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50A - 전선 결속부재 - Google Patents

전선 결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50A
KR20170060650A KR1020150164729A KR20150164729A KR20170060650A KR 20170060650 A KR20170060650 A KR 20170060650A KR 1020150164729 A KR1020150164729 A KR 1020150164729A KR 20150164729 A KR20150164729 A KR 20150164729A KR 20170060650 A KR20170060650 A KR 2017006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bending member
hole
wire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8125B1 (ko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to KR1020150164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81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8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결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선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여 전선을 묶고자 할 경우 쉽고 신속하게 전선을 묶을 수 있는 전선 결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탄성재질의 밴딩부재와; 상기 밴딩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결합되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밴딩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는 대경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의 관통시 수축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밴딩부재보다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밴딩부재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클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와 클립부 사이에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밴딩부재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 결속부재 { CABLE BINDER }
본 발명은 전선 결속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선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하여 전선을 묶고자 할 경우 쉽고 신속하게 전선을 묶을 수 있는 전선 결속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결속부재는 여러 다발의 케이블이나 전선을 정리하여 묶어 두기 위하여 사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전선 결속부재는 좁은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와 다수의 후크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좁고 긴 밴드부를 구비한다.
밴드부를 헤드부에 삽입하면 밴드부의 돌기가 헤드부의 체결공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는 용이하게 미끄러지는 반면에 다른쪽 방향으로는 서로 걸리도록 하여 미끄러지지 못하게 함으로써, 한번 체결하면 쉽사리 풀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결속부재는 전선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결속부재를 별도로 소지하고 다녀야 하므로 분실의 위험이 있고, 결속후에는 돌출된 밴드부의 끝단을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사용 등이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056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72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전선에 결속부재를 결합시켜 분실의 위험이 없고 곧바로 전선을 묶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결속후에는 돌출된 부분을 절단함이 없이 삽입하여 보관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전선 결속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탄성재질의 밴딩부재와; 상기 밴딩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결합되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밴딩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는 대경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의 관통시 수축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밴딩부재보다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밴딩부재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클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와 클립부 사이에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밴딩부재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딩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배치되는 안착부가 상기 체결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밴딩부재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타단이 상기 체결공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바디부와 클립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밴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며,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밴딩부재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에 배치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반대방향인 상기 클립부의 타단 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클립부의 타단에는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인접하게 곡선형상으로 휘어진 가압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돌기보다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클립부의 타단에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정리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록킹부재에 형성된 바디부와 클립부 사이에 전선을 삽입 고정시킴으로써, 결속부재를 전선에 용이하게 결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바, 결속부재의 분실의 위험이 없고 곧바로 전선을 묶는데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밴드부재를 절단하지 않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고, 체결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삽입부를 정리홈에 삽입함으로써, 돌출된 부위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속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속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결속부재의 클립부에 전선을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밴딩부재로 전선을 감아 결속한 상태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는, 밴딩부재(10)와, 록킹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딩부재(10)는 긴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 체결공(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밴딩부재(1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12)는 상기 밴딩부재(10)가 휘어지면서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밴딩부재(1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밴딩부재(10)에는 상기 체결공(11)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는 대경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밴딩부재(10)을 휘어서 상기 삽입부(12)를 상기 체결공(11)에 삽입할 때, 상기 대경부(14)가 수축되거나 상기 체결공(11)이 확장되면서 관통하게 되고, 상기 대경부(14)가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한 후에서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체결공(11)보다 너비가 큰 상기 대경부(14)가 상기 체결공(11)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밴딩부재(10)는 여러 가닥의 전선(30)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부(12)가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여러 가닥의 전선(30)을 묶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록킹부재(20)는 상기 밴딩부재(10)보다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딩부재(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록킹부재(20)는 바디부(21)와 클립부(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21)는 상기 밴딩부재(1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상기 바디부(21)에는 결합공(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밴딩부재(10)가 상기 결합공(22)에 삽입되어 상기 밴딩부재(10)와 록킹부재(20)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밴딩부재(10)에는 상기 록킹부재(20)가 배치되는 안착부(13)가 상기 체결공(11)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3)에는 상기 밴딩부재(1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고정돌기(1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21)에는 상기 고정돌기(14)가 관통하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3)은 상기 바디부(21)에 형성된 결합공(22)과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재(20)를 상기 밴딩부재(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22)에 배치된 상기 고정돌기(14)는 상기 관통공(23)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22)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상기 클립부(25)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21)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부(25)의 일단은 상기 바디부(21)에서 일체로 연결되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21)의 상부에서 상기 체결공(11)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23)을 관통한 상기 고정돌기(14)는 상기 바디부(21)와 상기 클립부(2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14)와 클립부(25) 사이에 이어폰, 케이블 등의 전선(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4)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전선(30)의 굵기에 따라 압축되면서 상기 전선(30)이 상기 고정돌기(14)과 클립부(25) 사이에 가압된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디부(21)와 클립부(25) 사이에 배치된 상기 고정돌기(14)에는 상기 체결공(11)의 반대방향인 상기 클립부(25)의 타단 방향으로 경사부(1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4)에 상기 경사부(1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전선(30)을 상기 바디부(21)와 클립부(25) 사이에 삽입할 때 그 내부에 상기 고정돌기(14)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전선(30)을 용이하게 삽입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25)의 타단에는 상기 바디부(21) 방향으로 인접하게 곡선형상으로 휘어진 가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26)는 상기 고정돌기(14)보다 상기 체결공(11)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가압부(26)가 상기 바디부(21)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클립부(25)와 바디부(21) 사이에 배치된 전선(30)이 임의로 빠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25)의 타단에는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12)가 삽입되는 정리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12)가 상기 정리홈(2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12)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방법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평상시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선(30)을 상기 클립부(25)와 바디부(21) 사이에 삽입하여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를 상기 전선(30)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클립부(25)와 바디부(21)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전선(30)은 상기 클립부(25)와 고정돌기(14) 사이에서 가압 밀착되어 유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고정돌기(14)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굵기의 전선(30)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를 상기 전선(30)에 항상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전선 결속부재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곧바로 여러 가닥의 전선(30)을 묶어 결속시킬 수 있다.
전선(30)을 일정한 크기로 결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전선(30)을 일정한 길이로 지그재그 형태로 휘어서 중첩 배치한다.
그 후 상기 밴딩부재(1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12)를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된 여러 가닥의 전선(30)을 감싸도록 하면서, 상기 체결공(11)에 삽입한다.
사용자가 상기 체결공(11)은 관통한 상기 삽입부(12)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대경부(14)는 수축되거나 상기 체결공(11)이 확장되면서 상기 대경부(14)를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삽입부(12)를 강하게 잡아당겨 상기 밴딩부재(10)가 여러 가닥의 전선(30)을 팽팽하게 감싸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삽입부(12)를 더욱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12)는 더 긴 길이만큼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도출된 상기 삽입부(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부(25)에 형성된 상기 정리홈(27)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삽입부(12)로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상기 클립부(25)의 반대방향에 여러 가닥의 전선(30)이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클립부(25)가 배치된 방향에 여러 가닥의 전선(30)을 배치하여 결속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전선 결속부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밴딩부재, 11 : 체결공, 12 : 삽입부, 13 : 안착부, 14 : 대경부, 15 : 고정돌기, 16 : 경사면,
20 : 록킹부재, 21 : 바디부, 22 : 결합공, 23 : 관통공, 25 : 클립부, 26 : 가압부, 27 : 정리홈,
30 : 전선.

Claims (6)

  1.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타단에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탄성재질의 밴딩부재와;
    상기 밴딩부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결합되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밴딩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는 대경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의 관통시 수축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밴딩부재보다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밴딩부재에 결합되는 바디부와;
    일단이 상기 바디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클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와 클립부 사이에 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밴딩부재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감싸면서 상기 삽입부가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부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재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배치되는 안착부가 상기 체결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밴딩부재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는 타단이 상기 체결공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바디부와 클립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부재.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밴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결합공과 연통되며,
    상기 록킹부재를 상기 밴딩부재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에 배치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부재.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체결공의 반대방향인 상기 클립부의 타단 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부재.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타단에는 상기 바디부 방향으로 인접하게 곡선형상으로 휘어진 가압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고정돌기보다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부재.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의 타단에는 상기 체결공을 관통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정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결속부재.
KR1020150164729A 2015-11-24 2015-11-24 전선 결속부재 KR10177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29A KR101778125B1 (ko) 2015-11-24 2015-11-24 전선 결속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729A KR101778125B1 (ko) 2015-11-24 2015-11-24 전선 결속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50A true KR20170060650A (ko) 2017-06-02
KR101778125B1 KR101778125B1 (ko) 2017-09-14

Family

ID=59222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729A KR101778125B1 (ko) 2015-11-24 2015-11-24 전선 결속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8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56902A1 (en) * 2020-03-03 2023-11-09 Arnold G. Salotto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r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5605B2 (ja) * 2003-11-25 2009-06-24 株式会社エスケイ工機 封緘具
KR200463864Y1 (ko) * 2011-06-17 2012-11-29 이미정 고리가 구비된 전선 결속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56902A1 (en) * 2020-03-03 2023-11-09 Arnold G. Salotto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8125B1 (ko)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87B1 (en) Reusable cable tie
US11465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rds
KR20030019163A (ko) 케이블정리용 결속구
JP2008201403A (ja) 電気コネクタ留め具付き結束バンド
US9108779B1 (en) Wire tie device
JP6237581B2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101778125B1 (ko) 전선 결속부재
JP6317441B2 (ja) 結束バンド
KR200483892Y1 (ko) 케이블 타이
KR100233875B1 (ko) 케이블의 이탈방지장치
KR20150001045U (ko) 케이블 타이
JP6460855B2 (ja) 髪留め
WO20211785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cords
JP2016031116A (ja) 結束バンド
KR101169933B1 (ko) 케이블 안내유닛
JP3184991U (ja) 結束用バンド
KR20190000538A (ko) 착탈형 밴드 케이블
JP200313996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固定装置及びその結束固定方法
KR102432945B1 (ko) 자동차용 와이어 뭉치 고정구
JP2017067285A (ja) 結束バンド
KR101784817B1 (ko) 코드 밴드
KR101292638B1 (ko) 결속용 금속 밴드
JP7274143B2 (ja) すべり止め具
KR20190012573A (ko)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
KR200466917Y1 (ko) 고정용 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