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523A -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523A
KR20160037523A KR1020140130198A KR20140130198A KR20160037523A KR 20160037523 A KR20160037523 A KR 20160037523A KR 1020140130198 A KR1020140130198 A KR 1020140130198A KR 20140130198 A KR20140130198 A KR 20140130198A KR 20160037523 A KR20160037523 A KR 20160037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terminal
mode
wearable terminal
power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855B1 (ko
Inventor
김종곤
김정은
유보미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8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태별로 구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웨어러블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보다 적은 구동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는 절전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표시부;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에 상태 조건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를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 for operating by navtigation situation}
본 발명은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태별로 구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신호를 GPS로부터 수신받아 맵 데이터를 적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는 그 활용 가능 범위에 따라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과, 네비게이션 어플리게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은 화면이 크기 때문에 시인성이 좋고 접속 케이블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 후 차량 내부가 깔끔하게 정리가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용의 네비게이션만의 기능을 사용하기에 성능 대비 가격이 비싸고 사용 빈도나 낮으며 맵 데이터의 업그레이드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스마트폰에 설치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는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개인이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점에서 설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네비게이션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모든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대체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표시하여 시인성이 높은 단말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 스마트폰과 무선 연동하여 동작하는 스마트 와치와 같은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terminal)가 사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단말기는 몸에 부착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스마트 와치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대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나아가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황에 따라서 그에 맞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4-008446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한 네비게이션 안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를 고려한 네비게이션 안내에 있어서 웨어러블 단말기를 활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웨어러블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보다 적은 구동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는 절전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표시부;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에 상태 조건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를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발생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하량인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잔량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배터리 잔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온 제어 명령과 함께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 세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표시부를 오프시켜 아무런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시키는 네비게이션 모드 과정;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 조건을 측정하는 상태 조건 측정 과정; 상기 상태 조건이 미리 설정한 임계 조건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전송하는 절전 모드 전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조건 측정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의 전하량인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 과정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절전 모드 과정은, 상기 구동온 제어 명령과 함께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조건 측정 과정은, 웨어러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 과정은, 측정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 세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제어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안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함으로써, 지속적인 네비게이션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배터리 잔량이 표시되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별 구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무선 연동되어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이 몸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거치대에 부착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단말기를 말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시계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타입으로 구현되어 시계줄(10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네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라 함은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거치되어 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는 차량 전용 네비게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게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스마트폰인 경우에는, 스마트폰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무선 송신할 수 있다.
참고로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네비게이션 지도상에 자신의 현재 위치 주변의 시설물을 표시한 정보이며,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이며,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속도 위반 차량을 촬영하는 단속 카메라의 위치와 제한 속도를 알리는 정보이며,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는 고속도로 상의 휴게소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말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 간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참고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출고 당시에 프로그램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는 구글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웨어러블 단말기(100)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자신의 상태 조건에 따라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화면 표시 모드를 결정하며 그에 따라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도중에 배터리(230)가 방전되어 표시 화면이 오프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작을 경우 자동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화면을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웨어러블 단말기(100)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네비게이션 단말기(200) 대신에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지속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행 중에 고속 도로 휴게소를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설치된 자동차에서 멀어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화면을 오프시키며 대신에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 온 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상태 조건에 따른 화면 표시 모드 결정을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표시부(250), 배터리(230), 배터리 잔량 측정부(240), 신호 세기 측정부(22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과 같이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하는 모듈로서,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 등을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세기 측정부(220)는, 무선 통신부(210)에서 수신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무선 통신부(210)의 일종인 블루투스 통신 모듈의 경우 2.45GHz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경 0 ~ 50m 범위 안에서 무선으로 연결 및 제어가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근거리 무선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근접한 경우 신호 세기가 클 것이며 서로 멀어질수록 신호 세기가 약하게 측정될 것이다.
표시부(250)는, LCD, OLED 등의 화면 표시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250)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보다 적은 구동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는 절전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시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상에 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절전 모드로 동작 시에는 화면에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음으로써 화면을 구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LCD, OLED 등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데 전력을 많이 사용함으로 절전 모드로 동작하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절전 모드로 동작시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250)에 배터리 잔량만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50)의 화면 전체에 영상을 표시하는 것보다는 배터리 잔량만을 표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터리(230)는 표시부(250), 무선 통신부(210), 제어부(260), 배터리 잔량 측정부(240), 신호 세기 측정부(220) 등의 각 구성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한다. 배터리(230)는 전극판으로 이루어진 축전지 또는 2차 전지로 불리는 전하량 충전체로서, 배터리(230) 내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배터리 잔량 측정부(240)는 배터리(230)의 전하량인 배터리 잔량을 측정한다. 배터리(230)가 완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터리 잔량이 100%로 검출될 것이며, 배터리(230)가 사용되어 방전된 경우에는 완충량에서 방전량을 제외한 양만큼의 배터리 잔량이 측정될 것이다.
제어부(260)는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에 상태 조건에 따라서 표시부(250)를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발생하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태 조건은 두 가지 상태 조건이 해당될 수 있는데, 하나는 배터리(230)의 잔량 상태이며, 다른 하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멀어지는지의 상태 조건이다.
우선, 제어부(260)가, 배터리(230)의 잔량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조건에 따른 화면 표시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발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260)는, 측정되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낮은 경우, 표시부(250)를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도중에 배터리(230)가 완전히 방전되는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없게 되어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230)의 방전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하여, 제어부(26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자동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화면을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화면 표시를 위한 구동 전력을 소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배터리(230)의 방전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임계 잔량은 일정 시간(예컨대, 1시간) 동안 네비게이션 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는 만큼의 전력량이 해당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서 표시되던 네비게이션 정보는,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6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 오프 상태에서 구동 온(ON)이 되도록 제어 명령을 무선 전송한다. 구동 온(ON) 제어 명령을 수신한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화면을 구동시킨다. 참고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인식 신호(ACK)를 주고 받으며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대기 상태 유지 중에 구동 온 제어 명령이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에 구동전력을 제공하여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구동 온(ON) 명령은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을 구동시키라는 제어 명령에 해당된다.
또한 제어부(260)는 아울러 네비게이션 정보를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무선 전송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전 모드로 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 대신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화면에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음으로써 화면을 구동시키는 구동 전력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250)에 배터리 잔량만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50)의 화면 전체에 영상을 표시하는 것보다는 배터리 잔량만을 표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2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배터리 잔량의 상태 조건 이외에,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멀어지는지의 상태 조건을 고려하여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중에 고속 도로 휴게소를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설치된 자동차에서 사용자가 멀어지는 경우, 자동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화면을 오프시는 절전 모드로 동작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배터리(230)의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즉, 신호 세기가 임계 세기보다 작아지는 경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멀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가 열람하지 않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표시부(250)를 오프(OFF)시키는 절전 모드로 하여 배터리(230)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60)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 오프 상태에서 구동 온(ON)이 되도록 제어 명령을 무선 전송한다. 구동 온(ON) 제어 명령을 수신한 웨어러블 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화면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 온 시키는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참고로 임계 세기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웨어러블 단말기(100)와 가장 인접할때의 신호 세기인 신호 최대 세기보다는 작지만, 구동 온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는 최소 신호 세기보다 큰 신호 세기를 가져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200)가 절전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긴급 상황 등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표시부(25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열람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에 마련된 키입력 수단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모드 전환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260)는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별 구동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표시 화면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되도록 한다(S710).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는 주변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길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단속 카메라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휴게소 안내 네비게이션 정보 등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되는 중에, 주기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상태 조건을 측정하는 상태 조건 측정 과정을 가진다(S720). 상태 조건의 측정은 두 가지 상태 조건을 측정할 수 있는데, 하나는 배터리(230)의 잔량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멀어지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다.
배터리(230)의 잔량 상태의 상태 조건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표시부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230)의 전하량인 배터리 잔량을 측정한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기(1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와 멀어지는지 여부의 상태 조건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웨어러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그 후, 상태 조건이 미리 설정한 임계 조건에 미달되는 경우, 표시부(250)를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절전 모드 과정을 가진다(S730).
상태 조건이 배터리 잔량 상태일 때의 절전 모드의 동작 과정은,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낮은 경우, 표시부를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구동 온(ON)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표시부를 절전 모드로 동작시켜 소비 전력을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구동온 제어 명령과 함께 웨어러블 단말기(100)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를 대신하여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태 조건이 웨어러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일 때의 절전 모드의 동작 과정은, 측정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 세기보다 낮은 경우, 표시부를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시키는 구동 온(ON)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멀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가 열람하지 않는 네비게이션 단말기(200)의 표시부를 오프(OFF)시키는 절전 모드로 하여 배터리(230)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근거리 무선 통신 거리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 온(ON)시켜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웨어러블 단말기(100)를 구동 온 시키는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을 없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웨어러블 단말기 200:네비게이션 단말기
210:무선 통신부 220:신호 세기 측정부
230:배터리 240:배터리 잔량 측정부
250:표시부 260:제어부

Claims (11)

  1. 웨어러블 단말기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보다 적은 구동 전력이 소비되도록 하는 절전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표시부;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 중에 상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상기 표시부에 발생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표시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전하량인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는 배터리 잔량 측정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배터리 잔량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온 제어 명령과 함께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되는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 세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는,
    상기 표시부를 오프시켜 아무런 영상도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 모드로 동작 중에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절전 모드를 종료하고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8.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 모드로 동작시키는 네비게이션 모드 과정;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 조건을 측정하는 상태 조건 측정 과정;
    상기 상태 조건이 미리 설정한 임계 조건에 미달되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모드 전환 명령을 표시부에 발생하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전송하는 절전 모드 전환 과정;
    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별 구동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건 측정 과정은, 상기 표시부에 구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의 전하량인 배터리 잔량을 측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 과정은, 상기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한 임계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별 구동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 과정은,
    상기 구동온 제어 명령과 함께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별 구동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건 측정 과정은, 웨어러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 과정은, 측정한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한 임계 세기보다 낮은 경우, 상기 표시부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상기 웨어러블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온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상태별 구동 방법.
KR1020140130198A 2014-09-29 2014-09-29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265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98A KR102265855B1 (ko) 2014-09-29 2014-09-29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198A KR102265855B1 (ko) 2014-09-29 2014-09-29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523A true KR20160037523A (ko) 2016-04-06
KR102265855B1 KR102265855B1 (ko) 2021-06-16

Family

ID=5579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198A KR102265855B1 (ko) 2014-09-29 2014-09-29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8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486B2 (en) 2016-06-10 2021-03-02 Apple Inc. Location source contro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4158A1 (en) * 2010-02-26 2011-09-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bypass based upon user-wearable security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20140014895A (ko) * 2012-07-27 201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 방법 및 장치
KR20140084461A (ko)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4158A1 (en) * 2010-02-26 2011-09-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bypass based upon user-wearable security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20140014895A (ko) * 2012-07-27 201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 방법 및 장치
KR20140084461A (ko) 2012-12-26 2014-07-07 제이와이커스텀(주) 자동차의 네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486B2 (en) 2016-06-10 2021-03-02 Apple Inc. Location sourc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855B1 (ko)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66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module power management
JP20071328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画面制御方法及び測定間隔制御方法
KR101529930B1 (ko) 이동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316777A1 (en) Portable terminal, navig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884649B2 (ja) 車載表示装置
JP6507997B2 (ja) ユーザ接近離隔推定システム
KR10147610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스마트 폰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20110115489A (ko)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과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CN109147371B (zh) 行驶路线确定方法及装置和计算机设备
JP2009063587A (ja) 表示装置、移動体用表示装置、輝度調整処理プログラム及び輝度調整方法
CN111373629A (zh) 一种无线充电的对位检测方法及电子设备
JP5906384B2 (ja) 無接点充電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無接点充電装置を搭載した車両
KR20160037523A (ko) 상태별 구동 모드를 가지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US10009851B1 (en) Battery charge level based mobile navigation system
CN110996383B (zh) 无线通信装置、电子表、传输功率控制方法、存储介质
KR102068174B1 (ko) 전력 소모가 적은 자산 관리 시스템
KR20160089752A (ko)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25551A (ko) 착탈식 보조 배터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실 및 도난 방지 방법
KR101558782B1 (ko) 차량 내 무선 충전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224910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制御方法
KR20130109772A (ko)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분실 방지 장치
EP2871091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DC in electric vehicle
KR100554149B1 (ko) 긴급 위치보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방법
US8989781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wer-saving method therefor
CN109314546B (zh)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