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800A -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800A
KR20170061800A KR1020150166677A KR20150166677A KR20170061800A KR 20170061800 A KR20170061800 A KR 20170061800A KR 1020150166677 A KR1020150166677 A KR 1020150166677A KR 20150166677 A KR20150166677 A KR 20150166677A KR 20170061800 A KR20170061800 A KR 20170061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anin
tyrosinase
sk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이효성
남개원
황선원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알파크립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알파크립텍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6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800A/ko
Publication of KR20170061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및 멜라닌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멜라노마 세포의 생합성을 저해 할 수 있어,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GINSENG EXTRACTS}
본 발명은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Melanin)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Melanin)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피부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Melanin)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하지만 멜라닌(Melanin)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 색소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또한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Melanin)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에 과도한 멜라닌(Melanin) 생성을 막는 미백제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동안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졌다.
현재까지의 멜라닌(Melanin) 과생성 및 침착 저해를 통한 피부 미백 및 피부암 예방을 위한 연구의 대부분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 저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저해제로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자리의 구리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형성 물질, 퀴논류를 페놀류로 환원시키는 비타민 C(Ascorbic Acid) 또는 누룩산(Kojic Acid) 등의 환원제, 그리고 글루타치온(Glutathione) 등이 알려져 있다.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대표적인 미백제로 사용되지만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대해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멜라닌(Melanin) 세포의 변성 또는 치사를 유발하는 등, 세포 독성으로 인한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을 유발하므로 그 이용이 제한적이고, 누룩산(Kojic Acid)과 알부틴(Arbutin)은 강한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세포독성과 돌연 변이성이 있는 등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활성이 낮고 피부 투과성이 좋지 않은 등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피부에 직접 사용하는 화장품의 특성상 화장료 조성물로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으면서, 피부 투과성이 좋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458274호(2014.10.29) 공개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11-0123311(2011.11.1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천연물질에서 추출한 성분을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한다.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이 52 내지 63%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활성 저해율이 48 내지 61%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40 내지 55%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메이크업제품, 오일젤, 미스트 및 인체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세포 내에서 생성된 멜라닌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자연삼의 발효 추출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세포독성과 돌연 변이성 등에 있어서 높은 인체 안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발효자연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발효자연삼 추출물의 멜라닌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발효자연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한다.
여기서, 미백이란 피부에 멜라닌(Melanin) 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Melanin) 색소의 색을 엷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는 넓은 의미로 미생물이나 균류 등을 이용해 유용한 물질을 얻는 과정이고, 좁은 의미로는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를 얻는 당 분해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는 인공적으로 화학적 첨가물과 배양된 미생물을 접종하여 원하는 물질을 생산하는 인공발효 및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자연발효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발효 과정은 젖산(Lactic) 발효, 알코올(Alcohol) 발효,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발효, 메탄(Methane) 발효, 수소(Hydrogen) 발효, 글리세롤(Glycerol) 발효 및 아세톤-부탄올-에탄올(Acetone-Butanol-Ethanol) 발효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과정일 수 있다.
상기 자연삼은 인삼(Pan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um), 삼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s)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물을 용매로 물 추출 노말 헥산(Normal Hexane) 추출법, 알코올(Alcohol)추출법, 열수(Hot Water) 추출법,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 추출법, 산염기(Acid-Base)법, 염석(Salting Out)법, 투석(Dialsys)법, 폴리아미드(Polyamide) 흡착법, 이온교환(Ion-Exchange)법 및 재결정(Recrystallization)법 중에서 선택되는 1이상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01 내지 20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이 0.00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멜라닌(Melanin) 생합성, 멜라닌(Melanin)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지 못해 미백에 효과가 없다. 2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서 불안정한 제형을 이룬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Melanin) 생합성 저해율이 52 내지 63%일 수 있다.
상기 멜라닌(Melanin)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세포내 멜라닌소체(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의 연속적 산화반응으로 생합성된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은 멜라닌(Melanin) 합성 전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전사조절 또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당화조절 기작으로 멜라닌(Melanin) 합성을 저해한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Melanin) 활성 저해율이 48 내지 61%일 수 있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Ginsenoiside) 성분의 항산화 작용을 통해 멜라닌(Melanin) 세포층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작 또는 생성된 멜라닌(Melanin)을 피부 외로 배출을 촉진시키는 기작에 의해 멜라닌(Melanin) 활성을 저해한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48 내지 61%일 수 있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멜라닌(Melanin) 세포에 존재하며 멜라닌(Melanin)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구리를 조효소로 갖는 효소로서, 사람을 포함하여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에 넓게 분포한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티로신(Tyrosine)을 L-도파(L-DOPA)로 하이드록실화(Hydroxylation)하고, 이를 다시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산화시키는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의 일종이다. 이후 도파퀴논(Dopaquinone)은 여러 단계의 산화와 중합 과정을 거친 후 단백질과 결합하여 멜라닌(Melanin)을 생성한다.
상기 발효자연삼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구리 이온과의 킬레이트 결합을 통해 효소를 억제하는 기작 또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를 비활성화시키고 분해를 촉진하는 기작에 의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을 저해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메이크업제품, 오일젤, 미스트 및 인체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피부외용연고는 유지성, 유제성, 수용성 및 현탁성 연고를 의미한다. 유지성 연고는 지방, 바셀린 등의 광물성, 동식물성 기제를 이용한 연고로 물에 혼합, 용해되지 않는 것이다. 유제성 연고는 바셀린에 유화제 또는 유화제와 물을 가해 만든 연고로서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이다. 수용성 연고는 물에 잘 녹거나 혹은 혼합하는 연고이다. 현탁성 연고는 액체 속에 고체의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서 물을 용매로 보유하는 히드로겔(Hydrogel) 기제 또는 물 이외의 액체를 용매로서 보유하는 리오겔(Lyogel) 기제이다.
상기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 목적 및 대상에 따라 가용화 제품, 유화 제품 및 분산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되는 목적 및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한 추가적인 성분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험예 1 : 발효자연삼의 멜라닌(Melanin) 생합성 저해 효과
40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으로, 멜라닌(Melanin) 생성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1은 10ppm 농도의 발효자연삼 추출물로 배양한 멜라노마(Melanoma) 세포를 1ml의 5% 트라이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acetic Acid)로 처리하고, 2,500rpm으로 2회 원심분리한 후, 분리된 멜라닌(Melanin)을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으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멜라닌(Melanin)을 에테르(Ether)와 에탄올(Ethanol)이 1:3의 비율로 혼합된 용액 1ml를 처리하여 2회 원심분리 후 에테르(Ether) 1ml로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건조된 멜라닌(Melanin)에 1노멀 농도(1N)의 수산화나트륨(NaOH)를 1ml 가하여 8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실시예 2 내지 5는 각각 발효자연삼 추출물의 농도를 50ppm, 100ppm, 250ppm, 500ppm으로 조절하였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1은 대조군으로 증류수(Distilled Water), 양성대조군으로 발효자연삼 추출물 대신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고,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하게 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5는 모든 농도에서 50%이상의 멜라닌(Melanin) 생성 저해 효과가 있었고, 100ppm에서는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1의 생성저해도에 근접한 수치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발효자연삼이 멜라닌(Melanin)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발효자연삼의 멜라닌(Melanin) 활성 저해 효과
400nm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한 것으로, 멜라닌(Melanin)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6은 인체 멜라닌(Melanin) 세포주인 인체 흑색종세포(SK-MEL-28 Cell Lines)를 이용하여 48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서 2*104만큼 배양시켜 세포가 부착된 것을 확인한 후에, 3일간 발효자연삼 추출물 10ppm이 첨가된 시료를 처리했다. 3일 후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한 후 1노멀 농도(1N)의 수산화나트륨(NaOH)를 처리하여 피펫(Pipetting)으로 멜라닌(Melanin)을 완전히 녹였다.
실시예 6 내지 10은 각각 발효자연삼 추출물의 농도를 50ppm, 100ppm, 250ppm, 500ppm으로 조절하였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2는 대조군으로 증류수(Distilled Water), 양성대조군으로 발효자연삼 추출물 대신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고,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6 내지 10과 동일하게 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 8 내지 10은 모두 50% 이상의 멜라닌(Melanin)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발효자연삼 추출물이 100ppm이 함유된 실시예 8이 멜라닌(Melanin) 활성 저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2와도 거의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발효자연삼은 멜라닌(Melanin)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활성 억제 효과
생체 외(In Vitro)에서 버섯형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의 활성 저해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475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으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율은 (1-(반응구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11은 10ppm 농도의 발효자연삼 추출물 20㎕, 인산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 100㎕ L-도파(L-DOPA,L-Dihydroxyphenylalanine) 40㎕를 혼합한 후 25℃에서 2분간 반응시켰다.
실시예 12 내지 15는 각각 발효자연삼 추출물의 농도를 50ppm, 100ppm, 250ppm, 500ppm으로 조절하였다.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였다.
비교예 3은 대조군으로 증류수(Distilled Water), 양성대조군으로 발효자연삼 추출물 대신 누룩산(Kojic Acid)추출물을 사용하였고, 그 외의 조건은 실시예 11 내지 15와 동일하게 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1 내지 15는 버섯형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의 활성이 53%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비율은 양성대조군인 비교예 3의 90% 수준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효자연삼은 생체 외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 억제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발효자연삼의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 효과
실험 전 1개월 전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한 경력이 없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발효자연삼의 자외선(UV B)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성 10명의 상박부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하고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2배 정도의 자외선(UV B)을 도시바(Toshiba)사의 SE Lamp(파장 290nm~320nm)로 조사하여 색소침착을 유도하였다.
각 실험 제형들은 하기 [표 1]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처방에 따라 제조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기 1시간 전과 자외선 조사 직후 도포하였다. [표 2]에 나타난 피부색은 자외선 조사 후 48시간 및 96시간에 측정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대조군 실시예 비교예
발효자연삼 추출물 - 1.00 -
비타민C - - 1.00
밀납 4.00 4.00 4.00
폴리솔베이트 1.50 1.50 1.5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70 0.70 0.70
유동파라핀 5.00 5.00 5.0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5.00 5.00
글리세린 3.00 3.00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0 0.10 0.10
트리에탄올아민 0.20 0.20 0.2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험군 L Value
48시간 96시간
대조군 45 40
실시예 60 55
비교예 48 43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밝기(L Value)가 대조군 및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자외선에 의한 색소 침착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0.0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이 52 내지 63%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활성 저해율이 48 내지 61%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율이 40 내지 55%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팩, 메이크업제품, 오일젤, 미스트 및 인체세정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166677A 2015-11-26 2015-11-26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1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77A KR20170061800A (ko) 2015-11-26 2015-11-26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677A KR20170061800A (ko) 2015-11-26 2015-11-26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00A true KR20170061800A (ko) 2017-06-07

Family

ID=5922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677A KR20170061800A (ko) 2015-11-26 2015-11-26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27A (ko) 2017-12-29 2019-07-09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627A (ko) 2017-12-29 2019-07-09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5186324A (ja) 美白化粧料
JP5142113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KR101627051B1 (ko) 비타민 c 함유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2284A (ko)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70189326A1 (en) Topical Antiaging Polyphenol Compositions
KR101223654B1 (ko) 미생물에 의한 골담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429738B (zh) 一种祛痘修护焕活精华液及其制备方法
JP2008184439A (ja) 活性酸素種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20060093164A (ko)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1800A (ko) 발효자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70092293A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09063A (ja) 皮膚外用剤または皮膚化粧料
KR20130047040A (ko) 백굴채 추출물 및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21903B1 (ko)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11442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제주엔시스 hb-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1180A (ko)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4417A (ko) 오미자 솔버섯 발효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0306B1 (ko) 피부미백제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1780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7476B1 (ko) 터피넨-4-올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