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802B1 -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802B1
KR101450802B1 KR1020130043049A KR20130043049A KR101450802B1 KR 101450802 B1 KR101450802 B1 KR 101450802B1 KR 1020130043049 A KR1020130043049 A KR 1020130043049A KR 20130043049 A KR20130043049 A KR 20130043049A KR 101450802 B1 KR101450802 B1 KR 10145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steel sheet
ultraviolet
transpare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찬
이만우
이원영
이광기
박상훈
Original Assignee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3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76Curing, vulcanisin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1코팅장치; 상기 제1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장치; 상기 필름 합지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필름 압착장치; 상기 필름 압착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제1자외선 조사장치; 및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필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NUFACTURING PRE-COATED METAL COLOR STEEL SHEET}
본 발명은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이용한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 도장 방법은 제품 성형가공 후 도장하는 포스트 코팅(post-coating) 방식과 성형가공 전에 도장하는 프리 코팅(pre-coating) 방식이 있다. 여기서 프리 코팅 방식으로 도장한 강판을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이라고 하며, 이에 사용되는 도료를 PCM 도료라고 한다.
이러한 칼라강판은 가전제품의 케이스나 각종 건축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칼라강판의 특성상 내식성, 내구성뿐만 아니라 높은 생산성과 우수한 심미성이 요구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PCM 칼라강판에 적용되는 상도 도막층용 도료로 열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으므로 고선영성을 구현할 수 없었다.
한편 최근에는 부착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칼라강판을 제조함으로써 미려한 외관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은 고체형으로서,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용액의 흐름성이 부족하여 도장 작업 후 도장강판의 표면에 오렌지 필, 줄무늬, 기타 불필요한 요철이 발생하여 우수한 외관을 구현하기 어렵다.
오렌지 필이란 도료의 유동성 및 퍼짐성 부족으로 인해 일어 나는 도막 표면 결함으로서, 오렌지 껍질처럼 외관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도료에 표면장력을 낮추어 흐름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사용하면, 일부 흐름성이 개선되기도 하나, 과량 첨가시 표면으로 부상하여 도막 표면 외관을 악화시킬 수 있다.
강판 위에 코팅된 자외선 경화성 도료의 상면에 투명 필름을 부착하고 자외선을 조사한 다음 투명 필름을 제거하는 방식의 외관 개선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공정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필름 합지시 필름과 도료 사이에 기포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상 제품의 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강판에 코팅된 도료의 양이 적을 경우 필름의 합지가 불균일하여 도막에서 미경화 부분이 발생할 수 있고, 도료의 양이 과다한 경우 합지 부분에서의 롤링현상으로 인해 도료가 지속적으로 누적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되, 우수한 표면 외관을 가지면서 작업성이 향상된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과 강판을 합지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투명 필름의 광택면이 칼라강판으로 전이되어 고선영성을 구현할 수 있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1코팅장치; 상기 제1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장치; 상기 필름 합지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필름 압착장치; 상기 필름 압착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제1자외선 조사장치; 및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필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장치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티렌(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25㎛ 이고, 상기 투명 필름의 자외선 광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장치는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3㎛ 내지 50㎛ 의 두께로 코팅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합지장치, 필름 압착장치, 및 필름 제거장치는 각각 필름 합지 롤, 필름 압착 롤, 및 필름 제거 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압착 롤은 고무 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은 500mJ/cm2 내지 3,0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장치 및 상기 필름 합지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제2자외선 조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은 50mJ/cm2 내지 4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 합지장치의 상류에서 상기 제1코팅장치와 병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2코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장치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하도 도막층의 일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중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3코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코팅장치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장치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일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침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강판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층의 일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중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강판의 일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롤 코팅, 바(Bar)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500mJ/cm2 내지 3,0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단계는, 50mJ/cm2 내지 4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코팅장치, 제2코팅장치, 및 제3코팅장치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 합지장치 및 필름 압착장치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 제거장치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코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3코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침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자외선 조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1코팅장치; 상기 제1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장치; 상기 필름 합지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필름 압착장치; 상기 필름 압착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제1자외선 조사장치; 및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필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100)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제1코팅장치(110)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한 제1코팅장치(110)는 상부 롤(111) 및 하부 롤(112)을 포함하는 롤 코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롤(111)과 하부 롤(112)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하부 롤(112)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이 투명 필름(10)으로 전이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팅장치(110)는 상기 투명 필름(10)의 배면에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을 3㎛ 내지 50㎛ 의 두께로 코팅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의 두께가 3㎛ 미만인 경우, 과다하게 적은 양의 도료가 코팅됨에 따라 강판(30)과 합지시 가해지는 압하력에 의해 도막층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50㎛ 초과인 경우 강판(30)과 합지시 도료의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1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티렌(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10)의 두께는 10㎛ 내지 125㎛ 이고, 상기 투명 필름의 자외선 광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10)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코팅시 또는 압착시 필름의 구김 자국이 상도 도막층(20)에 전이될 수 있고, 상도 도막층(20) 표면의 평활도가 저하되어 고선영성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125㎛ 초과인 경우 상도 도막층(20)의 미경화가 발생할 수 있고, 필름의 가격 상승으로 생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광 투과율이 70% 미만인 경우 상도 도막층(20)의 경화 불량으로 표면 외관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상도 도막층(20)은 투명 필름(10)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을 코팅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10)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광택면이 상도 도막층(20)에 그대로 전이되기 때문에, 표면 외관의 미려함을 사전에 확보할 수 있고 이로부터 평활도가 균일한 고선영성 PCM 칼라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료의 흐름성 또는 작업성이 저하되기 이전에 상기 투명 필름(10)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을 코팅시킴으로써, 공정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필름과 도막의 경계면에서 기포 등의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은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진 올리고머, 광개시제, 반응성 희석제, 부착증진제, 첨가제, 안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올리고머로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수 있고, 광개시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1-(4-이소프로필-페놀)-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티오잔톤, 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업용 광개시제로는 Irgacure184, 651,500,819,907,1800(시바가이기사) 등과 Darocure 1116,1173(머크사), Lucirine LR8728(바스프사), Micure HP-8, TPO, CP-4, BK-6(미원상사) 등이 사용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성 희석제로는 단관능성,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관능성 모노머로는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이소부톡시(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마이드, 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크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어릴(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크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은 산화방지제, 광흡수제, 광안정제, 실란커플링제, 열중합금지제, 유기안료, 무기안료, 평활제, 분산제, 및 소포제 중 1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은 종래 열경화성 도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부착성, 선영도, 경도 및 가공성이 뛰어나고, 도장후 열경화를 위한 소부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성이 뛰어나며 경화 속도가 빨라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다.
한편,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140)는 필름 압착장치(130)의 하류에 설치되고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여 자외선을 조사시킴으로써,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113)을 경화시켜 상도 도막층(20)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자외선 조사장치(140)는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되는 다수의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140)의 자외선은 500mJ/cm2 내지 3,0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되는 것일 수 있다. 자외선의 에너지 밀도가 500mJ/cm2 미만인 경우 도막 표면 외관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고, 3,000mJ/cm2 초과인 경우 상도 도막층이 과도하게 경화되어 부착력이 저하되거나 도막이 파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필름 합지장치(120), 필름 압착장치(130), 및 필름 제거장치(150)를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필름 합지장치(120), 필름 압착장치(130), 및 필름 제거장치(150)는 각각 필름 합지 롤(121. 122), 필름 압착 롤(131, 132), 및 필름 제거 롤(151, 152)일 수 있다.
상기 필름 합지 롤(121. 122), 필름 압착 롤(131, 132), 및 필름 제거 롤(151, 152)은 각각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 롤(121, 131, 151) 및 하부 롤(122, 132, 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합지 롤(121. 122) 및 필름 압착 롤(131, 132)의 상부 롤(121, 131)은 투명 필름(10)의 상면과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투명 필름(10)의 상면을 아래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하부 롤(122, 132)은 강판(30)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상부 롤(121, 131)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판(30)의 하면을 윗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름 압착 롤(131, 132)은 고무 롤 또는 금속 롤일 수 있으나, 상기 필름 압착 롤(131, 132)이 금속 롤인 경우, 가압(압착)시 국부적인 압력 편차에 의하여 도막의 완전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고무 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의 탄성에 의하여 가압(압착)시 좌우의 압력편차를 완화할 수 있으므로 표면의 평활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도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제1코팅장치(110) 및 상기 필름 합지장치(1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10)의 배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층(2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상도 도막층(20)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제2자외선 조사장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자외선 조사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제2자외선 조사장치(190)는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140)와 동일한 것이되, 흐름성으로 인해 코팅된 도료가 필름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도 도막층(20)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킴으로써 상기 강판(30)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외선 조사장치(19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50mJ/cm2 내지 4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될 수 있다. 자외선의 에너지 밀도가 50mJ/cm2 미만인 경우 도료의 흐름성이 필요한 수준으로 낮아지지 아니하여 필름으로부터 도료의 탈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400mJ/cm2 초과인 경우 상도 도막층이 과도하게 경화되어 부착력이 저하되거나 도막이 파괴될 수 있다.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필름 합지장치(120)의 상류에서 상기 제1코팅장치(110)와 병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판(30)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하도 도막층(40)을 형성시키는 제2코팅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2코팅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하도 도막층(40)은 일반적으로 강판의 내구성을 높이고, 하단의 전처리된 강판(30)과 상단의 상도 도막층(20)이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40)을 형성시키는 도료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또는 기타 계열의 도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업용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로는 고려화학의 YP500 시리즈, 건설화학의 8600시리즈, 삼화페인트의 화인코트 P-331, 시그마 삼성 코팅의 K004 시리즈 등이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40)은 그 기본 물성인 일반적인 내식성, 상도 도막층(20)과의 부착성 강화 등 이외에도 연신율을 부여하여 소재와 상도 사이 계면에서 충분한 완충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가공시 발생되는 소재의 균열이 상도층까지 전달되지 않고 하도층에서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도 도막층(40)에 사용되는 안료는 내식성을 위하여 방청안료를 일부 사용하고, 상도와 마찬가지로 PCM 도료에 사용하는 유기, 무기 안료를 용도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코팅장치(160)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코팅장치(11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롤 코터일 수 있다.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제2코팅장치(160)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하도 도막층(40)의 일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중도 도막층(50)을 형성시키는 제3코팅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3코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도 도막층(20)을 보다 용이하게 형성시키기 위하여 하도 도막층(40)과 상도 도막층(20) 사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한 후 열경화하여 형성된 중도 도막층(50)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중도 도막층(50)은 용제형 PCM 도료인 하이폴리머 도료를 코팅한 후 열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이폴리머 도료는 분자량 8000~20000, 유리 전이 온도(Tg) 10~60℃, 수산가 10~100 mgKOH/g 및 산가 1~10 mgKOH/g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주수지에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진 경화용 수지, 경화 촉매, 용제,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종 유기, 무기 안료를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왁스, 실리콘 등의 첨가제를 포함시켜 상기 상도 도막층(20)과의 부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코팅장치(170)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코팅장치(11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롤 코터일 수 있다.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100)은, 상기 제2코팅장치(160)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30)의 일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침지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침지장치(180)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을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 침지장치(180)는 상기 강판(30)의 표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미도시)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강판(3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시키고, 상기 강판(30)과 도막층(20, 40, 50) 간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판(30)을 알칼리 탈지제로 세정하고 그 표면에 크로메이트를 피막 처리하여 화성피막을 형성할 수 있고, 가전용으로 제조시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강판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의 일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중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강판의 일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롤 코팅, 바(Bar)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500mJ/cm2 내지 3,0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단계는, 50mJ/cm2 내지 4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1
롤 코팅으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후막으로(10㎛~12㎛) 두께 100㎛ PET 필름의 배면에 코팅한 다음, 합지 롤을 이용하여 강판과 PET 필름을 합지한 후, 고무 롤로 이루어진 압착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압착시킨다. 이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층을 형성한 다음, 필름 제거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의 두께를 박막으로(4㎛~6㎛) 필름의 배면에 코팅한다.
비교예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후막으로(10㎛~12㎛) 코팅 롤에 묻힌 후, 강판 위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한 다음, 합지 롤을 이용하여 두께 100㎛의 PET 투명필름을 부착한다. 이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층을 형성한 다음, 필름 제거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거한다.
비교예 2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박막으로(4㎛~6㎛) 코팅 롤에 묻힌 후, 강판 위에 도료 조성물을 코팅한 다음, 합지 롤을 이용하여 두께 100㎛ PET 투명필름을 부착한다. 이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막층을 형성한 다음, 필름 제거 롤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거한다.
비교예 3
강판 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후막으로(10㎛~12㎛) 코팅한 후 자외선 조사장치를 통과시켜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도막을 형성한다.
비교예 4
강판 위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소부로(232℃)를 통과시켜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도막을 형성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PCM 칼라강판에 대하여 공정 속도를 20mpm, 30mpm, 40mpm 및 50mpm으로 조절하여 표면 외관 품질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 내지 4와 같다. 결과항목 중 선영성은 DOI로 측정한 결과 초기값을 가리키고, 0 내지 100의 범위를 가진다.
표면 외관 품질 (공정 속도 20mpm, m/분)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롤마크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오렌지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불량
기포 양호 양호 양호 부분발생 보통 양호
선영성 양호(91) 양호(90) 양호(90) 양호(90) 보통(82) 불량(68)
표면 외관 품질 (공정 속도 30mpm, m/분)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롤마크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오렌지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불량
기포 양호 양호 양호 부분발생 부분발생 양호
선영성 양호(91) 양호(90) 양호(90) 부분불량
(90)
보통(82) 불량(68)
표면 외관 품질 (공정 속도 40mpm, m/분)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롤마크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오렌지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불량
기포 양호 양호 부분발생 부분발생 부분발생 양호
선영성 양호(91) 양호(90) 양호(90) 양호(90) 보통(82) 불량(68)
표면 외관 품질 (공정 속도 50mpm, m/분)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롤마크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오렌지필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보통 불량
기포 양호 양호 부분발생 부분발생 불량 양호
선영성 양호(91) 양호(90) 양호(90) 양호(90) 불량(80) 불량(68)
표 1 내지 표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에 합지한 경우, 오렌지 필 및 롤 마크가 제거되어 평활하고 미려한 표면 외관을 나타내며, 도막층이 박막인 경우 공정 속도를 증가시키더라도(40mpm~50mpm) 우수한 표면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막층의 두께가 후막인 경우에, 박막인 경우와 비교하여 강판 표면의 선영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강판에 투명 필름을 합지한 경우, 롤 마크 및 오렌지 필이 대부분 제거되는 등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었으나, 높은 공정 속도에서(40mpm~50mpm) 접지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필름과 도막층의 경계부에서 발생하는 기포 또는 비접착 부분에 의해 강판 표면의 선영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되 필름을 합지하지 않은 비교예 3과 열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소부시킨 비교예 4의 경우, 공정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제품 표면에서 롤 마크, 오렌지 필, 기포 등 다양한 불량이 발견되었고, 강판 표면의 선영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투명 필름
20: 상도 도막층
30: 강판
40: 하도 도막층
50: 중도 도막층
110: 제1코팅장치
120: 필름 합지장치
130: 필름 압착장치
140: 제1자외선 조사장치
150: 필름 제거장치
160: 제2코팅장치
170: 제3코팅장치
180: 침지장치
190: 제2자외선 조사장치
111, 121, 131, 151: 상부 롤
112, 122, 132, 152: 하부 롤
113: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

Claims (23)

  1.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1코팅장치;
    상기 제1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필름 합지장치;
    상기 필름 합지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필름 압착장치;
    상기 필름 압착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제1자외선 조사장치;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필름 제거장치; 및
    상기 제1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제2자외선 조사장치를 포함하는, PCM(Pre-Coated Metal)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장치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스티렌(P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25㎛ 이고, 상기 투명 필름의 자외선 광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장치는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3㎛ 내지 50㎛ 의 두께로 코팅시키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합지장치, 필름 압착장치, 및 필름 제거장치는 각각 필름 합지 롤, 필름 압착 롤, 및 필름 제거 롤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압착 롤은 고무 롤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은 500mJ/cm2 내지 3,0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되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외선 조사장치의 자외선은 50mJ/cm2 내지 4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조사되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합지장치의 상류에서 상기 제1코팅장치와 병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2코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장치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장치의 하류에 설치되고, 상기 하도 도막층의 일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중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제3코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코팅장치는 롤 코터(Coater), 바(Bar) 코터, 스프레이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팅장치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일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침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16. 투명 필름의 배면에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상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투명 필름의 배면에 형성된 상도 도막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압착시켜 상기 강판과 밀착시키는 단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명 필름을 제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투명 필름을 강판의 일면에 합지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강판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층의 일면에 용제형 PCM 도료 조성물을 코팅시켜 중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강판의 일면에 크로메이트 또는 논-크로메이트 화성피막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20. 삭제
  21.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롤 코팅, 바(Bar)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그라비아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성 도료 조성물을 경화시켜 도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500mJ/cm2 내지 3,0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층을 사전 경화(pre-curing)시키는 단계는, 50mJ/cm2 내지 400mJ/cm2의 에너지 밀도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행되는, PCM 칼라강판의 제조 방법.
KR1020130043049A 2013-04-18 2013-04-18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KR101450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49A KR101450802B1 (ko) 2013-04-18 2013-04-18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049A KR101450802B1 (ko) 2013-04-18 2013-04-18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802B1 true KR101450802B1 (ko) 2014-10-14

Family

ID=51997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049A KR101450802B1 (ko) 2013-04-18 2013-04-18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8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83B1 (ko) * 2015-06-25 2016-03-14 박삼용 다중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22301B1 (ko) * 2014-11-04 2016-05-19 동국제강주식회사 고기능성 라미나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04913A1 (ko) * 2014-12-23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투명 패턴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KR20210050393A (ko) * 2019-10-28 2021-05-07 동국제강주식회사 전사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484B1 (ko) * 2000-03-02 2002-10-31 연합철강공업 주식회사 무상도(논클리어) 그라비아전사 프린트 강판의제조방법
KR20120006587A (ko) * 2010-07-13 2012-01-19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 수지 적용 칼라강판
KR20120063807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포스코 도장강판의 오렌지 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1181322B1 (ko) * 2011-03-18 2012-09-11 광 석 서 전도성 고분자 전극층을 구비한 투명전극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484B1 (ko) * 2000-03-02 2002-10-31 연합철강공업 주식회사 무상도(논클리어) 그라비아전사 프린트 강판의제조방법
KR20120006587A (ko) * 2010-07-13 2012-01-19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 수지 적용 칼라강판
KR20120063807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포스코 도장강판의 오렌지 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101181322B1 (ko) * 2011-03-18 2012-09-11 광 석 서 전도성 고분자 전극층을 구비한 투명전극 필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301B1 (ko) * 2014-11-04 2016-05-19 동국제강주식회사 고기능성 라미나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04913A1 (ko) * 2014-12-23 2016-06-30 주식회사 포스코 투명 패턴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KR20160077577A (ko) * 2014-12-23 2016-07-04 주식회사 포스코 투명 패턴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KR101674766B1 (ko) 2014-12-23 2016-11-10 주식회사 포스코 투명 패턴 프린트 강판 제조 방법
US10391518B2 (en) 2014-12-23 2019-08-27 Posco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pattern print steel plate
KR101603283B1 (ko) * 2015-06-25 2016-03-14 박삼용 다중 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050393A (ko) * 2019-10-28 2021-05-07 동국제강주식회사 전사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KR102267737B1 (ko) 2019-10-28 2021-06-22 동국제강주식회사 전사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31344B (zh) 透明导电膜用粘合剂层、带粘合剂层的透明导电膜、透明导电层叠体以及触控面板
CN100431834C (zh) 装饰片材及其生产方法
KR10145080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WO2014091768A1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680721B2 (ja) 立体感のある柄のpcmカラー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27620B (zh) 一种实木板材用防开裂紫外光固化涂装体系
CN106896551B (zh) 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5826228B2 (ja) Pcmカラー鋼板の高鮮映化の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方法
CN105368299A (zh) 一种紫外光固化玻璃装饰板及其制备和应用
WO2016203304A1 (ja) 粘着フィルム、積層体、及び加飾成形体
JP6370967B1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光透過性硬化樹脂層
JP2017180018A (ja) 建築板
KR101867287B1 (ko) 자외선 경화접착방식을 이용한 금속판넬의 제조방법
JP2012521476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多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03986B1 (ko) 자외선 경화형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KR101622301B1 (ko) 고기능성 라미나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704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JP6353888B2 (ja) 印刷層付き基材の製造方法
KR101213394B1 (ko) 부착성이 우수한 광경화 수지 적용 칼라강판
JP2016147410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669734A (zh) 一种具有多层使用层的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102020274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cm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KR102239357B1 (ko) 입체패턴을 갖는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시스템
KR20070025229A (ko) 금속조 화장 시트 및 화장 금속판
KR102357689B1 (ko) 친환경 시트용 고광택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시트 및 시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