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072A -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 Google Patents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072A
KR20170063072A KR1020150169030A KR20150169030A KR20170063072A KR 20170063072 A KR20170063072 A KR 20170063072A KR 1020150169030 A KR1020150169030 A KR 1020150169030A KR 20150169030 A KR20150169030 A KR 20150169030A KR 20170063072 A KR20170063072 A KR 2017006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beverage
pouch
fill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5593B1 (ko
Inventor
정주연
서지혜
김하림
Original Assignee
정주연
서지혜
김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연, 서지혜, 김하림 filed Critical 정주연
Priority to KR102015016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5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충진부재 상부에 제1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제1절취부재와 충진부재 사이에 제1절취선이 형성된 충진부와, 상기 충진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는 흡입관이 형성된 흡입부재 상부에 제2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제2절취부재와 흡입부재 사이에 제2절취선이 형성되며 충진부재와 흡입부재 사이에 절단선이 수직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단선을 따라 충진부재와 흡입부재가 이격되도록 하고 제2절취선을 따라 제2절취부재를 이탈시키며 제1절취선을 따라 제1절취부재를 이탈시켜 흡입관을 통해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Pouch with atmospheric pressure}
본 발명은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작은 주머니를 뜻하는 것으로, 음료 포장용 파우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팩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한 후, 장기간 또는 휴대를 목적으로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우치는 상기와 같이, 대부분 단순하게 합성수지로 된 팩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시켜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음용 시에는 일측 단을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하여 개방시킨 후 음용하거나, 개방된 부위에 빨대(스트로우)를 꽂아 음용하거나, 컵에 따라 음용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는 생산 및 유통 측면에서 볼 때, 내용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기에는 더할 수 없이 유용한 것이었으나, 사용자가 측면에서는 음용 시 개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팩의 개봉부위 일측면에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절취가 용이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절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지거 나 튀겨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 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스파우터(분출구)를 팩의 일측 단에 열융착과 동시에 고정시킨 파우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스파우터가 팩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파우치의 제작 및 보관 등 취급상에서 오염될 수밖에 없으며, 심지어는 스파우터의 캡이 열려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기도 하는 등 위생적인 측면과 취급상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고가의 한약재를 포장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생적인 음용을 위해 생산자 또는 공급자 및 사용자 자신 또한 취급에 더욱 신경을 쓸 수밖에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열려진 스파우터를 통해 외부로 한약재가 유출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입게 되는 경제적 손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과 종래의 파우치 보다 고가인 점으로 인해, 스파우터가 구비된 파우치는 생산자 및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받아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파우치에 담겨진 내용물을 음용할 경우 내,외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파우치가 수축되는데, 이때 수축된 상태에 따라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어 완벽히 내용물을 음용할 수 없거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04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 사이에 내부체적을 갖는 바닥부의 형성과 함께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의 밑면으로서 실링 처리되고, 상부로 갈수록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의 가장자리를 상호 접하여 실링 처리되어 식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평평한 바닥면으로부터 자립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 밑변의 중간지점과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분이 평평한 면으로부터 모두 받쳐지고,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 밑변 양측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가 되어 파우치가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의 밑변 중간에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만곡지는 곡선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파우치에 충진된 음료을 전부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를 음용하는 입구를 원하는 만큼 절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046호.(2008년12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충진부재 상부에 제1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제1절취부재와 충진부재 사이에 제1절취선이 형성된 충진부와, 상기 충진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는 흡입관이 형성된 흡입부재 상부에 제2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제2절취부재와 흡입부재 사이에 제2절취선이 형성되며 충진부재와 흡입부재 사이에 절단선이 수직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단선을 따라 충진부재와 흡입부재가 이격되도록 하고 제2절취선을 따라 제2절취부재를 이탈시키며 제1절취선을 따라 제1절취부재를 이탈시켜 흡입관을 통해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진공간은, 하부가 역삼각형 형상인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진공간의 하부와 흡입관의 하부를 만곡된 연결관으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는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절단선을 따라 충진부재와 흡입부재가 이격되도록 하고 제2절취선을 따라 제2절취부재를 이탈시키며 제1절취선을 따라 제1절취부재를 이탈시켜 흡입관을 통해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의 실시단계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의 실시단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한 쌍의 외피 110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 123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100에 있어서, 음료가 충진된 충진부 120와, 음료를 흡입하는 흡입부 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100의 충진부 120는 충진공간 123이 형성된 충진부재 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충진부재 121의 상부에 제1절취부재 1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절취부재 125와 충진부재 121 사이에 제1절취선 127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충진공간 123은 하부가 역삼각형 형상인 안내면 124을 형성한다. 이러한, 안내면 124을 타고 음료가 충진공간 123의 하부로 모이게 된다.
또한, 흡입부 130는 상기 충진공간 123의 하부와 연통되는 흡입관 133이 형성된 흡입부재 131를 포함한다. 이러한, 흡입부재 131의 상부에 제2절취부재 13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절취부재 135와 흡입부재 131 사이에 제2절취선 137이 형성한다.
나아가, 충진부재 121와 흡입부재 131 사이에 절단선 139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충진공간 123의 하부와 흡입관 133의 하부를 만곡된 연결관 140으로 연결시킨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절단선 139을 따라 충진부재 121와 흡입부재 131가 이격되도록 하고 제2절취선 137을 따라 제2절취부재 135를 이탈시키며 제1절취선 127을 따라 제1절취부재 125를 이탈시켜 흡입관 133을 통해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 123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110 : 외피 120 : 충진부
121 : 충진부재 123 : 충진공간
124 : 안내면 125 : 제1절취부재
127 : 제1절취선
130 : 흡입부 131 : 흡입부재
133 : 흡입관 135 : 제2절취부재
137 : 제2절취선 139 : 절단선
140 : 연결관

Claims (3)

  1.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충진부재 상부에 제1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제1절취부재와 충진부재 사이에 제1절취선이 형성된 충진부와,
    상기 충진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는 흡입관이 형성된 흡입부재 상부에 제2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제2절취부재와 흡입부재 사이에 제2절취선이 형성되며 충진부재와 흡입부재 사이에 절단선이 수직으로 형성된 흡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단선을 따라 충진부재와 흡입부재가 이격되도록 하고 제2절취선을 따라 제2절취부재를 이탈시키며 제1절취선을 따라 제1절취부재를 이탈시켜 흡입관을 통해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은,
    하부가 역삼각형 형상인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의 하부와 흡입관의 하부를 만곡된 연결관으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KR1020150169030A 2015-11-30 2015-11-30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KR10177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030A KR101775593B1 (ko) 2015-11-30 2015-11-30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030A KR101775593B1 (ko) 2015-11-30 2015-11-30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72A true KR20170063072A (ko) 2017-06-08
KR101775593B1 KR101775593B1 (ko) 2017-09-07

Family

ID=59221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030A KR101775593B1 (ko) 2015-11-30 2015-11-30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5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8394A1 (en) * 2019-06-24 2022-11-03 Youngchoon SON Pouch provided with reinforced tunnel for drink suc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2903B2 (ja) * 1999-05-12 2010-04-21 味の素株式会社 医療用薬液混注用バッグ
KR200250088Y1 (ko) * 2001-05-23 2001-11-16 한 경 조 스파우트 기능 내장 파우치
KR200383387Y1 (ko) * 2005-02-17 2005-05-03 이용근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JP5899557B2 (ja) 2012-03-30 2016-04-06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パウチ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8394A1 (en) * 2019-06-24 2022-11-03 Youngchoon SON Pouch provided with reinforced tunnel for drink s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593B1 (ko) 2017-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173B2 (en) Pack for extracting a coffee beverage
CN106660681B (zh) 用于容器的装配组件、用于制备浸泡饮料的包装件和用于制备浸泡饮料的机器
CN106573717B (zh) 用于制备浸泡饮料的包袋
US20080017043A1 (en) Tea Stick Brewing Package and Method
KR101775593B1 (ko)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KR20170062236A (ko)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KR20170063228A (ko) 회전방식 가압배출 파우치
KR102146805B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CN204916518U (zh) 一种奶茶铝箔包装袋
CN208868458U (zh) 具吸管功能之容器
KR20130062072A (ko) 시트분리가 용이한 일회용 캡슐
US20200087017A1 (en) Paper cup
KR101672270B1 (ko) 중앙개구형 파우치
KR20160064708A (ko) 젓가락 포장 용지
KR101987264B1 (ko) 김치 포장용기
JP3202511U (ja) 充填可能なスパウト付パウチ
CN202138695U (zh) 带叉匙的食品包装容器
KR101620901B1 (ko) 접이식 스탠딩 파우치
CN104071481A (zh) 一种注水即食的方便面桶及其包装方法
CN204568310U (zh) 3d立体湿巾包装袋
CN204021592U (zh) 酸奶包装软袋
CN210235850U (zh) 一种单条包装卡
CN208102763U (zh) 容器及容器盖
JP2007118968A (ja) ストロー付き飲料パウチ
CN201031047Y (zh) 饮料包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