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766A -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8766A KR20170068766A KR1020150175628A KR20150175628A KR20170068766A KR 20170068766 A KR20170068766 A KR 20170068766A KR 1020150175628 A KR1020150175628 A KR 1020150175628A KR 20150175628 A KR20150175628 A KR 20150175628A KR 20170068766 A KR20170068766 A KR 201700687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mented
- meju
- powder
- weight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3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40029982 garlic powder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40002508 ginger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4000300264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438 Gossypi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0219146 Gossypi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4000189548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464 cereal gra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79 molass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062793 Sorghum vulgar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1868 grain produc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1023 sodium intak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1497 healthy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00 saltines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03276 Apios tuberos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4000170226 Voandzeia subterrane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3030 Voandzeia subterrane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07924 ground bean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41000219315 Spinaci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419 protea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102000013142 Amyl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65511 Amyl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382 Amyl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418 amyla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991 rice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252 gly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01 hydroly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GCNASOHLSPBMP-UHFFFAOYSA-N hydroxyacetaldehyde Natural products OCC=O WGCNASOHLSPB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XEKIIBDNHEJCQ-UHFFFAOYSA-N iso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ZXEKIIBDNHEJC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75 phytoest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YGDTMLNYKFZSV-URKRLVJHSA-N (2s,3r,4s,5s,6r)-2-[(2r,4r,5r,6s)-4,5-dihydroxy-2-(hydroxymethyl)-6-[(2r,4r,5r,6s)-4,5,6-trihydroxy-2-(hydroxymethyl)oxan-3-yl]oxyoxan-3-yl]oxy-6-(hydroxymethyl)oxane-3,4,5-triol Chemical class O[C@@H]1[C@@H](O)[C@H](O)[C@@H](CO)O[C@H]1OC1[C@@H](CO)O[C@@H](OC2[C@H](O[C@H](O)[C@H](O)[C@H]2O)CO)[C@H](O)[C@H]1O FYGDTMLNYKFZSV-URKRLVJH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98 Beta-gluc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67854 Bourreria suc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0718 DegP prot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6 cholesterol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595 glycos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06 glycos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71 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592 isoprop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64 seaso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7 taste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804 zin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23L11/20—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10—Rapid cooking puls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오곡이 가지고 있는 비타민 B, 식이섬유, 칼슘과 아연 등의 미네랄을 체내에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곡물이 발효되면서 당화(糖化)작용을 일으켜 염도를 줄이고 당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에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게 하여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고,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키고, 메주가루와,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마늘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후 발효시켜 막장을 제조함으로써, 막장의 발효 시간을 단축하면서 막장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며, 인공 조미료가 첨가되지 않아 몸에 건강한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주 75 내지 94 중량%, 곡물 발효물 5 내지 15 중량%, 메주가루 0.5 내지 5 중량% 및 천연 조미료 0.5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 발효물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가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되고, 상기 천연 조미료는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및 마늘가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 단계(S10)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60 내지 9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9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을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주 75 내지 94 중량%, 곡물 발효물 5 내지 15 중량%, 메주가루 0.5 내지 5 중량% 및 천연 조미료 0.5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 발효물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가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되고, 상기 천연 조미료는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및 마늘가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 단계(S10)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60 내지 9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9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을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오곡이 가지고 있는 비타민 B, 식이섬유, 칼슘과 아연 등의 미네랄을 체내에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곡물 발효물과 숙성된 메주가 발효되면서 당화(糖化)작용을 일으켜 염도를 줄이고 당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에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게 하여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키고, 메주가루와,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마늘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후 발효시켜 막장을 제조함으로써, 막장의 발효 시간을 단축하면서 막장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며, 인공 조미료가 첨가되지 않아 몸에 건강한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된장은 단백질원이 풍부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및 감칠맛 등이 서로 조화되어 구수한 맛을 내는 조미식품이다. 된장의 맛은 메주의 곰팡이와 세균에 의해 생성된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가 단백질을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함으로써 구수한 맛이 나타나며,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에 의해 생성된 당과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 등의 다양한 풍미 성분들이 함께 어우러져 된장 특유의 맛과 향을 생성하게 된다.
된장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원료인 대두를 삶아서 분쇄하고 벽돌형, 직사각형 등으로 메주를 성형하여, 일정 시간 동안 건조한 뒤 균열이 생기면 짚 등으로 매달아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게 한다. 이렇게 하여 주위의 다양한 미생물들이 자연적으로 착생하여 번식하게 한 메주를 깨끗이 씻어 소금물에 담가 일정 시간 동안 발효 숙성시킨 후 액상은 달여서 간장으로 하고, 나머지 고형물로 된장을 만든다.
일 예로 된장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2194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통된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척한 콩과 물을 혼합하여 삶는 증자단계와, 상기 증자한 콩을 분쇄하여 메주모양으로 성형된 메주를 청결한 곳에 경화하고, 상기 경화된 메주를 본래 무게의 85 %가 되도록 1차 건조하고, 상기 1차 건조된 메주를 본래 무게의 75 %가 되도록 5일 동안 건조 및 발효하는 2차 건조하고, 상기 2차 건조된 메주를 본래 무게의 60 %가 되도록 3주 동안 발효 건조하는 3차 건조하는 메주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된 메주를 세척하여 건조하는 세척단계와, 천일염을 물에 용해하여 염수를 제조하는 염수제조단계와, 내부가 소독된 항아리의 내부에 세척하여 건조한 메주를 담고, 염수를 붓고, 숯, 고추 및 짚을 넣은 후에 항아리의 뚜껑을 덮고 숙성하는 1차 숙성단계와, 상기 1차 숙성단계 이후 간장액 및 메주를 분리하는 분리단계 및 상기 분리된 메주를 으깨어 항아리에 넣고 상부에 소금을 덮은 후, 항아리 뚜껑을 덮고 숙성하는 2차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된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된장을 제조하는 것을 정형화하여 일반사람들도 손쉽게 된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방부제 또는 화학 첨가물을 넣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된장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메주와 소금을 주 원료로 하여 된장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된장은 염도가 상당히 높아 나트륨 섭취량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콩의 비린내가 남아 있어서 된장을 먹는 것에 부담을 주며, 텁텁한 맛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오곡이 가지고 있는 비타민 B, 식이섬유, 칼슘과 아연 등의 미네랄을 체내에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곡물이 발효되면서 당화(糖化)작용을 일으켜 염도를 줄이고 당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에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게 하여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을 된장에 함유시키고, 메주가루와,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마늘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후 발효시켜 막장을 제조함으로써, 막장의 발효 시간을 단축하면서 막장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며, 인공 조미료가 첨가되지 않아 몸에 건강한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메주 75 내지 94 중량%, 곡물 발효물 5 내지 15 중량%, 메주가루 0.5 내지 5 중량% 및 천연 조미료 0.5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 발효물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가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 조미료는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및 마늘가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 단계(S10)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60 내지 9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9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을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오곡이 가지고 있는 비타민 B, 식이섬유, 칼슘과 아연 등의 미네랄을 체내에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상기 곡물이 발효되면서 당화(糖化)작용을 일으켜 염도를 줄이고 당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에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게 하여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키고, 메주가루와,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마늘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후 발효시켜 막장을 제조함으로써, 막장의 발효 시간을 단축하면서 막장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며, 인공 조미료가 첨가되지 않아 몸에 건강한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로 이루어진 곡물 발효물을 숙성된 메주에 함유시켜 막장으로 제조함으로써, 오곡이 가지고 있는 비타민 B, 식이섬유, 칼슘과 아연 등의 미네랄을 체내에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곡물이 발효되면서 당화(糖化)작용을 일으켜 염도를 줄이고 당도를 향상시켜 소비자에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게 하여 건강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하고, 메주가루와,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마늘가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 후 발효시켜 막장을 제조함으로써, 막장의 발효 시간을 단축하면서 막장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메주 75 내지 94 중량%, 곡물 발효물 5 내지 15 중량%, 메주가루 0.5 내지 5 중량% 및 천연 조미료 0.5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주는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얻은 숙성된 메주이다.
상기 메주는 대두를 주 원료로 하며, 상기 대두는 여성호르몬으로 작용하는 파이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 작용을 하여 체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소거시킴으로서 암, 고혈압,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치유하는 효과가 높은데, 상기 대두를 이용하여 제조한 메주는 숙성과정 중에 파이토에스트로겐의 함량이 증가하여 항산화 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메주는 막장 조성물 총 중량대비 75 내지 94 중량%를 함유하며, 메주의 함량이 75 중량% 미만이면 메주의 효능인 항산화 효과가 낮아지며, 94 중량% 초과이면 염도가 증가하여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되며, 대두의 비린내가 심하게 나면서 텁텁한 맛이 강하게 나서 막장을 섭취하는데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하고 물과 엿기름을 이용하여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발효시키는 것이다. 분쇄된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의 혼합 비율은 다양한 비율로 조합하여 혼합해도 되지만, 상기 분쇄된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는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가 가지고 있는 효능을 체내에서 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다.
곡물 발효물 총 100 중량% 당 엿기름은 3 내지 15 중량%를 함유하고, 물은 반죽이 될 만큼 30 내지 5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엿기름이 3 중량% 미만이면 곡물이 발효가 잘 되지 않으며 발효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5 중량% 초과이면 당도가 증가하여 막장의 단맛이 많이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찹쌀은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어서 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켜서 대장암발생을 억제하고, 혈중콜레스테롤을 낮추어주어 동맥경화, 고혈압과 같은 성인병의 예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수는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고 식이섬유가 많아서 소화촉진에 도움을 주며, 상기 찰보리는 식이섬유 일종인 베타글루칸 성분이 쌀보다 50 배 많아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비만을 방지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상기 차조는 소화흡수가 잘되고 장기능에 좋아서 변비 해소에 도움을 준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숙성된 메주를 혼합하면 숙성된 메주와 곡물 발효물이 함께 당화(糖化)작용이 진행되어 숙성된 메주의 염도를 낮추고, 당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당화(糖化)작용은 다당류가 가수 분해되어 당으로 변하는 반응을 말한다.
또한, 상기 곡물 발효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와 전분 분해 효소를 활성화하여 숙성된 메주의 발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막장의 구수한 맛과 함께 깊은 맛을 낼 수 있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막장 조성물 총 중량대비 5 내지 15 중량%를 함유한다. 곡물 발효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당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염도가 줄어들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5 중량% 초과이면 당도가 많이 증가되어 막장의 맛이 달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생강 추출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와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의 활성화 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하며, 곡물 발효물 총 중량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함유한다.
숙성된 메주는 곡물 발효물을 통해서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함유된 곡물 발효물을 사용하게 되면 곡물 발효물만 사용했을 때보다 발효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함유된 곡물 발효물을 사용함으로써,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가 단백질을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함으로써 구수한 맛이 나타나며,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에 의해 생성된 당과,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 등의 다양한 풍미 성분들이 함께 어우러져 특유의 맛과 향을 생성하게 된다.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또는 생강 추출물은 곡물 발효물 총 중량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함유한다.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또는 생강 추출물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와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아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없으며, 1.5 중량% 초과이면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또는 생강 추출물의 향과 맛이 발현되어 막장의 향과 맛을 변질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메주가루는 된장의 구수한 맛을 보완하기 위해 함유시키는 것으로, 막장 조성물 총 중량대비 0.5 내지 5 중량%를 함유한다.
메주가루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된장의 구수한 맛을 보완하지 못하며, 5 중량% 초과이면 막장에서 텁텁한 맛이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천연 조미료는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및 마늘가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숙성된 메주와 곡물 발효물과 함께 발효시키면서 막장 조성물 총 중량대비 0.5 내지 5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천연 조미료를 함유시키는 것은 숙성된 메주에서 발생되는 텁텁한 맛과 비린내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면서, 막장의 감칠맛을 더 풍성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천연 조미료의 함량이 막장 조성물 총 중량대비 0.5 중량% 미만이면 숙성된 메주에서 발생되는 텁텁한 맛과 비린내를 잡아낼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5 중량% 초과이면 멸치가루의 비린내와 마늘 향이 발현되어 막장의 맛과 향을 변질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의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내용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의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 단계(S10)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60 내지 9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9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을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10)는 전통 된장을 만드는 기본 단계로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상기 기간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다. 상기 숙성된 메주는 된장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숙성된 메주에서 대두 비린내와 텁텁한 맛이 남아있어서, 숙성된 메주를 후술하게 되는 제조단계(S20 ~ S30)를 거치면서 대두 비린내와 텁텁한 맛을 제거하고 개량된 된장인 막장을 제조하게 된다.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6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물을 이용하여 끓이면서 죽으로 만든다. 죽으로 제조하는 것은 숙성된 메주의 발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찰보리는 온도에 민감하여 너무 푹 삶으면 금방 쉬어버려 곡물 발효물을 버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에 죽 상태일 때 찰보리가 쉬어버리지 않고 곡물 발효하는데 최적의 상태가 된다.
상기 죽을 제조하여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6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70 ℃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한다.
상기 엿기름은 곡물을 발효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지만, 막장을 장기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로 사용한다. 막장을 장기 보관할수록 엿기름에 의해 염도가 줄어들고 단맛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어 막장을 먹을 때 감칠맛이 풍부하게 나는 장점이 있다.
30분 미만으로 끓이게 되면 당화작용이 일어날 만큼 효소가 활성화 되지 않으며, 60 분 초과로 끓이게 되면 죽에 함유된 물이 증발되면서 엿기름이 농축되어 당도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10 시간 미만으로 발효시키면 상기 곡물이 균일하게 발효되지 않아 숙성된 메주를 발효시키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으며, 15 시간을 초과하면 젖산균 또는 초산에 의해 곡물 발효물이 식초화가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생강 추출물은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와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의 활성화 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하며, 곡물 발효물 총 중량대비 0.5 내지 1.5 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생강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얻는다.
시금치, 고삼, 생강을 각각 추출용매에 20 내지 40 ℃에서 1 내지 5시간 침적시킨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탄소수 1 내지 4의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 tert-부탄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며, 상기 글리콜은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이며, 바람직하게는 1,3-부틸렌글리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시금치 침적물, 고삼 침적물, 생강 침척물을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초음파로 추출하여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생강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초음파는 20 내지 60 KHz의 초음파를 50 내지 200 watt출력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출력 범위는 시금치, 고삼, 생강의 조직이 파쇄되어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최적의 범위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 시 온도는 20 내지 40 ℃에서 20 내지 90분 동안 추출하고, 1 내지 3회 반복 추출한다. 상기 온도 범위는 시금치, 고삼, 생강이 삶아지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이다.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숙성된 메주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을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30)은 분쇄한 메주,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및 천연 조미료를 항아리에 넣어진 상태로 발효시킴으로서 막장이 완성된다.
상기 곡물 발효물은 메주가 당화작용을 하도록 유도하면서 발효과정 속에 염도가 줄어들면서 당도가 향상되며, 곡물 발효물과 천연 조미료에 의해 메주가 가지고 있는 대두 비린내와 텁텁한 맛을 잡아주고, 감칠맛을 더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실시예
1 > 막장 제조의
실시예
1
(S10) :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었다.
(S30) :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 100 중량%를 분쇄하여 넣고, 발효시켰다.
<
실시예
2 > 막장 제조의
실시예
2
(S10) :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었다.
(S30) :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 90 중량%를 분쇄하여 넣고, 메주가루 5 중량%와 천연 조미료 5 중량%를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발효시켰다.
<
실시예
3 > 막장 제조의
실시예
3
(S10) :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었다.
(S20) :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7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6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2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S30) :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 90 중량%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 10 중량%를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발효시켰다.
<
실시예
4 > 막장 제조의
실시예
4
(S10) :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었다.
(S20) :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7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6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2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30) :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 84.5 중량%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 10 중량%를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 2.75 중량%와 천연 조미료 2.75 중량%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켰다.
<
실시예
5 > 막장 제조의
실시예
5
(S10) :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4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었다.
(S20) :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70 분 동안 끓이면서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6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2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곡물 발효물에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추출물은 곡물 발효물 총 중량대비 0.8 중량%를 더 함유한 후 교반을 하였다.
(30) :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 84.5 중량%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 10 중량%를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 2.75 중량%와 천연 조미료 2.75 중량%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켰다.
상기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생강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얻었다.
시금치, 고삼, 생강을 각각 에탄올에 35 ℃에서 2 시간 침적시킨다.
시금치 침적물, 고삼 침적물, 생강 침척물을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초음파는 45 KHz, 150 watt, 30 ℃의 조건으로 60분 동안 추출하고, 3회 반복 추출하여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생강 추출물을 얻었다.
<
시험예
> 첨가물의 유무에 따른 발효 시간 및 향미 평가
시험예는 첨가물의 유무에 따른 발효시간 및 향미를 평가하였다. 상기 첨가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를 말한다.
1. 실시예 1은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메주만 발효시켰다.
2. 실시예 2는 숙성된 메주와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만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3. 실시예 3은 숙성된 메주에 곡물 발효물만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4. 실시예 4는 숙성된 메주에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를 첨가하여 발효시켰다.
5. 실시예5는 숙성된 메주에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되, 상기 곡물 발효물은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함유시킨 것이다.
발효 시간 평가는 단계(S30)의 마무리 시점을 1일로 하고 50일 후부터 장을 10 g씩 떠서 발효 시간 및 향미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의 막장은 발효 시간에 따라 향미가 결정되기 때문에 20, 30대 남성 25명과 여성 25명에게 50일 동안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막장을 시식하게 한 후 짠맛, 단맛, 신맛, 텁텁한 맛, 향 을 관능 평가하였으며, 평가기준은 1(매우 불만족) ~ 10(매우 만족)으로 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짠맛 | 단맛 | 신맛 | 텁텁한 맛 | 향 | 전체적인 기호도 |
|
실시예 1 | 4.8 | 4.0 | 4.7 | 4.4 | 4.3 | 4.8 |
실시예 2 | 5.1 | 6.9 | 6.1 | 5.5 | 5.9 | 6.3 |
실시예 3 | 5.1 | 5.9 | 5.8 | 5.7 | 5.5 | 5.7 |
실시예 4 | 9.4 | 9.6 | 9.5 | 9.7 | 9.5 | 9.7 |
실시예 5 | 9.5 | 9.8 | 9.4 | 9.6 | 9.7 | 9.8 |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첨가물에 따라 발효 시간이 단축되면서 향미도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발효 시간이 길수록 장에서 깊은 향미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은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를 첨가하여 발효시켰더니 발효 시간을 단축하면서 향미를 훼손시키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기존 장보다 감칠맛을 가지는 막장을 제공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은 숙성된 메주만으로 발효시킨 것으로 염도가 높아 짠맛이 강하고, 텁텁한 맛이 있어서 목넘김이 불편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2는 곡물 발효물이 첨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효 시간이 실시예 1과 비슷하였으며, 곡물 발효물에 의한 당화작용이 발효 과정 중에 일어나지 않아 염도가 여전히 높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은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넣지 않고, 곡물 발효물을 넣고 발효 시켰더니 발효 시간을 약 22 % 정도 단축시켰지만, 텁텁한 맛이 남아있었고, 장의 감칠맛을 느끼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4와 5는 숙성된 메주에 곡물 발효물, 메주가루, 천연 조미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것으로, 발효 시간은 실시예 1보다 25 %(실시예 4), 30 %(실시예 5) 정도 단축시켰으며, 발효 시간이 단축되었어도 장의 향미가 훼손되지 않고, 오히려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발효 시간이 단축되는 것과 향미가 향상된 이유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프로테아제(protease)가 단백질을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함으로써 구수한 맛이 나타나며, 전분 분해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에 의해 생성된 당과, 젖산균 및 효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 등의 다양한 풍미 성분들이 함께 어우러져 감칠맛과 향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특히, 실시예 5는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곡물 발효물에 함유시킨 것으로, 실시예 4보다 발효 시간을 약 6.7 % 단축시켰고, 향미도 실시예 4처럼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4와 5는 숙성된 메주가 곡물 발효물과 함께 당화작용을 일으켜 장의 염도를 낮추고 당도를 향상시켰고,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함유함으로써 텁텁한 맛을 없애고 감칠맛을 더 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5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70 일 미만으로 발효하면 짜고, 텁텁한 맛이 남아있으며, 70 일 동안 발효하거나 100 일 동안 발효하였을 때 막장의 감칠맛과 구수한 맛이 최상인 것을 확인하였고, 100 일 초과로 발효하면 젓산과 효모의 활성이 활발하여 신맛과 쓴맛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6)
- 메주 75 내지 94 중량%, 곡물 발효물 5 내지 15 중량%, 메주가루 0.5 내지 5 중량% 및 천연 조미료 0.5 내지 5 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발효물은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가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조미료는 멸치가루, 표고가루, 고추가루 및 마늘가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발효물은 곡물 발효물 총 중량대비 0.5 내지 1.5 중량%의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 메주를 소금물에 담근 후 30 내지 50일 동안 숙성시킨 후 소금물로부터 메주를 분리하여 숙성된 메주를 얻는 단계(S10);
찹쌀, 수수, 찰보리 및 차조를 분쇄한 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가열용기에 넣고 물을 부은 끓이면서 다음 죽으로 만들고, 상기 죽에 엿기름을 넣고 30 내지 60 분 동안 끓이고 나서 식힌 후 10 내지 15 시간 동안 발효시켜 곡물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항아리에 상기 단계(S10)에서 얻은 메주를 분쇄하여 넣고, 상기 단계(S20)에서 곡물 발효물을 넣은 후 교반한 다음 메주가루와 천연 조미료를 더 첨가하고 다시 교반한 다음 발효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발효물은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되,
상기 시금치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은 20 내지 60 KHz, 50 내지 200 watt, 20 내지 40 ℃, 20 내지 90분 조건에서 초음파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628A KR20170068766A (ko) | 2015-12-10 | 2015-12-10 |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5628A KR20170068766A (ko) | 2015-12-10 | 2015-12-10 |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8766A true KR20170068766A (ko) | 2017-06-20 |
Family
ID=59281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5628A KR20170068766A (ko) | 2015-12-10 | 2015-12-10 |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68766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4311A (ko) * | 2020-09-11 | 2022-03-18 |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수수 속성장 제조방법 |
KR20220094413A (ko) | 2020-12-29 | 2022-07-06 | 오만근 | 보리쌀을 이용한 막장의 제조방법 |
KR20240135091A (ko) | 2023-03-03 | 2024-09-10 | 신아가 | 생보리 당화기법을 이용한 저염도 보리된장의 제조방법 |
-
2015
- 2015-12-10 KR KR1020150175628A patent/KR20170068766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4311A (ko) * | 2020-09-11 | 2022-03-18 |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수수 속성장 제조방법 |
KR20220094413A (ko) | 2020-12-29 | 2022-07-06 | 오만근 | 보리쌀을 이용한 막장의 제조방법 |
KR20240135091A (ko) | 2023-03-03 | 2024-09-10 | 신아가 | 생보리 당화기법을 이용한 저염도 보리된장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5750B1 (ko) | 꽁치 액젓을 이용한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12006B1 (ko) |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 |
KR20170068766A (ko) |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막장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395314B1 (ko) | 비빔오징어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91024B1 (ko) |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 |
KR20080065220A (ko) | 마늘 가식부 전체를 이용한 마늘 장류의 상업적 제조방법 | |
KR101930764B1 (ko) | 호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통주의 제조방법 | |
JP6557844B2 (ja) | 醗酵原料として醗酵茶を含む茶味噌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078711B1 (ko) | 현미의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쌀 양조간장의 제조방법 | |
KR20170068765A (ko) | 곡물 발효물이 함유된 청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07174916A (ja) | 畜肉加工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931610B1 (ko) | 붉은대게 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붉은대게 간장 소스 | |
JP2007282528A (ja) | 焼酎、発酵物、飲食品、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 |
CN111802588A (zh) | 一种功能型发酵豆制品的制备方法、发酵豆制品及应用 | |
KR20110029507A (ko) | 개똥쑥을 이용한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된장 | |
KR102654252B1 (ko) | 녹차추출 발효물 함유 젓갈용 양념장, 이를 이용한 녹차추출 발효물 함유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230604B1 (ko) | 강황을 이용한 강황 고추장의 제조방법 | |
JPS58111660A (ja) | 醸造調味料の製造方法 | |
JP4719883B2 (ja) | 焼酎、発酵物、飲食品、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 |
JP4063473B2 (ja) | こく味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525101B1 (ko) | 씨된장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된장 및 쌈장의 제조방법 | |
KR20140125041A (ko) | 멍게를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 |
JPH0614740A (ja) | 発酵調味料用発酵処理物の製造法、及び発酵調味料の製造法 | |
LU500910B1 (en) | A kind of squid viscera flavoring sauce and its preparation method | |
KR101356710B1 (ko) | 홍삼분말 및 천마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