A (ko) 유압 슬리브를 통한 오염 방지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모터 배출 방법
KR101953004B1 (ko) 전자기 밸브
JP2014041995A (ja) ソレノイド駆動装置
US20150380143A1 (en) Linear solenoid
JP2014154856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US20140225693A1 (en) Linear solenoid
CN111043385A (zh) 电磁操纵装置
KR101878563B1 (ko) 유압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JP2009275841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US20200313492A1 (en) Motor stator
CN110783078B (zh) 绕线架及线圈装置
JPWO2017158784A1 (ja) ステータのインシュレータ及びコイル端末線導入方法
JP2006226263A (ja) 電磁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弁
JP2019175972A (ja) 電磁弁のソレノイド
JP6171918B2 (ja) 電磁駆動装置および電磁弁
US9659703B2 (en) Ignition c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200386290A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JP2006038153A (ja) 電磁弁の製造方法
JP4554696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WO2014007230A1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6736330B2 (ja) 電磁弁用カートリッジアッシ、電磁弁用ソレノイドおよび電磁弁
JP7382823B2 (ja) 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