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019B1 -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019B1
KR101308019B1 KR1020120145149A KR20120145149A KR101308019B1 KR 101308019 B1 KR101308019 B1 KR 101308019B1 KR 1020120145149 A KR1020120145149 A KR 1020120145149A KR 20120145149 A KR20120145149 A KR 20120145149A KR 101308019 B1 KR101308019 B1 KR 101308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signal
touch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일
우혁준
Original Assignee
(주)디지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파츠 filed Critical (주)디지파츠
Priority to KR102012014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모니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부 디지털 기기는 물론 외부 전자 기기와의 통신 및 영상을 통한 제어를 통해 해당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 및 구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전자 기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와 마이크 입력단자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여 별도의 터치패널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DUAL-MONITOR DEVICE FOR VEHICLE USING EAR-MIC JACK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TRANSCEIVES DATA}
본 발명은 차량용 모니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부 디지털 기기는 물론 외부 전자 기기와의 통신 및 영상을 통한 제어를 통해 해당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 및 구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전자 기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와 마이크 입력단자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여 별도의 터치패널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가 점점 고급화되어짐에 따라 실내에 다양한 고급 옵션을 지니는 자동차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옵션으로 도로 운행을 하면서 수시로 변하는 교통상황이나 도로정보, 목적지까지의 운행에 필요한 안내지도 등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치들이 실내에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TV를 시청할 수 있는 기기를 장착하거나 그밖에 자동항법 장치인 네비게이션을 장착한 자동차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이하, AV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AV시스템의 프런트 패널에는 모니터를 형성하고, 프런트 패널의 내부에 카오디오의 카세트 플레이어나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를 설치하여 모니터를 소정의 각도만큼 각도를 조절하여 틸팅함으로써 모니터를 보거나 내부의 카세트 플레이어에 카세트테이프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AV 시스템은 하나의 모니터에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어 운전자나 조수석의 동승자가 동일 화면을 시청하게 되어 있다. 하나의 화면만 표시됨에 따라, 주행중 TV 시청 제한으로 인하여 주행 중에는 조수석의 동승자도 TV 또는 DMB를 시청할 수 없다. 불법이긴 하지만 자체적인 개조나 일반 DMB를 그대로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필요에 의해 네비게이션을 보게 되면 조수석의 동승자는 원하는 DMB 시청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되어진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08788호(발명의 명칭: 듀얼 뷰 디스플레이 AV 시스템)에 개진된 기술로써, 첨부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뷰 디스플레이 AV 시스템은 튜너 유니트(11), T-DMB 유니트(12), AV 헤드 유니트(13), 외장 DSP 앰프(14), 키보드(15), DVD 네비게이션(16) 및 듀얼 뷰 시스템(17)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기기는 H-LAN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된다.
튜너 유니트(11)는 주로 무선수신 장치의 입력부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한 전파(또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에 동조(同調)하여 그 전파만을 선택하기 위한 부품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AM/FM방송 수신기, TV 채널 선택의 기능을 한다.
T-DMB 유니트(12)는 MPEG-4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를 중계탑을 통해 전송된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티어 방송을 수신한다. T-DMB에 기반하여 약 1.5MHz의 대역폭을 갖는 VHF 대역을 통하여, 시속 200km로 고속 주행하는 수신체에서도 비디오 CD급의 화질과 CD급의 스테레오 음질을 수신할 수 있다.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TDMB)는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ting, DAB) 표준에서 규정한 스트림 모드를 통하여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비디오 압축 데이터, MPEG-4 BSAC(Bit-Sliced Audio Coding) 오디오 압축데이터, 대화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MPEG-4 BIFS(Binary Format for Scenes) 데이터를 MPEG-4 SL(Sync Layer)와 MPEG-2 TS(Transport Stream)로 다중화한 후, RS(204, 188) 및 길쌈 끼워짜기에 의한 추가 오류 보호 메커니즘이 적용된 스트림을 전송한다.
AV 헤드 유니트(13)는 대시 보드에 장착되는 오디오로, 라디오와 테이프 또는 CD 플레이어가 조합되어 있는 기기이다.
외장 DSP 앰프(14, External Digital Signal Processor Amplifier)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기능이 통합된 디지털 외장형 앰프이다.
키보드(15)는 사용자를 통한 AV 시스템을 제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키보드(15)의 조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카오디오 시스템의 전원제어, CD/DVD/카세트의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스킵 및 라디오/DMB의 채널 선택 등을 할 수 있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키보드(15)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리모컨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DVD 네비게이션(16)은 DVD 플레이어 기능이 추가된 네비게이션이다.
듀얼 뷰 시스템(17)은 종래에는 FRT 모니터로 구성된 블록으로 종래의 AV 시스템과 달리 공개기술의 듀얼 뷰 디스플레이 AV 시스템이 업그레이드된 부분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모니터를 PIP기술을 이용하여 이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나의 화면에 서로 다른 이종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라 사용자의 불편이 많았으며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못했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모니터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내부 디지털 기기는 물론 외부 전자 기기와의 통신 및 영상을 통한 제어를 통해 해당 기기를 간편하게 제어 및 구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 전자 기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와 마이크 입력단자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여 별도의 터치패널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의 특징은,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는 터치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에 장착된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하며 외부 스마트폰과의 HML/HDMI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MHL/HDMI 통신부를 갖는 입출력 제어보드부와; 차량 내부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하는 트립 제어부와; 상기 트립 제어부 및 입출력 제어 보드부와 통신하는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입력을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이를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터치 디스플레이부의 사용자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해당 기기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각 기기의 제어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제어 보드부 및 트립 제어부를 통해 제공된 영상 신호들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포맷 변환부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제어 보드부 및 트립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해당 이미지 테이블에 추가 또는 변경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화된 정보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텍스트 변환부 및 스마트 폰과의 외부 기기의 영상 정보 및 기타 제어 정보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미러링하는 미러링부를 구비하되; 상기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의 이어마이크 단자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의 오디오단자에 걸리는 신호를 무선 접속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수신단자와; 상기 수신단자를 통해 듀얼 톤 타입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생성부와; 상기 사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해당 사운드를 주파수 변위 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에 따른 데이터로 출력하여 상기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된 FSK 타입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운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역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역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듀얼 톤 타입의 터치신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변환부; 및 상기 사운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의 마이크단자측으로 무선 접속방식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송신단자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역 변환부는 주파수 변위 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에 따른 데이터를 사운드로 변화하거나 그와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방식에 따른 주파수 성분 혹은 모뎀(Modem) 캐리어 데이터 성분에 따라 수행되는 데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트립 제어부와 입출력 제어보드부를 통해 취득한 정보와 연동된 다양한 디지털 기기간 통신 및 영상이미지를 일반적 터치 타입 모니터를 통해 표출 할 수 있으며, 연동된 기기(스마트 폰, 패드 그밖의 정보기기)에서 보여지는 모니터상의 화면을 터치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제어, 구동, 조작이 가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동된 기기의 오디오 출력단자와 마이크 입력단자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활용하여 별도의 터치패널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 뷰 디스플레이 AV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와 연결되는 구성을 제외한 차량용 모니터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출력 제어보드부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트립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신호 변환부의 블록 구성도.
도 7과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모니터 장치의 제어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 예시도.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을 간략히 살펴보면, 근래 들어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자동차로부터 각종 신호를 입력받아 주행가능거리, 주행시간, 평균속도, 평균연비, 외기온도 등을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이용해 표시해 주는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을 구비한 차량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TRIP 컴퓨터가 제어하게 된다.
이때 고기능성을 갖는 TRIP 컴퓨터라 할지라도 운전자 혹은 소비자(운전자 외 차량 동승자)의 욕구가 점차 증가됨에 따라 그 부하가 증가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소비자의 욕구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인데, 예를 들어 하나의 차량에 다수의 사람이 동승한 경우 개개인이 즐기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모두 제각각이라는 것이 그 원인이다.
더욱이 각 개개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멀티미디어인 경우 차량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는 차량 내부의 공간적 문제와 원가상승의 문제로 인해 통상 한 개이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이때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안전운전을 위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TRIP 컴퓨터와 연결하여 핸드프리 기능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마트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신 매체로 이용할 수 있다면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과 같을 수 있다는데 착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비한 인터페이스 단자 중 데이터 통신단자는 TRIP 컴퓨터와 연결되기 때문에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와 연결되는 구성을 제외한 차량용 모니터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입출력 제어보드부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트립 제어부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신호 변환부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7과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모니터 장치의 제어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는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와, 차량에 장착된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보드부(200)와, 차량 내부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하는 트립 제어부(300)와, 트립 제어부(300) 및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와 통신하는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입력을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400)와, 상기 트립 제어부(300) 및 입출력 제어보드부(2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신호 저장부(500)와, 상기 입력 선택부(400)에 의해 선택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이를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의 사용자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해당 기기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600)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부(100)로 제공되는 각 기기의 제어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립 제어부(300)와 데이터 통신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단말기(10)와, 상기 이동단말기(10)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100A)와 연결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트립 제어부(300)측으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90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를 통해 참조번호 100과 100A로 지칭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차량 내부의 모든 기기의 상태를 영상 이미지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기기의 조작을 위한 명령은 화면의 터치만으로 통해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각의 기기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작판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부(100, 100A)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110)와 터치 입력을 제공받는 터치부(12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터치부(120)의 좌표와 영상 표시부의 영상 좌표가 1:1로 매칭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하는 영역의 영상 정보에 해당하는 값이 선택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보드부(200)는 CVBS 통신부(210), MHL/HDMI 통신부(220), RGB 통신부(230), DVI 통신부(240), 오디오 통신부(250), 무선 통신부(260), 전원 인가부(270)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통신 방법을 갖는 전자 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다. CVBS 통신부(210)는 CVBS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CVBS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전방 및 후방 카메라 포함)와의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AVM 시스템과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차량 외부의 영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고, 차량 위치 나 상황정보를 사용자 또는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와의 통신을 위한 제 1 CVBS 통신부와 AVM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제 2 CVBS 통신부를 각기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MHL/HDMI 통신부(220)는 외부 스마트폰과의 HML/HDMI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MHL/HDMI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 기기인 스마트폰과의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영상을 미러링을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 기기와 터치디스플레이간의 동기화가 가능하다.
RGB 통신부(230)는 RGB 케이블을 통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RGB 통신부(230)는 DMB 영상이나 Divx 영상을 제공받고, 이와 같은 영상을 제공하는 기기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VI 통신부(240)는 DVI 케이블을 통해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오디오 통신부(250)는 전자 기기와의 오디오 통신을 담당한다. 오디오 통신부(250) 또한 별도의 오디오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오디오 통신부(250)를 통해 오디오 신호만을 제공하는 기기와 접속되거나 다른 통신부를 통해 접속된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260)는 외부 무선 통신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선 통신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와이파이등의 통신이 가능하다.
전원 인가부(270)는 상기 각 통신부에 연결된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공급되는 전원은 해당 전자기기의 사용 전원으로 차량내부의 전원인 DC전원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원 인가부(270)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과 전류를 제어하여 해당 기기의 동작 전원에 맞는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립 제어부(300)는 OBD 통신부(310), K-Line 통신부(320), GPIO 통신부(330), 네비게이션 통신부(340), 터치 신호 통신부(350), 외장 메모리 통신부(360), 트립 통신부(370) 및 진단 USB 통신부(380)를 구비한다.
OBD 통신부(310)는 차량점검을 위한 내부 시스템 및 센서와 점검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OBD 통신부(310)를 통해 차량의 상태 이상을 알 수 있다.
K-line 통신부(320)는 캔통신을 통해 진단기의 각종 센서의 입력 및 액츄에이터의 출력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K-line 통신부(320)를 통해 캔 통신을 통해 차량 내부 기기와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GPIO 통신부(330)는 외부 칩셋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에 해당하는 접속 커넥터 즉, 입출력 단자를 구비한다.
네비게이션 통신부(340)는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과 통신을 위한 것으로, 네비게이션으로 부터 수집된 정보를 제공받고, 네비게이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통신부(340)를 통해 본 실시예의 모니터 장치가 네비게이션의 화면을 밀러링 형태로 투영할 수도 있다. 물론, 네비게이션이 차량내의 AVM과 일체화되는 경우, 앞선 입출력 제어보드부(200)에 의해 상기 네비게이션 통신부(340)의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
터치 신호 통신부(350)는 앞서 언급한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의 터치부(120)에 의해 터치된 좌표값을 제공 받는다. 즉,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제어 신호 발생을 위한 입력을 제공 받는다. 물론 이와 같은 터치 신호 통신부(350)가 제어부(700)에 내장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통신부(360)는 외부 메모리(SD 카드 포함)와 접속되어 해당 메모리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드릴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립 통신부(37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트립 컴퓨터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진단 USB 통신부(380)는 차량 진단을 위한 USB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별도의 접속 단자가 마련된다. 진단 USB 통신부(380)를 통해 차량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트랩 제어부(300)를 통해 차량 내부의 기기와 차량 운행 및 주행을 위한 정보들과 점검 및 진단을 위한 기기에 대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입력 선택부(400)는 트립 제어부(300) 및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를 통해 입력된 전자 기기의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전송되도록 한다. 입력 선택부(400)는 제어부(700)의 선택 신호에 따라 트립 제어부(300) 또는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신호 변환부(600)에 제공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는 신호 변환부(600)를 통해 입력 선택부(400)로 제공되고, 이 입력 선택부(400)는 신호 변환된 입력 신호를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선택된 입력 신호만이 터치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 선택부(400)는 선택된 입력 신호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스위치 또는 먹스가 사용될 수 있다.
신호 저장부(500)는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저장하거나, 내부 신호와 처리 결과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신호 저장부(500)로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저장부(5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공된 입력 신호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고, 제어부(700)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처리되는 데이터 또한 저장될 수 있다.
신호 변환부(600)는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영상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미지 형태로 해당 신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신호 변환부(600)는 영상 포맷 변환부(610)와, 텍스트 변환부(620) 및 미러링부(630)를 포함한다.
영상 포맷 변환부(610)는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된 영상 신호들을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해 제공된 영상을 사용자는 단일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텍스트 변환부(620)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테이블을 포함하고,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영상 신호 제외)가 제어부(700)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해당 이미지 테이블에 추가 또는 변경하여 터치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영상화된 정보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되는 입력 신호에 각기 대응되는 영상 이미지를 사전에 작성하고 준비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입력의 경우 영상 이미지에는 해당 센서가 측정하는 값의 정의 영역, 현 측정 값의 상태 영역, 센서 값이 정상 값인지를 표시하는 영역, 센서 제어(온/오프 포함) 영역, 센서 오동작 유무 표시 영역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 입력을 사용자가 보고자 할 경우 텍스트 변환부(620)와 제어부(700)는 입력 값에 따라 현 측정 값의 상태를 표시하고, 해당 센서값이 정상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센서의 상태를 이용하여 센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운행 관련 입력 신호인 경우 영상 이미지로는 운행 정보 중 어느 정보인지 표시하는 영역, 입력된 현(즉, 실시간) 운행 정보를 표시하는 영역, 정보 제어를 위한 영역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영상화된 이미지로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이미지 화면에서 운행 정보 관련된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미러링부(630)는 스마트 폰(10)과의 외부 기기의 영상 정보 및 기타 제어 정보를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미러링한다. 이때, 스마트 폰(10)의 화면과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의 화면의 화소와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본 미러링부(630)를 통해 이와 같은 차이에 따른 화면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러링부(630)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가 외부 기기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미러링부(630)에서 외부 기기 영상의 화면을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투영하는 경우 이들간의 비율 차이에 따른 아이콘 등의 위치가 저장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의 A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외부 기기의 어느 영역을 터치하는 것인지 알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700)는 터치 디스플레이부(100), 입출력 제어보드부(200), 트립 제어부(300), 입력 선택부(400), 신호 저장부(500) 및 신호 변환부(6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 정보(영상 정보 포함)를 이미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여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미지화된 형태의 정보로 현재 차량의 상태는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고, 이미지 정보를 직접 터치함으로 인해 차량내부 및 외부에 각기 장착된 기기들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는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제공된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분석된 신호 결과에 따라 해당 신호의 유효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유효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에는 별도의 알림 및 제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입력된 차량 운행 관련 신호 및 점검 결과 신호가 기준(안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를 즉시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스마트 폰(10)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와의 접속을 제어하여 유/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영상 및 음성을 포함한 데이터 정보들을 상호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휴대용 단말기 이외에 입출력 제어 보드부(200) 및 트립 제어부(300)를 통해 접속된 전자 기기와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터치 디스플레이부(100)의 표시 구간을 2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하고, 이 구간마다 각기 다른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구간을 2개의 구간으로 분리하여 하나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영상을 표시하고, 다른 하나의 구간에는 접속된 스마트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경우, 입력 선택부(400)는 2개의 입력 신호를 송출하고, 신호 변환부(600)는 2개의 신호 각각에 대한 신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900)는 스마트 폰(10)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의 이어마이크 단자(910)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이데, 그 세부 구성과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910)의 오디오단자(910A)에 걸리는 신호를 무선 접속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수신단자(R)와, 상기 수신단자(R)를 통해 듀얼 톤 타입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참조번호 920A로 지칭되는 사운드생성부에서 생성한 후, 상기 사운드 생성부(920A)에서 생성된 해당 사운드를 특정 주파수 혹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930A)를 통해 주파수 변위 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에 따른 데이터로 출력되어진다.
이때 상기 데이터 변환부(930A)는 입력되는 사운드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방식에 따른 주파수 성분으로 변화 혹은 모뎀(Modem) 캐리어 데이터 성분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데이터 변환부(930A)를 통해 출력되는 FSK 타입에 따른 데이터는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100A)의 터치 조작 신호로 제공되며, 반면에 사용자가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100A)를 터치 조작하는 경우 해당 조작신호는 FSK 타입에 따른 데이터로 참조번호 930B로 지칭되는 데이터 역변환부에 입력되어진다.
이때 데이터 역변환부(930B)는 FSK 타입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변환부(930A)의 동작 즉,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방식에 따른 주파수 성분으로 변화 혹은 모뎀(Modem) 캐리어 데이터 성분으로 변화에 대한 역동작을 취해 특정의 사운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역변환부(930B)의 출력은 참조번호 920B로 지칭되는 사운드 변환부를 통해 듀얼 톤 타입의 터치신호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사운드 변환부(920B)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910)의 마이크단자(910B)측으로 무선 접속방식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10)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송신단자(T)를 통해 상기 스마트 폰(10)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측으로 전송한다.
이에 전술한 스마트 폰(10)과 차량용 모니터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100A)와 차량용 모니터 장치간의 통신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터치 디스플레이부 200 : 입출력 제어 보드부
300 : 트립 제어부 400 : 입력 선택부
500 : 신호 저장부 600 : 신호 변환부
700 : 제어부 900 : 인터페이스부

Claims (3)

  1.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제공받는 터치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에 장착된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하며 외부 스마트폰과의 HML/HDMI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MHL/HDMI 통신부를 갖는 입출력 제어보드부와; 차량 내부 기기와 통신하고 제어하는 트립 제어부와; 상기 트립 제어부 및 입출력 제어 보드부와 통신하는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의 입력을 선택하는 입력 선택부와; 상기 입력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입력 신호를 분석하고, 이를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터치 디스플레이부의 사용자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해당 기기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 터치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각 기기의 제어 화면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모니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제어 보드부 및 트립 제어부를 통해 제공된 영상 신호들을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는 형태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포맷 변환부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제어 보드부 및 트립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해당 이미지 테이블에 추가 또는 변경하여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화된 정보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텍스트 변환부 및 스마트 폰과의 외부 기기의 영상 정보 및 기타 제어 정보를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미러링하는 미러링부를 구비하되;
    상기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의 이어마이크 단자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터치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접속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의 오디오단자에 걸리는 신호를 무선 접속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수신단자와;
    상기 수신단자를 통해 듀얼 톤 타입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생성하는 사운드생성부와;
    상기 사운드 생성부에서 생성된 해당 사운드를 주파수 변위 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에 따른 데이터로 출력하여 상기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데이터 변환부와;
    상기 외부 터치 디스플레이부에서 발생된 FSK 타입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아 사운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역 변환부와;
    상기 데이터 역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입력받아 듀얼 톤 타입의 터치신호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변환부; 및
    상기 사운드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이어마이크 단자의 마이크단자측으로 무선 접속방식에 의해 상기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휴대용 단말기기측으로 전송하는 송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와 데이터 역 변환부는 주파수 변위 방식(frequency shift keying; FSK)에 따른 데이터를 사운드로 변화하거나 그와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방식에 따른 주파수 성분 혹은 모뎀(Modem) 캐리어 데이터 성분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KR1020120145149A 2012-12-13 2012-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KR101308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149A KR101308019B1 (ko) 2012-12-13 2012-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149A KR101308019B1 (ko) 2012-12-13 2012-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019B1 true KR101308019B1 (ko) 2013-09-12

Family

ID=4945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149A KR101308019B1 (ko) 2012-12-13 2012-12-13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092A (ko) * 2015-11-30 2017-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US11429425B2 (en) 2016-12-23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to provide display based on operat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231B1 (ko) 2010-11-11 2012-01-05 임용순 휴대폰의 기능을 차량에 적용하기 위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231B1 (ko) 2010-11-11 2012-01-05 임용순 휴대폰의 기능을 차량에 적용하기 위한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092A (ko) * 2015-11-30 2017-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KR102418054B1 (ko) * 2015-11-30 2022-07-07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스마트 기기의 미러링을 통한 내비게이션 지도 내 콘텐츠 표출 방법
US11429425B2 (en) 2016-12-23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to provide display based on opera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294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irror link of a multimedia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US20070285364A1 (en) Display apparatus
CN104883588A (zh) 一种车载多屏互联系统及其实现方法
US20210131819A1 (en) Portable vehicle touch screen device utilizing functions of smart phone
JP5306862B2 (ja) 車載装置
KR20140084461A (ko)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US20140368475A1 (en) In-vehicle multimedia unit with interface for portable device
KR101308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US20130070082A1 (en) Wireless vehicle audio/video system
KR10130801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마이크 단자를 통신 매체로 이용한 차량용 듀얼 모니터 장치
US20140217789A1 (en) Smart vehicular headrest video entertainment system
JP2005199998A (ja) 車載用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8049873A (ja) ポータブル機器機能制限装置
CN104270660A (zh) 基于Slimport技术的车载-移动设备互联系统
KR100841005B1 (ko) Uwb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
CN202448892U (zh) 车载移动智能终端
US20130238185A1 (en) Car video device enabling wireless transmission to and fro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23105049A (ja) 情報処理装置
US20060044214A1 (en) Touch panel video display system for vehicles
KR101116693B1 (ko) 차량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20200039519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화면 설정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KR100835808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CN201426235Y (zh) 一种车载dvd导航装置
JP4832360B2 (ja) 移動体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