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236A -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 Google Patents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236A
KR20170062236A KR1020150167795A KR20150167795A KR20170062236A KR 20170062236 A KR20170062236 A KR 20170062236A KR 1020150167795 A KR1020150167795 A KR 1020150167795A KR 20150167795 A KR20150167795 A KR 20150167795A KR 20170062236 A KR20170062236 A KR 2017006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ospheric pressure
beverage
pouch
perforation line
f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김현수
고건
Original Assignee
이윤정
김현수
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김현수, 고건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102015016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2236A/ko
Publication of KR2017006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65D75/5811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and defining, after tearing, a small dispensing spout, a small orific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충진부재의 상부가 좁아지는 입구공이 형성된 입구부재가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입구부재의 끝단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제1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재의 일측을 개구시키는 제2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절취선을 따라 절개한 후 입구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음료를 음용하고 일정량 이상 음용한 후 제2절취선을 절개하여 대기압이 제2절취선을 통해 유입되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Pouch with atmospheric pressure}
본 발명은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는 작은 주머니를 뜻하는 것으로, 음료 포장용 파우치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팩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한 후, 장기간 또는 휴대를 목적으로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파우치는 상기와 같이, 대부분 단순하게 합성수지로 된 팩에 내용물을 담아 밀폐시켜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음용 시에는 일측 단을 가위 또는 칼로 절단하여 개방시킨 후 음용하거나, 개방된 부위에 빨대(스트로우)를 꽂아 음용하거나, 컵에 따라 음용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우치는 생산 및 유통 측면에서 볼 때, 내용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기에는 더할 수 없이 유용한 것이었으나, 사용자가 측면에서는 음용 시 개봉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팩의 개봉부위 일측면에 절개부위를 형성하여 절취가 용이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절취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쏟아지거 나 튀겨 사용자의 옷이나 피부 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스파우터(분출구)를 팩의 일측 단에 열융착과 동시에 고정시킨 파우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스파우터가 팩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파우치의 제작 및 보관 등 취급상에서 오염될 수밖에 없으며, 심지어는 스파우터의 캡이 열려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기도 하는 등 위생적인 측면과 취급상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히, 고가의 한약재를 포장 보관하는데 이용되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생적인 음용을 위해 생산자 또는 공급자 및 사용자 자신 또한 취급에 더욱 신경을 쓸 수밖에 없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열려진 스파우터를 통해 외부로 한약재가 유출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입게 되는 경제적 손실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것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과 종래의 파우치 보다 고가인 점으로 인해, 스파우터가 구비된 파우치는 생산자 및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받아 사용성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이용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파우치에 담겨진 내용물을 음용할 경우 내,외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파우치가 수축되는데, 이때 수축된 상태에 따라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어 완벽히 내용물을 음용할 수 없거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04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 사이에 내부체적을 갖는 바닥부의 형성과 함께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를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의 밑면으로서 실링 처리되고, 상부로 갈수록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의 가장자리를 상호 접하여 실링 처리되어 식품이 포장된 상태에서 평평한 바닥면으로부터 자립되는 식품 포장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 밑변의 중간지점과 상기 바닥부의 중앙부분이 평평한 면으로부터 모두 받쳐지고,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 밑변 양측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형태가 되어 파우치가 수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포장재와 후면포장재의 밑변 중간에서부터 양측으로 갈수록 만곡지는 곡선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파우치에 충진된 음료을 전부 음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를 음용하는 입구를 원하는 만큼 절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046호.(2008년12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충진부재의 상부가 좁아지는 입구공이 형성된 입구부재가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입구부재의 끝단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제1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재의 일측을 개구시키는 제2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절취선을 따라 절개한 후 입구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음료를 음용하고 일정량 이상 음용한 후 제2절취선을 절개하여 대기압이 제2절취선을 통해 유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진공간은, 상부가 삼각형 형상인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진부재의 외부에 투명한 표시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절취선과 맞닿게 부직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는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1절취선을 따라 절개한 후 입구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음료를 음용하고 일정량 이상 음용한 후 제2절취선을 절개하여 대기압이 제2절취선을 통해 유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한 쌍의 외피 110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 121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100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 121이 형성된 충진부재 120 일측에 제2절취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재 120의 상부가 좁아지는 입구공 131이 형성된 입구부재 130가 일체로 연장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100는 충진공간 121이 형성된 충진부재 120를 마련한다. 이러한, 충진부재 120는 하부는 지면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편한 면을 갖고 상부는 좁아지는 플라스크 형상이다.
이러한, 충진부재 120의 상부에는 입구공 131이 형성된 입구부재 130가 일체로 연장된다.
또한, 입구부재 130의 끝단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제1절취선 133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재 120의 일측을 개구시키는 제2절취선 12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충진공간 121은 상부가 삼각형 형상인 안내면 123을 갖는다.
나아가, 충진부재 120의 외부에 투명한 표시부 140를 형성시켰다. 이러한, 표시부 140는 충진부재 120의 바닥부터 입구부재 130까지 이어져 있다. 이러한, 표시부 140를 통해 음료의 잔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절취선 125과 맞닿게 부직포 150를 설치한다. 이러한, 부직포 150는 제2절취선 125을 절개시 흘러나올 수 있는 음료를 흡수하여 청결하게 음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100는 음료를 흡입하면 충진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제1절취선 133을 따라 절개한 후 입구공 131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음료를 음용하고 일정량 이상 음용한 후 제2절취선 125을 절개하여 대기압이 제2절취선 125을 통해 유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110 : 외피 120 : 충진부재
121 : 충진공간 123 : 안내면
125 : 제2절취선 130 : 입구부재
131 : 입구공 133 : 제1절취선
140 : 표시부 150 : 부직포

Claims (4)

  1.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음료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을 갖도록 가장자리를 실링처리 한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이 형성된 충진부재의 상부가 좁아지는 입구공이 형성된 입구부재가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입구부재의 끝단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제1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재의 일측을 개구시키는 제2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절취선을 따라 절개한 후 입구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음료를 음용하고 일정량 이상 음용한 후 제2절취선을 절개하여 대기압이 제2절취선을 통해 유입되어 대기압이 음료를 밀어서 음료를 끝까지 음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은,
    상부가 삼각형 형상인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의 외부에 투명한 표시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취선과 맞닿게 부직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KR1020150167795A 2015-11-27 2015-11-27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KR20170062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795A KR20170062236A (ko) 2015-11-27 2015-11-27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795A KR20170062236A (ko) 2015-11-27 2015-11-27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236A true KR20170062236A (ko) 2017-06-07

Family

ID=5922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795A KR20170062236A (ko) 2015-11-27 2015-11-27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22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4056B2 (ja) コーヒー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パック
US10633173B2 (en) Pack for extracting a coffee beverage
DK3186169T3 (en) PACKING AND PROCEDURE FOR BEVERAGE DRINKING
US10577172B2 (en) Pack for preparing infusion beverages
EP3180263B1 (en) Fitment assembly for a container, pack for preparing an infusion beverage and machine for preparing an infusion beverage
US20080017043A1 (en) Tea Stick Brewing Package and Method
CN102186385A (zh) 用于由可溶性粉末即刻制备热饮料的装置
KR101775593B1 (ko) 대기압을 이용한 파우치
KR20170062236A (ko) 대기압을 이용하는 파우치
KR20170063228A (ko) 회전방식 가압배출 파우치
US20220348394A1 (en) Pouch provided with reinforced tunnel for drink suction
KR20150048573A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KR102146805B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JP2013224172A (ja) 紙容器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101672270B1 (ko) 중앙개구형 파우치
KR101620901B1 (ko) 접이식 스탠딩 파우치
CN208102763U (zh) 容器及容器盖
KR200479343Y1 (ko) 분할 개봉이 가능한 이중 용기
CN202138695U (zh) 带叉匙的食品包装容器
AU2018100589A4 (en) Modified Food/Drink packaging
CN202574979U (zh) 加有塑膜的易密封方便食品包装盒
KR20150095179A (ko) 빨대 저장부를 가지는 액체 파우치
UA127811C2 (uk) Порційний одноразовий пакет (варіанти)
KR20170063044A (ko) 가압부를 구비한 파우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