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621A -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621A
KR20170061621A KR1020160158938A KR20160158938A KR20170061621A KR 20170061621 A KR20170061621 A KR 20170061621A KR 1020160158938 A KR1020160158938 A KR 1020160158938A KR 20160158938 A KR20160158938 A KR 20160158938A KR 20170061621 A KR20170061621 A KR 20170061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adiation
energy
adhesive
work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헤이 다나베
히사시 니시가키
모토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면서,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미충전과 접착제의 미경화 부분의 잔존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로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워크(W1, W2)로서, 어느 한쪽이 표시 영역(D)을 구획하는 인쇄 프레임(B)을 갖는 것인 워크들(W1, W2)을,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R)를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1)와, 접합된 워크들(W1, W2) 사이의 표시 영역(D) 밖에 도달한 접착제(R)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접착제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하여 에너지를 조사하는 조사부(2)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MEMBER}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대표로 하는 평판형의 표시 장치, 소위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는, 표시 패널과 그 밖의 워크(work)가 케이스에 삽입되어 구성된다. 그 밖의 워크로는, 조작용의 터치 패널,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 패널, 백라이트, 백라이트의 도광판 등이 있다.
이들 워크는, 개별로 혹은 미리 적층된 상태로 케이스에 삽입된다. 예컨대, 보호 커버에 터치 패널을 적층한 복합 패널로서 구성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표시 패널에는, 터치 패널의 기능이 도입된 것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워크로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지만, 이하,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워크를 복수 적층한 것을, 표시 장치용 부재라고 부른다.
이러한 표시 장치용 부재로서 적층되는 각 워크들 사이에 갭이 존재하면, 외광 반사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각 워크를 접착제를 통해 접합하여 적층함으로써, 각 워크들 사이의 갭을 매립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86170호 공보
현재,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전체의 크기를 동등하게 유지하면서, 표시 영역만을 확대시키고 싶다는 요청이 강하다. 이 때문에, 예컨대, 표시 패널에 적층되는 커버 패널에 있어서, 표시 영역을 구획하는 인쇄 프레임의 폭은 매우 좁게 할 필요가 있다. 인쇄 프레임은, 차광성의 재료에 의해 커버 패널의 외연을 두르도록 형성된다. 인쇄 프레임의 내연에 둘러싸인 투광성이 있는 영역이, 표시 영역을 형성한다.
이 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보다 약간 작다. 커버 패널은, 표시 패널의 외연이 표시 영역 밖의 인쇄 프레임에 중첩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표시 패널에 적층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외연은, 표시 영역으로부터 시인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표시 영역에, 접착제의 미충전 영역이 잔존하면, 충전 영역과의 경계가 표시 화면의 시인성을 손상시킨다. 이 때문에, 표시 영역의 미충전은 피해야 한다. 한편, 표시 패널의 외연으로부터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것도, 주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이 때문에, 접착제의 가장자리는 인쇄 프레임의 매우 가는 폭에 수용해야 한다.
접착제를 통한 워크의 접합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일례로서, 접착제를 점형 또는 선형으로 도포한 한쪽의 워크에, 다른쪽의 워크를 중첩시키는 방법이 있다. 중첩시킨 다른쪽의 워크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접착제가 워크의 외연을 향하여 확대되어 가기 때문에, 워크들 사이에 접착층이 형성된다.
이 때, 워크의 가장자리에 도달한 접착제가, 더욱 가장자리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비어져 나옴이 발생하면, 경화 후에 접착제를 깎아내는 공정이 필요해져, 생산 비용이 들었었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워크들 사이의 접착제에 대하여, 경사 하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의 가장자리를 경화시켜, 워크의 가장자리로부터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조사되는 자외선이, 워크의 측면으로부터도 입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자외선이 입사하면, 자외선이 워크의 내부에서 반사하여 내측으로 전파된다. 그러면, 워크의 외연에 도달하기 전의 접착제에 자외선이 조사되어 경화되기 때문에, 접착제의 확대가 정지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표시 영역 내에 미충전의 개소가 잔존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면서,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미충전과 접착제의 미경화 부분의 잔존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워크로서, 어느 한쪽이 표시 영역을 구획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인 워크를,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와, 접합된 워크들 사이의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한 접착제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접착제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하여 에너지를 조사하는 조사부를 갖는다.
상기 조사부는, 조사하는 에너지의 방향이, 상기 워크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한쪽의 워크의 접합면측으로 경사진 조사 부재와, 상기 조사 부재에 의한 에너지의 조사 영역을,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워크의 측면에 접근하여,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 조사 상태로 하고, 상기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상기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입사시킴으로써 상기 제2 조사 상태로 하는 차폐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워크의 측면에 접근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개폐 기구를 가져도 좋다.
상기 차폐부는,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가 입사하는 상기 워크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배치되어도 좋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 조사 상태로 하는 차폐부와, 상기 에너지를 접착제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에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2 조사 상태로 하는 제2 조사 부재를 가져도 좋다.
상기 제1 조사 상태에 놓이는 상기 한 쌍의 워크의 전체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추가 조사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 셔터는, 상기 한 쌍의 워크 중 한쪽의 워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다른쪽의 워크에 대한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하는 제2 셔터를 갖고, 상기 제2 셔터를, 상기 다른쪽의 워크의 단부면에 접근하여 에너지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다른쪽의 워크의 단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에너지를 입사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가져도 좋다.
상기 조사부는, 각도 조정 가능한 조사 헤드를 갖고, 상기 조사 헤드가 조사한 에너지의 방향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가져도 좋다.
상기와 같은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를 제조 방법으로서 파악한 발명도, 본 발명의 일양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하면서,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미충전과 접착제의 미경화 부분의 잔존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에 표시 패널이 적재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의 커버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A),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C), 양자를 나타내는 단면도(B)이다.
도 7은, 커버 패널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 양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접합부에 커버 패널과 표시 패널을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커버 패널을 표시 패널에 대향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1 조사 상태와 접합의 개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단변 부분에 있어서의 제1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플렉시블 배선판 부분에 있어서의 제1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표시 패널의 압착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2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추가 조사부에 의한 조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과 미충전 부분을 나타내는 저면도(A), 평면도(B)이다.
도 18은, 접착제의 미충전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의 접착제의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의 접착제의 양태를 나타내는 저면도(A), 평면도(B)이다.
도 21은, 비어져 나옴량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조사 각도가 상이한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조사 각도를 변경한 경우의 경화 범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형태의 제1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형태의 제2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형태의 제1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형태의 제2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형태의 제1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형태의 제2 조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구성]
[워크]
본 실시형태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워크를 접착제를 통해 접합함으로써, 표시 장치용 부재를 제조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용 부재에는, 표시 패널과 커버 패널을 적층한 부재와 같이 표시 기능을 구비한 부재도, 커버 패널과 터치 패널을 적층한 부재와 같이 그 부재만으로는 표시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부재도 포함된다. 표시 장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워크로는, 표시 패널, 터치 패널, 커버 패널, 백라이트나 그 도광판 등의 여러가지의 것이 있으며, 어느 것을 조합해도 좋다.
다만, 본 장치에 의한 처리 대상이 되는 워크의 적어도 한쪽은, 표시 영역을 구획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을 갖는 워크는, 유리, 수지 등의 에너지를 투과하는 재질이고,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에너지가 반사하여 내부를 진행하는 부재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합되는 한 쌍의 워크의 한쪽이, 표시 영역을 구획하는 프레임으로서 차광성의 인쇄 프레임을 갖는 커버 패널인 경우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프레임을 갖는 워크이면, 커버 패널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의 표시 가능 영역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표시 내용을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이다.
[접착제]
접착제는,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이다. 예컨대, 자외선(UV) 경화 수지나 열 경화 수지, 그 밖의 전자파, 방사선 등의 에너지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UV 경화 수지와 열 경화 수지의 특성을 가진 수지와 같이, 복수 종류의 에너지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여도 좋다. 이 경우, 가경화를 UV 광에 의한 조사에 의해 행하고, 열 경화에 의해 본경화를 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UV 경화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접합부(1), 조사부(2), 추가 조사부(3), 제어부(4)를 갖는다. 이하에 각 부의 구성을 상술한다.
(접합부)
접합부(1)는, 한 쌍의 워크(W1, W2)를 접착제(R)를 통해 접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합부(1)는, 대기중에서 접합을 행한다. 다만, 진공 접합 등, 감압 하에서의 접합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접합부(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11), 제1 유지부(12), 제2 유지부(13)를 갖는다. 기대(11)는, 제1 유지부(12), 제2 유지부(13)를 지지하는 받침대이다. 제1 유지부(12)는, 한쪽의 워크(W1)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제1 유지부(12)는, 유지 부재(121), 반전 기구(122)를 갖는다. 유지 부재(121)는, 한쪽의 워크(W1)를 유지하는 부재이다. 유지 부재(121)는,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고, 워크(W1)를 유지하는 평탄면인 유지면(121a)을 갖는다. 워크(W1)는, 접착제(R)가 도포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유지면(121a)에 유지된다. 유지면(121a)에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원에 접속된 흡착 구멍(121b)이 형성되고, 워크(W1)를 흡착하는 진공 척이 구성된다.
반전 기구(1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21)에 유지되는 워크(W1)를 반전시켜, 제2 유지부(13)에 대향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이 반전되는 경우, 워크(W1)의 접착제(R)의 도포면이 제2 유지부(13)에 유지되는 워크(W2)에 대향한다.
반전 기구(122)는, 회동부(122a), 지지부(122b)를 갖는다. 회동부(122a)는, 유지 부재(121)의 일측면이 접속되고, 유지 부재(121)를,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회동시키는 장치이다. 지지부(122b)는, 회동부(122a)를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 반전 기구(122)에 의해, 유지 부재(12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면(121a)이 수평으로 상측을 향하는 위치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하측을 향하는 위치 사이에서 변위된다.
제2 유지부(13)는, 다른쪽의 워크(W2)를 유지하고, 제1 유지부(12)에 유지되는 워크(W1)에 접합하는 장치이다. 제2 유지부(13)는, 적재부(131), 구동부(132)를 갖는다. 적재부(131)는,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다. 적재부(131)의 상면은, 워크(W2)가 적재되는 수평으로 평탄한 적재면(131a)이다. 적재면(131a)에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원에 접속되는 흡착 구멍(131b)이 형성되고, 워크(W2)를 흡착하는 진공 척이 구성된다. 적재부(13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적재면(131a)이, 유지 부재(121)의 유지면(121a)이 반전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동부(132)는, 적재부(131)를 이동시킴으로써, 워크(W2)의 워크(W1)에 대한 위치 결정 및 승강을 행하는 기구이다. 구동부(132)로는, XYθ 테이블을 Z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인 리니어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리니어 슬라이더를,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볼 나사가 구동하는 구성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복시킴으로써, 적재부(131)를 XY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기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모터의 다이렉트 드라이브 또는 벨트 드라이브에 의해 회동하는 축에 의해, 적재부(131)를 θ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기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워크(W2)의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하, 수직 방향으로 함)으로 진퇴시키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적재부(131)를 Z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기구로 이루어진다. 다만, 구동부(132)는, 적재부(131)를 XYZ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면, 어떠한 기구여도 좋다.
이러한 구동부(132)가 적재부(131)를 상승시키면, 유지 부재(121)에 유지된 워크(W1)에 대하여, 적재부(131)에 적재된 워크(W2)가, 접착제(R)를 통해 밀어붙여진다(도 10 참조).
(조사부)
조사부(2)는,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하여, 접착제(R)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장치이다. 제1 조사 상태는, 접합된 워크들(W1, W2) 사이의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한 접착제(R)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상태이다. 또, 「가장자리」란, 최외연으로부터 그 내측 근방의 영역을 말한다. 또한,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이란, 접착제(R)에 대해서는 가장자리로만 조사되고, 한쪽의 워크(W1)의 측면으로 에너지가 입사하지 않는 영역을 말한다. 이 때문에, 인쇄 프레임(B), 워크(W2) 등으로 조사되고 있어도 좋다. 제2 조사 상태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상태이다.
또한, 조사부(2)는, 상기와 같은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워크들(W1, W2) 사이의 접착제(R)의 가경화 처리를 행한다. 즉, 조사부(2)는, 접착제(R)의 일부를, 완전한 경화에는 이르지 않는 「가경화」의 상태로 만든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워크들(W1, W2) 사이의 접착제(R)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처리는, 후술하는 본경화 장치가 행한다.
조사부(2)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부재(21), 지지부(22), 차폐부(23)를 갖는다. 조사 부재(2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하는 에너지의 방향이, 워크(W1, W2)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워크(W1)의 접합면측으로 경사진 부재이다. 이 조사 부재(21)가 조사하는 에너지는, 예컨대, UV 광이다.
조사 부재(21)는, 예컨대, 램프나 LED 등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UV 광을 조사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사 부재(21)는, 워크들(W1, W2) 사이의 접착제(R)의 가장자리를 따른 피조사면이 형성되도록 UV 광을 조사한다. 또,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조사 부재(21)는, 조사 헤드(210), 광 섬유(211)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조사 헤드(210)는, 선단에 렌즈를 갖고, 이 렌즈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유도된 UV 광을 출사하여, 소정의 범위에 조사한다. 조사 헤드(2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진 방향으로부터의 에너지 조사를 행하기 위해, 그 축 방향이, 워크(W1, W2)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경사 각도는, 접합된 워크들(W1, W2) 사이의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한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 UV 광이 조사되는 각도이면 된다. 예컨대, 인쇄 프레임의 폭이 매우 좁은 경우에는, 워크(W1, W2)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90°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광 섬유(211)는, 일단에 접속되는 조사 헤드(210)로 광원으로부터의 UV 광을 유도한다. 광 섬유(211)의 타단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박스에 접속된다. 컨트롤 박스에는, 광 섬유(211)로 UV 광을 출력하는 LED 등의 광원이 설치된다.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조사 에너지는, 접착제(R)를 가경화하는 데 필요한 양으로 조절된다. 이 에너지량은, 조사의 강도와 시간에 따른다.
이러한 조사부(2)는, 워크(W1, W2)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조사의 축이 경사진 조사 헤드(210)가, 워크(W2)보다 낮은 위치에서 제2 유지부(13)의 장변 및 단변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다. 워크(W2)의 각 장변 및 각 단변에 대응하는 조사 헤드(210)는, 워크들(W1, W2) 사이의 접착제(R)의 가장자리를 따라, 균등한 강도의 에너지가 조사되도록 한다.
지지부(22)는, 조사 헤드(210)를, 상기와 같은 위치와 방향으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또, 조사 헤드(210)는, 각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컨대, 지지부(22)는, 프레임형부(220), 측벽부(221)를 갖는다. 프레임형부(220)는, 조사 헤드(210)를 제2 유지부(13)의 장변 및 단변마다 지지하는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다. 측벽부(221)는, 기대(11)에 세워져 설치되고, 각 프레임형부(220)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부재이다. 측벽부(221)에는, 원호형의 가이드 구멍(221a)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 구멍(221a)에 삽입 관통된 볼트(221b)가, 프레임형부(22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비틀어 넣어져, 조임 고정된다. 이에 따라, 조사 헤드(210)가, 원하는 경사 각도가 되도록, 프레임형부(220)의 양단이 지지 고정된다.
차폐부(23)는, 조사 부재(21)에 의한 에너지의 조사 영역을, 제1 조사 상태와 제2 조사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이다. 즉, 차폐부(23)는, 워크(W1)의 측면에 접근하여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의 조사를 차단하는 제1 조사 상태로 하고,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도 입사할 수 있는 제2 조사 상태로 한다. 여기서, 전환이 행해지더라도, 조사 부재(21)의 조사는 계속되기 때문에, 제1 조사 상태에서의 접착제(R)의 가장자리에 대한 조사는 지속된다. 또한, 차폐부(23)는,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입사하는 워크(W1)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배치된다. 예컨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W1)의 인쇄 프레임이 가늘기 때문에, 측면으로부터 에너지가 입사하는 장변측에만 설치되고, 단변측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차폐부(23)는, 셔터(230), 개폐 기구(231)를 갖는다. 셔터(230)는, 워크(W1)의 측면에 접근하는 폐쇄 위치와,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셔터(230)는, 워크(W1)의 2개의 장변에 대응하여 2개 설치된다. 셔터(230)는, 평판(230a), 보강판(230b)을 갖는다. 평판(230a)은, 차광성의 방형 형상의 판이다. 한 쌍의 평판(230a)의 한변은, 각각 워크(W1) 및 적재부(131)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이다.
보강판(230b)은, 평판(230a)에 적층하여 부착되는 방형 형상의 판이다. 보강판(230b)의 적재부(131)측의 가장자리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두께가 감소하도록 경사져 있고, 평판(230a)의 가장자리보다 짧다. 이 때문에, 평판(230a)의 가장자리는, 보강판(230b)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적재부(131)에 대향한다.
셔터(230)가 워크(W1)에 접근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30a)의 가장자리가 워크(W1)의 장변의 측면과 조사 부재(21) 사이로 들어가기 때문에, 조사 부재(21)로부터의 UV 광이 워크(W1)의 측면에 도달하지 않는다. 한편, 셔터(230)가 워크(W1)로부터 떨어지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부재(21)로부터의 UV 광이 워크(W1)의 측면까지 도달하고, 워크(W1)의 내부를 통해 UV 광이 접착제(R)의 내측으로 유도된다.
또, 셔터(230)는,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의 에너지의 입사를 차단할 수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접근」이란, 셔터(230)의 가장자리가 워크(W1)에 비접촉으로 중복되는 경우도, 접촉하여 중복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워크(W1)의 측면을 셔터(230)의 측면이 막도록 합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개폐 기구(231)는, 셔터(230)를 구동하는 기구이다. 개폐 기구(23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231a), 가이드부(231b)를 갖는다. 구동부(231a)는, 셔터(230)를 개방 위치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부재이다. 구동부(231a)는, 예컨대, 기대(11)로부터 세워 설치한 지지판(231c)에 부착된다. 구동부(231a)로는, 예컨대,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231b)는, 셔터(230)를 지지하여,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구이다. 예컨대, 측벽부(221)의 상단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한 면에, 셔터(230)의 하면이 지지되는 리니어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가이드부(231b)를 구성한다.
(추가 조사부)
추가 조사부(3)는, 제1 조사 상태에 놓이는 한 쌍의 워크들(W1, W2) 사이의 접착제(R)의 전체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장치이다. 추가 조사부(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부재(31), 승강부(32)를 갖는다. 조사 부재(31)는, 제2 유지부(13)의 상측에 설치된다. 조사 부재(31)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으로부터 유도된 복수의 광 섬유와 렌즈를 구비하고, 선단으로부터 UV 광을 하측으로 조사한다. 광 섬유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박스에 접속된다. 컨트롤 박스에는, 복수개의 광 섬유에 통합하여 UV 광을 출력하는 LED 등의 광원이 설치된다.
승강부(32)는, 조사 부재(31)를 제2 유지부(13) 상의 워크(W1, W2)의 상측에서 승강시키는 기구이다. 승강부(32)에 의해, 조사 부재(31)는, 하강해 있는 대기 위치와, 상승하여 UV 광을 워크(W1, W2)의 전체에 넓이를 가지고 균일하게 조사하는 조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승강부(32)로는, 예컨대, 실린더 또는 볼 나사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4)는, 상기한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장치이다. 예컨대, 제어부(4)는, 광원의 발광 타이밍이나 발광 강도, 진공 척, 반전 기구(122), 구동부들(132, 231a), 개폐 기구(231), 승강부(32) 등의 동작 타이밍, 동작 속도, 동작량 등을 제어한다. 또, 후술하는 도포 장치, 반송 장치, 픽업 장치, 본경화 장치, 촬상부 등에 대해서도, 제어부(4)가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는, 전용의 전자 회로 혹은 소정의 프로그램으로 동작하는 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는, 본 실시형태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갖는다. 이러한 정보로는, 발광 타이밍이나 발광 강도, 동작 타이밍, 동작 속도, 동작량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갖는다. 입력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본 실시형태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나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 터치 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장치이다. 출력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본 실시형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램프, 미터 등의 장치이다.
[동작]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의 동작예를, 도 1∼도 5에 더하여, 도 6∼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의 각 부나 워크(W1, W2)의 위치 및 크기 등은,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한 편의적인 표현에 불과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에 의한 처리 대상이 되는 워크는, 여러가지의 것이 있다. 여기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W1)의 일례로서 커버 패널(S1), 워크(W2)의 일례로서 표시 패널(S2)을, 접착제(R)를 통해 서로 적층하여, 표시 장치용 부재를 구성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커버 패널(S1)에는, 여러가지 종류나 형상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S2)보다 큰, 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패널(S1)을 이용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접합의 대상이 되는 워크들(W1, W2)은, 워크(W1)의 외연 내에 워크(W2)의 외연이 수용되는 크기이다. 커버 패널(S1)의 일면에는, 외연을 두르도록 소정 폭의 차광성의 인쇄 프레임(B)이 형성된다. 인쇄 프레임(B)의 내연에 둘러싸인 영역은, 표시 영역(D)을 형성한다. 이 표시 영역(D)은, 표시 패널(S2)의 외연보다 약간 작다.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가,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수용되어야 할 제어폭(d1)이다. 접합시에 외측으로 확대되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제어폭(d1)의 내측에 멈춰 버리면, 미충전의 영역이 발생한다.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제어폭(d1)의 외측으로 나오면, 비어져 나옴이 된다. 인쇄 프레임(B)은, 예컨대, 단변측의 폭(d2)보다 장변측의 폭(d3)이 좁게 이루어진다. 즉, 단변측의 인쇄 프레임(B)의 내연으로부터 커버 패널(S1)의 외연부까지의 거리는 길고, 장변측의 인쇄 프레임(B)의 내연으로부터 커버 패널(S1)의 외연부까지의 거리는 짧다. 이와 같이, 인쇄 프레임(B)의 폭(d2)이 긴 단변측에서는, 조사 방향이 내측을 향하고 있는 조사 부재(21)의 조사 범위보다, 워크(W1)의 측면이 외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차광성을 갖는 인쇄 프레임(B)이 워크(W1) 내부로의 에너지의 입사를 차단함과 동시에,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도 에너지가 입사하지 않는다(도 11 참조). 한편, 인쇄 프레임(B)의 폭(d3)이 짧은 장변측에서는, 조사 방향이 내측을 향하고 있는 조사 부재(21)의 조사 범위보다, 워크(W1)의 측면이 내측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차광성을 갖는 인쇄 프레임(B)이 워크(W1) 내부로의 에너지의 입사를 일부 차단하지만,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 에너지가 입사한다(도 5 참조).
또, 도시한 예에서는, 표시 영역(D)은 직사각형이지만,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 형상, 원 형상, 타원 형상, 곡선과 직선을 조합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 도 6의 (A) 및 (B)에서는, 인쇄 프레임(B)을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인쇄 프레임(B)의 두께는, 커버 패널(S1)과 표시 패널(S2) 사이에 개재하는 접착제(R)의 두께에 비해 충분히 작은 것이다.
표시 패널(S2)은,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의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그 형상도 여러가지이다. 여기서는, 도 6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다. 또한, 표시 패널(S2)에는 편광판(P)이 적층된다. 또한, 표시 패널(S2)에 있어서의 일단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렉시블 배선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s)(F)이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도포 장치에 의해, 미리 커버 패널(S1)에 접착제(R)가 도포된다. 도포 형상 및 도포 범위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선뼈와 같은 형태로 도포하는 양태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S2)에 대응하는 영역의 중심에서 교차하도록 장변 방향 및 단변 방향 각각으로 연장되는 十 자의 선을 도포한다. 또한, 장변 방향을 횡단하는 선의 양단으로부터, 4개의 모서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선을 도포한다.
상기와 같은 표시 패널(S2)과, 접착제(R)가 도포된 커버 패널(S1)은, 도시하지 않은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고, 픽업 장치에 의해 제1 유지부(12), 제2 유지부(13)에 세트된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패널(S1)은, 접착제(R)가 도포된 면을 위로 하여, 제1 유지부(12)의 유지 부재(121)에 있어서의 유지면(121a)에 적재되고, 진공 척에 의해 흡착 유지된다. 표시 패널(S2)은, 적재부(131)의 적재면(131a)에 적재되고, 진공 척에 의해 흡착 유지된다.
또, 도포 장치, 반송 장치, 픽업 장치 등은, 일반적인 장치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포 장치는, 유지 부재(121)에 유지된 커버 패널(S1)에 대하여, 접착제(R)를 도포하는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대기 위치에 있는 추가 조사부(3)의 조사 부재(31)를, 승강부(32)에 의해 조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유지부(12)의 반전 기구(122)가 유지 부재(121)를 회동시킴으로써, 유지면(121a)에 유지된 커버 패널(S1)을 반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패널(S1)의 접착제(R)의 도포면은, 적재부(131) 상의 표시 패널(S2)에 대향한다.
적재부(131)는, 구동부(132)에 의해, 커버 패널(S1)과 표시 패널(S2)의 얼라이먼트를 행한다. 이 얼라이먼트는, 예컨대, 커버 패널(S1)과 표시 패널(S2)의 기준 위치를, 도시하지 않은 촬상부에 의해 촬상하여, 서로의 기준 위치의 어긋남이 해소되도록, 구동부(132)가 적재부(131)를 XYθ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한다. 기준 위치는, 표시 패널(S2)과 커버 패널(S1)에 부여된 마크나, 특정 위치이다. 또, 촬상부 및 얼라이먼트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장치 및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패널(S2)의 장변 부분에 있어서는, 제1 조사부(2)의 차폐부(23)가 개폐 기구(231)에 의해 셔터(230)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이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로, 평판(230a)의 가장자리가 이동한다.
그 후, 전체 둘레의 조사 부재들(21)이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의 조사를 개시함으로써, 제1 조사 상태에 놓이다. 이 때, UV 광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의 외연 사이에 조사된다.
또한, 장변 부분의 UV 광은, 인쇄 프레임(B) 및 셔터(230)에 차단되어,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는 입사하지 않는다. 단변 부분에 대해서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V 광은,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에 조사된다. 다만, 인쇄 프레임(B)의 내연으로부터 커버 패널(S1)의 외연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인쇄 프레임(B)에 차단되어, UV 광은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변 부분 중, 플렉시블 배선판(F)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플렉시블 배선판(F)에 의해 UV 광이 차단된다. 이 때문에,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에 조사되지 않고,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도 입사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사와 함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132)가 적재부(131)를 상승시킨다. 그렇게 하면, 표시 패널(S2)이 커버 패널(S1)측으로 이동하여, 접착제(R)에 접촉한다. 즉,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조사는, 적재부(131)의 동작 개시와 함께 개시하여, 접착제(R)가 확대되어 가는 것을 기다린다. 접착제(R)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하는 표시 패널(S2)에 의해, 커버 패널(S1)의 외연을 향하여 밀려 확대되어 간다. 그리고, 도 4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변 부분과 플렉시블 배선판(F)이 형성되지 않은 단변 부분에 대해서는, 확대되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에 도달하여, 조사를 계속하고 있던 UV 광의 조사를 받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는, 표시 패널(S2)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기 전에, 순간적으로 가경화된다. 다만, 조사가 균일하지 않거나, 접착제(R)의 확대 쪽으로 불균일이 있거나 하면, 일부에 미경화 또는 경화가 약한 부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장변 부분에 대해서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여, 표시 영역(D)의 전역에 접착제(R)가 충전되면,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즉, 개폐 기구(231)가 셔터(230)를 구동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이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에, 평판(230a)의 가장자리를 이동시킨다. 이 전환은, 예컨대, 제어부(4)에 미리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설정해 두고, 이 타이밍에서 행한다. 그렇게 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은,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고, 커버 패널(S1) 내를 반사하여 내측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접착제(R)의 가장자리 및 더욱 내측의 영역에, UV 광이 확대되어 조사된다. 예컨대,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10 mm 정도는 안쪽으로 조사된다. 이 때문에, 제1 조사 상태에서는 가경화가 불충분했던 부분에 대해서도,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UV 광이 내부로 조사된다. 따라서, 인쇄 프레임(B)의 하측과 표시 패널(S2)의 가장자리의 전체 둘레의 접착제(R)가 가경화되기 때문에,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의 미충전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가경화될 때까지, 적재부(131)에 의한 압박을 유지한다.
또한, 적재부(131)에 있어서의 진공 척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 부재(121)에 있어서의 진공 척을 정지한다. 그리고, 반전 기구(122)가 유지 부재(121)를 회동시킴으로써,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패널(S1)의 상면을 해방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 패널(S1)은 압박으로부터 해방된다. 조사 위치에 있는 추가 조사부(3)의 조사 부재(31)는, 커버 패널(S1)의 전체에 UV 광을 조사한다. 그렇게 하면, 단변 부분의 미경화 개소나, 플렉시블 배선판(F)이 형성된 부분에 대하여, 표시 영역(D)으로부터 UV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접착제(R)가 가경화된다. 이러한 2단계의 조사에 의해, 접착제(R)가 전체 둘레에 걸쳐 가경화되기 때문에, 비어져 나옴이 방지된다.
접착제(R)가 비어져 나와 버리면,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S2)의 외연으로부터 접착제(R)가 나와,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제어폭(d1)에 수용되지 않는다. 도 16에서는, 비어져 나옴폭을 d5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비어져 나옴이 있으면, 경화 후에 접착제(R)를 깎아내는 공정이 필요해져, 생산 비용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표시 영역(D)에 있어서 접착제(R)가 미충전이 되면, 표시 영역(D) 내에 접착제(R)의 경계선이 잔존한다. 도 18에서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폭(d4) 중, 최외연은 제어폭(d1) 내에 들어가 있지만, 내측의 경계선이 표시 영역(D) 내에 들어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계선은,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D) 내에 미충전 부분이 잔존하지 않고, 비어져 나옴이 방지됨과 동시에, UV 광의 조사 부족이 없기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직선에 가까운 상태로 가지런해진다.
이와 같이, 표시 패널(S2)과 커버 패널(S1)을 접합함으로써 표시 장치용 부재가 구성된다. 이 표시 장치용 부재를, 이하, 적층체라고 부른다. 적층체는, 진공 척을 정지시킨 적재부(131)로부터 반출되고, 다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다. 계속해서, 도시하지 않은 픽업 수단이, 적층체를 본경화 장치에 반입한다.
본경화 장치에 있어서는, 접착제(R)가 본경화되는 데 필요한 강도의 에너지가 조사되어, 접착제(R)의 본경화가 행해진다. 또한, 적층체는, 픽업 수단에 의해 경화 장치로부터 반송 장치로 반출되고,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처리가 실시된다. 제조된 표시 장치용 부재는, 언로더에 의해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로부터 반출된다.
[시험 결과]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접합과, 비교예에 의한 접합에 있어서,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량과 경화 범위를 측정한 시험 결과를 설명한다.
(1) 비어져 나옴량
접합 후의 접착제의 비어져 나옴량의 시험 결과는 이하와 같다. 비교예 A, B는, UV 광의 조사를 제1 조사 상태만으로 한 예이고, 실시예 A, 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로 한 예이다.
이 시험 결과를 도 21에 나타낸다. 도 21에 있어서, 종축은, 표시 패널(S2)의 외연으로부터의 비어져 나옴량[mm](도 16의 d5에 상당), 횡축은, 압박으로부터 해방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sec]이다. 도 2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A, B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비어져 나옴이 발생하고, 그 양이 서서히 많아지고 있다. 한편, 실시예 A, B에서는, 시간이 경과해도, 비어져 나옴이 발생하지 않았다.
(2) 경화 범위
UV 광의 조사 각도의 차이에 의한 경화 범위의 시험 결과는 이하와 같다. 비교예 C, 실시예 C, 실시예 D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패널(S1)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UV 광의 조사축(X)의 경사 각도를 각각 상이한 것으로 하여 조사한 예이다. 경사 각도는, 비교예 C는 90°, 실시예 C는 75°, 실시예 D는 40°이다. 커버 패널(S1)의 측면은, 차광 테이프(T)로 덮었다. 이 때문에,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는 UV 광은 입사하지 않는다. 다만, 비교예 C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부터 내부측을 향하여 UV 광이 입사한다. 실시예 C, 실시예 D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접착제(R)의 가장자리에만 UV 광이 조사된다. 또한, 조사 시간은, 10[sec], 30[sec], 60[sec]의 3종으로 했다.
이 시험 결과를 도 23에 나타낸다. 도 23에 있어서, 종축은, 표시 패널(S2)의 외연으로부터 접착제(R)가 경화된 영역의 내부측까지의 거리의 최대를 나타내는 경화 범위[mm]이고, 횡축은, 상기한 조사 각도를 나타내는 조사각[°]이다. 도 23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비교예 C에서는, 경화 범위가 0.5 mm, 1 mm가 되고, 내부측의 넓은 범위에서 경화된다. 이 때문에, 접착제(R)가 확대되는 이른 단계에서,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부터 내부측을 향하여 UV 광이 조사되어 버리면, 접착제(R)가 표시 영역(D)에 충전되기 전에 경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실시예 C, 실시예 D에서는, 경화 범위가 0.1 mm가 되고, 경화 범위가 매우 좁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를 제어폭(d1)에 수용할 수 있다.
[작용 효과]
(1) 본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100)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커버 패널(S1), 표시 패널(S2)로서, 한쪽이 표시 영역(D)을 구획하는 인쇄 프레임(B)을 갖는 커버 패널(S1), 표시 패널(S2)을,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R)를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1)와, 접합된 커버 패널(S1)과 표시 패널(S2) 사이의 표시 영역(D) 밖에 도달한 접착제(R)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하여 에너지를 조사하는 조사부(2)를 갖는다.
이 때문에, 제1 조사 상태의 경우에, 접합된 커버 패널(S1), 표시 패널(S2) 사이의 접착제(R)가 표시 영역(D) 밖에 도달하면,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어 가경화된다. 그리고,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부터, 보다 내부측에도 에너지가 전달되어 조사된다. 따라서, 제1 조사 상태에서는 미경화였던 부분도 가경화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R)가 충분히 확대되고 나서, 커버 패널(S1)의 내측으로 에너지가 조사되기 때문에, 표시 영역(D)에 있어서 접착제(R)가 미충전이 되는 것이 방지되고, 접착제(R)의 비어져 나옴도 방지된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이 양호해지고, 수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비어져 나온 접착제(R)를 깎아내는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삭감된다. 또한, 제1 조사 상태에서, 접착제(R)가, 에너지가 조사되고 있는 영역에 충분히 도달하지 않았거나, 비어져 나옴을 막을 정도의 가경화에 이르지 않은 경우, 조사 종료 후, 가경화가 불충분한 곳으로부터 접착제(R)가 유동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2 조사 상태에서 커버 패널(S1)의 내측으로 에너지가 조사되기 때문에, 가경화를 촉진하여 접착제(R)의 비어져 나옴이 방지된다.
(2) 조사부(2)는, 조사하는 에너지의 방향이, 커버 패널(S1)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커버 패널(S1)의 접합면측으로 경사진 조사 부재(21)와, 조사 부재(21)에 의한 에너지의 조사 영역을, 제1 조사 상태와 제2 조사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조사 부재(21)를 경사 배치하는 것만으로, 제1 조사 상태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환부에 의해 제2 조사 상태로 할 수 있다.
(3) 전환부는, 커버 패널(S1)의 측면에 접근하여,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제1 조사 상태로 하고,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를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시킴으로써 제2 조사 상태로 하는 차폐부(23)를 갖는다.
이 때문에, 차폐부(23)에 의해,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를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각도로부터 에너지를 조사하는 조사 부재(21)를 따로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및 소요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다.
(4) 차폐부(23)는, 커버 패널(S1)의 측면에 접근하는 폐쇄 위치와,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셔터(230)와, 셔터(230)를 구동하는 개폐 기구(231)를 갖는다.
이 때문에, 셔터(230)의 개폐에 의해,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로의 전환을 고속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폭(d1)이 좁은 경우에도, 접착제(R)의 확대 속도에 대응시켜, 가경화 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5) 차폐부(23)는,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입사하는 커버 패널(S1)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배치된다.
이 때문에, 커버 패널(S1)의 측면이,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입사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부분이나, 플렉시블 배선판(F)에 의해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차단되어 버리는 부분에 대해서는, 차폐부(23)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및 소요 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다.
(6) 제1 조사 상태에 놓이는 한 쌍의 커버 패널(S1), 표시 패널(S2) 사이의 접착제의 전체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추가 조사부(3)를 갖는다.
이 때문에, 커버 패널(S1)의 측면이,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입사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부분이나, 플렉시블 배선판(F)에 의해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차단되어 버리는 부분에 대하여, 추가 조사부(3)에 의해 경화시켜, 비어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1)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에너지를 조사하는 부재는, 워크(W1)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의 조사 부재(21)만을 이용하고 있었다. 다만, 도 24,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부로서, 차폐부(23) 및 제2 조사 부재(230c)를 설치해도 좋다. 즉,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제1 조사 상태로 하는 차폐부(23)를 설치한다. 그리고, 접착제(R)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입사시킴으로써 제2 조사 상태로 하는 제2 조사 부재(230c)를 설치한다. 제2 조사 부재(230c)는, 예컨대, 워크(W1)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 에너지를 조사한다.
이 양태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할 때까지, 차폐부(23)에 의해 워크(W1)의 측면에 대한 에너지의 입사를 차단하고,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 에너지가 조사되는 제1 조사 상태로 한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하면, 제2 조사 부재(230c)가 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제2 조사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 내의 미충전과, 미경화 부분에 의한 비어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제2 조사 상태로의 전환에 있어서, 조사 부재(21)에 의한 조사를 정지해도 좋고 계속해도 좋다.
(2)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워크(W2)인 표시 패널(S2)은, 편광판(P)의 광학막에 의해 UV 광이 차단되기 때문에, UV 광의 조사의 영향은 적고, 제1 조사 상태에 있어서,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만 UV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S2)에 UV 광이 조사되면, UV를 100% 차광할 수 있는 광학막이 아닌 경우, 감쇠된 UV 광의 영향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예컨대,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이 길고, 장시간 UV 조사를 한 경우, UV의 광량이 광학막에 의해 감쇠되었다 하더라도, 적산 광량이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성립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S2)에 대한 조사가 행해지지 않도록, 조사 헤드(210)의 조사 범위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것에 대처하기 위해, 한 쌍의 워크 중, 한쪽의 워크에 대한 에너지를 차단하는 셔터에 더하여, 다른쪽의 워크에 대한 에너지를 차단하는 제2 셔터를 가져도 좋다. 그리고, 제2 셔터를, 다른쪽의 워크의 단부면에 접근하여 에너지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다른쪽의 워크의 단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에너지를 입사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가져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W1)인 커버 패널(S1)의 단부면을 차광하는 셔터(230A)와, 워크(W2)인 표시 패널(S2)의 단부면을 차광하는 제2 셔터(230B)를 설치한다. 셔터(230A)는, 상기한 셔터(230)와 마찬가지로, 개폐 기구(231)(도 1, 도 2, 도 9 등 참조)에 의해, 커버 패널(S1)의 단부면에 접근하여 차광하는 폐쇄 위치와, 커버 패널(S1)의 단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셔터(230B)는, 개폐 기구(231B)에 의해, 표시 패널(S2)의 단부면에 접근하여 차광하는 폐쇄 위치와, 표시 패널(S2)의 단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폐 기구(231B)는, 예컨대, 리니어 가이드, 실린더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본 양태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전에, 셔터(230A) 및 제2 셔터(230B)를 폐쇄 위치로 하고,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의 조사를 개시한다. 이러한 조사와 함께,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표시 패널(S2)을 커버 패널(S1)측으로 이동시켜, 접착제(R)를 통한 접합을 개시한다. UV 광은,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에 조사된다.
접합에 의해 확대되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는,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에 도달하여, 조사를 계속하고 있던 UV 광의 조사를 받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는, 표시 패널(S2)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기 전에, 순간적으로 가경화된다. 이 때, 셔터(230A) 및 제2 셔터(230B)에 의해, 커버 패널(S1)을 통한 UV 광의 입사가 방지된다. 또한, 표시 패널(S2)의 단부면에 대한 UV 광의 조사도 방지된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여, 표시 영역(D)(도 4 참조)의 전역에 접착제(R)가 충전되면, 개폐 기구(231, 231B)가 셔터(230A, 230B)를 구동하여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전환은, 예컨대, 제어부(4)에 미리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설정해 두고, 이 타이밍에서 행한다. 그렇게 하면,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은,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고, 커버 패널(S1) 내를 반사하여 내측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접착제(R)의 가장자리 및 더욱 내측의 영역으로, UV 광이 확대되어 조사되고, 가경화된다. 표시 패널(S2)의 측면으로 조사된 UV 광도, 접착제(R)의 가경화에 기여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한쪽의 워크(W1)뿐만 아니라, 다른쪽의 워크(W2)로부터의 에너지의 입사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즉, 접착제(R)가 외측에 도달할 때까지, 표시 패널(S2)의 측면에 대한 UV 광의 조사를 차폐하여 유동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외측에 도달한 후에는 표시 패널(S2)의 측면에 UV 광을 조사하여, 접착제(R)의 가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셔터(230A) 및 제2 셔터(230B)의 개폐 동작은, 유지 부재(121), 적재부(131)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는 점에서, 유지 부재(121) 및 적재부(131)를 퇴피시키지 않고, 접합 동작으로부터 단절 없이 시간 경과적 변화 방지의 프로세스로 옮길 수 있고, 타임 래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셔터(230, 230A), 제2 셔터(230B)는, 조사광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반사나 산란을 막기 위해, 반사 방지를 위한 처리나 UV 커트 소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를 위한 처리로는, 예컨대, 레이던트 처리 등의 흑색화 등이 있다. 또한, 셔터(230A), 제2 셔터(230B)의 형상은, 선단부가 경사진 경사면형, 쐐기형, 테이퍼형 등으로 함으로써, 개방 위치에 있어서, 조사하는 UV 광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UV 광이 조사되는 쪽을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셔터(230, 230A), 제2 셔터(230B)는, 광을 차폐 또는 100% 흡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의 취급에 있어서, 부착 조정 등의 작업에 의해, 부품 자체의 왜곡이나 변형에 의한 국소적인 광누설을 일으키지 않도록, 셔터(230, 230A), 제2 셔터(230B)의 부재 두께, 형상 등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적재부(131)의 면, 워크(W1, W2)의 면이 수평이나 평행으로 놓이지 않는 등, 장치의 조정 작업에 의해서도, 국소적인 광누설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요소에 대하여, 예컨대, 장공에 의한 조정 등을 배제하고, 위치 결정 핀 등, 정위치에 대한 부착이 용이해지는 구조로 하여, 작업자에 따른 차를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품종 변경 등에 의해 빈번히 작업자가 셔터(230), 제2 셔터(230B)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조정 지그에 의한 정비 상태의 규격화 등, 작업성을 고려한 부대 툴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워크(W2)에 대한 에너지 조사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셔터(230B)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LCD 모듈의 편광판에 사용되는 요소는, UV 광에 약하다. 이 경우, 제2 셔터(230B)를 항상 폐쇄 위치로 하거나, 이동하지 않는 차광판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조사 헤드(210)의 조사 방향을 반드시 가변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조사 헤드(210)의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경우, UV 광의 조사 헤드(210)에는 전원 케이블 등의 배선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이들의 취급을 위해, 주변에 넓은 가동 공간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조사 헤드(210)를 고정으로 하고, 상기와 같은 셔터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3) 조사 헤드(210)를,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각도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조사 헤드(210)가 조사한 에너지의 방향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가져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V 광을 조사하는 조사 헤드(210)를, 각도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2A)를 설치한다. 또한,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의 조사 위치를 원하는 부위로 하는 변환부(240)를 설치한다.
변환부(240)는, 도광 부재(241), 광학 부재(242)를 갖는다. 도광 부재(241)는, 내부에 UV 광이 통과하는 대략 L 자형의 공간인 광로가 형성된 관상 부재이다. 이러한 도광 부재(241)는, 표시 패널(S2)의 변의 길이에 대응하여, 즉, 수평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치된다. 도광 부재(241)의 광로의 일단은, 조사 헤드(210)로부터 출사된 UV 광이 입사하는 입사구이다. 도광 부재(241)의 광로의 타단은, UV 광을, 표시 패널(S2) 외연의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 출사하는 출사구이다. 이 실시형태의 도광 부재(241)는, 입사구측의 광로가 수평 방향에 평행이 되고, 출사구측의 광로가 수직 방향에 평행이 되도록 구성된다. 광학 부재(242)는, 광로의 모서리부에 배치되고, 입사된 UV 광의 방향을 직교하는 출사 방향으로 변환하는 미러 또는 프리즘이다. 또한, 도광 부재(241)는, 출사구로부터 출사한 광이, 표시 패널(S2)의 외연으로 바로 아래 혹은 대략 바로 아래로부터 조사되도록 배치된다.
조사 헤드(21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UV 광의 조사 방향이 도광 부재(241)의 입사구를 향하는 수평 방향과,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를 향하는 경사 방향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도광 부재(241)의 입사구의 형상은, 의도하지 않은 누설광, 반사, 산란을 막기 위해, 조사 헤드(210)와 밀착한 구조 또는 누설광을 커버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출사구는, UV 광을 조사하고 싶은 부위의 치수에 맞춰, 조사 범위를 한정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출사구를 슬릿 형상으로 하여, 필요한 부위에만 광이 조사되는 구조로 한다. 또한, 출사구로부터의 조사 방향에 대해서는, 유리 도광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리 단부면에서 광이 전반사하는 조건으로 해야 하고, 이 예에서는, 워크들(W1, W2)과 수직으로 놓인다.
본 양태에서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전에, 조사 헤드(210)를, UV 광의 조사 방향이 도광 부재(241)의 입사구를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하고,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의 조사를 개시한다. 입사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입사한 UV 광은, 도광 부재(241)의 광로를 통과하는 동안에, 광학 부재(242)에 의해 방향을 바꿔, 출사구로부터 표시 패널(S2)의 외연을 향하는 수직 방향으로 출사한다.
이러한 조사와 함께,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S2)을 커버 패널(S1)측으로 이동시켜, 접착제(R)를 통한 접합을 개시한다. 확대되는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에 도달하면, 조사를 계속하고 있던 UV 광의 조사를 받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는, 표시 패널(S2)의 외연에서 순간적으로 가경화된다.
그리고,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여, 표시 영역(D)(도 4 참조)의 전역에 접착제(R)가 충전되면, 구동 기구가 조사 헤드(210)를 회동시켜, UV 광이 인쇄 프레임(B)의 내연과 표시 패널(S2)의 외연 사이를 향하는 경사 방향으로 한다. 이 전환은, 예컨대, 제어부(4)에 미리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는 타이밍을 설정해 두고, 이 타이밍에서 행한다. 그렇게 하면,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은, 커버 패널(S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고, 커버 패널(S1) 내를 반사하여 내측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접착제(R)의 가장자리 및 더욱 내측의 영역으로, UV 광이 확대되어 조사되고, 가경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의 가경화와, 내부의 가경화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할 수 있다. 즉, 접착제(R)가 외측에 도달할 때까지, 접착제(R)의 가장자리에만 UV 광을 조사하여 유동을 유지하면서, 외측에 도달한 후에는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UV 광을 입사시켜 접착제(R)의 가경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R)가 표시 패널(S2)의 단부로부터 융기한 경우에도, UV 광을 조사하여, 그 이상의 비어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 등에 비해, 광의 조사 영역을 제품에 따라 적절한 영역으로 설정하기 쉽다. 또한, 셔터 등과 같은 동작 위치 맞춤 등의 작업이 없어, 작업자의 조정 스킬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된 결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워크(W2)에 대한 에너지 조사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에는, 적재부(131)측에, 워크(W2)의 단부를 차광하는 구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적재부(131) 또는 변환부(240)의 일부를 워크(W2)의 단부를 덮는 형상으로 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접착제(R)에 대한 조사를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각 실시형태는, 접합 중에는 접착제(R)에 대한 에너지의 입사를 저지하고, 접합 종료 후에는 입사시킨다는 상반되는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고, 이들은, 조사부(2)의 조사 방향의 조정만으로는 실현할 수 없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후,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생기는 시간 경과적 변화에 의한 비어져 나옴의 진행에 대해서는, 접합 중 또는 접합 후에, 워크(W1, W2)의 단부면으로부터 UV 광을 입사시킨다. 이에 따라, 워크(W1, W2)의 전체 둘레에 한결같은 폭의 띠 형상의 가경화 영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추가 조사부(3)의 조사에 의한 가경화에 의해, 접합 형상을 보존할 수 있다.
(4) 유지 부재(121) 또는 유지면(121a)을, 에너지를 투과하는 재질로 함으로써, 추가 조사부(3)에 의한 조사를, 워크들(W1, W2)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속으로 조사하여 비어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5) 차폐부(23)는, 조사 부재(21)로부터의 에너지가,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하는 개소에 설치하면 된다. 이 때문에, 장변 부분인지 단변 부분인지는 불문한다. 플렉시블 배선판(F)에 대해서도, 장변 부분으로부터 나와 있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단변 부분으로부터 나와 있는 경우도 있고, 어떠한 양태라도 적용 가능하다.
(6) 조사 부재(21)에 의한 조사의 축의 최적의 각도는, 인쇄 프레임(B)의 폭, 제어폭, 조사 부재(21)의 위치 등에 따라 상이하다. 인쇄 프레임(B)의 폭이 크고, 워크(W2)의 외연으로부터 워크(W1)의 외연까지의 거리가 길면, 측면으로부터 에너지가 입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는 각도이면, 수평에 대한 경사 각도는 비교적 작아도 좋다. 인쇄 프레임(B)의 폭이 작고, 워크(W2)의 외연으로부터 워크(W1)의 외연까지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수평에 대한 경사 각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장변 부분은, 상기 거리가 짧기 때문에, 경사 각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제어폭에 대해서도, 긴 경우에는 경사각을 작게 해도 좋지만, 짧은 경우에는 경사 각도를 크게 해야 하는 경향이 있다. 애초에, 워크(W1)에 대한 조사 부재(21)의 거리 등, 조사 부재(21)를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서도, 이들의 최적의 경사 각도는 상이하다. 이와 같이,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최적의 각도를 설정하게 된다.
(7) 차폐부(23)의 셔터(230)의 개폐 기구(231)는, 예컨대, 미소 이동의 경우, 구동부(231a)로는, 상기한 실린더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솔레노이드 등도 적용 가능하다.
(8) 상기한 바와 같이, 가경화를 포함하는 경화 처리를 행하는 장치로서, UV 광의 조사부(2)를 이용하고, 접착제(R)는 UV 경화 수지를 이용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열, 적외선 등의 전자파, 입자선으로 이루어지는 방사선 등의 에너지를 조사하는 장치와, 그것에 대응하는 경화 수지를 이용해도 좋다.
(9) 서로 접합되는 한 쌍의 워크는, 1장이어도 좋고, 복수장의 적층체여도 좋다. 즉, 표시 장치용 부재로서 적층되는 워크의 적층수는, 특정 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 쌍의 워크의 크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이해도 좋고, 동등한 크기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워크(W1, W2)의 크기에 상관없이, 워크(W1 또는 W2)의 가장자리로부터의 비어져 나옴이 생기기 전에, 가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 대상이 되는 표시 장치용 부재로는, 스마트폰용, 태블릿 단말용, PC의 디스플레이용, 텔레비전용, 차재용이나 항공기용 등의 타장치에 부착되는 표시 패널용 등, 여러가지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들 중, 제어폭이 짧은 경향이 있는 스마트폰용이나 태블릿 단말용의 표시 장치용 부재에 적용하면 특히 유효하다.
(10)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크기, 시간 등의 구체적인 값은 자유이고, 특정 수치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접합의 압력, 접착제(R)의 양, 점도, 온도, 도포 양태 등에 따라, 접착제(R)의 확대 속도는 상이하다. 이 때문에, 셔터(230)의 구동 개시나, 제2 조사 부재(230c)의 조사 개시의 타이밍은, 상기에서 예시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조사부(2)에 의한 에너지 조사의 개시 타이밍은, 상기한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R)가 워크(W1 또는 W2)의 가장자리에 도달할 때까지의 어느 타이밍에서 개시하도록 하면 된다. 예컨대, 조사 헤드(210)로부터의 UV 광의 조사는, 적재부(131)의 동작 개시와 함께 개시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적재부(131)의 상승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워크들(W1, W2) 사이에서 밀려 확대된 접착제(R)가 워크(W2)의 가장자리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의 어딘가의 타이밍에서 개시하도록 하면 된다.
(11) 추가 조사부(3)에 의한 조사 위치는, 전체 조사에는 한정되지 않고, 부분적인 조사여도 좋다. 예컨대, 제2 조사 상태에 의해서도, 워크(W1)의 측면으로부터 에너지가 입사하기 어렵고, 접착제(R)를 가경화시키기 어려운 부분에만, 추가 조사부(3)에 의해 조사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추가 조사부(3)를 조사 범위가 좁은 스폿 조사가 가능한 것으로 하거나, 조사 부분에만 에너지의 투과 구멍 또는 투과 부재를 이용하는, 유지 부재(121) 또는 유지면(121a)으로 해도 좋다.
(12) 차폐부(23)의 전환 또는 제2 조사 부재(230c)에 의한 조사 타이밍의 제어는, 제어부(4)가, 미리 접착제(R)의 가장자리가 인쇄 프레임(B)의 내연의 외측에 도달하여, 표시 영역(D)의 전역에 접착제(R)가 충전되는 시간을 설정해 두고, 그 타이밍에서 전환 또는 조사하도록 하면 된다. 다만, 이러한 시간 제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영역(D)의 전역에 대한 접착제(R)의 충전 또는 워크(W2)의 외연에 대한 접착제(R)의 도달을 검출하기 위한 카메라나 센서 등의 검출 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검출 장치가 이들을 검출한 경우에, 차폐부(23)의 전환 또는 제2 조사 부재(230c)가 조사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13) 조사 부재(21)의 양태도, 상기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조사 방향이 접착제(R)의 가장자리로 경사져 향하는 방향의 통 형상의 조사 헤드(210)를, 워크(W2) 등의 주변을 따라, 복수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LED 등의 광원을 복수 나란히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통 형상의 조사 헤드(210)나 LED 등의 광원을 복수 나란히 배치하면, 광원의 배열 방향으로 에너지의 조사 강도의 편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워크(W2)의 가장자리에 도달한 접착제(R) 중, 에너지의 조사 강도가 약한 부분에서는 접착제(R)의 가경화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유동성이 남은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워크(W2)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 내부측에도, 에너지가 워크(W1) 내를 반사하면서 확산되고, 전달되어 조사되기 때문에, 제1 조사 상태에서는 가경화가 충분히 행해지지 않은 부분도 가경화된다.
(14) 상기한 양태에서는, 조사 부재(21)는 기대(11)에 설치되어 있었다. 즉, 조사 헤드(210)가, 기대(11)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조사 부재(21)를 제2 유지부(13)에 설치해도 좋다. 예컨대, 조사 헤드(210)를, 적재부(131)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워크(W2)의 위치 결정에 의해, 워크(W2)와 조사 헤드(210)의 위치 관계가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착제(R)의 가장자리에 대한 조사 위치가 일정해지고, 비어져 나옴량의 편차가 한층 더 저감된다.
(15) 조사부(2)가 조사하는 에너지는, 단면에 일정한 넓이를 갖는다. 이 에너지의 방향은, 기본적으로는 단면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인 축 방향 또는 이것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에너지의 조사가 방사상이 되는 경우 등에는, 조사되는 에너지의 방향은, 단면의 위치에 따라서는, 축방향과는 엄밀하게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16) 상기한 양태에서는, 워크(W2)의 평면이 수평이 되도록 장치를 구성하고 있었다. 예컨대, 적재부(131)의 적재면(131a)이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었다. 다만, 워크(W2)의 방향 및 적재면(131a)의 방향은, 반드시 수평 방향이 아니어도 좋다.
1: 접합부 2: 조사부
3: 추가 조사부 4: 제어부
11: 기대 12: 제1 유지부
13: 제2 유지부 21: 조사 부재
22, 22A: 지지부 23: 차폐부
31: 조사 부재 32: 승강부
121: 유지 부재 121a: 유지면
121b: 흡착 구멍 122: 반전 기구
122a: 회동부 122b: 지지부
131: 적재부 131a: 적재면
132: 구동부 210: 조사 헤드
211: 광 섬유 220: 프레임형부
221: 측벽부 221a: 가이드 구멍
221b: 볼트 230, 230A: 셔터
230a: 평판 230b: 보강판
230c: 제2 조사 부재 230B: 제2 셔터
231, 231B: 개폐 기구 231a: 구동부
231b: 가이드부 231c: 지지판
240: 변환부 241: 도광 부재
242: 광학 부재 100: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B: 인쇄 프레임 F: 플렉시블 배선판
P: 편광판 R: 접착제
S1: 커버 패널 S2: 표시 패널
T: 차광 테이프 W1, W2: 워크
X: 조사축

Claims (10)

  1.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워크로서, 어느 한쪽이 표시 영역을 구획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인 워크들을,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하는 접합부와,
    접합된 워크들 사이의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한 접착제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접착제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하여 에너지를 조사하는 조사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조사하는 에너지의 방향이, 상기 워크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한쪽의 워크의 접합면측으로 경사진 조사 부재와,
    상기 조사 부재에 의한 에너지의 조사 영역을, 제1 조사 상태와 제2 조사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전환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워크의 측면에 접근하여,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 조사 상태로 하고, 상기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상기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입사시킴으로써 상기 제2 조사 상태로 하는 차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워크의 측면에 접근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워크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를 구동하는 개폐 기구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가 입사하는 상기 워크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제1 조사 상태로 하는 차폐부와,
    상기 에너지를 접착제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조사함으로써 상기 제2 조사 상태로 하는 제2 조사 부재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사 상태에 놓인 상기 한 쌍의 워크의 전체에, 에너지를 조사하는 추가 조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8.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워크로서, 어느 한쪽이 표시 영역을 구획하는 프레임을 갖는 것인 워크들을, 에너지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접합된 워크들 사이의 표시 영역 밖에 도달한 접착제에 대하여, 그 가장자리에만 에너지가 조사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1 조사 상태로부터, 접착제의 가장자리보다 내측으로 에너지가 입사하는 영역으로, 에너지를 조사하는 제2 조사 상태로 전환하여 에너지를 조사하는 조사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한 쌍의 워크 중 한쪽의 워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다른쪽의 워크에 대한 상기 조사 부재로부터의 에너지를 차단하는 제2 셔터를 갖고,
    상기 제2 셔터를, 상기 다른쪽의 워크의 단부면에 접근하여 에너지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다른쪽의 워크의 단부면으로부터 떨어져 에너지를 입사시키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개폐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각도 조정 가능한 조사 헤드를 갖고,
    상기 조사 헤드가 조사한 에너지의 방향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KR1020160158938A 2015-11-26 2016-11-28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70061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31114 2015-11-26
JP2015231114 2015-11-26
JP2016227136A JP2017107192A (ja) 2015-11-26 2016-11-22 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JP-P-2016-227136 2016-1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621A true KR20170061621A (ko) 2017-06-05

Family

ID=5905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38A KR20170061621A (ko) 2015-11-26 2016-11-28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107192A (ko)
KR (1) KR20170061621A (ko)
CN (1) CN106875839A (ko)
TW (1) TWI6084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2278A (zh) * 2021-03-01 2021-06-0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5444B2 (ja) * 2017-09-29 2021-07-21 シチズンファイン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2825228B (zh) * 2019-11-20 2022-12-09 李万得 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2017A (ja) * 1999-05-24 2001-08-17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264058C (zh) * 1999-12-03 2006-07-1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制造液晶显示装置的方法和液晶显示装置
JP2004151656A (ja) * 2002-11-01 2004-05-27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並びに電気機器
TWI542922B (zh) * 2012-03-12 2016-07-21 Shibaura Mechatronics Corp 貼合裝置以及貼合方法
CN103317817A (zh) * 2012-03-23 2013-09-25 芝浦机械电子装置股份有限公司 贴合装置以及贴合方法
CN102830552B (zh) * 2012-08-17 2016-02-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的框胶硬化方法及其装置
JP5591893B2 (ja) * 2012-09-24 2014-09-17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100570B2 (ja) * 2013-03-22 2017-03-22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の製造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60132971A (ko) * 2014-03-20 2016-11-21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CN104035255B (zh) * 2014-06-05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制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2278A (zh) * 2021-03-01 2021-06-0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2882278B (zh) * 2021-03-01 2023-06-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8459B (zh) 2017-12-11
CN106875839A (zh) 2017-06-20
TW201719601A (zh) 2017-06-01
JP2017107192A (ja)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1289B2 (ja) 接着剤塗布装置、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20170061621A (ko)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60132971A (ko)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91884B1 (ko) 워크 접합 방법 및 워크 접합 장치
TW201540376A (zh) 塗布裝置、黏合劑塗布工件製造方法、顯示裝置用構件製造裝置、顯示裝置用構件製造方法
KR101633577B1 (ko) 부재 접합 시스템
JP2009025345A (ja) 液晶部品の製造方法
TWI457638B (zh) 修理裝置
JP6979574B2 (ja) ディスプレイ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ディスプレイ
KR102023576B1 (ko) 진공 챔버를 이용한 3d 디스플레이용 ocr 합착 장치
KR101578859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조립체의 접합 장치
KR20160099475A (ko) 도포 장치
KR101817141B1 (ko) 이형 글라스 보강장치
JP5591893B2 (ja) 表示装置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6275589B2 (ja) 接着剤塗布装置、接着剤塗布方法、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装置及び表示装置用部材の製造方法
KR101582464B1 (ko) 패널 에지 접착재 경화 장치
KR101490318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에지 힐링 장치
KR101490322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챔퍼링 장치
US11364518B2 (en) Joined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joined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ember on which applied material has been applied
TW201536561A (zh) 顯示裝置用構件的製造裝置及顯示裝置用構件的製造方法
KR102156614B1 (ko) 패널을 경화하는 경화 장치
JP4581522B2 (ja) 液晶パネルの貼り合わせ装置
JP2014191259A (ja) 基板貼り合わせ装置及び基板貼り合わせ方法
WO2020240968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光学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934801B1 (ko) 양산형 지문센서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