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253A - 배수 펌프 - Google Patents

배수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253A
KR20170058253A KR1020160102420A KR20160102420A KR20170058253A KR 20170058253 A KR20170058253 A KR 20170058253A KR 1020160102420 A KR1020160102420 A KR 1020160102420A KR 20160102420 A KR20160102420 A KR 20160102420A KR 20170058253 A KR20170058253 A KR 20170058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edge portion
wing
wa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206B1 (ko
Inventor
카츠시 사토
나오야 오오키
마사토 스기노
유야 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170058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04D29/245Geometry, shape for special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7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04D29/242Geometry,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운전시의 정숙성의 더한층의 향상을 도모한 배수 펌프를 제공한다.
배수 펌프(1)에 사용되는 회전날개(50)는,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된 축부(52)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판상으로 형성된 물갈퀴면(61)을 구비하는 대경날개(60)와, 대경날개(60)의 하단연부에 연결된 복수의 판상의 소경날개(54)와, 물갈퀴면(71)을 구비하고 이웃하는 대경날개(60) 사이에 마련된 보조날개(70)를 갖고 있다. 종래, 대경날개(60) 및 보조날개(70)의 물갈퀴면(61, 71)에 의해 긁어내어진 물은 상연부(62)에 의해 yz방향, 측연부(63)에 의해 xy방향의 수류가 되어, 물갈퀴면의 배면에서 충돌, 난류를 발생시키고, 소음의 원인으로 되어 있지만, 수류 방향 규제부(101)에 의해 이것을 xy방향의 수류로 할 수가 있어서, 수류의 충돌에 의한 난류의 발생을 저감시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 펌프{DRAIN PUMP}
본 발명은, 배수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받아들이는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를 실외로 배수하는데 알맞은 배수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음성(靜音性)이 높은 배수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실내의 천장에 매입하는 형식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열교환기의 표면에서 응축된 드레인수를 받는 드레인 팬이 장비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를 실외로 배수하기 위해서는 배수 펌프(드레인 펌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원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고 공개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에 사용되는 배수 펌프를 종래 기술로서 설명한다. 도 5는, 종래의 배수 펌프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a)는, 도 5에 도시하는 배수 펌프에 사용되고 있는 회전날개의 한 예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하는 회전날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회전날개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7(a)는 평면도, 도 7(b)는 정면 종단면도, 도 7(c)는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또는 상방」 「하측 또는 하방」및 「내측 또는 내방」 「외측 또는 외방」 등의 용어는, 설명의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도 7(c)에 도시하는 xyz좌표축의 방향 및 회전날개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 관계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절대적인 방향으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즉, 「상측 또는 상방」 및 「하측 본 하방」이란, 도 7(c)의 z좌표축에 따라 상방 또는 하방을 의미하고, 「내측 또는 내방」 및 「외측 또는 외방」이란, 도 7(c)의 x 좌표축에 따라 도 7(c)의 우방향 또는 좌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화살표(xy, yz) 등으로, 수류(水流)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화살표의 향하는 측을 하류, 반대측을 상류로서 이용하고 있다.
전체를 부호 l로 나타내는 배수 펌프는, 모터(10)와, 모터(10)에 브래킷(20)을 통하여 부착되는 펌프 본체(30)를 갖는다. 펌프 본체(30)는 플라스틱제로서, 상부가 개구한 하우징(40)과, 하우징(40)의 상부 개구를 덮는 커버(3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40)은, 하단부에 개구부(43)를 갖는 파이프형상의 흡입구(42),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펌프실(44), 및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토출구(46)를 갖고 있다. 커버(32)는, 브래킷(2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40)과의 사이에 실 부재(34)를 끼운 상태로 하우징(40)과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40)의 펌프실(44) 내에는,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50)가 수용된다. 회전날개(50)는, 축부(52)와, 축부(52)의 외주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4매)의 평판형상의 대경날개(60)와, 각 대경날개(60)의 하단연부(下端緣部)에 연결됨과 함께 흡입구(42)에 삽입되는 복수(대경날개(60)와 동수인 4매)의 평판형상의 소경날개(54)를 갖고 있다.
축부(52)는, 커버(3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36)을 관통하여 모터(10)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축부(52)의 중심축에 따라 마련한 구멍(53)에 모터(10)의 구동축(12)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축부(52)의 상면에는, 수절원판(水切圓板)(14)이 부착되어 있고, 이 수절원판(14)은, 커버(32)의 관통구멍(36)으로부터 드레인수가 분출하였다고 하여도, 모터(10)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각 대경날개(60)의 하단연부는, 내경측으로 하경사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각 하단연부는, 중앙에 개구부(57)를 갖는 원반형상의 환형상 부재(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웃하는 대경날개(60, 60)의 사이에는, 보조날개(70)(도 6(a), 도시의 예에서는 4매)가 환형상 부재(56)로부터 세워져서(立設) 마련되어 있고, 이 보조날개(70)와 대경날개(60)에 의해 펌프의 양정(揚程)을 확보할 수 있다. 각 대경날개(60)와 각 보조날개(70)의 외측연부는 환형상 평탄면(5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환형상 평탄면(55)의 상단연부의 위치는, 대경날개(60)와 보조날개(70)의 상단연부의 위치보다 낮게 되어 있다.
배수 펌프(1)는, 그 흡입구(42)가 도시되지 않은 드레인 팬에 고인 드레인수의 표면보다도 하측이 되도록 적절히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10)를 구동하여 회전날개(50)를 회전(예를 들면 화살표(R) 방향(도 6(a))시키면, 드레인 팬에 고인 드레인수가 흡입구(42)로부터 흡입되고, 펌프실(44)을 통하여 토출구(46)로부터 토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회전날개(50)에 의하면, 각 대경날개(60) 및 보조날개(70)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어 드레인수 내로부터 발생한 기포를 포함한 수류는, 환형상 평탄면(55)을 타고넘어 토출구(46)로 스무스하게 흐르기 때문에, 커버(32)의 저면(35)으로의 기포의 충돌이 완화되어, 소음이 감소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수 펌프(1)가 정지한 때에, 토출구(46)로부터 하우징(40)의 펌프실(44)로 되돌아오는 물은, 환형상 평탄면(55)에 부딪치고, 환형상 평탄면(55) 에의 완충에 의해 서서히 확산되기 때문에, 되돌아오는 물에 기인하는 소음의 저감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 펌프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2-138992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의 배수 펌프에서는, 배수 펌프의 정음성에 대한 일정한 효과가 확인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배수 펌프의 회전날개는, 도 7(a) 및 도 7(c)에 수류를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날개의 상연부(62)와 측연부(63)의 접속부분인 모서리부(A)의 근방에서, 대경날개(60) 및 보조날개(70)의 회전 방향의 면인 물갈퀴면(대경날개(60)의 물갈퀴면(61) 및 보조날개(70)의 물갈퀴면(71))에 의해 회전날개의 상방의 수류(yz방향의 흐름)와 외측방향향의 수류(xy방향의 흐름)로 나뉘어서 물이 긁어내어짐으로써, 회전날개의 물갈퀴면과 반대측의 면(즉 회전날개를 끼우고 하류측), 특히 회전날개의 상연부(62)와 측연부(63)와의 접속부, 즉 모서리부 근방에서, 다른 벡터의 수류가 충돌하기 때문에, 수류에 혼란이 생기고, 주위의 공기가 기포가 되어 혼류(混流)하여 버리고, 이것이 파열됨에 의해 약간의 진동이나 소음이 생기는 일이 있다. 이것은 보조날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근래, 거실 내 공간의 더한층의 정적성이 요방되고 있고, 종래의 배수 펌프에서도 더한층의 정음성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날개 및 보조날개의 물갈퀴면에 의해 긁어내어지는 수류의 특정한 벡터 방향을 규제하고, 같은 벡터 성분을 갖는 수류를 만들어 내여, 수류의 혼란을 억제하고 수류에의 기포의 혼류를 방지하여, 더한층의 운전시의 정숙성을 도모한 배수 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는, 하단부에 흡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측부에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에 마련된 회전날개와, 그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배수 펌프로서, 상기 회전날개는, 복수의 방사형상의 소경날개와, 당해 소경날개의 상방에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대경날개를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대경날개의 사이에는 보조날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경날개 및 상기 보조날개의 각각은, 물갈퀴면과, 그 물갈퀴면의 상연부에 그 물갈퀴면과 접속하는 상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물갈퀴면의 외측부에 그 물갈퀴면과 접속하는 측연부를 가지며, 상기 상연부의 외주단이고 또한 상기 측연부의 상방단(上方端)인 모서리부(角部)의 근방에는, 상기 회전날개 및 상기 보조날개의 상기 물갈퀴면에 의해 긁어내어지는 수류의 특정한 벡터의 수류를 규제하는 수류 방향 규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는,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원주형상(圓柱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연부의 외주측의 모서리부 근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는,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연부의 상단의 모서리부 근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는,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저면의 일방이 소폭부이고 타방이 대폭부인 유선형으로 한 주형상(柱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연부의 외주측의 모서리부 근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는,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저면의 일방이 소폭부이고 타방이 대폭부인 유선형으로 한 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연부의 외주측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측연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 펌프에 의하면, 대경날개가 긁어 돌리는 물이, 회전날개의 물갈퀴면에 부딪쳤던 후, 회전날개의 상방과 측방의 2개의 방향에 대해 상대적인 수류가 되어 안내되는데, 이 수류가 회전날개의 배면(즉 하류측)에서, 상방의 수류와 측방의 수류가 충돌한 때에 도 7(c)로 도시하는 바와 같은 yz방향의 벡터를 갖는 수류를 규제할 수 있고, 수류의 벡터를 xy의 벡터 방향으로 정돈함으로써, 난류의 발생을 경감하고, 수류에의 기포의 혼류를 억제하고, 소음의 발생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례에서의 배수 펌프에 사용되는 회전날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로서, (a) 평면도, (b) 단면도, (c)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례에서의 배수 펌프에 사용되는 회전날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로서, (a) 평면도, (b) 단면도, (c)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례에서의 배수 펌프에 사용되는 회전날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로서, (a) 사시도, (b) 평면도, (c), (d), (e) 다른 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례에서의 배수 펌프에 사용되는 회전날개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배수 펌프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종래의 배수 펌프에 사용되는 회전날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회전날개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a) 평면도, (b) 단면도, (c)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례의 배수 펌프의 회전날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 평면도, (b) 정면도, (c)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의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례의 회전날개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와 동등한 도면이다. 이들의 회전날개는, 모터의 출력 회전축에 부착되고,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배수 펌프의 펌프실 내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종래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 실시례)
도 l은, 본 발명에서의 배수 펌프에 사용되는 회전날개(대경날개)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a)는 회전날개의 주요부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하는 회전날개를 수류의 상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에 도시하는 회전날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배수 펌프의 회전날개(50)에는, 도시되지 않은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를 배수하기 위해, 복수의 대경날개(60)가 등각도로 마련되고, 이 대경날개(60)에는, 환형상 평탄면(55)을 넘어서 드레인수를 긁어내기 위한 물갈퀴면(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물갈퀴면(61)은, 대경날개(60)가 회전하는 방향에서의 그 대경날개(60)의 한 면이다.
또한, 회전날개(5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날개(도 1에서는 도시 생략)가 대경날개(60)의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경날개(60)에는 물갈퀴면(61)과 접속하여 상연부(62)가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물갈퀴면(61)으로부터 측연부(63)가 형성된다. 상연부(62)는, 그 외주단에서 측연부(63)의 상단이, 모서리부(A)에 의해 접속하여 있다.
이후, 대경날개(60)의 구성에 관해 상세히 기술하는데, 보조날개에서도 같은 구성을 이루는 것이어서, 재차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날개(60)의 상연부(62)의 외주측에, 수류 방향 규제부(101)를 형성한다. 수류 방향 규제부(101)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으로 수류를 받도록 상연부(62)로부터 직립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류 방향 규제부(101)를 마련함으로써, 회전날개(50)가 회전하여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를 배수할 때에, 대경날개(60)의 물갈퀴면(61)에 의해 긁어내어진 물은, 수류 방향 규제부(101)의 양 옆(脇)으로 분류(分流)하여, 주면(柱面)(원주의 측면)에 따라 흐른다. 이에 의해, 수류는 도 1(c)에서의 z축방향으로 향하는 일 없이, xy방향으로 흐른다. 즉 수류의 벡터로부터 z축 성분이 억제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수류 방향 규제부(101)의 배면(하류측)에서 스무스하게 합류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회전날개의 상연부 및 측연부, 즉 회전날개의 모서리부(A) 근방에서, 상연부(62)에 긁어내어진 yz방향의 수류와 측연부(63)에 긁어내어진 xy방향의 수류가 3차원적인 충돌을 하는 것을 방지하고, 모서리부(A) 근방에서는 xy방향으로 한정한 이른바 2차원적인 수류로 함으로써, 합류 전후에 있어서의 수류의 벡터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난류의 발생을 경감하고, 수류에의 기포의 혼류를 억제하고, 소음의 발생을 보다 억제하는 것을 실현하였다.
(제2 실시례)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례 2에서의 회전날개를 도시하고 있고, 도 2(a)는 회전날개의 주요부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하는 회전날개를 수류의 상류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에 도시하는 회전날개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례는, 대경날개(60)의 상연부(62)의 외주측에 수류 방향 규제부(101)를 마련하였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대경날개(60)의 측연부(63)의 상방측에 수류 방향 규제부(102)를 마련하고 있다.
제1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수류 방향 규제부(102)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면에 의해 수류의 벡터를 규제한다. 이와 같은 수류 방향 규제부(102)에 의해, 물갈퀴면(61)에 의해 긁어내어진 수류는, x축 성분을 억제한 yz방향의 벡터가 되어 수류 방향 규제부(102)의 상하로 분류하고, 수류 방향 규제부(102)의 배면에서 합류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모서리부(A) 근방의 수류의 벡터의 변동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례)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례에서의 회전날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b)는 동 도 (a)의 평면도이다. 그 형상은 제1 실시례의 수류 방향 규제부에 대신하여, 저면을 소폭부 및 대폭부를 갖는 가지형(즉 유선형)으로 하는 주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수류 방향 규제부(103)를 이용한 것이다. 이에 의해, 제1 실시례의 원주형상보다도 스무스한 수류의 규제가 가능해지고, 소음의 억제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b) 내지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류 방향 규제부(103)는, 대폭부와 소폭부의 어디를 상류측에 배치하는지, 또한, 여하한 기울기에 의해 배치하는지는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제4 실시례)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례에서의 회전날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례는, 대경날개(60)의 측연부(63) 전체를 저면 가지형(즉 저면 유선형)으로 하는 주형상의 수류 방향 규제부(104)로 하여, 물갈퀴면(61)과 일체 형성한 것이다. 제3 실시례는 상연부(62)와 측연부(63)로 이루어지는 대경날개(60)의 모서리부(A)의 수류를 벡터를 규제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례는, 수류 방향 규제부(104)에 의해, 측연부(63)의 보다 하방까지, 수류의 벡터의 규제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형상은 복잡화하는 것이지만, 제3 실시례보다도 높은 정음성을 실현하였다. 또한, 제3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수류 방향 규제부(104)는, 대폭부와 소폭부의 어느 것을 상류측에 배치하는지, 또한, 여하한 기울기에 의해 배치하는지는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례에 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실시례에서의 수류 방향 규제부는, 그 높이 방향의 치수는, 회전날개의 크기나 회전 속도 등에 응하여, 그 주형상부재의 저면의 면적이나 높이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례에 나타내는 원주형상의 수류 방향 규제부(101)를, 제4 실시례에 나타내는 수류 방향 규제부(104)와 같이 측연부(6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5 실시례)
도 8(a) (b) (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례의 배수 펌프의 회전날개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배수 펌프의 회전날개(50)에는, 드레인 팬 내의 드레인수를 배수하는 복수매의 소경날개(54)에 연속한 대경날개(60)가 마련되고, 이 대경날개(60)는, 그 회전 방향 전면에, 원반형상의 환형상 부재(56)의 환형상 평탄면(55)을 넘어서 드레인수를 긁어내기 위한 물갈퀴면(61)을 형성하고 있고, 대경날개(60)의 연부의 상측 단연부(77)에는 단부(72)가 형성되고, 외측 단연부(81)에는 단부(8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부(72)로부터 상측 단연부(77)에 세워지는 벽면으로서 상측 단연부 물갈퀴면(75A, 7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82)로부터 외측 단연부(81)의 방향으로 세워지는 벽면으로서 외측 단연부 물갈퀴면(8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단연부(81)에는, 대경날개(60)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수류 방향 규제부(10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5 실시례에서는, 대경날개(60)뿐만 아니라, 보조날개(70)에서도, 회전 방향 전면에 물갈퀴면(71)을 형성하고 있고, 그 상측 단연부(73)에는 단부(74)가 형성되고, 외측 단연부(83)에는 단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74)로부터 상측 단연부(73)에 세워지는 벽면으로서 상측 단연부 물갈퀴면(76)이 형성되고, 단부(84)로부터 외측 단연부(83)에 세워지는 벽면으로서 외측 단연부 물갈퀴면(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 단연부(83)에는, 대경날개(60)의 외측 단연부(81)와 마찬가지로, 보조날개(70)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수류 방향 규제부(100)를 형성하고 있다.
제5 실시례에서, 단부(72, 74)는, 각 대경날개(60) 및 각 보조날개(70)의 상측 단연부(77, 7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에 의해, 단부(72, 74)는, 드레인수의 수류를 상방으로 튀겨올려서 각 대경날개(60) 및 각 보조날개(70)의 상외방(上外方)으로 안내하는 작용을 이룬다. 또한, 단부(82, 84)는, 각 대경날개(60) 및 각 보조날개(70)의 외측 단연부(81, 8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에 의해, 단부(82, 84)는, 드레인수의 수류를 외방으로 튀겨올려서 각 대경날개(60) 및 각 보조날개(70)의 외방으로 안내하는 작용을 이룬다.
본 발명의 제5 실시례의 배수 펌프에서는, 다른 실시례에서 설명한 수류 방향 규제부에 의한 정음화의 효과에 더하여, 대경날개가 긁어 돌리는 물이, 회전날개의 물갈퀴면에 부딪쳤던 후, 회전날개에 대해 상대적인 수류로 되고 상측 단연부 물갈퀴면 및 외측 단연부 물갈퀴면에 안내되는데, 이 상측 단연부 물갈퀴면 및 외측 단연부 물갈퀴면에의 유수의 입사(入射) 방향을 회전날개의 물갈퀴면에의 유수의 입사각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날개의 단형상으로 형성된 안내부의 전후에서의 상대적인 수류가 균일하게 되어, 난류의 발생을 경감하고, 수류에의 기포의 혼류를 억제하고, 소음의 발생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때에, 대경날개의 물갈퀴면과 상측 단연부 물갈퀴면 또는 외측 단연부 물갈퀴면을, 소정의 곡률로서 연속한 곡면으로 형성함에 의해, 보다 균일한 상대적 수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5 실시례의 배수 펌프에서는, 보다 높은 정음화의 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 모터 12 : 구동축
40 : 하우징 42 : 흡입구
46 : 토출구 50 : 회전날개
52 : 축부 54 : 소경날개
55 : 환형상 평탄면 56 : 환형상 부재
60 : 대경날개 61 : 물갈퀴면(대경날개)
62 : 상연부(대경날개) 63 : 측연부(대경날개)
A : 모서리부(대경날개) 70 : 보조날개
71 : 물갈퀴면(보조날개) 100, 101 ∼ 104 : 수류 방향 규제부

Claims (5)

  1. 하단부에 흡입구가 마련됨과 함께 측부에 토출구가 마련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 내에 마련된 회전날개와, 그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배수 펌프로서,
    상기 회전날개는, 복수의 방사형상의 소경날개와, 당해 소경날개의 상방에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대경날개를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대경날개의 사이에는 보조날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대경날개 및 상기 보조날개의 각각은 물갈퀴면과, 그 물갈퀴면과 접속하는 상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물갈퀴면과 접속하는 측연부를 가지며,
    상기 상연부의 외주단이고 또한 상기 측연부의 상방단인 모서리부 근방에는, 수류 방향 규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연부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연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저면을 소폭부 및 대폭부를 갖는 유선형으로 한 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연부의 외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방향 규제부는, 저면을 소폭부 및 대폭부를 갖는 유선형으로 한 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연부의 외주측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측연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
KR1020160102420A 2015-11-18 2016-08-11 배수 펌프 KR102526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5819A JP6375285B2 (ja) 2015-11-18 2015-11-18 排水ポンプ
JPJP-P-2015-225819 2015-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253A true KR20170058253A (ko) 2017-05-26
KR102526206B1 KR102526206B1 (ko) 2023-04-27

Family

ID=5695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420A KR102526206B1 (ko) 2015-11-18 2016-08-11 배수 펌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71032B1 (ko)
JP (1) JP6375285B2 (ko)
KR (1) KR102526206B1 (ko)
CN (1) CN106989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4121B (zh) * 2018-04-13 2020-09-08 江苏大学 一种提高侧流道泵气液混输能力和效率的装置及设计方法
JP7123401B2 (ja) * 2019-01-30 2022-08-23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用回転羽根およびそれを有する排水ポン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498A (ja) * 1986-10-15 1988-04-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式カ−ド記録再生装置
JP2002138992A (ja) 2000-11-01 2002-05-17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JP2004353496A (ja) * 2003-05-28 2004-12-16 Sony Corp 薄型ファンモータ
JP2009030587A (ja) * 2007-06-29 2009-02-12 Denso Corp 遠心式多翼ファン
JP2010007909A (ja) * 2008-06-25 2010-01-14 Fujitsu General Ltd ドレンポン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1069257A (ja) * 2009-09-24 2011-04-07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JP2013064396A (ja) * 2011-08-30 2013-04-11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498U (ko) * 1986-12-17 1988-06-25
JP3910665B2 (ja) * 1996-10-11 2007-04-25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
CN1788165B (zh) * 2003-12-05 2011-04-13 大金工业株式会社 排水泵及具有该排水泵的空气调节装置
JP2006029214A (ja) * 2004-07-16 2006-02-02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US8747071B2 (en) * 2009-07-07 2014-06-10 Fujikoki Corporation Drain pump
CN102454628A (zh) * 2011-12-30 2012-05-16 新昌县富士精工科技有限公司 空调排水泵叶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498A (ja) * 1986-10-15 1988-04-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式カ−ド記録再生装置
JP2002138992A (ja) 2000-11-01 2002-05-17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JP2004353496A (ja) * 2003-05-28 2004-12-16 Sony Corp 薄型ファンモータ
JP2009030587A (ja) * 2007-06-29 2009-02-12 Denso Corp 遠心式多翼ファン
JP2010007909A (ja) * 2008-06-25 2010-01-14 Fujitsu General Ltd ドレンポン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1069257A (ja) * 2009-09-24 2011-04-07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JP2013064396A (ja) * 2011-08-30 2013-04-11 Fuji Koki Corp 排水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96104A (ja) 2017-06-01
EP3171032A1 (en) 2017-05-24
JP6375285B2 (ja) 2018-08-15
EP3171032B1 (en) 2021-02-17
KR102526206B1 (ko) 2023-04-27
CN106989068A (zh) 2017-07-28
CN106989068B (zh)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57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790421B1 (ko) 터보머신들의 인접한 블레이드 요소들의 흐름장들의 결합을 가하는 구조들 및 방법들, 그리고 그들을 포함하는 터보머신들
TWI324296B (en) Systems for improved blower fans
JP2011085095A (ja) 排気ターボ過給機のコンプレッサ
US20230213042A1 (en) Housing for a fan and fan
KR20170058253A (ko) 배수 펌프
KR101742965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2287385A (zh) 离心式风机
KR101601350B1 (ko) 배수 펌프
CN107532601B (zh) 用于风机的入口喷嘴、以及包括入口喷嘴的风机
JP2009287427A (ja) 遠心送風機
JP6602008B2 (ja) 排水ポンプ
WO2020241095A1 (ja) 送風機
US20160061213A1 (en) Pump Impeller
RU2776734C1 (ru) Вентилятор и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нтилятора
JP5227370B2 (ja) ドレンポンプ
KR102311191B1 (ko) 배수 펌프
JP2010223532A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CN105464995B (zh) 排水泵
WO2020158215A1 (ja) 排水ポンプ用回転羽根およびそれを有する排水ポンプ
JPH07293497A (ja) 多翼送風機
JP2005030349A (ja) 多翼ファン
KR20160005420A (ko) 전력절감형 저소음 송풍기
JP2023554341A (ja) ファンおよびファン用スクロールハウジング
JPH11148498A (ja) 立軸ポンプの吸込水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