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59A -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59A
KR20170060659A KR1020150164834A KR20150164834A KR20170060659A KR 20170060659 A KR20170060659 A KR 20170060659A KR 1020150164834 A KR1020150164834 A KR 1020150164834A KR 20150164834 A KR20150164834 A KR 20150164834A KR 20170060659 A KR20170060659 A KR 20170060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isplay unit
vehicle
informa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705B1 (ko
Inventor
김무겸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05B1/ko
Priority to US15/225,854 priority patent/US11036452B2/en
Priority to CN201610917170.5A priority patent/CN107038009A/zh
Publication of KR20170060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 B60R2300/802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in addition to a rear-view mirr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lane monito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 되는 배치 영역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관련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Display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들면 전화 기능만을 구현하던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화, 문자, 멀티 미디어 제공 등 점점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여 주위의 다양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사용자의 운송 수단으로서 오래전부터 많은 기술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편의 시설이 제공되고 있다.
차량 내부의 사용자, 예를들면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한 채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 차량과 별도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 되는 배치 영역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관련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준비 완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준비 완료 신호를 차량의 운전대에 전달하고, 상기 운전대는 상기 준비 완료 신호를 전달받으면 진동, 소리 또는 빛을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가공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하여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는 환경 인식부 및 상기 환경 인식부에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상을 통하여 얻은 이미지를 변환하여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차량의 내부의 부재들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일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되도록 그루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지붕 또는 전면 윈도우로부터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 중 상기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의 대쉬보드의 일 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의 대쉬보드의 일 영역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내부의 지붕 또는 전면 윈도우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 영역은 차량의 바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룸 미러 기능을 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보다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차량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영역은 바닥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복수의 배치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배치 영역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될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관련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각각 디스플레이영역의 크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가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위치 정보인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처리부에서 생성한 상기 위치 관련 주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3a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처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도 3b의 제어 처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도 3c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고정되지 않고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휴대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PDA, 태블릿 PC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거된 상태인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하는 경우,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생략되지 않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배치 영역(21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에, 상기 배치 영역(210)에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5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50)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전계 발광 소자, 플라즈마 소자, 음극선관 등 기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의 입력, 즉 터치, 드래깅, 클릭 등 다양한 동작을 입력 받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에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가져와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확인할 필요 없이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50)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알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알림부(130')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통신부(110')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도 이에 대응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배치 영역(210)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통신부(110')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통신할 수 있는 비접촉 근거리 통신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NFC 통신 부재 또는 블루투쓰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도 이에 대응되는 NFC 통신 부재 또는 블루투쓰 연결 부재(미도시)를 배치 영역(210)에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알림부(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 시, 즉, 배치 영역(210)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으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준비 완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준비 완료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준비 완료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알림부(130')는 상기 "준비 완료 신호"를 차량의 기타 부재, 예를들면 운전대로 전달할 수 있다. 운전대는 이러한 "준비 완료 신호"를 전달받으면 진동, 소리 또는 빛을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 특히 운전중인 운전자는 준비 완료 사실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알림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알림부(미도시)를 구비할 경우, 알림부(미도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 시, 즉, 배치 영역(210)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이러한 정보를 운전중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운전대에 전달할 수 있고, 운전대는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으면 진동, 소리 또는 빛을 발생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40") 및 제어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예를들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복수의 카메라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될 수 있는데, 전방과 후방의 카메라 부재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 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추출 또는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추출 또는 가공된 정보를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전달할 수 있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50)는 이러한 전달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제어 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카메라부(140")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 처리부(미도시)는 이러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제어 처리부(미도시)는 카메라부(140")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동영상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가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3b는 도 3a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처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 처리부(150")는 환경 인식부(151") 및 이미지 변환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인식부(151")는 카메라부(140")에서 촬상한 영상을 통하여 주변의 환경, 예를들면 차량 주행 시, 차량 주변의 환경, 예를들면 도로 외곽선, 중앙선, 주변의 다른 차량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미지 변환부(152")는 환경 인식부(151")에서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40")의 촬상을 통하여 얻은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적합한 하나 이상의 변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환경 인식부(미도시) 및 이미지 변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환경 인식부(미도시)는 카메라부(140")에서 촬상한 영상을 통하여 주변 환경, 예를들면 차량 주행 시, 도로 외곽선, 중앙선, 주변의 다른 차량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이미지 변환부(미도시)는 환경 인식부(미도시)에서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40")의 촬상을 통하여 얻은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적합한 하나 이상의 변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도 3c는 도 3b의 제어 처리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어 처리부(150")는 이미지 전달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전달 제어부(153")는 도 3b의 제어 처리부(15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전달 제어부(153")는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전달 제어부(153")는 이러한 변환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운전 중 알기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고, 예를들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 투명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이미지 전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이미지 전달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이미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이미지를 사용자의 운전 중 알기 쉽게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고, 예를들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 투명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d는 도 3c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40")에서 촬상한 영상을 통하여 주변의 물건을 환경 인식부(151")가 인식하여 얻어진 기본 이미지(IM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변환부(152")를 이용하여 기본 이미지(IM1)를 변환 이미지(IM2)로 변환한 것을 도시한다. 기본 이미지(IM1)의 도로 외곽선(OL) 및 중앙선(CL)은 입체적 표현으로서 원근감을 나타낼 수 있고, 변환 이미지(IM2)는 평면상의 이미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환 이미지(IM2)는 전술한 대로 이미지 전달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재에 전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전 중에 주변 정보 등을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예를들면 실제보다 더 알기 쉽게 표현된 평면상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다른 형태의 변환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선택적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배치 영역(210'), 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50') 및 연동 디스플레이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통신부(220')는 비접촉 방식의 통신 부재, 예를들면 NFC 통신 부재 또는 블루투쓰 연결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통신부(220')는 배치 영역(2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배치 영역(2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에, 상기 배치 영역(210')에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연동 디스플레이 제어부(26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5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연동 디스플레이 제어부(26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5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50')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한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대응하는 대쉬 보드(DSB)가 배치되고, 운전석에는 운전대(STH)가 배치된다.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전면 윈도우(WD)가 배치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대쉬 보드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의 일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의 일 영역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의 일 영역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실시예 및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 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메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거된 상태인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하는 경우,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생략되지 않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배치 영역(21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영역 중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 중 일 영역에 배치 영역(210)이 형성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길이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그루브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하단의 일 영역이 배치 영역(210)의 그루브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배치 영역(210)의 그루브 내에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에, 상기 배치 영역(210)에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배치 영역(21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는 차량의 지붕 또는 전면 윈도우(WD)로부터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갈수록, 즉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제1 측면부(241) 및 제2 측면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241)는 디스플레이부(250)와 대쉬보드(DSB)의 일 영역을 연결하고, 제2 측면부(242)는 디스플레이부(250)와 대쉬보드(DSB)의 일 영역을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5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50)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가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제1 전극(231), 제2 전극(232) 및 중간층(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31)은 다양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31)은 패터닝될 수 있고, 베이스 부재(BU)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전극(23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인듐옥사이드(indium oxide: In2O3), 인듐갈륨옥사이드(indium galium oxide: IG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luminium zinc oxide: AZO)과 같은 투명도전성산화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231)은 은(Ag)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233)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층(233)은 유기 발광층과 함께,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232)은 다양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전극(232)은 리튬(Li), 칼슘(Ca), 불화리튬(Li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또는 은(Ag)을 함유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함유하는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선택적 실시예로서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의 일 영역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의 내부의 다른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A-필라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B-필라 또는 C-필라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좌석, 천장, 바닥 등 기타 다른 부재의 일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 제1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 및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을 포함한다.
도 7과 비교할 때, 도 8의 실시예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 및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추가된 것이므로 추가된 부재인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 및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배치 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이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차량 내부의 지붕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전면 윈도우(WD)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전면 윈도우(WD)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차량의 룸 미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적어도 일면, 즉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반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전술한 실시예 및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도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메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배치 영역(미도시)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제거되고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하부를 향하도록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일 영역을 삽입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차량의 지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일 영역을 밀어 넣어 삽입할 수 있다.
즉,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배치 영역(미도시)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배치되도록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배치 영역(미도시)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배치된 후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떨어지지 않도록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배치 영역(미도시)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배치 영역(미도시)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배치 영역(미도시)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배치될 때,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배치 영역(미도시)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배치 영역에 배치 시에,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된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8에 보이는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영역, 즉 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면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이 차량의 룸 미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 경우에,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적어도 일면, 즉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반사면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다.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의 디스플레이부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제1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할 수 있고,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 및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에 각각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가 각각 전술한 실시예서와 같이 카메라부 및 제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부는 차량의 전방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카메라부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가공하여 안전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8의 구조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제1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생략하고 제2 모바일 디바이스(400) 및 제2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300)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한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대응하는 대쉬 보드(DSB)가 배치되고, 운전석에는 운전대(STH)가 배치된다.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전면 윈도우(WD)가 배치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대쉬 보드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의 일 영역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전방부(FM) 및 바닥부(BM)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FM)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BM)는 전방부(FM)에 연결되고 전방부(FM)보다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닥부(BM)는 전방부(FM)로부터 차량의 바닥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전술한 실시예 및 선택적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 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메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거된 상태인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1000)이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하는 경우,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생략되지 않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배치 영역(21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바닥부(BM)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눕혀서 배치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면적에 대응 또는 그보다 큰 형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가 위를 향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배치 영역(210)의 그루브 내에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배치 영역(2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에, 상기 배치 영역(210)에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전방부(FM)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배치 영역(21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볼 때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갈수록, 즉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일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50)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터치 인식부(미도시)와 같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50)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20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한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고정되지 않고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휴대폰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PDA, 태블릿 PC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각각 상이한 종류일 수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각각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의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20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제거된 상태인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2000)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과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즉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생략되지 않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배치 영역(210), 디스플레이부(25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은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각각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각각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 시, 각각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각각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각각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될 때,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제1 배치 영역(211)에 배치 시에, 상기 제1 배치 영역(211)에 배치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제1 디스플레이부(251)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 시에, 상기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된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수신 정보, 예를들면 수신 전화, 수신 문자 발생 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신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내에 저장된 정보, 예를들면 사진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에, 이러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제2 디스플레이부(252)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적어도 디스플레이 기능 구현 부재와 동기화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는 제1 디스플레이부(251)와 제2 디스플레이부(25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는 제1 디스플레이부(251)와 제2 디스플레이부(252)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의 크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부 내에서 영역을 분할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251)를 제1 영역, 제2 디스플레이부(252)를 제1 영역과 구별되는 제2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는 경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된 제1 영역, 제2 디스플레이부(252)가 배치된 제2 영역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되지 않고,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만 제1 배치 영역(211)에 배치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는 제1 디스플레이부(251)가 배치되는 제1 영역의 크기를 제2 영역보다 크게 확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제1 영역으로 변환, 즉 디스플레이부 전체가 제1 디스플레이부(251)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물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가 제1 배치 영역(211)에 배치되지 않고,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만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된 경우에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는 제2 디스플레이부(252)가 배치되는 제2 영역의 크기를 제1 영역보다 크게 확장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 전체를 제2 영역으로 변환, 즉 디스플레이부 전체가 제2 디스플레이부(252)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20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제1, 2 배치 영역(211, 212)에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 시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가져와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확인할 필요 없이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를 이용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각각 구별하여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하므로 차량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 예를들면 운전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예를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와 조수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예를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각각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를 이용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복수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270)를 통하여 차량에 탑승한 복수의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2000)의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는 3개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도록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한다.
차량 내부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대응하는 대쉬 보드(DSB)가 배치되고, 운전석에는 운전대(STH)가 배치된다.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전면 윈도우(WD)가 배치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대쉬 보드의 영역 중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의 일 영역의 외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차량 내부의 대쉬 보드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전방부(FM) 및 바닥부(BM)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FM)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BM)는 전방부(FM)에 연결되고 전방부(FM)보다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닥부(BM)는 전방부(FM)로부터 차량의 바닥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의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에 각각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제거된 상태인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과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포함하는 경우, 즉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생략되지 않고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된 경우를 설명한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배치 영역(210), 디스플레이부(25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배치 영역(21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치 영역(210)의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바닥부(BM)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각각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눕혀서 배치할 수 있도록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면적에 대응 또는 그보다 큰 형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에 배치 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디스플레이부가 위를 향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 시,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하여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의 그루브 내에 거치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를 배치 영역(210)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가 배치될 때,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접촉하여 통신하는 접촉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배치 영역(211) 및 제2 배치 영역(212)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101)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102)와 비접촉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전방부(FM)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배치 영역(21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차량 내부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0)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볼 때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아래로 갈수록, 즉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일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의 제1 디스플레이부(251)와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디스플레이부(250)내에서 경계선(SL)을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부(251)는 제1 배치 영역(211)에 대응되고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제2 배치 영역(212)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의 디스플레이 내용은 전술한 도 10의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제1 디스플레이부(25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52)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할 수 있고, 예를들면 터치 인식부(미도시)와 같은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가시 광선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스플레이부(250)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50)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도 10의 실시예를 구현한 하나의 예시로 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 및 위치 정보 수신부(500)를 포함한다.
도 12는 도 1과 비교할 때 위치 정보 수신부(500)가 더 추가된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500)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 특히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배치되는 차량의 운행 시 차량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부재로서, 예를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위치 정보 수신부(500)는 위치 정보를 전달만 받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이 아닌,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기타 다른 부재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디스플레이부(250)는 위치 정보 수신부(500)에서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위치 정보 수신부(500)에서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의 운전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배치 영역(210)에 배치 시에 상기 배치 영역(210)에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관련된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이 때 위치 정보 수신부(500)에서 수신한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위치 정보 수신부(500)에서 수신한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얻은 정보를 조합 및 가공하여 사용자의 운전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운전중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 위치 정보 수신부(500) 및 알림부(60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 영역(210)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제거된 상태인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만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카메라부(140") 및 제어 처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 및 제어 처리부(150")는 전술한 도 3a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500)는 전술한 도 1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알림부(6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배치 시, 즉, 배치 영역(210)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이러한 통신 준비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들면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알림부(600)는 통신 준비 완료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때, 이러한 정보를 운전중인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운전대에 전달할 수 있고, 운전대는 이러한 정보를 전달받으면 진동, 소리 또는 빛을 발생할 수 있다.
알림부(600)는 선택적 구성 요소이므로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부(140")는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 또는 외부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어 처리부(150")는 이러한 정보를 추출 또는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처리부(150")는 위치 정보 수신부(500)가 수신한 위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 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를 통하여 얻은 차량 주변 영상 정보와 위치 정보 수신부(500)로부터 얻은 차량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주행중에 차량 주행을 위한 주행 경로 정보, 위험물 정보등에 대한 주행 관련 한 종합 정보일 수 있고, 이는 차량 운행에 따라 변하는 실시간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 처리부(150")에서 생성한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어 처리부(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대신에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어 처리부(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 처리부(15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운전중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카메라부(140")를 통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전방 또는 외부를 촬영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제어 처리부(150")가 이러한 정보를 추출 또는 가공할 수 있다. 특히 또한 제어 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를 통하여 얻은 차량의 주변의 정보와 위치 정보 수신부(500)가 수신한 위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제어 처리부(150")에서 생성한 이러한"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주행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의 편의성을 향상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30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운전중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500)를 포함하고, 제어 처리부에서 생성한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여 주행 중에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주행 안전성 및 주행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1,102: 모바일 디바이스
200: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
1000, 2000, 3000, 3000':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laims (20)

  1.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되고 차량에 배치되는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 되는 배치 영역;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관련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정보를 그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면 준비 완료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준비 완료 신호를 차량의 운전대에 전달하고,
    상기 운전대는 상기 준비 완료 신호를 전달받으면 진동, 소리 또는 빛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는 제어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가공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통하여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식하는 환경 인식부 및 상기 환경 인식부에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상을 통하여 얻은 이미지를 변환하여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차량의 내부의 부재들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의 일 영역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되도록 그루브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차량의 지붕 또는 전면 윈도우로부터 차량의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영역은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영역 중 상기 차량의 바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의 대쉬보드의 일 영역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의 대쉬보드의 일 영역을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내부의 지붕 또는 전면 윈도우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 영역은 차량의 바닥을 향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룸 미러 기능을 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반사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차량의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보다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고 차량의 바닥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 영역은 바닥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방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배치하는 복수의 배치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배치 영역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배치될 경우에 상기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정보를 받아 상기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된 관련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가 각각 디스플레이영역의 크기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차량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배치 영역에 배치될 경우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영상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신부가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에 따른 위치 정보인 위치 관련 차량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 처리부에서 생성한 상기 위치 관련 주행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0150164834A 2015-11-24 2015-11-24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KR10257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34A KR102573705B1 (ko) 2015-11-24 2015-11-24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15/225,854 US11036452B2 (en) 2015-11-24 2016-08-02 Display control system
CN201610917170.5A CN107038009A (zh) 2015-11-24 2016-10-20 显示控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34A KR102573705B1 (ko) 2015-11-24 2015-11-24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59A true KR20170060659A (ko) 2017-06-02
KR102573705B1 KR102573705B1 (ko) 2023-09-04

Family

ID=5872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34A KR102573705B1 (ko) 2015-11-24 2015-11-24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36452B2 (ko)
KR (1) KR102573705B1 (ko)
CN (1) CN1070380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347A (zh) * 2017-12-22 2018-06-12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的双屏显示系统及方法
JP7087680B2 (ja) * 2018-05-30 2022-06-21 マツダ株式会社 センタコンソール構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73A (ko) * 2012-07-30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84461A (ko) *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US20140335902A1 (en) * 2013-05-08 2014-11-13 Obdedge, Llc Driver Identific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s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Vehicles
KR20150009121A (ko) * 2013-07-15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094877A1 (en) * 2013-10-02 2015-04-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tatus notification
KR20150068820A (ko) * 2013-12-12 201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JP2015128918A (ja) * 2014-01-06 2015-07-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KR20150095290A (ko) * 2014-02-13 2015-08-21 허진만 모바일 단말 장치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130B2 (en) * 2000-03-17 2003-09-02 Makor Issues And Rights Ltd. Real time vehicle guidance and traffic forecasting system
DE602004014674D1 (de) * 2003-05-09 2008-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wiedergabesystem und Fahrzeugnavigations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S7394405B2 (en) * 2005-06-01 2008-07-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ocation-based notifications
EP1919730B1 (en) 2005-08-30 2011-10-19 Honda Motor Co., Ltd. Vehicle with instrument device
JP4617226B2 (ja) 2005-08-30 2011-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WO2007083494A1 (ja) * 2006-01-17 2009-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図形認識装置、図形認識方法および図形認識プログラム
US7650864B2 (en) * 2006-11-17 2010-01-26 Magna Electronics Inc. Remote starter for vehicle
EP1990675B1 (en) 2007-05-11 2016-04-27 LG Electronics Inc. Head-up display device for vehicles
US7817033B2 (en) * 2007-09-26 2010-10-19 Ricoh Company, Ltd. Vehicle locat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JP2009140488A (ja) * 2007-11-14 2009-06-25 Fujitsu Ten Ltd 車載装置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
KR101154770B1 (ko) 2009-11-27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기기와 연동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차량용 오디오 비디오 단말 시스템 및 그 연동 방법
KR101562589B1 (ko) 2010-04-30 2015-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1198206B1 (ko) 2010-12-14 2012-11-07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휴대 단말을 이용한 차량 주변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77182B1 (en) 2011-01-07 2012-05-15 Apple Inc.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for a portable media device
US8717198B2 (en) * 2011-03-25 2014-05-06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bile units in a vehicle
US9604542B2 (en) * 2011-04-20 2017-03-28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O device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an I/O device
US10217160B2 (en) * 2012-04-22 2019-02-26 Emerging Automotive,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charge availability and route paths for obtaining charge for electric vehicles
US9536197B1 (en) * 2011-04-22 2017-01-03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data streams from data producing objects of vehicle and home entities and generating recommendations and settings
JP5273216B2 (ja) * 2011-06-30 2013-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近距離無線通信装置
GB2492789B (en) * 2011-07-12 2018-01-03 Denso Corp Displays
US8824166B2 (en) 2011-08-31 2014-09-02 Apple Inc. Magnetic stand for tablet device
JP5452566B2 (ja) * 2011-10-31 2014-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入力装置
KR102029810B1 (ko) 2012-09-27 2019-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룸미러
KR20140054742A (ko) 2012-10-29 2014-05-09 주식회사 텍포러스 스마트폰 미러링 기능을 갖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US20140118222A1 (en) * 2012-10-30 2014-05-01 Cloudcar, Inc. Projection of content to external display devices
JP5847058B2 (ja) * 2012-11-08 2016-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表示装置
JP2014094615A (ja) * 2012-11-08 2014-05-22 Honda Motor Co Ltd 車両表示装置
US20140270243A1 (en) * 2013-03-15 2014-09-18 Commercial Vehicle Group, Inc. Mobile device to vehicle integration
US10655979B2 (en) 2013-06-08 2020-05-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predicted destinations
JP6123443B2 (ja) * 2013-04-09 2017-05-10 株式会社デンソー 危険車両通知装置、危険車両通知プログラム、危険車両通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9513702B2 (en) * 2013-07-15 2016-12-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vehicular display system with gaze detection
US9199553B2 (en) 2013-11-20 2015-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Autonomous vehicle with reconfigurable seats
KR101917700B1 (ko) 2013-12-23 201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042285B2 (en) * 2014-03-04 2021-06-2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evice
KR101554188B1 (ko) * 2014-06-05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73A (ko) * 2012-07-30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84461A (ko) *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US20140335902A1 (en) * 2013-05-08 2014-11-13 Obdedge, Llc Driver Identification and Data Collection Systems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Vehicles
KR20150009121A (ko) * 2013-07-15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094877A1 (en) * 2013-10-02 2015-04-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tatus notification
KR20150068820A (ko) * 2013-12-12 201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JP2015128918A (ja) * 2014-01-06 2015-07-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操作装置
KR20150095290A (ko) * 2014-02-13 2015-08-21 허진만 모바일 단말 장치와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7270A1 (en) 2017-05-25
US11036452B2 (en) 2021-06-15
CN107038009A (zh) 2017-08-11
KR102573705B1 (ko) 202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53672A1 (en) Vehicular vision system with split display
US10431086B2 (en) Vehicl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32124B2 (en) Mobile terminal
KR1020114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6547155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27119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0016120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thereof
KR20160107054A (ko) 차량 제어 장치,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504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실시간 로드뷰 공유방법
KR101711797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WO2019038914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08845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60659A (ko)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20160253905A1 (en) Information notification de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KR101841501B1 (ko) 카 쉐어링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카 쉐어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00050958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정보제공방법
KR201700336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878211B2 (en) System and method enabling locatio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ranging with social networking features
JP6953744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859043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EP4191204A1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thereof
JP2020077177A (ja) 予約車両確認システム
KR20130071241A (ko) 제스쳐 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203243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206914229U (zh) 实景互联网打车辅助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