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768A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768A
KR20170057768A KR1020150161338A KR20150161338A KR20170057768A KR 20170057768 A KR20170057768 A KR 20170057768A KR 1020150161338 A KR1020150161338 A KR 1020150161338A KR 20150161338 A KR20150161338 A KR 20150161338A KR 20170057768 A KR20170057768 A KR 2017005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upport
head
filling
cervical s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448B1 (ko
Inventor
고도담
김아람
고진수
김원기
조은자
박성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합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합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합상사
Priority to KR102015016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4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상면과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의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전면과 후면, 상기 상면과 하면의 단변을 각각 연결하는 양 측면을 구비하는 베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상기 전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 양측에 상기 중앙지지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두께로 구비되는 측면지지부들로 구분되고, 상기 양 측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와,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부로 구분되는 베개 내커버; 상기 베개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경추 지지부 및 머리지지부의 2행과, 상기 중앙지지부 및 측면지지부들의 3열로 구획하도록 상기 상면과 하면 간을 연결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배게 내커버 내의 구획 공간 각각에 충전되는 충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충전재를 채운 충전 베개에 있어서 경추 보호를 위한 경추 지지부와 머리 지지를 위한 머리 지지부를 구비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제공하고, 내부 충전물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독립적인 구획공간을 구비함으로써 형상유지가 반영구적으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좋은 다양한 소재를 충전재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시 자세변화에 뒤척임 없이도 숙면을 가능하게 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누웠을 때 사람의 몸무게는 머리 8%, 가슴부위 33 %, 골반 44 %, 다리 15 %로 분산된다. 몸무게가 70kg 인 사람의 경우 베개가 5,6 kg을 지탱하는 셈이므로 적당한 탄력의 베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너무 푹신하거나 딱딱한 것도 좋지 않으며, 너무 딱딱하면 신경이 눌리고 혈관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방해가 된다. 또 너무 부드러우면 경추를 지탱하지 못해 목에 무리를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치우친 베개를 사용하게 되면 경추가 압박을 받게 되고, 두통, 코골이가 발생된다. 불균형한 베개 사용시에는 두통이나 어깨 통증이 유발되며, 턱이 높을시 얼굴이 붓거나 머리 통증이 유발되는 등의 좋지 못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좋은 베개의 조건을 갖추려면 반듯하게 누운 자세에서 뒷머리와 목 부분을 탄력있게 지지하며, 목뼈를 C자형으로 바르게 유지할 수 있고, 어느 한쪽으로 뒷머리가 치우지지 않도록 잡아줘야 하고, 경추의 압박이 없고, 혈액 순환의 장애를 주지 않으며, 통기성이 부여되어야 한다.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는 머리 측면부와 목 부분을 탄력있게 지지하며 척추뼈가 일직선으로 바르게 유지할 수 있고, 머리가 좌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해야한다. 특히 현대인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므로 목디스크에 걸리기 쉽다. 목디스크는 목에 생기는 경추질환으로,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학업에 매진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 그 위험에 노출될 염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530368호 "목 균형 및 경추 교정이 가능한 쿠션 베개"(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척추 중 목뼈를 이루는 경추 부분의 교정이 가능하며, 수면 중 목의 균형이 유지되고, 지압 효과로 혈액 순환이 좋아지고, 뒷머리가 편안하며 똑바로 누워 자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목 균형 및 경추 교정이 가능한 쿠션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장변과 단변에 의해 이루어진 바닥면과,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상면을 갖추어 전,후면 및 양 측면이 포함된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베개 몸체부와; 상기 베개 몸체부의 전면과 상면이 만나는 에지부에서 상향으로 상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융기되어 형성된 목 걸침유도용 융기부와; 상기 목 걸침유도용 융기부의 중앙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목부 경추받침턱과; 상기 목부 경추받침턱으로부터 베개 몸체부의 전방으로 돌설되어 목 뒷 부분의 흉골을 받쳐주는 흉골 받침턱; 및 상기 목부 경추받침턱의 후방에 상면보다 일정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머리 받침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경기술의 경우 일정한 형상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메모리 폼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형태의 유지가 어려워지고, 선행기술과 같이 통기성을 위하여 통기구들을 형성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탄성과 구조적 형상면에서의 유지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로 눕거나 옆으로 누워 숙면을 취하는 경우 뒤척임이나 자세 수정 시 자연스럽게 지지가 가능한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성을 구비하면서도 베개의 입체적인 형상의 유지가 반영구적으로 가능한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개의 부분적인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한다.
각각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상면과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의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전면과 후면, 상기 상면과 하면의 단변을 각각 연결하는 양 측면을 구비하는 베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상기 전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 양측에 상기 중앙지지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두께로 구비되는 측면지지부들로 구분되고, 상기 양 측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와,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부로 구분되는 베개 내커버; 상기 베개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경추 지지부 및 머리지지부의 2행과, 상기 중앙지지부 및 측면지지부들의 3열로 구획하도록 상기 상면과 하면 간을 연결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배게 내커버 내의 구획 공간 각각에 충전되는 충전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들의 폭은 상기 중앙지지부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머리지지부의 내측 공간부에는 상하부가 각각 상기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고, 양측의 단부는 상기 충전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면과 상기 구획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구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추 지지부의 폭은 상기 머리지지부의 폭에 비하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행 3열로 구획되는 각 공간부는 각각 상기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입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입구는 각각 지퍼부재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 내커버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배게 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게 외커버의 상면의 내측에는 상기 2행 3열로 구획되는 공간에 대응하는 크기 및 위치에 형성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충전부재를 포함하는 보충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충전재를 채운 충전 베개에 있어서 경추 보호를 위한 경추 지지부와 머리 지지를 위한 머리 지지부를 구비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제공하고, 내부 충전물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독립적인 구획공간을 구비함으로써 형상유지가 반영구적으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좋은 다양한 소재를 충전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에 비하여 중앙부의 양 측면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큰 측면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옆으로 눕는 경우에도 베개의 위치를 정돈하기 위하여 뒤척임 없이도 자연스럽게 어깨로부터 경추까지의 수직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용 보충팩을 수용가능한 배게 외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베개의 높이를 조절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베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추 교정용 배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베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베개 중 상부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개된 베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외커버의 저면을 절개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베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는 베개 내커버(100)를 포함한다. 베개 내커버(100)는 내측에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충전물이 충전된다.
베개 내커버(100)는 일반적인 베개 커버를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개 내커버(100)는 자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이 혼방된 직조물로 제조될 수 있다.
충전물(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베개 충전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용 솜, 동물의 털, 합성수지 충전물, 세라믹 칩 및 곡물의 껍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베개 내커버(100)는 경추(목)과 머리의 위치 관계, 사용자의 수면 자세에 따라 지지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입체적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 내커버(100)는 (특히, 충전물로 내부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면(P3), 하면, 전면(P1), 후면 및 양 측면(P5)을 구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면(P3)과 하면은 각각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육면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응하는 위치의 면으로 가정한다. 정면(P1)과 후면은 상면(P3)과 하면의 장변간을 연결하는 면으로 가정한다. 상면(P3)과 하면의 단변 간을 연결하는 면은 양 측면(P5)이라 가정한다.
이 때 전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베개 내커버(100)의 전면은 중앙지지부(A1)와 측면 지지부(A2)로 구분된다. 중앙지지부(A1)은 전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양측의 측면 지지부(A2)에 비하여 낮은 높이, 즉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측면 지지부(A2)는 중앙지지부(A1)의 양측에 위치하며 중앙지지부(A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 즉 더 큰 두께로 형성된다.
중앙지지부(A1)는 사용자가 반듯이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경추와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이고, 측면 지지부(A2)는 사용자가 우측으로 돌아 눕거나 좌측으로 돌아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측면에 대응하여 지지하는 구성부이다.
이 때 중앙 지지부(A1)의 폭은 측면 지지부(A2)의 폭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지지부(A1)에 사용자의 경추와 머리가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측으로 돌아 눕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는 측면 지지부(A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일반적인 베개의 경우 베개의 폭이 좁기 때문에 사용자가 베개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베개의 위치를 바로잡거나 자신의 자세를 바꾸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10)의 경우 측면 지지부(A2)의 폭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베개의 위치나 사용자의 자세를 바꾸더라도 자연스러운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측면(P5)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배게 내커버(100)의 측면(P5)은 경추 지지부(B1)와 머리 지지부(B2)로 구분된다.
경추 지지부(B1)는 수면 자세에서 인체의 경추, 즉 목 부분을 지지하며, 머리 지지부(B2)는 수면 자세에서 인체의 머리 부분을 지지한다. 경추 지지부(B1)는 머리 지지부(B2)에 비하여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즉, 경추 지지부(B1)와 머리 지지부(B2)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굴곡에 따라 높이가 형성된다. 또한 경추 지지부(B1)의 폭은 머리 지지부(B2)의 폭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게(10)는 높이에 따라 총 6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베게의 정면과 측면에서 바라본 영역 구분의 조합에 따라 중앙 경추 지지부(A1, B1), 측면 경추 지지부들(A2, B1), 중앙 머리 지지부(A1, B2) 및 측면 머리 지지부(A2, B2)로 구분될 수 있다.
중앙 경추 지지부(A1, B1)와 중앙 머리 지지부(A1, B2)는 사용자가 정자세에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 각각 경추와 머리를 지지하고, 경추 지지부들(A2, B1)와 측면 머리 지지부(A2, B2)는 사용자가 돌아누운 자세에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 각각 경추와 머리를 지지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베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베개 중 상부를 절개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개된 베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내측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을 구비함으로써 충전물을 충전하게 된다. 이 때 내부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서 형성되는 경우 베게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렵고 사용 상태에 따라 베개 내부에 충전된 충전물이 쏠리는 현상으로 인하여 의도하는 부분적인 높이의 차이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베개 내커버의 내부는 6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10)와 이를 보조하는 보조 구획부재(120)를 구비한다.
구획부재(110)는 앞서 설명한 6개의 구분영역, 즉 중앙 경추 지지부(A1, B1), 측면 경추 지지부들(A2, B1), 중앙 머리 지지부(A1, B2) 및 측면 머리 지지부(A2, B2)에 대응하여 베개 내커버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중앙 경추 지지부(A1, B1)에 대응하여 제1 공간(S1)을 구획하고, 측면 경추 지지부들(A2, B1)에 대응하여 제2 및 제3 공간(S2, S3)를 구획한다. 또한 중앙 머리 지지부(A1, B2)에 대응하여 제4 공간(S4)를 구획하고, 측면 머리 지지부(A2, B2)에 대응하여 제5 및 제6 공간(S5, S6)를 구획한다. 이와 같이 구획부재(110)는 베개 내커버의 내측을 2행 3열의 총 6개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 때 각 구획 공간들은 앞서 설명한 중앙 경추 지지부(A1, B1), 측면 경추 지지부들(A2, B1), 중앙 머리 지지부(A1, B2) 및 측면 머리 지지부(A2, B2)들의 상대적인 폭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내지 제3 공간(S1, S2, S3)는 측면(P5)을 바라보는 시점 상에서 제4 내지 제5 공간(S4, S5, S6)에 비하여 적은 폭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4 공간(S1, S4)는 정면(P1)을 바라보는 시점 상에서 제2, 제3, 제5 및 제6 공간(S2, S3, S5, S6)에 비하여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5 공간(S5)과 제6 공간(S6)은 각각 측면 머리 지지부(A2, B2)에 대응하는 공간으로서 구획된 공간 중 가장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에 따른 충전물의 쏠림 현상이 가장 크게 발생할 수 있어 일정한 형태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쏠림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제5 공간(S5)과 제6 공간(S6)에는 보조 구획부재(120)를 구비한다.
구획부재(110)와 보조 구획부재(12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베개 내커버의 상면(P3)와 하면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한다. 구획부재(110)는 구획하는 공간들을 채우고 있는 충전물들이 상호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비되나, 보조 구획부재(110)는 단순히 충전물들의 이동을 일정 정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보조 구획부재(120)는 상면(P3) 및 하면에는 상단 및 하단부가 고정되나, 측면의 단부는 후면(P2) 및 구획부재(110)와는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구획부재(120)는 제5 공간(S5)과 제6 공간(S6) 각각을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구획된 공간 간에 충전물이 이동가능한 통로의 면적을 줄여 충전물의 쏠림 현상을 최소화하고 지지를 강화해 준다.
또한 2행 3열로 구획되는 각 공간부(S1, S2, S3, S4, S5, S6)는 각각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입구는 지퍼부재와 같이 개폐 가능한 타입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외커버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개 외커버의 저면을 절개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저면사시도이다.
베개 외커버(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 들을 이용하여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충전물이 충전된 베개 내커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게 외커버(20)는 외커버 부재(200)를 구비한다. 외커버 부재(200)는 베개 내커버를 수용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커버 부재(200)의 내측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포켓부(K1, K2, K3, K4, K5, K6)가 형성된다.
각 포켓부(K1, K2, K3, K4, K5, K6)들은 앞서 설명한 베개 내커버의 구획된 공간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각 포켓부(K1, K2, K3, K4, K5, K6)는 개구부(K21, K61)들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소정 크기의 보충팩(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다.
보충팩은 내부에 충전물이 충전되어 있는 패키지 형태로 각 포켓부(K1, K2, K3, K4, K5, K6)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일이 베개 내커버를 개방하여 충전물을 채우는 것은 개량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번거로울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규격의 보충팩을 미리 구비한 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보충팩을 각 포켓부(K1, K2, K3, K4, K5, K6)에 수용시킴으로써 앞서 설명한 베개 내커버의 각 구획공간의 개별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충팩은 일반적인 베개 커버를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충팩은 자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이 혼방된 직조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충전물(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베개 충전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용 솜, 동물의 털, 합성수지 충전물, 세라믹 칩 및 곡물의 껍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베개
100: 베개 내커버
110: 구획부재
120: 보조 구획부재
20: 베개 외커버

Claims (9)

  1. 각각 장변과 단변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상면과 하면, 상기 상면과 하면의 장변을 각각 연결하는 전면과 후면, 상기 상면과 하면의 단변을 각각 연결하는 양 측면을 구비하는 베개에 있어서,
    상기 전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중앙지지부와, 상기 중앙지지부 양측에 상기 중앙지지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두께로 구비되는 측면지지부들로 구분되고, 상기 양 측면을 바라보는 시점에서 경추를 지지하기 위한 경추 지지부와, 머리를 지지하기 위한 머리지지부로 구분되는 베개 내커버;
    상기 베개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상기 경추 지지부 및 머리지지부의 2행과, 상기 중앙지지부 및 측면지지부들의 3열로 구획하도록 상기 상면과 하면 간을 연결하는 구획부재; 및
    상기 배게 내커버 내의 구획 공간 각각에 충전되는 충전부재;를 포함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들의 폭은 상기 중앙지지부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는 베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머리지지부의 내측 공간부에는 상하부가 각각 상기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고, 양측의 단부는 상기 충전부재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면과 상기 구획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보조 구획부재를 포함하는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지지부의 폭은 상기 머리지지부의 폭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행 3열로 구획되는 각 공간부는 각각 상기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입구를 구비하는 베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의 충전을 위한 입구는 각각 지퍼부재로 개폐되는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 내커버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배게 외커버를 더 포함하는 베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게 외커버의 상면의 내측에는 상기 2행 3열로 구획되는 공간에 대응하는 크기 및 위치에 형성되는 포켓부를 더 포함하는 베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충전부재를 포함하는 보충팩을 더 포함하는 베개.
KR1020150161338A 2015-11-17 2015-11-17 베개 KR10175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338A KR101756448B1 (ko) 2015-11-17 2015-11-17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338A KR101756448B1 (ko) 2015-11-17 2015-11-17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768A true KR20170057768A (ko) 2017-05-25
KR101756448B1 KR101756448B1 (ko) 2017-07-19

Family

ID=5905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338A KR101756448B1 (ko) 2015-11-17 2015-11-17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25B1 (ko) 2019-01-17 2020-08-14 김종현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KR102499433B1 (ko) 2019-01-17 2023-02-13 김종현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KR102154345B1 (ko) * 2019-07-30 2020-09-09 전병률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KR102158943B1 (ko) * 2019-12-03 2020-09-22 하승우 사용자 맞춤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4817A (ja) * 2010-05-07 2011-11-24 Sandesica:Kk 乳幼児用枕
KR101283411B1 (ko) * 2013-03-22 2013-07-08 김문식 숙면 유도용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448B1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48B1 (ko) 베개
US9113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ervical contour pillow
US9089230B2 (en) Pillow having a plurality of polygonal units
US11638494B2 (en) Adjustable sleeping pillow that balances the body pressure ratio
US6931682B2 (en) Pillow with central area having lower fill volume
US20200154912A1 (en) Multi-Chamber Adjustable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WO2014066535A2 (en) Neck support pillow
US10925420B2 (en) Adjustable ergonomic pillows
US20200100606A1 (en) Personalize pillow
US20120023676A1 (en) Orthopedic pillow having oblong central aperture
KR101234996B1 (ko)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US8650683B2 (en) Pillow
KR101530368B1 (ko) 목 균형 및 경추 교정이 가능한 쿠션 베게
KR200477586Y1 (ko) 기능성 베개
KR102345937B1 (ko) 적층형 베개
KR101787439B1 (ko) 기능성 베개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KR20130006357U (ko) 경추 보호용 베개
JP3077473U (ja)
KR20200129686A (ko) 경추 보호용 베개
JP7216400B2 (ja) 横向き寝用枕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200497420Y1 (ko) 베개
KR102520310B1 (ko)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