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461A -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461A
KR20140084461A KR1020120153510A KR20120153510A KR20140084461A KR 20140084461 A KR20140084461 A KR 20140084461A KR 1020120153510 A KR1020120153510 A KR 1020120153510A KR 20120153510 A KR20120153510 A KR 20120153510A KR 20140084461 A KR20140084461 A KR 2014008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smart phone
smartphone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275B1 (ko
Inventor
박만금
Original Assignee
제이와이커스텀(주)
박만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와이커스텀(주), 박만금 filed Critical 제이와이커스텀(주)
Priority to KR102012015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는,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자동차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네비게이션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송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케이블이 형성된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을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영상 및 사진 감상은 물론 전화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에 의해 정보 검색과, LTE를 이용한 HDTV 수신과, 네비게이션 기능 등 다양한 IT정보를 네비게이션 모니터를 통해 시현할 수 있고, 차내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풍부한 음량이 송출될 수 있어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Car Navigation and Smart Phone linkage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을 연동시켜 스마트폰의 각종 기능이 네비게이션 모니터를 통해 시현될 수 있고, 또한 스마트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구적인 제어수단을 마련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화면 상의 각종 아이콘의 클릭 작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길안내의 목적으로 네비게이션을 장착하여 사용하여 왔다.
또한 네이게이션에 길안내 기능외에 동영상 플레이나 사진 감상, DMB 수신 등의 부가 기능도 추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부가 기능에도 불구하고 최근 각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기능에는 못미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스마트폰은 음성 통신이 가능함은 물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설치된 앱을 시현하여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IT기능의 집약체이므로 이에 버금가는 기능을 네비게이션에서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용 상승이나 기술 미비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높은 비용을 추가하는 부담을 대신하여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이 연동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 10-2012-0094700호 「스마트폰 원격 제어 지원을 위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WiFi 연결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으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원격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키 데이터를 처리하여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차량에 장착된 조작계 외에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을 조작하여 그에 연동된 차량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이는 운전 중에 스마트폰을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고, 특히 사고의 위험성이 배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차량에 구비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기능을 네비게이션에 연동시킬 수 있고, 아울러 스마트폰의 각 기능을 제어수단을 통해 직접 제어함으로써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자동차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네비게이션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송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케이블이 형성된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차 내부의 센터페시아 또는 기어박스의 일측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조작되는 다이얼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누름 작동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그셔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본체가 센터페시아 또는 기어박스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분리된 상태에서 다이얼 및 버튼의 조작 신호를 송출하도록 본체에 무선송신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부에는 무선수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에는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의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연결부의 해제 작동시 네비게이션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부에 설치된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을 연동시킴으로써 스마트폰에 내장된 동영상 및 사진 감상은 물론 전화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에 의해 정보 검색과, LTE를 이용한 HDTV 수신과, 네비게이션 기능 등 다양한 IT정보를 네비게이션 모니터를 통해 시현할 수 있고, 차내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풍부한 음량이 송출될 수 있어 스마트폰의 활용도를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차량에 구비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기능을 네비게이션에 연동시킬 수 있고, 아울러 스마트폰의 각 기능을 제어수단을 통해 직접 제어함으로써 운전중에도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의 개념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의 개념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는, 네비게이션(200)이 장착된 자동차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마트폰(100)이 장착되는 삽입부(22)가 형성되며, 상기 네비게이션(200)과 연결되어 스마트폰(100)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스마트폰(100)의 화면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송신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2)에는 데이터 송신부(24)에 연결되며 스마트폰(100)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케이블(26)이 형성된 크래들(2);
크래들(2)의 데이터 송신부(24)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100)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크래들(2)은 자동차 내부의 센터페시아(300) 또는 기어박스(4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스마트폰(100)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삽입부(2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데이터 송신부(24)가 형성되며, 스마트폰(100)과 연결되도록 데이터케이블(26)이 형성된다.
삽입부(22)는 스마트폰(100)을 세워서 장착할 수 있도록 좁은 폭을 갖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눕혀서 장착할 수 있도록 넓은 폭을 갖는 장방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수단(4)은 자동차 내부의 센터페시아(300) 또는 기어박스(400)의 일측에 결합된 본체(42)와, 상기 본체(42)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조작되는 다이얼(44)과, 상기 본체(42)의 상부에 형성되며 누름 작동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버튼(46)을 포함하는 조그셔틀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버튼(46)을 회전시키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된 스마트폰(100)의 각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한다.
아이콘의 선택 여부는 아이콘 주변에 색상이 다른 테두리로 된 커서가 표시되는 방식을 취하거나 또는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이 화살표 형상으로 커서가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어수단(4)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본체(42)가 센터페시아(300) 또는 기어박스(400)에 형성된 결합부(5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어수단(4)을 분리하여 후방 동승자가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어수단(4)에는 분리된 상태에서 다이얼(44) 및 버튼(46)의 조작 신호를 송출하도록 본체(42)에 무선송신부(42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결합부(500)에는 무선수신부(520)가 형성된다.
한편 제어수단(4)에는 스마트폰(100)과 네비게이션(200)의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하는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수단(4)은 연결부의 해제 작동시에는 스마트폰(100)의 제어는 불가능하고, 네비게이션(200)만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100)과 별개로 네비게이션(200)의 조작만 가능하게 한 것이다.
연결부는 제어수단(4)의 본체(42)의 일측에 형성되는 버튼(46)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에 해당되는 버튼(46)을 누름 조작하여 연결 및 해제 작동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마트폰(100)을 크래들(2)의 삽입부(22)에 거치한 후 데이터케이블(26)을 스마트폰(100)의 외부에 형성된 케이블 포트에 연결시킨다.
이후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네비게이션(200)과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무료로 배포된다.
이후 제어수단(4)의 다이얼(44)을 돌리면, 이에 연동되어 네비게이션 모니터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커서가 일방향으로 순차 이동됨으로써 원하는 아이콘을 선정할 수 있고, 이후 다이얼(44)의 상면을 눌러 '선택' 버튼(물론 이는 다른 부위의 버튼일 수도 있다.)을 클릭하여 해당 아이콘에 대한 기능을 시현할 수 있다.
상술한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스마트폰(100)의 화면과 동일하며 네비게이션 모니터 상의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기능이 스마트폰(100)에서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지도, 동영상 및 사진 감상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0)의 전화 송,수신 기능을 실행하고, 통화는 차내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100)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화면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되므로 보다 넓은 화면으로 정보 검색이 가능해진다.
또 LTE 스마트폰을 이용한 HDTV 수신이 가능하므로 이동중에서 네비게이션 모니터를 이용하여 시청이 가능하다. 이는 DBM가 수도권에서만 시청 가능한 단점을 극복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안정적으로 TV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차내의 다른 모니터를 통해 동승자만 TV 시청이나 동영상 감상을 하는 것이 안전 운전을 위해 권장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스마트폰(100)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면서 보다 월등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음악 파일을 실현하여 차내의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풍부한 음량이 송출되어 음악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크래들 4 : 제어수단
22 : 삽입부 24 : 데이터 송신부
26 ; 데이터케이블 44 ; 다이얼
46 : 버튼 100 : 스마트폰
300 : 센터페시아 400 : 기어박스
420 : 무선송신부 500 : 결합부
520 : 무선수신부

Claims (6)

  1. 네비게이션이 장착된 자동차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네비게이션과 연결되어 스마트폰의 데이터를 전송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이 네비게이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 송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는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되며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케이블이 형성된 크래들;
    상기 크래들의 데이터 송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동차 내부의 센터페시아 또는 기어박스의 일측에 결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조작되는 다이얼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누름 작동에 의해 조작되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그셔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분리가능하도록 상기 본체가 센터페시아 또는 기어박스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분리된 상태에서 다이얼 및 버튼의 조작 신호를 송출하도록 본체에 무선송신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결합부에는 무선수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는 스마트폰과 네비게이션의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연결부의 해제 작동시 네비게이션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KR1020120153510A 2012-12-26 2012-12-26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KR10154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510A KR101548275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510A KR101548275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461A true KR20140084461A (ko) 2014-07-07
KR101548275B1 KR101548275B1 (ko) 2015-08-31

Family

ID=5173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510A KR101548275B1 (ko) 2012-12-26 2012-12-26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7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184A (ko) 2014-08-29 2016-03-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단말기 거치대
KR20160026183A (ko) 2014-08-29 2016-03-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안내 장치
KR20160037524A (ko) 2014-09-29 2016-04-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KR20160037523A (ko) 2014-09-29 2016-04-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60037526A (ko) 2014-09-29 2016-04-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KR20160051399A (ko) * 2014-11-03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0659A (ko) * 2015-11-24 2017-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10719215B2 (en) 2018-11-20 2020-07-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using dial knob
KR102188870B1 (ko) * 2020-07-13 2020-12-11 주식회사 네트워크전자 차량용 단말과 외부단말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494578Y1 (ko) * 2020-11-03 2021-11-05 김덕진 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영상변환장치
KR20230131994A (ko) * 2022-03-07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584A (ko) 2017-02-03 201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장착용 스마트폰의 전개 시스템 및 차량 장착용 스마트폰의 모드 변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866B1 (ko) * 2010-09-08 2011-03-04 주식회사 텔레칩스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제어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184A (ko) 2014-08-29 2016-03-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단말기 거치대
KR20160026183A (ko) 2014-08-29 2016-03-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안내 장치
KR20160037524A (ko) 2014-09-29 2016-04-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웨어러블 단말기 및 그 표시 방법
KR20160037523A (ko) 2014-09-29 2016-04-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20160037526A (ko) 2014-09-29 2016-04-0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장치 및 그 표시 방법
US10649096B2 (en) 2014-09-29 2020-05-12 Hyundai Mnsoft, Inc. Wearable terminal for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navigation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for
US9544414B2 (en) 2014-11-03 2017-01-10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auxiliary terminal and vehicle
KR20160051399A (ko) * 2014-11-03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0659A (ko) * 2015-11-24 2017-06-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10719215B2 (en) 2018-11-20 2020-07-2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using dial knob
KR102188870B1 (ko) * 2020-07-13 2020-12-11 주식회사 네트워크전자 차량용 단말과 외부단말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494578Y1 (ko) * 2020-11-03 2021-11-05 김덕진 차량 내비게이션을 위한 영상변환장치
KR20230131994A (ko) * 2022-03-07 2023-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75B1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75B1 (ko)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EP3226126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097295B2 (en) Method of linkage-viewing TV broadcasting progra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TV, an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TV thereof
JP552706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CN102742265B (zh) 操作车辆显示器的方法和车辆显示系统
CN104238874A (zh) 车辆用信息显示装置
US8948698B2 (en) Vehicle multimedia head unit with two bluetooth antennas and two receivers
KR2013002036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10047474A1 (en) Remote control method and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US10180334B2 (en) Onboard information system
US10298990B2 (en) Control device,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2013005746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3200447A1 (en) Mobile satellite television reception system and reception method
US20180095628A1 (en) Digit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the same
JP2013021632A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車両用機器
JP2010130369A (ja) 車載装置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KR2013002171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4270660A (zh) 基于Slimport技术的车载-移动设备互联系统
JP2007251418A (ja) 映像表示装置
KR101308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KR1022493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555028B2 (en) Image providing device
KR10130801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KR20160037688A (ko) 무선 조그 다이얼 장치와 그와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장치
CN204231576U (zh) 基于Slimport技术的车载-移动设备互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