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725B1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4725B1 KR102144725B1 KR1020190006347A KR20190006347A KR102144725B1 KR 102144725 B1 KR102144725 B1 KR 102144725B1 KR 1020190006347 A KR1020190006347 A KR 1020190006347A KR 20190006347 A KR20190006347 A KR 20190006347A KR 102144725 B1 KR102144725 B1 KR 102144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member
- auxiliary
- accommodation space
- receiving space
- parti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2—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fixing, or finishing, in upholstery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및 그 침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및 그 침구에 의하면,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구 내부의 메인 수용공간에 보조 수용공간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개나 쿠션, 방석과 같은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간 생활의 일과 중 대부분은 잠자리를 통하여 휴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안락한 수면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수면을 취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베개를 포함한 침구라 할 수 있다. 특히, 어깨 결림 · 코골이 · 두통 · 불면증 등의 대부분은 베개를 잘못 베거나 잘못 선택한 데 있다고 하는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종래의 베개는, 너무 딱딱하거나 물렁하거나 높거나 낮아서 머리와 목 부위가 침구에 잘 안착되지 않고, 특히 잠자는 동안 머리와 베개가 따로 놀거나 침구를 베고 있어도 머리가 자유자재로 이동되어 목과 어깨 선의 흐름을 깨트리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일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201호(공고일 : 2002.07.31)에 개시된 기능성 베개는, 침구 몸체의 표면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약간 돌출된 목 받침구가 형성되며, 심재는 통상의 폴리우레탄 메모리 폼으로 하고, 내피는 통상의 아미크로(AMICRO) 섬유직으로 하고, 외피는 통상의 에어로쿨(AEROCOOL) 섬유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성 베개는 심재가 폴리우레탄 메모리 폼으로 특정한 형태를 가진 하나의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높낮이 조절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음은 물론, 자는 동안 침구와 머리가 따로 움직임으로써 숙면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정면으로 눕거나 옆으로 누웠을 때에도 같은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편안함을 추구할 수 없었다.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4446호(공고일 : 2009.12.29)에는 기능성 베개개시되어 있다. 기능성 베개는, 내부에 좌, 우, 중간 구획부가 구비되는 외피와, 상기 좌, 우 구획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좌, 우 구획부에 부합되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라텍스봉과, 상기 중간 구획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간 구획부에 부합되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라텍스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성 베개는, 외피의 내부를 좌 구획부와 우 구획부 및 중간 구획부로 구분한 후 각각의 구획부에 라텍스봉과 라텍스패드를 삽입하여 높이가 서로 다른 베개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베개는, 높이가 서로 다른 라텍스봉과 라텍스패드를 사용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른 베개를 제공할 수는 있었으나, 각 구획부를 베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정면으로 누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정면으로 누운 사용자의 머리가 옆으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4097호(2017.08.03)에는 구획부를 갖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베개는 구획부에 의해 쿠션이 구획됨으로써 사용자의 두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었다.
그러나, 외피의 상부와 하부를 재봉하여 구획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봉선 영역에 골이 형성되면서 해양 영역의 내부 충전재가 다른 영역의 충전재에 비하여 더 단단하게 뭉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와 하부를 직접 재봉함으로써 재봉 부위가 깊게 오목하게 들어가 큰 오목부가 발생하여 외관을 해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56448호(공고일 : 2017.07.19)에는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에 따른 베개는, 구획부재(110)가 6개의 구분영역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형으로 이루어진 구획부재(110)는 내부 공간에 충전되는 충전물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획부재(110)의 상단 및 하단은 베개 내커버의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한다. 이러한 베개에 의하면, 내부에 채워진 충전재의 쏠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구획부재를 구비한 베개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구획부재를 베개 내커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베개 내커버의 상면과 하면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 후 뒤집어 가장자리의 시접이 내부로 향하도록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의 베개의 경우에 베개 내커버의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후 뒤집어 가장자리의 시접 부위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었으나, 구획부재를 구비한 전술한 베개는 '+'형의 구획부재가 상판과 하판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를 재봉한 후 뒤집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시접부위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베개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침구 내부의 일부에만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뒤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개나 방석 또는 쿠션과 같은 침구의 내부에 내부공간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구획부재를 상,하부 구획부재로 구분하여 일부 영역에 설치한 후 침구를 뒤집어 상판과 하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용 시접부위가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침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채움재가 충진되는 메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베개, 방석 및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로서,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중앙 전체 또는 중앙 일부분에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는 구분되고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가 충진되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침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재단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이루는 구획부재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재단하되,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될 상부 구획부재와 상기 하판부재에 결합될 하부 구획부재로 구분하여 각각 재단하는 단계; b) 재단이 완료되면, 상기 상판부재의 내부면 중앙영역 또는 한쪽 변에 접한 영역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상기 하판부재의 내부면 중앙영역 또는 한쪽 변에 접한 영역에 상기 하부 구획부재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되,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의 가장자리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각 내부면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가 각 내부면에 결합되면,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의 각 외부면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겹친 후 입구를 제외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외부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둘레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각 내부면에 각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결합된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가 형성하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으로 서로 결합하여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외부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뒤집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상기 메인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메인 수용공간 내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위치하면, 상기 메인 수용공간에 상기 채움재를 충진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는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상기 보조 채움재를 충진하여 침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a)단계는,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다각형을 이룰 경우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에 코너 형성용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상,하부 구획부재가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내부면 한쪽 변에 접한 영역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입구는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와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를 제외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메인 개폐수단을 결합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보조 개폐수단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각 상기 외부면이 서로 맞닿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각 외부면이 외부로 드러나 상기 메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 또는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를 통하여 뒤집은 후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결합된 둘레 가장자리를 스티치 가공하여 마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베개, 방석 또는 쿠션으로 이루어진 침구로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형성되는 메인 수용공간에 채움재가 충진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중앙영역 또는 한쪽 가장자리 쪽으로 치우친 영역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에 의해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는 구분되어 형성되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는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가 충진되어,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채움재는,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채움재는, 곡물 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움재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채움재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상기 편백칩과 상기 솜을 혼합하여 상기 솜의 올 사이에 상기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침구가 베개인 경우에,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높이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어깨와 옆머리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상기 채움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침구가 방석인 경우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와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보조 개폐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방석, 쿠션 등을 포함하는 하나의 침구로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침구 내부의 일부에만 구획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뒤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숙면 또는 휴식을 위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수용공간에는 고체로 된 채움재를 충전하여 사용자가 베고 누웠을 때 반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메인 수용공간에는 솜과 같이 반력을 갖는 채움재를 충전하여 반력을 갖는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반력 쿠션감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침구의 내부에 내부공간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구획부재를 상,하부 구획부재로 구분하여 구성함으로써 메인 수용공간의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용 시접부위가 내부공간, 즉 메인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 수용공간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 시접부위가 메인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베개나 방석 또는 쿠션과 같은 침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침구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에 도시된 침구로서 베개를 사용하는 상태를 표현한 개략도로, 사용자가 반듯하게 누운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고, (b)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운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에 도시된 침구로서 베개를 사용하는 상태를 표현한 개략도로, 사용자가 반듯하게 누운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고, (b)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운 상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획부를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는,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형성되는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가 충진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전체 또는 중앙 일부분에 메인 수용공간(S1)과는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되는 보조 수용공간(S2)에는 채움재(50)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60)가 충진되어,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침구(10)는 베개, 방석 또는 쿠션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베개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부 구획부재(40A)는 상판부재(20)의 내부면(23)에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되고, 하부 구획부재(40B)는 하판부재(30)의 내부면(33)에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되며, 각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반대쪽 변 가장자리는 서로 재봉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결합된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에 의해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 중앙 한쪽에 메인 수용공간(S1)과는 구분되는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과 보조 수용공간(S2)이 구분되어 형성됨으로써,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되는 채움재(50)와는 쿠션감이 다른 보조 채움재(60)가 충전될 수 있다. 즉,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되는 채움재(50)는, 부드러운 쿠션감과 복원력(반력)을 제공하는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보조 수용공간(S2)에 충전되는 보조 채움재(60)는, 독립적으로는 딱딱한 쿠션감을 갖지만 집합된 상태에서는 적절한 변형성을 발휘하여 안정된 지지력을 갖는 재료, 즉 복원력(반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재료로서, 곡물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에는 복원력(반력)을 갖는 재료를 충진하여 복원력의 쿠션감을 제공받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재료를 충진하여 복원력(반력)이 발생되지 않는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메인 수용공간(S1)에 반력이 없는 재료를 충진하고, 보조 수용공간(S2)에 반력이 발생되는 재료를 충진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되는 채움재(50)가 솜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채움재(50)는, 솜 85 - 95중량%와, 편백나무를 대패로 가공하여 얻어진 편백칩 5 - 15중량%로 이루어지되, 3-7mm의 크기로 절단된 편백칩과 솜을 혼합하여 솜의 올 사이에 편백칩이 균일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솜과 편백칩이 혼합됨으로써, 부드러운 쿠션감이 제공됨과 동시에 편백칩으로부터 피톤치드 및 특유의 편백 향이 발산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에는 메인 개폐수단(70A)이 설치되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보조 개폐수단(70B)가 각각 설치된다. 메인 개폐수단(70A) 및 보조 개폐수단(70B)은 지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추 또는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보조 수용공간(S2)은, 10 - 14cm의 높이(H), 23 - 27cm의 길이(L) 및 12 - 18cm의 폭(W)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수치 한정은, 베개로 이루어진 침구(10)의 전체 길이가 60cm이고, 폭이 40cm이며, 높이는 15cm인 것을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보조 수용공간(S2)이나 침구(10)의 높이(H)는 12cm으로 한다. 만약 12cm 미만일 경우에 높이가 너무 낮아 불편하고, 12cm 이상일 경우에는 고개가 꺽여 경추에 무리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조 수용공간(S2)의 길이(L)는 25cm로 하고, 폭(W)은 15cm로 한다. 이는 보조 수용공간(S2)이 사용자의 뒷머리만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너무 크면 옆으로 돌아 누웠을 때 딱딱한 쿠션이 옆머리를 자극하게 되고, 너무 작으면 정면으로 누웠을 때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충분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가 발생한다.
이때, 메인 수용공간(S1)의 높이(보조 수용공간을 제외한 침구 전체 영역의 높이)를 15cm로 한다. 이는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어깨와 옆머리 사이의 거리와 같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메인 수용공간(S1)에는 보조 수용공간(S2)에 충전되는 보조 채움재(60)보다 더 많은 양의 채움재(50)가 충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20)의 가장자리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를 재봉함에 따라 형성된 시접부위(8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메인 수용공간(S1)에 위치하게 되므로 침구(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또한, 시접부위(80)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시접부위(80)를 스티치 가공(90)(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외부에서 시접부위를 재봉하는 가공)하여 마감하므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 결합영역이 보다 견고하고 미려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로서의 베개는, 보조 수용공간(S2)에 충전된 보조 채움재(60)의 쿠션감과 메인 수용공간(S1)에 충전된 채움재(50)의 쿠션감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에게 두 가지의 쿠션감을 제공할을 수 있다. 특히,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 수용공간(S2)을 베고 눕게 되면, 독립적으로는 딱딱하나 집합된 상태에서는 적절한 변형 쿠션감을 제공하는 보조 채움재(60)가 사용자의 뒷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메인 수용공간(S1)의 높이가 보조 수용공간(S2)보다 높게 형성된 경우에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옆으로 돌리더라도 보조 수용공간(S2)의 끝부분에서 상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메인 수용공간(S1)의 돌출부(26)에 지지되므로 사용자는 머리의 흔들림이나 위치 이탈없이 안정적인 숙면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워 옆머리로 메인 수용공간(S1)의 상부를 베면, 사용자의 옆머리와 어깨 바깥면 사이의 거리와 침구(10)의 높이, 즉 메인 수용공간(S1)의 높이가 같거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고개의 꺽임 없이 안정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S2)을 갖는 침구(10)로서의 베개는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 내부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므로 각 부품을 재봉하기 매우 곤란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러한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S2)을 갖는 침구(1O)로서 베개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a) 단계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재단하고, 보조 수용공간(S2)을 이루는 구획부재(40)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재단하되, 상판부재(20)에 결합될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판부재(30)에 결합될 하부 구획부재(40B)로 구분하여 각각 재단한다.
이때,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에 코너 형성용 노치(42)를 각각 형성한다. 코너 형성용 노치(42)는, 보조 수용공간(S2)이 다각형을 이룰 경우에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코너 형성(굽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보조 수용공간(S2)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변은 상,하판부재(20,30)의 가장자리에 접한 상태이므로 폭방향 양쪽 마주보는 위치 2곳에 각각 절개하여 형성한다. 물론, 보조 수용공간(S2)은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크기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의 직물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서 메쉬구조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b)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상,하판부재(20,30)와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재단이완료되면, 상판부재(20)의 내부면(23) 한쪽에 상부 구획부재(40A)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하판부재(30)의 내부면(33) 한쪽에 하부 구획부재(40B)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즉,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양쪽 각 양단이 각 내부면(23,33) 한쪽 가장자리에 각각 접하도록 재봉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 기준선(L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각 내부면(23,33)에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를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는 상,하판부재(20,30)의 한쪽 변 가장자리에 각 양 단부가 접하도록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ㄷ"자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획부재(40)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로 구분하여 상,하판부재(20,30)에 결합하는 것은 다음 공정에서 시접부위(80)가 메인 수용공간(S1) 및 보조 수용공간(S2)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가 각 내부면(23,33,)에 각각 결합되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도록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겹친 후(양쪽 외부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한 후)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즉,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와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는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의 입구와 반대방향에 형성되며, 각각의 입구(S1-1,S2-1)는 상판부재(20)의 가장자리와 하판부재(30)의 가장자리 사이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에 메인 개폐수단(70A)을 재봉하여 설치하고,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 보조 개폐수단(70B)을 재봉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메인 개폐수단(70A)과 보조 개폐수단(70B)은 지퍼로 이루어지고, 각 수용공간(S1,S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는 상,하부 구획부재(40A,40B)가 결합된 쪽의 상,하판부재(20,30)의 한쪽 가장자리에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과정으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외부로 드러나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도록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에 설치된 메인 개폐수단(70A)을 개방하거나, 또는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 설치된 메인 개폐수단(70B)을 개방하고 이를 통하여 뒤집은 후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결합된 둘레 가장자리를 스티치 가공(90)하여 마감한다. 이 스티치 가공(90)에 의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결합부위(시접부위)에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플랜지부에 의해 침구(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 있으며, 시접부위(80)가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 단계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둘레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내부면(23,33)에 각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결합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를 기준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가 형성하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S3) 내부에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위치시킨 후,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를 재봉으로 서로 결합하여 전술한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예비 보조 수용공간(S3) 내부에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삽입시킴으로써,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를 재봉하여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에 의해 메인 수용공간(S1)의 한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
만약, 구획부재(40)가 1개로 이루어질 경우에 구획부재(40)를 상,하판부재(20,30)의 각 내측면(23,33)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S3)의 내부에서 재봉을 해야 하므로 재봉 작업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반듯하게 재봉하기 어렵고, 특히 결합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획부재(40)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로 구분하여 전술한 과정으로 결합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e)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가 재봉되어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되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25,35)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 설치된 보조 개폐수단(70B)를 통하여 보조 수용공간(S2)에 위치하는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를 외부로 꺼내어(다시 뒤집음)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 한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도록 한다.
즉,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가 재봉되어 상호 결합된 상,하부 구획부재(40A,40B)가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도록 임시 보조 수용공간(S3)의 내부에 위치한 상,하판부재(20,30)를 보조 개폐수단(70B)을 통하여 꺼내 뒤집는다.
이 과정으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 한쪽에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
f) 단계
전술한 과정으로, 메인 수용공간(S1)의 일측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면, 메인 개폐부재(70A)를 통하여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를 충진하고, 보조 개폐부재(70B)를 통하여 보조 수용공간(S2)에는 채움재(50)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6)를 충진하여 침구(10)를 완성한다.
이상의 과정으로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구획부재(40)를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로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획부재(40)를 이용하여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보조 수용공간(S2)을 수용하는 메인 수용공간(S1)을 갖는 베개와 같은 침구(1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10)가 방석이나 쿠션과 같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보조 수용공간(S2)이 침구(10)의 중앙, 즉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방석이나 쿠션과 같은 침구(10)의 활용도 및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구(10)의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보조 수용공간(S2)에 곡물 재료, 씨앗 재료, 비드나 큐빅 형상의 목재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비드 재료, 석재로 된 비드 재료, 합성수지재로 된 튜브칩 재료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보조 채움재(60)를 충전하고, 메인 수용공간(S1)에는 양모 재료, 솜 재료, 다운 재료, 직물 재료, 스펀지 재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채움재(50)를 충전하거나, 그 반대로 충전함으로써, 침구(10)를 방석이나 쿠션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 채움재(50)를 편백나무로 된 비드나 목재 형상의 재료로 구성할 경우에 보조 채움재(50)로부터 편백향이 발산되므로 사용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방석이나 쿠션과 같은 침구(10)를 제조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침구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 영역(반드시 중앙 영역은 아니고 가장자리에 접하지 않은 위치도 포함)에 위치하는 침구(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b) 단계에서, 상판부재(20)의 내부면(23) 중앙영역에 상부 구획부재(40A)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하판부재(30)의 내부면(33) 중앙영역에 하부 구획부재(40B)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획부재(40)는 상,하판부재(20,30)의 중앙영역에 사각형을 이루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상,하부 구획부재(40A,40B)가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내부면(23,33) 중앙영역에 결합되면, c) 단계를 진행하여,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외부면(25,35)이 서로 맞닿도록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를 겹친 후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를 제외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한다.
이때,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메인 개폐수단(70A)을 재봉하여 결합한다.
이어서 d) 단계를 진행한다. 즉,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둘레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각 내부면(23,33)에 각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결합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를 기준으로,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가 형성하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S3) 내에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위치시킨 후(넣은 후),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를 재봉으로 서로 결합하여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하부 구획부재(40A,40B)의 한쪽 변 가장자리가 상,하판부재(20,30)의 중앙영역에 결합된 상태에서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가 결합되면, 전술한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는 메인 수용공간(S1)의 입구(S1-1) 방향을 향하는 반대쪽 변 가장자리(44A,44B 사이에 형성되고, 보조 수용공간(S2)의 입구(S2-1)에는 지퍼로 이루어진 보조 개폐수단(70B)이 결합되어 입구(S2-1)를 개폐한다. 여기서, 보조 개폐수단(70B)은 전술한 b) 단계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보조 수용공간(S2)이 형성되면, e) 단계를 진행하여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의 외부면(25,35)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뒤집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재(20)와 하판부재(30) 사이에 메인 수용공간(S1)이 형성되고 메인 수용공간(S1)의 중앙영역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메인 수용공간(S1)의 일측에 보조 수용공간(S2)이 위치하면,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를 충진하고, 보조 수용공간(S2)에는 채움재(50)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60)를 충진하여 침구(10)를 완성한다. 이때, 보조 수용공간(S2)이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위치하여 보조 개폐수단(70B)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보조 수용공간(S2)에 보조 채움재(60)를 먼저 충전한 후 보조 개폐수단(70B)를 닫아 보조 채움재(60)의 이탈을 방지한 후 메인 수용공간(S1)에 채움재(50)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침구(10)는 베개로 이용될 수 있으나, 방석이나 쿠션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방석이나 쿠션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침구(0)의 전체 높이가 10cm 미만으로 낮도록 채움재(50)나 보조 채움재(60)의 충전량을 낮춘다.
한편,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은 다양한 형태, 다양한 갯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독립된 보조 수용공간(S2)에는 각각의 보조 개폐수단(70B)가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며, 그 제조방법도 전술한 각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구획부재(40)를 상부 구획부재(40A)와 하부 구획부재(40B)로 구분하여 최종적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구획부재(40)를 이용하여 메인 수용공간(S1)의 내부에 보조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부 구획부재(40A,40B)를 폭방향 양쪽 변 가장자리를 상,하판부재(20,30)에 직접 재봉하여 결합하므로, 침구(10)의 외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아 침구(10)의 외관이 미려하게 될 수도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침구 20 : 상판부재
30 : 하판부재 40 : 구획부재
40A : 상부 구획부재 40B : 하부 구획부재
50 : 채움재 60 : 보조 채움재
70A : 메인 개폐부재 70B : 보조 개폐부재
80 : 시접부위 90 : 스티치 가공
30 : 하판부재 40 : 구획부재
40A : 상부 구획부재 40B : 하부 구획부재
50 : 채움재 60 : 보조 채움재
70A : 메인 개폐부재 70B : 보조 개폐부재
80 : 시접부위 90 : 스티치 가공
Claims (10)
-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채움재가 충진되는 메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베개, 방석 및 쿠션을 포함하는 침구로서,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중앙 전체 또는 중앙 일부분에 상기 메인 수용공간과는 구분되고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보조 채움재가 충진되는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침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재단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이루는 구획부재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재단하되,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될 상부 구획부재와 상기 하판부재에 결합될 하부 구획부재로 구분하여 각각 재단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다각형을 이룰 경우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에 코너 형성용 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b) 재단이 완료되면, 상기 상판부재의 내부면 중앙영역 또는 한쪽 변에 접한 영역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상기 하판부재의 내부면 중앙영역 또는 한쪽 변에 접한 영역에 상기 하부 구획부재의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되,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의 가장자리 기준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의 각 내부면에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가 각 내부면에 결합되면,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하판부재의 각 외부면이 서로 맞닿도록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를 겹친 후 입구를 제외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여 결합하고,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각 상기 외부면이 서로 맞닿도록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각 외부면이 외부로 드러나 상기 메인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 또는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를 통하여 뒤집은 후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결합된 둘레 가장자리를 스티치 가공하여 마감하는 단계;
d)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외부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둘레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각 내부면에 각 폭방향 한쪽 변 가장자리가 결합된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가 형성하는 예비 보조 수용공간 내에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일부영역을 포함한 각 코너영역을 잡아당겨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를 재봉으로 서로 결합하여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상부 구획부재와 하부 구획부재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가 재봉되어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외부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뒤집어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 사이에 상기 메인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메인 수용공간 내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이 위치하면, 상기 메인 수용공간에 상기 채움재를 충진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에는 상기 채움재와는 다른 쿠션감을 갖는 상기 보조 채움재를 충진하여 침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상,하부 구획부재가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내부면 한쪽 변에 접한 영역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입구는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와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를 제외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둘레 가장자리를 재봉하고, 상기 메인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메인 개폐수단을 결합하며,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보조 개폐수단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상,하부 구획부재가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의 내부면 중앙영역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수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입구는 상기 상,하부 구획부재의 각 폭방향 반대쪽 변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보조 수용공간의 입구에는 보조 개폐수단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347A KR102144725B1 (ko) | 2019-01-17 | 2019-01-17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KR1020200050830A KR102499433B1 (ko) | 2019-01-17 | 2020-04-27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6347A KR102144725B1 (ko) | 2019-01-17 | 2019-01-17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0830A Division KR102499433B1 (ko) | 2019-01-17 | 2020-04-27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513A KR20200089513A (ko) | 2020-07-27 |
KR102144725B1 true KR102144725B1 (ko) | 2020-08-14 |
Family
ID=7189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6347A KR102144725B1 (ko) | 2019-01-17 | 2019-01-17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472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06690A (ja) * | 2003-06-16 | 2005-01-13 | Kyoto Nishikawa:Kk | 枕 |
JP2016106908A (ja) * | 2014-12-09 | 2016-06-20 | クロスクリエイション株式会社 | 枕 |
JP2016168141A (ja) * | 2015-03-12 | 2016-09-23 | 株式会社甲斐 | 布団カバーおよび布団 |
JP6001024B2 (ja) * | 2014-08-29 | 2016-10-05 |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プレス機械のワーク搬送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4446B1 (ko) | 2007-11-13 | 2009-12-29 | 김영걸 | 기능성 베개 |
KR20130006357U (ko) * | 2012-04-25 | 2013-11-04 | 주옥자 | 경추 보호용 베개 |
KR20150075526A (ko) * | 2013-12-26 | 2015-07-06 | 박상금 | 황토염색과 천연염색을 결합한 원단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 이불 |
KR200484097Y1 (ko) | 2015-05-29 | 2017-08-03 | 권영택 | 베개 |
KR101756448B1 (ko) | 2015-11-17 | 2017-07-19 | 주식회사 백합상사 | 베개 |
-
2019
- 2019-01-17 KR KR1020190006347A patent/KR10214472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06690A (ja) * | 2003-06-16 | 2005-01-13 | Kyoto Nishikawa:Kk | 枕 |
JP6001024B2 (ja) * | 2014-08-29 | 2016-10-05 |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プレス機械のワーク搬送装置 |
JP2016106908A (ja) * | 2014-12-09 | 2016-06-20 | クロスクリエイション株式会社 | 枕 |
JP2016168141A (ja) * | 2015-03-12 | 2016-09-23 | 株式会社甲斐 | 布団カバーおよび布団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9513A (ko) | 2020-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3524A (en) | Multi-adjustment cervical pillow | |
US6931682B2 (en) | Pillow with central area having lower fill volume | |
US9107519B2 (en) | Portable sleeping assembly | |
US10631674B2 (en) | Adjustable pillow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 |
US20130283533A1 (en) | Pillow | |
US20110010863A1 (en) | Cushioned support devices | |
JP2022536421A (ja) | クッション用のクッション性カバー | |
US20210235899A1 (en) | Multi-use ergonomic pillow | |
US7356864B1 (en) | Tubule featherbed | |
JP2016106908A (ja) | 枕 | |
US20050188463A1 (en) | Mattress cover | |
US20080010753A1 (en) | Mattress With Independent and Detachable Parts | |
US20230389712A1 (en) | Bedding system, kit and method | |
US7346947B2 (en) | Pillow with central area having lower fill volume | |
KR102144725B1 (ko)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 |
KR102499433B1 (ko) |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 |
US11369220B2 (en) | Variable contour pillow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CN204889428U (zh) | 组合变形枕 | |
RU2798906C1 (ru) | Подушка-конструктор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 |
US20240251964A1 (en) | Elastomeric grid including discrete cushioning elements | |
JP3236376U (ja) | 構造体 | |
CN210008822U (zh) | 一种新型分区枕头 | |
JP2009247592A (ja) | 枕 | |
JP3034324U (ja) | 多機能枕 | |
JP2024010303A (ja) | 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