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820A -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820A
KR20150068820A KR1020130154928A KR20130154928A KR20150068820A KR 20150068820 A KR20150068820 A KR 20150068820A KR 1020130154928 A KR1020130154928 A KR 1020130154928A KR 20130154928 A KR20130154928 A KR 20130154928A KR 20150068820 A KR20150068820 A KR 2015006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cradle
terminal
dashboa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020B1 (ko
Inventor
안성제
김승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20B1/ko
Priority to US14/504,602 priority patent/US9521224B2/en
Priority to CN201410531792.5A priority patent/CN104717353B/zh
Priority to CN201710442884.XA priority patent/CN107253470B/zh
Priority to EP14194490.0A priority patent/EP2883751B1/en
Publication of KR2015006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고, 자동차의 내부에 탈부착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삽입 고정되고, 대시보드의 전면에 장착 및 탈착가능한 거치대 및 상기 자동차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와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 자동차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전원 연결 단자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HOLD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가 착탈가능한 자동차 장착용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거치대는 하단부에 구비된 흡착판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 대시보드에 부착하고 상단부에 탈착되는 홀더에 휴대폰, PDA, DMB, 네비게이션과 같은 개인휴대단말기 등을 결합한 상태에서 자동차 거치대의 상단부에 조립된 회전 고정부재에 조립한 후 시청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개인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편리하고 다양한 기능에 의해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되어 있고, 최근에는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나 갤럭시탭,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PC 등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가입하는 운전자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운전자가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출고시에 옵션으로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장착하거나, 또는 별도로 구입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이하, 자동차 단말기라 칭함)로 제공되는 주요 기능은 운전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기능과, 도난 경보, 긴급 구난(SOS), 원격진단, 소모품 관리, 핸즈프리 이동통신, 생활정보, 개인정보, 비서 서비스 및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며, 새로운 부가 기능이 다양하게 추가 되면서, 그 수요가 점자 확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 단말기를 이용한 핸즈프리 기능은 자동차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내장된 폰(Internal Phone)을 가지고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거나, 운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External Phone)를 통해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와이어 잭(Audio Wire Jack)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자동차 단말기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자동차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는 현재 핸즈프리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이 부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폭 넓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용이하게 탈부착하거나 거치하여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 모드로 전환시키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도 표시, 제어 및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고, 자동차의 내부에 탈부착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삽입 고정되고, 대시보드의 전면에 장착 및 탈착가능한 거치대 및 상기 자동차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와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 자동차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전원 연결 단자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거치대는,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걸쳐지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가이드가 형성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아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1 부분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후면 일부가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고,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및 받침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ㄷ'형상으로 에워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제3 부분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 또는 중간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포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또는 받침부의 제3 부분에는 연결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연결 포트가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도록 하는 버튼이 이동하는 버튼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포트는 교체 가능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딩하여 감지 수단을 누르면서 장착되고, 상기 감지 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 포트가 자동으로 돌출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을 이동시켜 휴대 단말기와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 자동으로 감지 수단이 동작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 및 전원연결부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의 크기 및 전원연결부의 방향이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후면과 상기 대시보드가 이루는 공간에는 방열을 위한 냉각 장치가 배치되거나, 방열을 위한 공기의 이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의 후면과 상기 대시보드가 이루는 공간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대시보드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를 자동차 모드로 변환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내부에 있는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모드에 맞는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주행 중 조작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외부 입력 단자선들을 연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으며, 디스플레이가 없는 오디오 모델에서도 휴대 단말기의 표시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자동차 정보 표시와 다른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와 거치대가 자동차에서 분리된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된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에 삽입되는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에 삽입된 형상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슬라이드 커버가 자동차에서 분리된 형상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이동 전화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 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 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미리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및/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휴대 단말기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자동차의 위치 확인 가능)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모듈(115)로서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i-Fi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하이브리드 위치추적 시스템(Hybrid Positioning System)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 형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상기 통화 모드일 때,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방위,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방송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상기 알람부(15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될 때,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는 진동 수단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진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람부(153)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그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수단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자동차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90)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수신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구성 요소의 기능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인식 모듈(182)은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300)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교통 정보 및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프로그램, 실행 파일 등)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센터(30)와, 자동차 내에 장착되고, 원거리 무선 통신망(20) 및/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인공위성(10)을 통해 수신된 GPS 신호 및 상기 교통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과 같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망을 통해서는 신호등 정보를 비롯한 각종 교통정보(ex: 도로 교통 정보, 관심지역 정보)가 수집되며, 수집된 정보는 정보 제공 센터(30)(예를 들면, 서버)에서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규격에 따라 처리되어 방송국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방송국에서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방송신호에 삽입하여 자동차로 방송한다.
상기 정보 제공 센터는 통신망에 연결된 여러 가지 경로, 예를 들어 운영자 입력, 유무선 인터넷, TDC(Transparent Data Channel), MOC(Multimedia Object Transport)와 같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타 서버 또는 검증 카(probe car)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교통정보를, 예를 들면 교통정보 서비스를 위한 규격인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규격에 따른 포맷과 같은 교통정보 포맷으로 재구성하여 방송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제공 센터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TPEG 규격의 교통정보 포맷을 생성하여 방송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국은 자동차 등에 탑재된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가 수신할 수 있도록 서버로부터 수신한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를 방송신호에 실어 무선으로 송출한다. 상기 교통정보는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며, 그 밖에 사고, 도로 상황, 교통 혼잡, 도로 건설, 도로 폐쇄, 공공 교통망 지연, 항공 운항 지연과 같은 도로, 해양, 항공 운항을 위해 필요한 각종 교통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국은 서버로부터 처리된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다양한 디지털 방송 규격에 따른 디지털 신호를 통해 자동차에 전송한다. 이 경우, 방송 규격으로는 유레카-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향 디지털 오디오 방송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규격,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T) 규격,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규격, MFLO(Media Forward Link Only) 규격과 같은 각종 디지털 방송 규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국은 신호등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정보를 유무선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는 일반적인 승용차, 버스, 기차, 선박, 항공기 등 사람이나 물건의 이동을 목적으로 기계,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된 가능한 모든 운반체를 의미한다.
상기 자동차는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를 탑재하며, 탑재된 교통정보 수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신호등 정보를 수신하고, 신호등 정보를 처리하여, 처리된 신호등 정보를 그래픽, 텍스트 및/또는 오디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와 거치대(200)가 자동차(400)에서 분리된 형상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200)에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된 형상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200)의 전면 사시도이다.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위치추적시스템과 원격 진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시스템) 및 이동통신기술과 결합된 자동차 시스템을 의미한다. 텔레매틱스란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 전자 통신)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 Information Science; 정보과학)의 합성어로 컴퓨터와 무선 통신 기술이 결합된 형태이다.
텔레매틱스를 이용하면, 운전자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을 원격 진단하고, 무선 모뎀을 장착한 PC를 통하여 각종 생활 정보(교통 상황, 뉴스수신, 주식투자,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호텔예약, 팩시밀리 송수신, 게임 등)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긴급 구난(교통사고, 차량 도난 등) 시에는, 가령 GPS위성을 통하여 사고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 가장 근접한 경찰서 혹은 119 구조대에 구조요청을 전달해 줌으로써 구난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무실에 이메일과 휴대폰 메세지를 전송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디지털 비디오나 오디오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되고, 자동차(400)에 탈부착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삽입 고정되고, 자동차(400)의 대시보드(410)(dashboard)의 전면에 장착 및 탈착가능한 거치대(200) 및 상기 자동차(400)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200)와 자동차(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 자동차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전원 연결 단자(280)가 상기 거치대(200)의 후면에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데이터(data)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상기 거치대(200)와 별개로 형성되거나 거치대(20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 거치대(200) 또는 자동차(400)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0)는 대시보드(410)의 상면 가장자리에 걸쳐지도록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거치부(250)와, 상기 거치부(250)의 양단과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가이드(260)가 형성되는 중간부(251)와, 상기 중간부(251)를 연결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아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받침부(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상기 거치부(250), 중간부(251) 및 받침부(252)에 의해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갖는데, 이때 내부 중앙에 중공부(2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265)는 거치대(200)와 자동차(400) 사이의 연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며, 상기 중공부(265)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는 측면의 형상이 대략 "ㄱ"형상이고, 상기 거치부(250)는 중간부(251)에 비하여 짧게 형성된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대시보드(410)의 전면(440)에 장착 및 탈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휴대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테블릿 피시(tablet PC), 네비게이션,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260)는 단면이 'ㄷ'형상이며,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 일부가 접촉하는 제1 부분(261)과,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 일부가 접촉하는 제2 부분(262) 및 상기 제1 부분(261)과 제2 부분(262)을 연결하고, 만곡되도록 형성되는 제3 부분(2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252)는 상기 가이드(260)를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260)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분(261), 제2 부분(262) 및 제3 부분(263)은 받침부(252)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252)에 대하여도 상기 가이드(260)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60) 및 받침부(252)는 제1 내지 제3 부분(261,262,263)을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휴대 단말기(100)를 'ㄷ'형상으로 에워싸는 형상이다.
상기 제1 부분(261)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화면 표시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일예로 폭이 20~50mm 일 수 있다. 이는 휴대 단말기(100)의 베젤(bezel)의 영역 크기에 따라 다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100)를 상기 가이드(260)에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내려가면서 장착이 되며, 휴대 단말기(100)의 받침부(252)와 접촉하는 부분에 인터페이스부(170)가 있는 경우(도 5 참조)에는 별도의 장치 없이 슬라이딩을 통하여 연결 포트(270)에 연결됨으로써 추가적인 유선 단자 연결이나 설정 없이 연결 정보를 바탕으로 자동차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연결 포트(270)에 연결됨으로써 자동차(400)에 연결되었음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자동차 모드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기가 자동차(400)임을 인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60)는 상기 거치부(250)에서 중간부(251)로 연결되는 부분에서부터 형성되어, 받침부(252)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52)에서도 중간부(251)에서와 유사하게 외부에 노출되고, 휴대 단말기의 전면 일부가 접촉하는 제1 부분(261)과, 휴대 단말기의 후면 일부가 접촉하는 제2 부분(262)과, 상기 제1 부분(261) 및 제2 부분(262)을 연결하는 제3 부분(263)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받침부(252)에서는 외부에 노출되는 제1 부분(261)이 없을 수 있고, 제2 부분(262)은 굴곡되게 형성되지 않고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252)의 제3 부분(263)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 수단이 구비되어, 자동으로 자동차 모드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대(200)에 삽입되는 형상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에 삽입된 형상의 사시도인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지 수단으로써 완충 스프링(240) 또는 걸림부재(241)와 같은 완충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완충 스프링(240) 또는 걸림부재(241)는 상기 받침부(252)의 제3 부분(263)에 형성되며, 휴대 단말기(100)가 삽입되어 장착될 때 가압된다. 이와 같이 가압됨으로써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됨을 인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241)는 탄성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즉, 걸림부재(241)에 휴대 단말기(100)가 접촉한 다음, 휴대 단말기(100)의 자중에 의해 더욱 하강하게 되는데, 하강이 완료되면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되었음을 걸림부재(241)에 의해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장착 감지 수단으로 완충 스프링(240)과 걸림부재(241)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갖는 것으로써 압축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지 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것이므로, 완충부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받침부(252) 일측에 완충부재인 감지 수단(240,241)이 장착되어 휴대 단말기(100)를 슬라이딩하여 감지 수단(240,241)을 누르면며 장착된 후, 감지 수단을 통해 연결 포트(270)가 자동으로 돌출되어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되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버튼(220)을 이동시켜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을 해제한 경우, 자동으로 완충부가 동작하며 휴대 단말기(100)를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대(200)와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대(200)를 자동차(400)에 장착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써 거치대(200)의 내부에 자석을 내장시킴으로써 자동차(400)의 대시보드(410)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에 의해 대시보드에 탈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100)와 자동차(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포트(270)가 필요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포트(270)가 받침부(252)의 일 부분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받침부(252)의 제3 부분(263)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장착될 때 자동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인터페이스부(170)가 하단부에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장착함으로써 외부 단자선 연결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반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인터페이스부(170)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연결 포트(245)가 거치대(200)의 중간부(251)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 포트(245,2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교체 가능한데, 이는 핀(pin)의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200)의 일부 확대도인데,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261)에는 상기 연결 포트(245)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버튼(220)이 버튼 안내홈(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3 부분(263)에는 상기 연결 포트(245)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버튼 안내홈(210)은 상기 버튼(220)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대(200)의 받침부(252)에 완충 스프링(240)을 넣어서, 휴대 단말기(100)를 슬라이딩시켜 부착할 경우,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스프링(240)을 누르면서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240)이 휴대 단말기(100)의 장착을 감지하며, 정확히 장착되었는지 감지를 한 후, 중간부(251)에 숨겨져 있던 연결 포트(245)가 자동으로 버튼(220)과 함께 거치대(200)의 내측으로 나오면서 포트(port)와 연결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1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이때, 도 7은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대(200)에 삽입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포트(245)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와 연결시킬 수 있다. 수동으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대(200)에 삽입 후 버튼(220)을 직접 휴대 단말기(100)를 향하여 밀어 연결 포트(245)가 연결되도록 한다.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의 감지 수단(240,241)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삽입이 감지되면, 연결 포트(245)가 버튼(220)과 함께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도록 한다. 자동으로 연결시키는 경우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하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를 연결 포트(245)와의 연결을 해제(unlock)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버튼(220)을 이동시키면, 연결 포트(245)가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빠지면서 휴대 단말기(100)의 자동차 모드가 해제되고, 완충 스프링(240)이 동작하면서 휴대 단말기(100)를 살짝 들어 올려 사용자가 쉽게 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걸림부재(241)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250)는 자동차(400)에 구비된 대시보드(4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자동차(400)의 대시보드(410)의 상면은 그루브(420)(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가 작으면 크기가 작은 거치대(200)를 사용하고, 휴대 단말기(100)가 크면 큰 거치대(200)를 사용해야 한다.
상기 거치부(250), 중간부(251) 및 받침부(252)는 내부에 빈 공간인 중공부(265)를 형성할 수 있으며, 빈 공간 없이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200)가 자동차(400)에서 분리된 형상의 사시도인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200)는 자동차(400)의 대시보드(410)에 탈부착되며, 휴대 단말기(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의 후면과 상기 대시보드(410)가 이루는 공간에는 방열을 위한 냉각 장치가 배치되거나, 방열을 위한 공기의 이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200)의 후면과 상기 대시보드(410)가 이루는 공간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대(200)에 의해 형성되는 자동차(400)의 내부 공간에는 무선 충전부(무선 충전 코일)가 내장되어 휴대 단말기(100)를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에어 쿨러(air cooler)를 통과시켜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거나 쿨링 모듈(cooling module)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쿨링 모듈은 자동차(4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부품일 수 있다. 일예로써, 연료 전지 부품, 고전압 전장품 등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 에어컨 콘덴서 및 상기 라디에이터에 연결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거치대(200)의 후면 사시도인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200)의 후면에는 자동차(400)와 거치대(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2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단자(280)와 자동차(400)에 형성된 연결 단자(430)의 연결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손쉽게 자동차(400)에 탈착 및 거치하여 자동차(400)와 연동하고, 자동으로 자동차 모드로 변환하여 주행 환경에 맞는 UI(user interface)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를 갖는 거치대(200)를 제작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와 규격에 맞도록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와 연결 단자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하고, 사용자가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크기 및 전원연결부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200)의 크기 및 전원연결부의 방향이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핀(pin)을 갖는 연결 포트(245,270)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것을 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고, 자동차의 내부에 탈부착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삽입 고정되고, 대시보드의 전면에 장착 및 탈착가능한 거치대; 및
    상기 자동차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transceive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와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 자동차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하는 전원 연결 단자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걸쳐지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도록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가이드가 형성되는 중간부; 및
    상기 중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아래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한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면 일부를 덮는 제1 부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후면 일부가 접촉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연결하고, 만곡되게 형성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가이드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및 받침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ㄷ'형상으로 에워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제3 부분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감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또는 중간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포트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또는 받침부의 제3 부분에는 연결 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연결 포트가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도록 하는 버튼이 이동하는 버튼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포트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탄성을 갖는 완충부재이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딩하여 감지 수단을 누르면서 장착되고, 상기 감지 수단을 통해 상기 연결 포트가 자동으로 돌출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을 이동시켜 휴대 단말기와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 자동으로 감지 수단이 동작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와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크기 및 전원연결부의 위치에 따라 거치대의 크기 및 전원연결부의 방향이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후면과 상기 대시보드가 이루는 공간에는 방열을 위한 냉각 장치가 배치되거나, 방열을 위한 공기의 이동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후면과 상기 대시보드가 이루는 공간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하는 무선 충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대시보드에 탈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영역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30154928A 2013-12-12 2013-12-12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1569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28A KR101569020B1 (ko) 2013-12-12 2013-12-12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US14/504,602 US9521224B2 (en) 2013-12-12 2014-10-02 Hold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01410531792.5A CN104717353B (zh) 2013-12-12 2014-10-10 用于移动终端的固定装置
CN201710442884.XA CN107253470B (zh) 2013-12-12 2014-10-10 用于移动终端的固定装置及移动终端和固定装置的组合件
EP14194490.0A EP2883751B1 (en) 2013-12-12 2014-11-24 Holding devic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928A KR101569020B1 (ko) 2013-12-12 2013-12-12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820A true KR20150068820A (ko) 2015-06-22
KR101569020B1 KR101569020B1 (ko) 2015-11-13

Family

ID=5210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928A KR101569020B1 (ko) 2013-12-12 2013-12-12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1224B2 (ko)
EP (1) EP2883751B1 (ko)
KR (1) KR101569020B1 (ko)
CN (2) CN1072534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659A (ko) * 2015-11-24 2017-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3714U1 (de) * 2015-07-15 2015-09-07 Klemens Dittrich Ladestation für Telekommunikationsgeräte und elektronische Uhren
US10212264B2 (en) 2015-12-09 2019-02-19 Vehroot, Llc Mobile device vehicle dashboard shelf
USD837131S1 (en) 2015-12-09 2019-01-01 Vehroot, Llc Mobile device vehicle dashboard shelf
CN105857211A (zh) * 2015-12-11 2016-08-17 乐视移动智能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汽车控制系统的实现方法及装置
US9736289B2 (en) * 2015-12-28 2017-08-15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Platform for wireless interaction with vehicle
JP2017226399A (ja) * 2016-06-25 2017-12-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テレマティクスサービス
US20180001767A1 (en) 2016-06-29 2018-01-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strument cluster arrangements for vehicles
KR101882198B1 (ko) * 2016-11-01 2018-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E102017200943A1 (de) * 2017-01-20 2018-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altevorrichtung zur Anbringung eines mobilen Elektronikgerätes in einem Kraftfahrzeug
CN106740543A (zh) * 2017-02-06 2017-05-31 成都锐奕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适应多种尺寸移动终端的车载固定装置
US10737574B2 (en) * 2017-02-17 2020-08-11 Carrichs Accessories, LLC Mobile device dash kit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0005361B1 (en) * 2017-02-22 2018-06-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bile computer retainer for display of vehicle operational data
US10886875B2 (en) 2017-03-06 2021-01-05 Tapicu, Inc. Solar powered cooler for smart device
CN107610672A (zh) * 2017-08-31 2018-01-19 青岛海尔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显示装置
CN107683035A (zh) * 2017-08-31 2018-02-09 青岛海尔通信有限公司 一种电器产品
KR102631933B1 (ko) * 2018-08-10 2024-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973683B (zh) * 2018-08-27 2021-09-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个性化和模块化的仪表板总成及汽车
DE102019215537A1 (de) * 2019-10-10 2021-04-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Zielposition einer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in eine Haltevorrichtung sowie entsprechende Anzeige- und/oder Steuereinheit
DE102021127967A1 (de) 2021-10-27 2023-04-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Halterung eines elektronischen Geräts in einem Kraftfahrzeug
FR3131719A1 (fr) * 2022-01-12 2023-07-14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 de dispositifs de support pour appareils multimédia nomades
CN115206066A (zh) * 2022-07-06 2022-10-18 深圳市第二人民医院(深圳市转化医学研究院) 一种医院机电设备故障报警闭环管理方法及其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0882A (en) * 1995-11-14 1999-06-08 Garmin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use in combination portable and fixed mount applications
US6173933B1 (en) * 1998-12-09 2001-01-16 Garmin Corporation Multi-position articulating mount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US6370037B1 (en) * 1999-09-16 2002-04-09 Garmin Corporation Releasable mount for an electric device
JP2002370587A (ja) * 2001-06-13 2002-12-24 Yazaki Corp 脱着式ディスプレイ取付け場所の利用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505121B1 (en) * 2001-08-01 2003-01-07 Hewlett-Packard Company Onboard vehicle navigation system
KR200261161Y1 (ko)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휴대폰용 핸드 프리 거치대
JP3594011B2 (ja) * 2001-11-30 2004-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681176B2 (en) * 2002-05-02 2004-01-20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device for a detachable navigation system
US7548491B2 (en) * 2002-06-13 2009-06-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ersonalized key system for a mobile vehicle
US7623958B1 (en) * 2003-03-26 2009-11-24 Garmin Ltd. Navigational device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and a method for doing same
US7894861B2 (en) * 2003-12-16 2011-02-22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Method of enabling a remote communications device with a telematics functionality module
TWI242510B (en) 2005-01-21 2005-11-01 Compal Electronics Inc Holding structure used in the car to hold the electronic device
IT1392095B1 (it) 2008-12-04 2012-02-09 Evotek Engineering S R L Apparecchiatura di sostegno per dispositivi portabili.
KR20100109061A (ko) 2009-03-31 2010-10-08 주식회사 유비솔 Eco-Drive (친환경 경제운전)서비스 지원 다목적 휴대폰 충전 거치장치
US9123058B2 (en) * 2011-11-16 2015-09-01 Flextronics Ap, Llc Parking space finder based on parking meter data
JP4829387B1 (ja) * 2010-11-19 2011-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端末保持装置及び制御方法
GB201021187D0 (en) 2010-12-14 2011-01-26 Audiovox Incaar Systems Gmbh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DE102012008381A1 (de) 2011-09-09 2013-03-14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und zum Betreiben eines mobilen Gerätes in einem Kraftfahrzeug
CN202334638U (zh) * 2011-11-14 2012-07-11 四川盟宝实业有限公司 一种车载手机底座
US8811938B2 (en) * 2011-12-16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a user interface experience based on inferred vehicle st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659A (ko) * 2015-11-24 2017-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83751B1 (en) 2019-10-02
KR101569020B1 (ko) 2015-11-13
EP2883751A1 (en) 2015-06-17
CN107253470A (zh) 2017-10-17
US9521224B2 (en) 2016-12-13
CN104717353B (zh) 2017-07-11
US20150172432A1 (en) 2015-06-18
CN104717353A (zh) 2015-06-17
CN107253470B (zh)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20B1 (ko)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101513643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3428635B (zh) 移动终端的信息提供方法及其设备
KR101866860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95393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32009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3679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KR20110089744A (ko) 정보 표시 장치
KR20160051399A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810000A (zh) 行车预警装置和方法
KR1019177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9021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22956A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06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차량 제어방법
KR10161286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537695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4454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5405A (ko) 차량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22729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55267A (ko) 이동 단말기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5873A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59029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16638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5025B1 (ko) 정보 표시 장치
KR20150033149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