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070A -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070A
KR20170064070A KR1020150168748A KR20150168748A KR20170064070A KR 20170064070 A KR20170064070 A KR 20170064070A KR 1020150168748 A KR1020150168748 A KR 1020150168748A KR 20150168748 A KR20150168748 A KR 20150168748A KR 20170064070 A KR20170064070 A KR 2017006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heet
coating composition
protrusions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290B1 (ko
Inventor
이정환
최하나
김진태
송연균
하봉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68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290B1/ko
Priority to JP2018527738A priority patent/JP6681985B2/ja
Priority to PCT/KR2016/013560 priority patent/WO2017095067A1/ko
Priority to EP16870963.2A priority patent/EP3384998A4/en
Priority to US15/779,689 priority patent/US11383268B2/en
Priority to CN201680069358.7A priority patent/CN108290181A/zh
Publication of KR2017006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10Metallic substrate based on Fe
    • B05D2202/15Stainless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20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 B05D2202/25Metallic substrate based on light metals based on 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2/00Metallic substrate
    • B05D2202/30Metallic substrate based on refractory metals (Ti, V, Cr, Zr, Nb, Mo, Hf, Ta, W)
    • B05D2202/35Metallic substrate based on refractory metals (Ti, V, Cr, Zr, Nb, Mo, Hf, Ta, W) based on T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2/00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8/00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matt or rough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5C5-(meth)acrylate, e.g. pen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1C10or C11-(Meth)acrylate, e.g. isodec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or 2-naph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62Monocarboxylic acids having ten or more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68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1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e.g. polyester (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금속재 및 상기 금속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경화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상기 표면처리 강판은 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며, 광택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본원발명의 표면처리 강판 제조방법은 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강판의 광택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Surface treated metal sheet for easily adjusting its glossines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원발명은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열경화형 도료와 달리 용제를 함유하지 않으며, 모노머 및 올리고머와 같은 분자량이 작은 물질을 함유하며, 자외선을 이용하여 급속 경화가 가능한 도료이다. 용제를 함유한 열경화형 고분자 도료는 분자 간 결합밀도(즉, 가교도)가 낮아서 도막의 경도가 낮고, 외부 마찰에 의해 쉽게 손상이 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높은 가교도로 결합하므로 도막의 경도가 높고, 내스크래치성 및 선영성이 매우 우수하며, 광택이 매우 높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 가전 및 건재 분야에서 제품이 고급화됨에 따라 도료가 코팅된 강판의 내식성, 가공성, 내화학성 등의 기본적인 요구 특성뿐만 아니라 광택, 선영성과 같은 심미적인 특성을 요구한다. 또한, 운송, 제품 설치 후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한 내스크래치성 등이 동시에 요구되고 있다. 자외선 경화형 도료는 이러한 요구에 부합되는 코팅 도료이지만, 외관에 대한 다양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면, 세탁기, 냉장고 및 TV 등의 가전제품은 종래의 열경화형 도료에 비해 높은 광택과 선영성이 요구되는 제품이지만, 실내용 판넬, 건축 외장재 및 일부 가전제품은 광택도가 매우 낮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제품을 요구한다.
종래의 자외선 경화형 도료로 표면처리한 강판의 광택을 조절하기 위해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합성 고분자 입자 등의 소광제 및 분산제를 첨가하여 광택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광택도가 다르므로, 소광제와 분산제의 함량을 매번 조절해야 하며, 이에 따른 테스트 비용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식성, 도막 밀착력, 가공성과 같은 도막의 기본 물성에 영향을 주어 제품마다 물성의 편차가 심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표면에 요철이 있는 필름을 코팅층 상부에 부착하고 자외선 경화한 후 필름을 떼어내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필름의 요철을 통해 강판의 광택도를 조절하는 방법도 제안되었다. 하지만, 소광 효과에 따른 필름을 선정해야 하며, 한번 사용된 필름은 재사용이 불가하여 경제적이지 않다.
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며,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재 및 상기 금속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경화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를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40 내지 70 중량%, 광중합성 모노머 20 내지 59 중량%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금속재는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 판재, 마그네슘 판재, 아연 판재 및 티타늄아연 판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재 상부에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분사하여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는 0.1 내지 60초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는 잉크젯 헤드, 스프레이건 및 초음파 분사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40 내지 70 중량%, 광중합성 모노머 20 내지 59 중량%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금속재는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 판재, 마그네슘 판재, 아연 판재 및 티타늄아연 판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원발명의 표면처리 강판은 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며,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본원발명의 표면처리 강판 제조방법은 밀착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강판의 광택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면처리 금속재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면처리 금속재의 코팅층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표면처리한 금속재의 광택을 조절하기 위하여 코팅 조성물에 소광제를 포함하여 광택도를 조절하였으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광택도가 달라 소광제의 함량을 매번 조절해야 하며, 이에 따른 테스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에 요철이 있는 필름을 코팅층에 부착하여 금속재의 광택을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광택도에 따라 필름을 선정해야 하며, 한번 사용된 필름은 재사용이 불가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원발명은 소광제를 포함한 코팅 조성물 및 요철이 형성된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도, 광택도의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재 및 상기 금속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경화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면처리 금속재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원발명의 표면처리 금소재는 금속재 및 상기 금속재의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코팅층은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에서는 한 방향에서 입사한 빛이라도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여 흩어지는 난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에서 난반사가 많이 일어날수록 코팅층의 소광 효과는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액적의 형태로 강판 표면에 착지한 후 형성된 복수의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되는 것이 표면처리 금속재의 광택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에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부피는 3 내지 16 pico liter일 수 있으며, 부피가 3 내지 13 pico liter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피가 3 내지 5 pico liter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부피가 3 pico liter 미만이면 액적의 크기가 너무 작아 분사 시 외부 기류에 간섭이 심하여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만일 돌기를 형성하더라도 빛의 난반사 효과가 적다. 한편, 16 pico liter 초과하면 돌기의 크기가 조대하여 빛의 난반사로 인한 소광 효과가 적으며, 일정 수 이상의 액적이 분사하게 되면 돌기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난반사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돌기의 밀도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재 1mm2 당 57 내지 608개의 밀도로 배열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밀도가 5개 미만이면 돌기의 수가 너무 작아 빛의 난반사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610개 초과하면 돌기의 수가 많아짐으로 인하여 돌기간의 겹침 현상에 의해 난반사 효과가 떨어진다.
금속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경화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광중합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반면, 광택을 조절하는 소광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소광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여 광택도를 조절하여 왔으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광택도가 달라 소광제의 함량을 매번 조절해야 하며, 이에 따른 테스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자외선 경화형 도료에 포함되는 실리카, 알루미나, 합성 고분자 분말, 세라믹 분말 등의 소광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품의 종류에 따라 소광제의 함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으며, 소광제 함량 조절로 인한 물성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원발명은 소광제를 포함하지 않는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며,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에서 상기 돌기의 부피 및 밀도를 제어하여 광택도를 조절함으로 인하여, 종래의 광택도 조절 방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광중합성 모노머 및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머의 함량은 40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표면처리강판에서 요구하는 기본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며, 70 중량%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해하며, 특히, 액적분사가 용이하지 못하다.
한편, 광중합성 모노머는 1관능 모노머, 2관능 모노머 또는 다관능 모노머일 수 있으며,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은 20 내지 5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고점도 용액으로 액적 분사가 용이하지 못하며, 59 중량% 초과하면 전체적인 물성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에폭시 케톤계, 페닐 에스테르계 등의 단파장 또는 장파장용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에 의한 개시가 미약하여 전체적인 경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미경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10 중량% 초과하면 과경화가 발생하여 도막의 크랙을 야기하거나, 고가의 개시제를 다량 사용함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예로서는 벤조페논계, 벤조인, 벤조인에테르계, 벤질케탈계, 아세토페논계, 안트라퀴논계, 티옥소잔톤계 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중합개시제의 예로서는 Irgacure 184™, 754™, 819™,Darocur 1173™, TPO™ (CIBA GEIGY 社), Micure CP-4™, MP-8™, BP™, TPO™ (미원상사) 중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금속재는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 판재, 마그네슘 판재, 아연 판재 및 티타늄아연 판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은 금속재 상부에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분사하여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금속재 상부에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분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는 잉크젯 헤드, 스프레이건 및 초음파 분사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금속재 상부에 분사하는 경우, 먼저, 상기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하나 이상의 헤드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각 헤드에 연결된 노즐에 주입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노즐에 주입된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헤드를 통해 강판 표면에 분사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분사 시 상기 코팅 조성물은 액적의 형태로 강판 표면에 착지하며, 이로 인해,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형 도료와 달리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자외선을 이용하여 급속 경화가 가능하다. 또한, 열경화형 도료에 비하여 분자량이 작은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높은 가교도로 결합되어 도막의 경도가 높고, 내스크래체성이 우수하며, 광택이 매우 높고 선영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열경화형 도료에 비해 높은 광택과 선형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품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광택도가 다르므로, 본원발명은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에서 상기 돌기의 부피 및 밀도를 조절하여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액적의 형태로 강판 표면에 착지한 후 형성된 복수의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되는 것이 표면처리 금속재의 광택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에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부피는 3 내지 16 pico liter일 수 있으며, 부피가 3 내지 13 pico liter인 것이 바람직하며, 부피가 3 내지 5 pico liter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부피가 3 pico liter 미만이면 액적의 크기가 너무 작아 분사 시 외부 기류에 간섭이 심하여 돌기를 형성하기 어려우며, 만일 돌기를 형성하더라도 빛의 난반사 효과가 적다. 한편, 16 pico liter 초과하면 돌기의 크기가 조대하여 빛의 난반사로 인한 소광 효과가 적으며, 일정 수 이상의 액적이 분사하게 되면 돌기간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난반사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돌기의 밀도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재 1mm2 당 57 내지 608개의 밀도로 배열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밀도가 5개 미만이면 돌기의 수가 너무 작아 빛의 난반사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610개 초과하면 돌기의 수가 많아짐으로 인하여 돌기 간의 겹침 현상에 의해 난반사 효과가 떨어진다.
상기 금속재 상부에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분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후,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는 0.1 내지 60초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이 0.1초 미만이면 광개시제에 충분한 자외선 조사되지 않아 미경화를 발생하여 코팅층이 미경화될 수 있으며, 60초 초과하면 과경화 및 과열로 인한 도막 물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금속재 상부에 분사되는 자외선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40 내지 70 중량%, 광중합성 모노머 20 내지 59 중량%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올리고머의 함량은 40 내지 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올리고머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이면 표면처리강판에서 요구하는 기본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며, 70 중량%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해하며, 특히, 액적 분사가 용이하지 못하다.
한편, 광중합성 모노머는 1관능 모노머, 2관능 모노머 또는 다관능 모노머일 수 있으며, 상기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은 20 내지 5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고점도 용액으로 액적 분사가 용이하지 못하며, 59 중량% 초과하면 전체적인 물성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에폭시 케톤계, 페닐 에스테르계 등의 단파장 또는 장파장용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자외선에 의한 개시가 미약하여 전체적인 경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미경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10 중량% 초과하면 과경화가 발생하여 도막의 크랙을 야기하거나, 고가의 개시제를 다량 사용함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분사되는 금속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 판재, 마그네슘 판재, 아연 판재 및 티타늄아연 판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6관능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2관능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 중량%,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30 중량%, RUNTECURE 1103 5 중량%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을 잉크젯 프린팅 장치의 각 헤드에 연결된 노즐에 주입하였다. 상기 노즐에 주입된 코팅 조성물을 헤드를 통해 스테인리스 강판 상부에 분사하였다. 상기 강판 상부에 분사된 코팅 조성물은 액적으로 강판 표면에 착지하여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층을 30초 동안 자외선 경화한 후 60도 기준의 광택 측정계로 광택도를 측정하고 도막 밀착력을 시험하였다. 상기 돌기의 부피, 밀도, 도막 밀착력 및 광택도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돌기의 부피
(pico liter)
돌기의 밀도
(개/mm2)
도막 밀착력 광택도
(60도 기준)
비교예1 0 0 177
비교예2 3 3 170
실시예1 3 57 145
실시예2 3 123 132
실시예3 3 186 116
실시예4 3 238 108
실시예5 3 295 96
실시예6 3 366 91
실시예7 3 423 101
실시예8 3 486 110
실시예9 3 551 122
실시예10 3 608 125
비교예3 3 705 163
비교예4 5 3 168
실시예11 5 63 142
실시예12 5 124 130
실시예13 5 268 95
실시예14 5 486 120
비교예5 5 680 171
비교예6 13 3 175
실시예15 13 62 128
실시예16 13 132 121
실시예17 13 179 116
실시예18 13 235 108
실시예19 13 302 125
비교예7 13 620 175
비교예8 16 3 153
실시예20 16 5 116
실시예21 16 10 120
실시예22 16 20 116
실시예23 16 10 110
실시예24 16 20 126
비교예9 20 10 161
비교예10 20 20 168
표 1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돌기의 부피 3 내지 16 pico liter 및 돌기의 밀도 5 내지 610개/mm2에 포함되는 실시예 1 내지 24는 도막 밀착성이 우수한 동시에 조절 가능한 광택도 범위가 넓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돌기의 부피가 3 내지 5 pico liter이고, 돌기의 밀도가 57 내지 608개/mm2인 경우에는 조절 가능한 광택도의 범위가 더욱 넓음을 확인했다. 돌기의 부피가 3 pico liter인 실시예 1 내지 10은 최소 91에서 최대 145까지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돌기의 부피가 5 pico liter인 실시예 11 내지 14는 최소 95에서 최대 142까지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돌기의 부피가 13 pico liter인 실시예 15 내지 19는 최소 108에서 최대 128까지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돌기의 부피가 16 pico liter인 실시예 20 내지 24는 최소 110에서 최대 126까지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즉, 돌기의 부피가 작을수록 넓은 범위의 광택도를 조절하기 용이하며, 특히 돌기의 부피가 3 내지 5 pico liter인 경우 가장 광택도를 조절하기 용이함을 확인했다.
반면, 돌기의 부피 3 내지 16 pico liter 및 돌기의 밀도 5 내지 610개/mm2에 포함되는 않는 비교예 2 내지 10은,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과 광택도가 유사하며 소광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했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표면처리 금속재의 코팅층을 촬영한 사진으로, 금속재 상부에 복수의 돌기 형상을 가지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비교예
6관능기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2관능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20 중량%; RUNTECURE 1103 5 중량%; 아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및 소광제인 실리카 3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제조한 후, 스테인리스 강판 상부에 롤코팅 법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층을 30초 동안 자외선 경화한 후 60도 기준의 광택 측정계로 광택도를 측정하고 도막 밀착력을 시험하였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 평균입도, 도막 밀착력 및 광택도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리카 함량
(중량%)
실리카 평균입도
(㎛)
도막 밀착력 광택도
(60도 기준)
비교예11 0 - 157
비교예12 0 - 154
비교예13 0 - 161
비교예14 0 - 158
비교예15 1 2 148
비교예16 1 2 150
비교예17 1 2 150
비교예18 1 8 89
비교예19 1 8 92
비교예20 1 8 92
비교예21 2 2 145
비교예22 2 2 147
비교예23 2 8 91
비교예24 2 8 89
비교예25 4 2 148
비교예26 4 8 92
비교예27 10 2 × 41
비교예28 10 5 × 43
비교예29 10 8 × 43
표 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실리카 함량 및 평균입도를 제어하여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비교예 27 내지 29는 도막 밀착력이 매우 저하됨을 확인했다. 즉, 상기 실리카 함량 및 평균입도는 코팅층의 기본 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해당하므로, 소광제인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표면처리 금속재의 물성의 편차가 심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0)

  1. 금속재; 및
    상기 금속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이 경화된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40 내지 70 중량%, 광중합성 모노머 20 내지 59 중량%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는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 판재, 마그네슘 판재, 아연 판재 및 티타늄아연 판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5. 금속재 상부에 자외선 경화용 코팅 조성물을 분사하여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부피가 3 내지 16 pico liter이고,
    상기 돌기는 상기 금속재 1mm2 당 5 내지 610개의 밀도로 배열된,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는 0.1 내지 60초 동안 이루어지는,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는 잉크젯 헤드, 스프레이건 및 초음파 분사 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은 올리고머 40 내지 70 중량%, 광중합성 모노머 20 내지 59 중량% 및 광개시제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는 냉연강판,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알루미늄도금강판, 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스테인리스강판, 알루미늄 판재, 마그네슘 판재, 아연 판재 및 티타늄아연 판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제조방법.
KR1020150168748A 2015-11-30 2015-11-30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1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748A KR101819290B1 (ko) 2015-11-30 2015-11-30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8527738A JP6681985B2 (ja) 2015-11-30 2016-11-23 光沢度の調節が容易な表面処理金属材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6/013560 WO2017095067A1 (ko) 2015-11-30 2016-11-23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EP16870963.2A EP3384998A4 (en) 2015-11-30 2016-11-23 Surface-treated metallic material with easy control of glossi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5/779,689 US11383268B2 (en) 2015-11-30 2016-11-23 Surface-treated metallic material with easy control of glossi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680069358.7A CN108290181A (zh) 2015-11-30 2016-11-23 容易调节光泽度的表面处理金属材料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748A KR101819290B1 (ko) 2015-11-30 2015-11-30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070A true KR20170064070A (ko) 2017-06-09
KR101819290B1 KR101819290B1 (ko) 2018-01-17

Family

ID=58797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748A KR101819290B1 (ko) 2015-11-30 2015-11-30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83268B2 (ko)
EP (1) EP3384998A4 (ko)
JP (1) JP6681985B2 (ko)
KR (1) KR101819290B1 (ko)
CN (1) CN108290181A (ko)
WO (1) WO20170950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675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광택도 측정장치
KR20200059905A (ko) * 2018-11-22 2020-05-29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 및 심미적 효과가 우수한 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050A (ko) * 2019-10-10 2021-04-21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뛰어난 바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46B1 (ko) * 2018-12-19 2021-01-29 주식회사 포스코 광택도 및 표면특성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9284B2 (ja) * 1998-11-30 2007-02-07 凸版印刷株式会社 表面処理を施された樹脂板
US6890625B2 (en) * 2001-02-05 2005-05-10 Awi Licensing Company Surface covering having gloss in-register and method of making
US6759096B2 (en) * 2001-09-24 2004-07-06 Congoleum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differential gloss coverings
US7419716B2 (en) * 2003-05-30 2008-09-02 Awi Licensing Company Multiple gloss level surface coverings and method of making
CN1827239A (zh) * 2005-03-04 2006-09-06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用于对印刷物喷墨上漆的方法
JP5365222B2 (ja) 2008-02-13 2013-1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処理鋼板の製造方法
JP2009208348A (ja) * 2008-03-04 2009-09-17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KR101036829B1 (ko) 2008-12-23 2011-05-24 주식회사 노루홀딩스 투명 착색 도장강판용 자외선 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JP5349116B2 (ja) * 2009-04-02 2013-11-20 大王製紙株式会社 凹凸模様を有する印刷物の製造方法
JP5919634B2 (ja) * 2011-03-29 2016-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描画方法
KR20130073545A (ko) * 2011-12-23 2013-07-03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조도가 있는 방사선 투과필름 적층공정을 이용한 방사선 경화형 코팅 금속재의 제조방법
US8746872B2 (en) 2012-04-18 2014-06-10 Great Computer Corporation Method for UV inkjet printer to generate irregular transparent matte particle surface and completed printing object thereof
KR101435288B1 (ko) 2012-12-24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 자외선 경화 코팅을 이용한 강판의 코팅방법
US9279058B2 (en) * 2013-01-11 2016-03-08 Floor Iptech Ab Digital embossing
JP5955275B2 (ja) * 2013-06-12 2016-07-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成形加工方法、加飾シート成形物の製造方法、イン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500194B1 (ko) 2013-11-13 2015-03-06 주식회사 포스코 방열 특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0195B1 (ko) 2013-11-13 2015-03-06 주식회사 포스코 내오염성이 우수한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00236B1 (ko) * 2013-12-23 2015-03-06 주식회사 포스코 무결함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5214681A (ja) * 2014-04-24 2015-12-0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仮接着材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部材と基材の仮接着方法
FR3033506B1 (fr) 2015-03-11 2020-02-21 Reydel Automotive B.V.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vetement d'un corps avec formation d'une surface structuree
EP3599033B1 (en) * 2018-07-25 2023-02-15 Mimaki Engineering Co., Ltd. Multilayered body, producing method for multilayered body, and print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675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광택도 측정장치
KR20200059905A (ko) * 2018-11-22 2020-05-29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 및 심미적 효과가 우수한 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3050A (ko) * 2019-10-10 2021-04-21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뛰어난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4998A1 (en) 2018-10-10
EP3384998A4 (en) 2018-12-26
US11383268B2 (en) 2022-07-12
KR101819290B1 (ko) 2018-01-17
WO2017095067A1 (ko) 2017-06-08
US20200306793A1 (en) 2020-10-01
JP6681985B2 (ja) 2020-04-15
JP2018535326A (ja) 2018-11-29
CN108290181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290B1 (ko) 광택도 조절이 용이한 표면처리 금속재 및 그 제조방법
US5688598A (en) Non-blistering thick film coat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oviding non-blistering thick film coatings on metal surfaces
EP3392037B1 (en) Coated body and building exterior member
KR20020013692A (ko) 그라비아 전사도장강판의 제조방법
CN104559698A (zh) 一种用于静电喷涂的耐黄变uv透明底漆
JP2007055137A (ja) 塗装金属板
KR101313441B1 (ko) 용접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강판
KR10145080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JP2011256378A (ja) プレコートメタル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コートメタルの製造方法
KR10137274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코팅 강판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KR101622301B1 (ko) 고기능성 라미나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3970595B2 (ja) 熱重合型アクリル塗料、その塗料による塗装金属板及び塗装金属板の製造方法
KR10185704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H0683815B2 (ja) 表面処理金属板
CN104559699A (zh) 一种用于辊涂的uv哑光清面漆
KR101195897B1 (ko) 광택 조절이 가능한 유브이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코팅된 강판
KR20070032538A (ko) 고선영 특성을 부여하는 전자선경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피복한 전자선경화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JPH04209663A (ja) 紫外線硬化型組成物
WO2014132309A1 (ja) 金属サイディング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1911262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及びプレコートメタル用コーティング剤
KR102284746B1 (ko) 자외선 경화형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료층을 포함하는 컬러금속판
KR101275819B1 (ko) 강판 프린팅용 열경화성 잉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제조방법 및 그 강판
JP2012072320A (ja) 硬化型塗料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成型体の製造方法
JP2007217561A (ja) 熱重合型アクリル塗料
JPS622091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