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815A - 테스트 소켓 - Google Patents

테스트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815A
KR20170062815A KR1020150168456A KR20150168456A KR20170062815A KR 20170062815 A KR20170062815 A KR 20170062815A KR 1020150168456 A KR1020150168456 A KR 1020150168456A KR 20150168456 A KR20150168456 A KR 20150168456A KR 20170062815 A KR20170062815 A KR 20170062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elastic member
insulating elastic
contact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711B1 (ko
Inventor
이왕기
김현호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6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7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38Geometry aspects related to tip p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저압력으로 컨택트핀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볼범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소켓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수개의 볼범프와 각각 연결되거나 해제되는 다수개의 컨택트핀; 및 다수개의 컨택트핀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삽입되는 절연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컨택트핀은 각각 상부가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며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는 핀부재;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일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되는 제1컨택터; 및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타측에 제1컨택터와 마주대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타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되는 제2컨택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스트 소켓{Test socket}
본 발명은 테스트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성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저압력으로 컨택트핀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볼범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소켓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디바이스는 여러 제조 공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전기적 성능의 양불을 판단하기 위한 검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반도체 디바이스의 양불검사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테스트 소켓(또는 컨택터 또는 프로브)을 반도체 디바이스와 회로기판 사이에 장착한 상태에서 테스터와 연결되어 검사가 수행된다. 또한 반도체 테스트 소켓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최종 양불 검사 외에도 반도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 중 하나인 신뢰성 테스트 및 초기불량 제거를 위한 번-인(Burn-In) 테스트 공정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번-인(Burn-In) 테스트 공정에 사용되는 테스트 소켓이 한국등록특허 제0561951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561951호에 공개된 테스트 소켓은 소켓 몸체, 컨택트 핀들, 커버 및 홀더를 포함한다.
소켓 몸체는 반도체 디바이스 특히 BGA 패키지(ball grid array package)가 탑재된다. 컨택트 핀들은 볼범프(ball bump)에 접속되며, 소켓 몸체를 관통하여 소켓 몸체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커버는 소켓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앙 부분에 BGA 패키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 몸체로부터 탄력적으로 수직 운동된다. 홀더는 커버의 하강에 따라 BGA 패키지를 가압하여 소켓 몸체에 고정시킨다.
한국등록특허 제0561951호와 같은 종래의 테스트 소켓은 컨택트핀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와 수직방향으로 접촉됨에 의해 접촉압력의 증가 되며, 이로 인해 볼범프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0561951호(등록일: 2006.03.10.)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성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저압력으로 컨택트핀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볼범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성 탄성부재가 균일하게 변형된 후 정확하게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복원력을 개선하여 컨택트핀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볼범프의 손상 없이 컨택트핀이 볼범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테스트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연성 탄성부재에 CNT(carbon nano tube)를 첨가하여 대전 방지 중합체로 형성하여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소켓이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테스트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은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수개의 볼범프(ball bump)와 각각 연결되거나 해제되는 다수개의 컨택트핀(contact pin); 및 상기 다수개의 컨택트핀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삽입되는 절연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컨택트핀은 각각 상부가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며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는 핀부재; 상기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일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되는 제1컨택터(contactor); 및 상기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타측에 상기 제1컨택터와 마주대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타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되는 제2컨택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은 절연성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저압력으로 컨택트핀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볼범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절연성 탄성부재가 균일하게 변형된 후 정확하게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복원력을 개선하여 컨택트핀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볼범프의 손상 없이 컨택트핀이 볼범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해제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절연성 탄성부재에 CNT(carbon nano tube)를 첨가하여 대전 방지 중합체로 형성하여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소켓이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컨택트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컨택트핀의 확대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컨택트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은 다수개의 컨택트핀(contact pin)(10)과 절연성 탄성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컨택트핀(10)은 각각 반도체 디바이스(1)의 다수개의 볼범프(ball bump)(1a)와 각각 연결되거나 해제되며, 절연성 탄성부재(20)는 다수개의 컨택트핀(10)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삽입된다. 다수개의 컨택트핀(10)은 각각 핀부재(11), 제1컨택터(contactor)(12) 및 제2컨택터(13)로 이루어진다. 핀부재(11)는 상부가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며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며, 제1컨택터(12)는 핀부재(11)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의 일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된다. 제2컨택터(13)는 핀부재(11)의 상부의 끝단면의 타측에 제1컨택터(12)와 마주대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의 타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된다.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의 컨택트핀(10)은 각각 베릴륨동(BeCu)이나 황동 재질로 형성되며, 전체 표면에 1 내지 5㎛ 두께로 금(Ag)이 도금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컨택트핀(10)은 각각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핀부재(11), 제1컨택터(12) 및 제2컨택터(13)로 이루어진다.
핀부재(11)는 상부가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며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를 지지한다. 즉, 핀부재(11)는 직육면체 형상의 핀으로 형성되며, 하부의 끝단은 라운드(round)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기판(도시 않음)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해제된다. 이러한 핀부재(11)는 상부에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가 각각 상부의 끝단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핀부재(11)는 또한,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형성 시 돌출 높이(H22)는 전체 높이(H21+H22)의 70 내지 85%가 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핀부재(11)가 절연성 탄성부재(20)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테스트 장치의 테스트 기판(도시 않음)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제1컨택터(12)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의 끝단 즉, 볼범프(1a)가 접촉되는 위치에 경사면(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컨택터(12)는 핀부재(11)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의 일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된다.
제2컨택터(13)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의 끝단 즉, 볼범프(1a)가 접촉되는 위치에 경사면(12a)과 수직방향(Z)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경사면(13a)이 형성된다. 또한, 제2컨택터(13)는 핀부재(11)의 상부의 끝단면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제1컨택터(12)와 마주대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의 타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된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의 이격 간격(DL1)은 또한, 각각 핀부재(11)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과 타측에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의 직경(DL2)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의 이격 간격(DL1)은 각각 경사면(12a,13a)이 시작되는 위치 사이 즉, 경사면(12a,13a)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의 사이의 이격 간격(DL1)이 직경(DL2)보다 작도록 형성됨으로써 볼범프(1a)와 접촉 시 반도체 디바이스(1)가 수직방향(Z)으로 과도하게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며, 볼범프(1a)가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에 각각 형성되는 경사면(12a,13a)에 접촉되도록 함에 의해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작은 탄성력 즉, 저압력을 이용해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와 볼범프(1a)을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탄성력을 이용해 볼범프(1a)의 접촉 여부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좁아지도록 하기 위해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H12)는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의 높이(H31)보다 1 내지 5배 크게 돌출된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볼범프(1a)의 높이(H31)보다 1 내지 5배 크게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탄성력만을 이용해 볼범프(1a)와 접촉되거나 해제된다. 예를 들어, 절연성 탄성부재(20)가 다수개의 컨택트핀(10)을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가변성 즉, 탄성력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저압을 이용해 컨택트핀(10)에 볼범프(1a)을 접촉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H12)는 각각의 전체 높이(H11+H12)의 5 내지 20%가 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가 각각 절연성 탄성부재(2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핀부재(11)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이격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20)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1)의 볼범프(1a)가 접촉되면 절연성 탄성부재(20)의 변형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고, 볼범프(1a)의 접촉이 해제되면 절연성 탄성부재(2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즉,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볼범프(1a)의 접촉 여부에 따라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탄성력만에 의해 벌어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제1컨택터(12)가 '>'자형으로 형성되면 제2컨택터(13)는 '<'자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6에서와 같이 제1컨택터(12)가 지그재그(zig zag) 형으로 형성되면 제2컨택터(13)는 제1컨택터(12)의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Z)을 기준으로 대칭이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된다.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가 각각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는 각각 상부의 끝단의 간격이 제1컨택터(12)와 제2컨택터(13)의 이격 간격(DL1)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탄성력 즉, 저압력으로 볼범프(1a)와 접촉되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는 제1컨택터(12) 및 제2컨택터(13)는 각각 볼범프(1a)가 접촉되는 압력에 의해 절연성 탄성부재(20)가 변형되면 이 변형력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벌어져 볼범프(1a)를 지지하며, 볼범프(1a)의 접촉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에 절연성 탄성부재(20)의 원상태로 복귀하는 복원력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원상태로 좁아지게 된다.
절연성 탄성부재(2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탄성재질을 갖는 절연성재질이 사용되어 절연성 탄성부재(20)의 탄성력만을 이용해 제1컨택터(12) 및 제2컨택터(13)가 서로 벌어지거나 원상태로 회복되도록 한다. 특히, 절연성 탄성부재(20)는 재질을 PDMS(Polydimethylsiloxane) 70 내지 95wt%와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5 내지 30wt%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연성 탄성부재(20)는 재질이 PDMS 70 내지 95wt%와 카본나노튜브 5 내지 30wt%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볼범프(1a)가 제1컨택터(12) 및 제2컨택터(13)와 접촉된 상태에서 반도체 디바이스(1)의 하부면과 접촉 시 화학적으로 안정되고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게 됨에 의해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반도체 디바이스(1)와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은 절연성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해 저압력으로 컨택트핀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볼범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절연성 탄성부재가 균일하게 변형된 후 정확하게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복원력을 개선하여 컨택트핀을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볼범프의 손상 없이 컨택트핀이 볼범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해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절연성 탄성부재에 CNT를 첨가하여 대전 방지 중합체로 형성하여 반도체 디바이스와 테스트 소켓이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 시 발생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스트 소켓은 반도체 디바이스를 테스트 시 사용되는 소켓 제조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10: 컨택트핀
11: 핀부재
12: 제1컨택터
13: 제2컨택터
20: 절연성 탄성부재

Claims (8)

  1. 반도체 디바이스의 다수개의 볼범프(ball bump)와 각각 연결되거나 해제되는 다수개의 컨택트핀(contact pin); 및
    상기 다수개의 컨택트핀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삽입되는 절연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컨택트핀은 각각 상부가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며 하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는 핀부재; 상기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일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되는 제1컨택터(contactor); 및 상기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타측에 상기 제1컨택터와 마주대하도록 연결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타측과 접촉되거나 해제되는 제2컨택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컨택트핀은 각각 베릴륨동(BeCu)이나 황동 재질로 형성되며, 전체 표면에 금(Ag)이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터와 상기 제2컨택터의 이격 간격은 상기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과 타측에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터와 상기 제2컨택터는 각각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는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의 높이보다 1 내지 5배 크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터와 상기 제2컨택터는 각각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가 각각의 전체 높이의 5 내지 20%가 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터와 상기 제2컨택터는 각각 상기 핀부재의 상부의 끝단면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이격되며 상부가 부분적으로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절연성 탄성부재에 삽입되어 반도체 디바이스의 볼범프가 접촉되면 절연성 탄성부재의 변형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벌어지며, 볼범프의 접촉이 해제되면 절연성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터와 상기 제2컨택터는 각각 제1컨택터가 '>'자형으로 형성되면 제2컨택터는 '<'자형으로 형성되며, 제1컨택터가 지그재그(zig zag) 형으로 형성되면 제2컨택터는 제1컨택터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탄성부재의 재질은 PDMS(Polydimethylsiloxane) 70 내지 95wt%와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5 내지 30wt%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소켓.
KR1020150168456A 2015-11-30 2015-11-30 테스트 소켓 KR10174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56A KR101749711B1 (ko) 2015-11-30 2015-11-30 테스트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456A KR101749711B1 (ko) 2015-11-30 2015-11-30 테스트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15A true KR20170062815A (ko) 2017-06-08
KR101749711B1 KR101749711B1 (ko) 2017-06-21

Family

ID=5922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456A KR101749711B1 (ko) 2015-11-30 2015-11-30 테스트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855B1 (ko) * 2020-03-20 2021-02-25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851A (ja) * 2000-04-25 2001-11-0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テストソケット
KR100584225B1 (ko) 2004-10-06 2006-05-29 황동원 전자장치용 콘택트
JP2009128211A (ja) * 2007-11-26 2009-06-11 Sensata Technologies Inc プローブピン
JP2009255568A (ja) * 2008-03-27 2009-11-05 Hodogaya Chem Co Ltd 移行処理により微細炭素繊維を表層に局在化させ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855B1 (ko) * 2020-03-20 2021-02-25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711B1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5088B2 (en) Axially compliant microelectronic contactor
KR100734296B1 (ko) 자체 클리닝 기능이 있는 검사장치용 소켓핀 및 이를포함하는 검사장치
JP5591401B2 (ja) プローブ(probe)
KR101482911B1 (ko) 탄성체 에스 컨택터를 가지는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소켓
KR101471116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366171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353481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0907337B1 (ko) 테스트용 소켓
JP6084592B2 (ja) ポゴピン用プローブ部材
KR101490498B1 (ko) 검사용 인서트
KR101490501B1 (ko) 전기적 검사용 소켓
US8174279B2 (en) Socket connector for connection lead of semiconductor device under test with tester
KR101754944B1 (ko) 테스트 소켓 및 그의 제조방법
US9653833B2 (en) Contact pin and electrical component socket
KR101483757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US9182424B2 (en) Multiple rigid contact solution for IC testing
KR20160002475U (ko) 검사용 탐침부재
KR101749711B1 (ko) 테스트 소켓
KR101920855B1 (ko) 검사용 소켓
KR101348205B1 (ko) 탐침장치
KR101348206B1 (ko) 복수의 스프링부재를 가지는 탐침장치
KR101446146B1 (ko) 검사장치
KR20130003068A (ko) 소자테스트소켓 및 그에 사용되는 탐침
KR102270275B1 (ko) 테스트 소켓
KR101852864B1 (ko) 반도체 검사용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