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996B1 -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 Google Patents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996B1
KR101234996B1 KR1020110004064A KR20110004064A KR101234996B1 KR 101234996 B1 KR101234996 B1 KR 101234996B1 KR 1020110004064 A KR1020110004064 A KR 1020110004064A KR 20110004064 A KR20110004064 A KR 20110004064A KR 101234996 B1 KR101234996 B1 KR 10123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cervical
pillow
filling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6754A (ko
Inventor
정효철
Original Assignee
정효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철 filed Critical 정효철
Priority to KR102011000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8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경추 밀착형의 기능성 숙면베개에 있어서, 상기 숙면베개는 외피와 머리받침부재(300), 또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목받침부재(400)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목받침부재를 이어주는 연결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300)는, 수면자의 후두부를 받치며, 세 개의 영역으로 격벽 분리되되, 그 중 중간 영역부는 사용자 체형에 맞추어 충진재가 충진된 후두받침부 (330)를 형성하고, 상기 후두받침부의 양측에는 머리받침 측면부재(310,320)가 연결되되, 상기 후두받침부(330)보다 높이가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됨과 동시에,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500,501)를 형성하도록 머리받침측면부재 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수면자의 경추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추밀착부(415) 및 완충부 (415)를 포함하되, 상부는 충진재(420)가 망 수단 혹은 천 내부에 채워져 경추밀착부(415)로 구성되고, 하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완충부(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가 제시된다.

Description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A pillow to stick on the cervical vertebrae for sound sleep}
본 발명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숙면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형태의 수면 습관 즉, 반듯하게 잠을 자는(이하 "정자세 수면"이라 칭함) 유형이나 옆으로 돌아 누워 잠을 자는(이하 "측자세 수면"이라 칭함) 유형에 관계 없이 하나의 베개로써 모두 적응 가능하며, 또한 수면자의 신체 유형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두 사용 가능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일생의 1/3 가량을 수면으로 사용하게 되며 현대인들은 수면의 중요성을 상당히 인식하여 충분한 숙면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은 장시간의 컴퓨터 작업 또는 텔레비젼 시청에 의해서 목은 돌출되고 등은 굽은 굴신(屈身) 형태의 신체가 많으며 게다가 베개도 높은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아 목 디스크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더라도 피로를 호소하는 현대인들이 많은 것을 보더라도 베개의 중요성은 더욱 크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있음에도 인체 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보다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실제 이용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베개는 찾기 힘든 상황이며 이로 말미암아 피로에 지친 학생이나 직장인 및 주부들은 적시에 수면에 의한 피로 회복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착안하여 본 발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베개는 일반적으로 둥근 통자형이 사용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수면 습관이나, 신체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됨으로써 경추, 등, 어깨 근육이 압박되고 혈액의 순환이 원활치 않도록 하며 경추의 곡선이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초래하는 등, 편안한 수면을 유도하는 기능을 충분히 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베개의 경도와 관련해서는 목침과 같이 매우 딱딱한 베개 혹은 그와 반대로 깃털 등을 이용한 아주 부드러운 베개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베개 과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서 만성적인 신체 피로와 경추 및 근육 피로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곤 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 상술된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종래 베개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 베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목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를 분리하여, 수면을 하는 습관에 따라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경추 부근의 신체 굴곡 부위를 따라 최대한으로 밀착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경추부위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옆으로 돌아누운 상태에서 턱과 어깨 사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워줌으로써 인체공학을 최대한 반영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간편한 조작 만으로도 베개의 형태와 위치를 변경하여 수면자의 선택해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면을 취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추 밀착형의 기능성 숙면베개에 있어서,
상기 숙면베개는 머리받침부재(300),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목받침부재(400)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목받침부재를 이어주는 연결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300)는,
수면자의 후두부를 받치며, 세 개의 영역으로 격벽 분리되되, 그 중 중간 영역부는 충진재가 충진된 후두받침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후두받침부의 양측에는 머리받침 측면부재(310,320)가 연결되되, 상기 후두받침부(330)보다 높이가 같거나 더 높게 충진재가 충진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500,501)를 형성하도록 머리받침측면부재 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수면자의 경추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추밀착부(415) 및 완충부(410)를 포함하되, 상부는 충진재(420)가 그물망(메쉬) 등의 망 수단 혹은 천 내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경추밀착부(415)로 구성되고, 하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완충부(4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가 제시된다.
상기 경추밀착부(415)의 표면형상은,
그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충진재가 돌출된 돌출부(450)와 상기 돌출부 사이 공간인 오목부(440)가 형성되어져 경추 자극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숙면베개는 상기 형태이외에도 외피를 이용하여 목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를 모두 인입시키는 구조로도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즉 머리받침부재(300),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목받침부재(400)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목받침부재를 인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외피(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300)는,
수면자의 후두부를 받치며, 세 개의 영역으로 격벽 분리되되, 그 중 중간 영역부는 충진재가 충진된 후두받침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후두받침부의 양측에는 머리받침 측면부재(310,320)가 연결되되, 상기 후두받침부(330)보다 높이가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됨과 동시에,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500,501)를 형성하도록 머리받침측면부재 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수면자의 경추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추밀착부(415) 및 완충부(410)를 포함하되, 상부는 충진재(420)가 그물망(메쉬) 등의 망 수단 혹은 천 내부에 채워져 형성되는 경추밀착부(415)로 구성되고, 하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완충부(41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외피(200) 중 목받침부재(400)를 수용하는 공간의 단부에는 통기부(220)가 마련되고 상기 통기부 외주면을 따라서 탄성력을 가진 탄성조임부 (230,231)가 형성되어,
목받침부재(400)의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함과 동시에 베개 내부의 위생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상세한 본 발명의 구조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술토록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첫째, 목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를 분리하여, 수면을 하는 습관에 따라 베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경추 부근의 신체 굴곡 부위를 따라 최대한으로 밀착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경추부위 자극을 가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함으로써, 경추이완 및 스트레칭 효과로 경추 보호와 교정, 목 디스크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목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혈행 개선과 피로의 신속한 해소 및 코콜이 방지라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세째 머리받침 측면부재 단부에서 돌출된 턱및어깨공간채움부에 의하여, 수면자가 옆으로 돌아누운 상태에서도 턱과 어깨 사이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워줌으로써 목의 자세를 바로 잡아 주는 기능을 하여, 목 통증 유발 차단 및 통증 완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네째 본 발명의 베개는 간편한 조작 만으로도 베개의 형태와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혁신적인 베개 구조를 가지며, 수면자의 선택해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외형 사진이다.
도 2는 수면자가 도 1의 베개에 반듯하게 누운 상태의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을 구성하는 요소별로 분해 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목받침부재의 단면을 보이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5의 목받침부재에 충진재가 채워진 상태의 상측에서 바라 본 사진 및 그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베개의 일측을 접어 옆으로 눕기 편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는 수면자를 촬영한 것이다.
도 8은 도 7의 베개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촬영 사진이다.
도 9는 도 7과는 또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10은 도 9의 아래 사진과 동일한 상태에서, 목받침부재 만을 빼 내어 촬영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목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 및 이를 소정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한 도면이다.(외피가 없음)
도 12는 도 11의 목받침부재에 외피를 감싼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인용하며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당업자 수준에서 변형가능한 발명으로서 균등한 범주 내의 발명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이 자명하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외형 사진이고 도 2는 수면자가 도 1의 베개에 반듯하게 누운 상태의 사진이다.
도 1의 우측은 수면자의 정수리 부분에 인접한 부분이고, 도 1의 목받침 부분에는 수면자 목 뒤의 옴폭 패인 부분에 맞닿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목받침부분의 높이는 머리받침부분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형상일 때, 경추가 밀착되는 부위가 목의 밑부분에서 깊고 넓게 받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수면자의 후두부는 머리받침부분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을 구성하는 요소별로 분해 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들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즉, 머리받침부재(300)와,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목받침부재(400)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목받침부재를 인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외피(200)를 포함하여 본 기능성 베개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머리받침부재(300)는 수면자의 후두부를 받치며, 세 개의 영역으로 격벽 분리되되, 그 중 중간 영역부는 충진재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충진된 후두받침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후두받침부(330)의 양측에는 머리받침 측면부재(310,320)가 연결된다.
머리받침측면부재(310,320)는 중간의 후두받침부(330)보다 높이가 같거나 더 높게 충진재가 충진, 형성시켜 수면시 머리가 좌우로 움직일 때 이를 편안하게 안아주는 형태이다.
도 3의 머리받침부재(300)와 목받침부재(400)가 삽입되는 외피(200)의 절개된 선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바뀌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머리받침측면부재(300)의 단부는 가운데의 후두받침부(330) 보다 더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U 자 형태의 만곡된 형상이며, 이렇게 돌출된 부분이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도 1, 500,501)가 되며, 이러한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는 도 7과 같이 베개를 접어서 자연스럽게 높아진 높이로 측자세 수면을 취할 때, 사용시 턱과 어깨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후두받침부(330)의 충진재로는 만형자 혹은 녹두가 바람직하고, 머리받침측면부재(310,320)의 충진재로는 비중이 가벼운 메밀껍질이나 메모리폼 등이 바람직하지만, 당업계에서 베개 충진재로 사용하는 여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하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목받침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수면자의 경추에 밀착될 수 있도록 목 뒤의 옴폭한 부분(통상 C-CURVE 부분이라 함)에 대응되는 형상(도면 참조)으로 형성되어 목 뒤를 전체적으로 감싸안을 수 있는 쿠션 역할을 할 수 있다.
목받침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경추밀착부(415) 및 완충부(410)를 포함하되, 상부는 충진재(420)가 그물망(메쉬) 등의 망 수단 또는 천 내부에 채워져 경추밀착부(415)로 구성되고, 하부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완충부(4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수면자의 목을 올려 놓았을 때 목의 하중에 의해 충진재가 목받침부재 내부에서 일부 이동을 함과 동시에 목 뒤를 감싸면서 수면자의 목 뒤 공간을 충분히 채워 줄 수 있게 되어 안락한 수면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목받침부재의 단면을 보이는 사진이다. 단면은 크게 베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완충부(410)와 경추밀착부(415)로 나뉘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목받침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5와는 달리 목받침부재(400) 내부를 완충부(410)와 경추밀착부(415)로 구별하여 나누지 않고, 일체의 통으로 목받침부재 내부 공간을 자작나무편 등의 가볍고 단단한 재료만을 충진하여 제작하는 형태(미도시)도 가능하고,
혹은 메모리폼(혹은 라텍스) 등의 충진재로 모두 채워서 제작할 수도 있음(미도시)은 물론이다.
도 5와 같이 완충부(410)의 기능은, 메모리폼 등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고, 경추밀착부(415) 부위의 기능은 목 뒤의 경추부위와 베개 사이의 공간이 없도록 밀착해서 단단하면서 빈틈없이 받쳐 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추 밀착부의 충진재로서의 조건은, 가벼움과 동시에 단단한 자작나무 편(片) 혹은 만형자가 바람직하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여하한 충진재를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6에는 목받침부재의 측면 형상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서와 같은 충진재 이외에도 표면의 길이 방향 (A방향)을 따라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여러 줄로 평행하게 자작나무 편(片)이 인입되어져 있다.
도면부호 450은 충진재가 인입되어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이고, 도면부호 440은 충진재 사이의 골 부분에 해당하는 오목한 부위이다.
a-a 단면도로 볼 때, 충진재가 충진되어 있고 그 표면에 별도로 충진재가 여러 줄로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줄의 충진재는 별도로 망 수단 혹은 천을 제작하여 그 안에 충진하는 방법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돌출부(450)는 경추 부분을 자극하여 뇌 혈행 개선 및 안마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외피(200) 중 목받침부재(400)를 수용하는 외피(200) 모서리 양측 공간에는 통기부(220)가 마련되고, 상기 통기부 외주면을 따라서 탄성력을 가진 탄성조임부 (230,231)가 형성된다.
탄성조임부는 바람직하게는 고무줄 등 탄성력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목받침부재(400)의 단부를 잡아 주어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중앙측의 통기부(220) 내부로 공기가 순환되기 용이하여, 베개 내부의 위생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진재에서 발산되는 허브향을 맡을 수 있는 바, 숙면을 유도하는데 현저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베개의 일측을 접어 옆으로 눕기 편하도록 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는 수면자를 촬영한 것(좌측사진) 및 도 7 우측 그림은 좌측 사진과는 반대편으로 누운 수면자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베개를 접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8의 위쪽 사진과 같이 본 발명의 베개를 펼쳐 놓은 상태에서, 머리받침측면부재(310,320)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위인 턱및어깨공간채움부(500, 501)를 잡고서 B방향(도 8)으로 접되, 턱및어깨공간채움부(500,501)가 베개(도 8의 위쪽 도면)의 좌측 단부를 지나도록 접어서 사용하면 도 7과 같이 옆으로 누운 자세로 베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큰 특징중의 하나가 턱및어깨공간채움부(500,501)인데, 도 7에서와 같이 수면자의 팔과 턱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모두 메꾸어 줌에 의하여, 수면자의 턱의 움직임을 최소화 시켜 안정도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또한 턱및어깨공간채움부(500) 아래로는 수면자의 팔을 자연스럽게 빼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수면중의 팔 결림 현상에 의한 혈행 악화를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를 취할 때는 어깨의 너비 때문에 낮은 베개를 사용할 때 어깨가 겹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통증이 수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를 도 7 및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접어서 사용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목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가 일체가 아닌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도 9는 도 7과는 또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고 도 10은 도 9의 아래 사진과 동일한 사진으로서 단지, 목받침부재(400)만을 외피(200)로부터 빼 내어 촬영한 것이다.
도 9에서도 도 8과 같이 베개 두께를 두껍게 하여 옆으로 돌아누워서 측자세의 수면을 취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출원인이 다수의 실험을 거친 결과, 도 9와 같이 베개를 접는 행위는 수면을 취하고 있는 상태, 즉 무의식 상태에서도 간단히 도 9와 같이 접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혀 내었으며,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효용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9의 위쪽 그림처럼 베개를 펼쳐놓은 상태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C 방향으로 목받침부재(400)를 쥐고 반대편으로 접으면 도 5와는 반대로 목받침부재(400) 하부에 위치하던 완충부(410)가 상부로 올라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메모리폼과 같은 완충부(410)에 수면자는 옆 얼굴을 대고 수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푹신한 느낌으로 수면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목받침부재와 머리받침부재 및 이를 소정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한 도면이다.(외피가 없음)
도 11의 연결수단(600)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는 끈, 벨크로 테이프, 지퍼 등 여러 가지 변형된 연결 수단을 본 발명에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는 여하한 연결 수단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하다면 그 형태를 불문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한편, 도 12는 도 11의 목받침부재에 목받침부재 외피(201)를 감싼 도면이며, 통기부와 탄성조임부가 있는 이유는 상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개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에서의 베개와는 전체적인 구조상 동일하나, 다른 색상의 외피를 적용한 것이다. 또한 충진재의 충진 정도를 도 1의 경우와 달리하여 보다 외피가 보다 팽팽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게 변형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베개를 도 7, 도 8(하부 도면)과 같이 베개를 접어서 수면을 취할 수도록 한 것이다.
도 15는 도 13의 베개를 도 9의 하부 도면과 같이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촬영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들은 본 출원 기술을 토대로 다양한 변형 발명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과 기술적 사상을 공유하는 범위내의 모든 균등 발명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함을 재차 밝혀 둔다.
200:외피
201:목받침부재 외피 230,231:탄성조임부
220:통기부
300:머리받침부재
310,320:머리받침 측면부재
330:후두받침부
400:목받침부재 415:경추밀착부
410:완충부 418:지퍼
420:충진재
440:오목부
450:돌출부
500,501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
600:연결수단

Claims (5)

  1. 경추 밀착형의 기능성 숙면베개에 있어서,
    상기 숙면베개는 머리받침부재(300),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목받침부재(400)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목받침부재를 이어주는 연결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300)는,
    수면자의 후두부를 받치며, 세 개의 영역으로 격벽 분리되되, 그 중 중간 영역부는 충진재가 충진된 후두받침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후두받침부의 양측에는 머리받침 측면부재(310,320)가 연결되되, 상기 후두받침부(330)보다 높이가 같거나 더 높게 충진재가 충진되어 후두부를 편안히 감싸안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베개를 접을 경우 턱및어깨공간채움부(500,501)를 형성하도록 머리받침측면부재(310,320) 단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목받침부재(400)에는,
    수면자의 경추에 밀착될 수 있도록, 충진재가 망 수단 혹은 천에 채워져 형성되어, 수면자의 목 뒤 부위를 밀착 지지하게 하는 경추밀착부(4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2. 경추 밀착형의 기능성 숙면베개에 있어서,
    상기 숙면베개는 머리받침부재(300),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분리되어 마련되는 목받침부재(400) 및 상기 머리받침부재와 목받침부재를 인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외피(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머리받침부재(300)는,
    수면자의 후두부를 받치며, 세 개의 영역으로 격벽 분리되되, 그 중 중간 영역부는 충진재가 충진된 후두받침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후두받침부의 양측에는 머리받침 측면부재(310,320)가 연결되되, 상기 후두받침부(330)보다 높이가 같거나 더 높게 충진재가 충진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턱 및 어깨공간 채움부(500,501)를 형성하도록 머리받침측면부재 단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목받침부재(400)에는,
    수면자의 경추에 밀착될 수 있도록, 충진재가 망 수단 혹은 천에 채워져 형성되어, 수면자의 목 뒤 부위를 밀착 지지하게 하는 경추밀착부(4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목받침부재(400)를 감싸는 외피(200,201)가 더 마련되되,
    상기 외피(200,201) 양측에는 통기부(220)가 마련되고 상기 통기부 외주면을 따라서 탄성력을 가진 탄성조임부 (230,231)가 형성되어,
    목받침부재(400)의 움직임을 최소한으로 함과 동시에, 수면 중 베개 내부의 충진재 향을 맡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추밀착부(415)의 표면 형상은,
    그 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충진재가 돌출된 돌출부(450)와 상기 돌출부 사이 공간인 오목부(440)가 형성되어져 요철 구조가 이루어짐에 따라, 수면자의경추 자극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경추밀착부(415) 및 경추밀착부를 떠받치면서 탄성력을 발휘하는 완충부(410)로 이루어지되, 각각 위아래 층으로 별도로 마련되어져 있어,
    경추밀착부 혹은 완충부 중에서 택일적으로 상하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KR1020110004064A 2011-01-14 2011-01-14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KR10123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64A KR101234996B1 (ko) 2011-01-14 2011-01-14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064A KR101234996B1 (ko) 2011-01-14 2011-01-14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54A KR20120086754A (ko) 2012-08-03
KR101234996B1 true KR101234996B1 (ko) 2013-02-20

Family

ID=4687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064A KR101234996B1 (ko) 2011-01-14 2011-01-14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9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11A (ko) 2014-08-05 2016-02-15 김춘임 바로잠베개
KR20160133330A (ko) 2015-05-12 2016-11-22 곽태영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KR101965168B1 (ko) 2017-11-08 2019-04-05 주식회사 파인셈 통풍 기능이 구비된 경추 지지형 베개 어셈블리
KR102022362B1 (ko) * 2019-07-10 2019-09-18 주식회사 태흥하이에츠 경추용 높이조절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447B1 (ko) 2017-09-04 2019-10-21 (주)통도실업 기능성 양면 베개 및 그 베개의 제조방법
CN107595036A (zh) * 2017-10-10 2018-01-19 泉州盛阳礼品有限公司 一种植物香芯枕头
WO2022244310A1 (ja) * 2021-05-19 2022-11-24 紀臣 角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737U (ja) * 2002-10-30 2003-05-16 申基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737U (ja) * 2002-10-30 2003-05-16 申基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311A (ko) 2014-08-05 2016-02-15 김춘임 바로잠베개
KR20160133330A (ko) 2015-05-12 2016-11-22 곽태영 자세 교정용 침구류 패키지
KR101965168B1 (ko) 2017-11-08 2019-04-05 주식회사 파인셈 통풍 기능이 구비된 경추 지지형 베개 어셈블리
KR102022362B1 (ko) * 2019-07-10 2019-09-18 주식회사 태흥하이에츠 경추용 높이조절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754A (ko) 201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96B1 (ko)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JP6855670B2 (ja)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20170002198U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JP2003204976A (ja) 柱形状の人体脊椎保護用固定器具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200485147Y1 (ko) 경추 베개
KR200489734Y1 (ko) 기능성 베개 구조
KR20160016311A (ko) 바로잠베개
JP3147396U (ja) 快眠枕
JP5569637B1 (ja)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JP5848492B2 (ja) 頚椎密着型機能性熟眠枕
KR20110008513U (ko) 허리 베개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101263290B1 (ko) 부피형성패드를 구비한 기능성 베개커버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JP4737110B2 (ja) 枕カバー
KR200308940Y1 (ko) 경추베개
KR200494146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200360219Y1 (ko) 베개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