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98U -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98U
KR20170002198U KR2020150008182U KR20150008182U KR20170002198U KR 20170002198 U KR20170002198 U KR 20170002198U KR 2020150008182 U KR2020150008182 U KR 2020150008182U KR 20150008182 U KR20150008182 U KR 20150008182U KR 20170002198 U KR20170002198 U KR 201700021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cervical
foam
wing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694Y1 (ko
Inventor
김정국
Original Assignee
김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국 filed Critical 김정국
Priority to KR2020150008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9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베개들이 한 가지 재질로 된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과는 다르게 안착되는 머리의 부위마다 독립적으로 제작하여 재질과 형상을 달리하고 기능성 안락함을 함께 한 것으로서,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여 근막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이 촉진되게 하고, 옆으로 돌아누워 취침할 때에 귀, 턱관절 및 시신경이 머리 무게에 의해 눌리지 않게 함과 더불어, 어깨 부위가 베개에 걸리지 않고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하며, 통풍 및 탄성이 좋은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폼 또는 에바 폼으로 구성되어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는 외피와,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피의 내부에 채워져 탄성을 제공하는 내용물로 구성되고 경추 안착부에는 우레탄 필름을 성형하여 젤을 넣어 냉각과 지압 효과를 보는 경추베개; 측면으로 누울 때 귀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는 귀 안착부와,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공을 구비하고, 제1, 제2, 제3 또는 제4의 우레탄 폼을 특성에 따라서 서로 적층하고, 상기 경추베개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베개; 및 하부는 천을 양면으로 접착한 제2, 3 또는 4 스폰지로 측면베개의 하부면에 날개부로 부착하여 베개 이탈을 방지하고 어깨부위 쪽의 내측으로 홈을 주어 베개에 얼굴이 편안히 안착하게 하고, 상기 경추베개와 상기 측면베개는 각각 분리되어 제조되어서 봉제(縫製)에 의해 서로 결합시키고 사용에 따라 용이하게끔 경추베개와 측면베개를 접이식으로 제작하여 포개서 높게도 사용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Functional cervical vertebra and wing pillow}
본 고안은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자형태의 경추형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여 근막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하며 M자 모양을 형성하여 수면시 머리를 고정케 하고자 성형 제작한 경추베개와, 옆으로 돌아누워 취침할 때에 귀, 턱관절 및 시신경이 머리 무게에 의해 눌리지 않게 함과 더불어 어깨 부위가 베개에 걸리지 않게 홈을 내어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한 좌우측면 베개를 3D 형태로 3등분으로 나누었으며, 종래의 PU FOAM(polyurethane foam) 스폰지 베개들이 몰드에 의한 재질의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통풍이 잘 되질 않고 있고 특성있는 여러 재질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경추베개의 경추 부분을 C자 형태로 성형 제작하고 좌우측면 베개는 여러 PU FOAM 재질의 특징에 따라 층층이 다르게 배치하여 부드러운 탄성과 함께 스폰지에 타공을 내어 베개 속이 통풍이 잘되게 하면서 탄성이 좋은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머리의 뒷부분, 즉 후두부가 받혀지는데, 이와 같이 후두부가 받혀지면 고개가 앞으로 숙여지게 되므로 'C'자 형태로 된 경추가 역으로 휘어지게 되는 압박을 받게 되고, 동시에 뒷목 근육이 경직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수면을 취하고 나더라도 개운하지 않고 오히려 목이 뻐근하게 되며,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에 목 디스크 등의 질병이 유발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885호에서와 같은 경추베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522호에서와 같은 경추 및 흉추 지지용 베개 그리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8054호에서와 같은 경추교정용 베개 등이 개시되어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머리를 낮게 유지시켜서 목 부위를 받쳐주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취침시 경추를 단순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추 베개들은 사용자가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단순히 사용자의 경추 부분을 미약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면 중에 머리가 베개에서 돌아다니는 경우에는 수면 후 목이 뻐근하고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경추 베개들은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누워 취침할 때에 귀, 턱관절 및 시신경이 머리 무게에 의해 눌려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제공하게 되고, 특히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귀는 압박을 받게 되어 측두부 쪽으로 붙게 되는 바, 이는 이통(耳痛)의 원인이 되고, 사용자가 답답함을 느끼게 되며, 더불어 귀의 후방에 위치한 유양돌기는 강도가 큰 두개골의 일부 돌기로서 베개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되어 두통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베개들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할 때 여러 번 뒤척이는 자세를 통해서 머리에서 밀려나와 엉뚱한 곳에 있어, 사용자는 베개를 베지 못한 상태에서 잠을 자는 경우가 발생하여 목 부위에 심한 자극이 가해져 디스크 등이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885호 (2014년 11월 12일)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522호 (2014년 2월 21일)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시안공보 제20-0458054호 (2012년 1월 9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여 근막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이 촉진되게 하고, 옆으로 돌아 누워 취침할 때에 귀, 턱관절 및 시신경이 머리 무게에 의해 눌리지 않게 하며, 취침시 어깨 부위가 베개에 걸리지 않게 하고 머리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통풍 및 냉각작용을 통해서 시원한 상태에서 베개를 베고 취침을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통공에 의한 쿠션 작용을 갖춰서 반발 탄성이 좋은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는, 경추 부분은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의 재질로 구성되어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C자형으로 하고 수면시 머리가 이탈이 되지 않도록 M자형태로 하여 몰드로 성형된 외피와,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rm)으로 이루어진 재질로 상기 외피의 내부에 채워져 탄성을 제공하는 내용물로 구성되는 경추베개; 측면으로 누울 때 귀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는 귀 안착부와, 통풍과 탄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공과 필터 폼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경추베개의 양측에 부착되 사람의 체격에 따른 높이 조절을 하는 패드 주머니가 구비된 측면베개; 및 하부는 천을 양쪽으로 스폰지에 접착하여 상기 측면베개의 하부면에 부착해서 어깨부위 쪽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경추베개와 상기 측면베개는 각각 독립된 상태로 제조되어서 봉제(縫製)에 의해 서로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면서 일부분이 접이식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추베개는, 경추와 후두골이 안착되게 돌출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어 두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벽부를 M자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안착부는 C자형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바 폼(EVA FOAM) 또는 폴리에틸렌 폼(PE FOAM)으로 성형한 외피와 내용물을 삽입한 다음 바닥을 같은 재질로 열 융착하여 밀봉하고 그 밑에 메모리 폼 또는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을 일정한 두께로 두세 겹 적층하여 높이 조절하게 하고 성형물을 부착시켜 고정을 요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추베개의 안착부에 대한 반경(R)은 60 내지 80㎜이고, 상기 안착부에 대한 내측각(a)은 40 내지 50도이고, 외측각(b)은 30 내지 40도이고, 최고 정점까지의 높이(h1)는 40 내지 50㎜이며, 상기 벽부에 대한 내측각(c)은 75 내지 85도이고, 외측각(d)은 50 내지 60도이고, 최고 정점까지의 높이(h2)는 8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추베개의 C자형 하부에는, 무거운 쪽이 방바닥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는 지렛대 형상을 이루도록 바닥받침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베개는, 필터 폼(Fillter Foam) 재질의 제1 스폰지와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특성에 따라 제2, 3 또는 4 스폰지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베개 또는 경추베개는 주머니로 싸여진 다수 개의 제1 스폰지와 제2, 3 또는 4 스폰지로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제1 스폰지 또는 제2, 3 또는 4 스폰지의 재질로 패드형태로 바닥에서 끼워넣거나 빼냄으로써 베개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폰지는 "I"자, 계란판 또는 빨래판 형태로 가공하면 스폰지와 스폰지 사이에 빈공간이 생겨 부드러운 스프링 작용 역할이 되어 옆으로 누웠을 때 얼굴의 형상 모양으로 스폰지가 받쳐주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베개의 내측에는, 옆으로 누워 취침할 때에 어깨부위가 상기 측면베개에 걸리지 않고 턱 선과 어깨가 바로 닿게 끔 하는 상기 날개부의 상부에 안착되게 하는 홈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추베개 및 상기 측면베개에는 우레탄 젤조각의 냉각패드나 압축된 숯 조각이 구비되며, 상기 경추베개(10)의 상부에는 지압돌기(15)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추베개의 안착부에 우레탄 필름을 형상화시켜 이루어진 오목한 부분에 액체로 된 우레탄 젤을 담아 고체화시켜서 형성시켜서 냉각지압효과를 갖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베개의 귀, 눈, 턱관절을 보호하려는 귀 안착부는 "ㄱ"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개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이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접이부를 통해서 경추베개와 측면베개를 접어서 포개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재질의 PU FOAM의 특별한 쿠션 작용을 갖춰서 반발 탄성이 좋게 한 3D 형태의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를 이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수면 중에도 취침시 일반 베개와 달리 목 고정형을 갖춘 경추베개를 통해서 거북목 또는 일자형 목을 C자형으로 만들어 주고, M자형은 목과 머리를 고정시켜 경추가 휘어짐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함으로써 근막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이 촉진되게 한다.
둘째. 취침시 옆으로 돌아 누워 취침할 때에 "ㄱ"자 형태로의 홈은 귀, 턱관절 및 시신경이 귀 안착부에 공간을 두어 안착됨으로써 머리 무게에 의해 눌리지 않게 하게 된다.
셋째. 측면베개에 형성된 홈부를 통해서 취침시 어깨 부위가 베개에 걸리지 않으며, 또한 날개부를 통해서 베개가 머리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하여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넷째. 좌우측면 베개는 여러 특성의 스폰지를 층층으로 하고 통공을 내서 탄성의 우수함을 살리고 필터(filter) 폼을 이용한 통풍의 원활한 역할 및 여러 조각으로 된 우레탄 젤이나 응축시킨 숯을 부착시켜 냉매 역할을 하는 통해서 시원한 상태에서 베개를 베고 취침을 할 수 있게 한다.
다섯째. 경추베개와 좌우측의 측면베개를 접이식으로 접어서 포개 놓고 사용하면 잠시 동안 TV나 독서 등을 편안히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의 경추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날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의 경추베개 하부에 바닥받침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의 측면베개에 대한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냉각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상기 냉각패드의 제조된 상태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서 경추베개와 측면베개가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상기 경추베개에 대한 상세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의 경추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날개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의 경추베개 하부에 바닥받침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의 측면베개에 대한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 냉각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상기 냉각패드의 제조된 상태의 일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에서 경추베개와 측면베개가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상기 경추베개에 대한 상세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여 근막을 이완시키고 혈액 순환이 촉진되게 하고, 옆으로 돌아누워 취침할 때에 "ㄱ"자 형태의 오목한 홈은 귀, 턱관절 및 시신경이 머리 무게에 의해 눌리지 않게 하며, 취침시 어깨 부위가 베개에 걸리지 않게 하고 머리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통풍을 통해서 시원한 상태에서 베개를 베고 취침을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통풍 가공은 쿠션 작용을 갖춰서 반발 탄성이 좋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베개(10), 측면베개(20) 및 날개부(30)로 구성되고, 여기에 추가로 냉각작용을 통해서 시원한 상태에서 베개를 배고 취침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패드(50)를 구비하였다.
여기서, 상기 경추베개(10)와 측면베개(20)는 각각 분리되어 삼등분으로 제조되어서 봉제(縫製)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하였다.
상기 경추베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는 외피(11)와, 상기 외피(11)의 내부에 채워져 탄성을 제공하는 내용물(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1)는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피(11) 속의 내용물(12)은 사용자가 베개를 밸 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rm)으로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이는 외피(11)에 의한 겉의 뻣뻣한 느낌과 내용물(12)에 의한 속의 고탄성 스폰지의 기능으로 일반 베개와 달리 적당한 탄성 느낌을 제공함으로써, 딱딱하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푹 꺼지는 듯한 느낌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일반 베개와 차별화된 기능을 가질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경추베개(10)는, 경추와 후두골이 안착되게 돌출하는 안착부(13)와, 상기 안착부(13)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어 두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M자형의 벽부(14)를 구성하되, 상기 안착부(13)는 C자형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경추베개(10)는 머리 윗부분은 넓게 하고 목 아래 쪽은 좁게 하여 어깨 날개에는 안닿고 목뼈 시작점에서부터 받쳐 주어서 취침시 누웠을 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경추베개(10)의 상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돌기(15)가 구비되게 하여 베개를 베고 누울 때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경추베개(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안착부(13)와 함께 머리와 목을 고정시키는 M자형의 벽부(14)를 폴리에틸렌 폼 또는 에바 폼으로 구성된 재질을 몰드로 성형하여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는 외피(11) 만들고,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이나 메모리 폼으로 외피(11) 내부에 채워 부드러운 탄성을 제공하는 내용물(12)이 되게 하고, 외피(11)의 하부에는 폴리에틸렌 폼 또는 에바 폼으로 열 융착 방법으로 완전 밀봉 접착을 시켜서 내용물(12)이 이탈되지 않도록 마감하여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성형화된 경추베개를 안정화시키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맨 아래에는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이나 메모리 폼으로 일정한 두께로 두 세겹으로 해서 높이도 조절하고 성형물을 안정화하면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경추베개(10)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그를 베었을 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경추베개(10)의 안착부(13)에 대한 반경(R)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 내지 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에 대한 내측각(a)은 40 내지 50도이고, 외측각(b)은 30 내지 40도이고, 최고 정점까지의 높이(h1)는 40 내지 50㎜이며, 상기 벽부(14)에 대한 내측각(c)은 75 내지 85도이고, 외측각(d)은 50 내지 60도이고, 최고 정점까지의 높이(h2)는 80 내지 100㎜로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추베개(10)의 C자형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거운 쪽이 방바닥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는 지렛대 형상을 이루도록 바닥받침부(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경추베개(10)의 바닥받침부(40)를 경추의 C자 형태를 이루는 부분 아래에 짧은 패드를 대어서 시소를 연상 시키는 형태로 하게 되면 목 아래와 머리를 받쳐주는 위쪽 부분은 바닥과 공간이 있어 무게가 있는 쪽으로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안착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 베개(20)는,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시 측면으로 누울 때 귀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는 귀 안착부(23)와,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공(24)을 구비하여서, 경추베개(10)의 양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베개(20)는, 다른 일반적인 베개와는 다르게 단일화된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통풍과 탄성으로 고려하여 필터 폼(Fillter Foam) 재질의 제1 스폰지(21)와 폴리우레탄 재질의 제2, 3 또는 4 스폰지(22)가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되게 하였다(여기에 쓰이는 재질 고탄성(밀도 kg/m3-25,35,40등), 메모리 폼, 필터폼).
상기와 같이 제1 스폰지(21)와 제2, 3 또는 4 스폰지(22)를 번갈아가면서 적층하되 통풍공(24)을 형성시켜 이용함으로써 통풍과 빠른 반발 탄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베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제1 스폰지(21)와 제2, 3 또는 4 스폰지(22)가 주머니(60)로 싸여진 채로 이루어지게 하고, 적당한 두께의 패드 형태로 제1 스폰지(21) 또는 제2, 3 또는 4 스폰지(22)를 끼워넣거나 빼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그의 눕는 머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 3 또는 4 스폰지(22)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I"자, 계란판 또는 빨래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스프링 쿠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측면베개(20)의 내측에는, 도 1,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으로 누워 취침할 때에 어깨부위가 상기 측면베개(20)에 걸리지 않고 날개부(30)의 상부에 안착되게 하는 홈부(25)가 구비되게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취침을 할 때에 베개에 어깨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머리를 편안하게 베개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귀 안착부(23)는, 일반적인 기능성 베개들과 같이 측면으로 취침시 귀가 눌리지 않게 구멍을 내거나 얼굴이 수면중 구르지 않도록 오목형상으로 만들어진 형태로서, 본 고안의 베개에서는 폭이 20~30mm로 경사지게 또는 막대 형태로 만들어 스폰지를 베개의 중간층이나 하단부의 가장 자리에 부착시켜 오목함을 갖게 하는 기능을 하고, "ㄱ"자 모양은 귀부분은 야구선수의 헬멧이 턱까지 보호 하는 형태를 착안하여 턱과 귀, 눈의 시신경 부위까지 편안할수 있도록 형태로 만들고 그에 이용되는 스폰지는 다른 부분의 스폰지 보다 더 연한 스폰지로 삽입하여 귀, 턱관절 또는 시신경이 머리의 무게에 눌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측면베개(20)의 귀 안착부(23)는 취침시 턱과 귀, 눈의 시신경 부위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하도록 "ㄱ"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한편, 상기 경추베개(10) 및 상기 측면베개(20)에는, 우레탄 젤 조각의 냉각패드(50)나 압축된 숯의 다수 개의 조각이 구비되게 하였고, 여기서 냉각패드(50)는 취침시 사용자의 체온을 흡수하는 냉각젤 또는 상변화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패드(50)가 우레탄 젤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우레탄 필름으로 이루어진 측면베개(20)를 하부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오목하게 성형한 후 그 오목한 부분에 액체로 된 우레탄 젤을 담아 고체화시켜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경추베개(10)의 안착부(13)에 우레탄 필름을 형상화시켜 이루어진 오목한 부분에 액체로 된 우레탄 젤을 담아 고체화시켜서 형성시켜서 냉각지압효과를 갖게 하는 일도 가능하다
그리고, 우레탄 젤로 만들어진 냉각패드(50)로서 얼굴 크기만한 패드 전체를 베개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면 냉각의 성질을 가진 재질이기에 뻗뻗해서 오래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조그만하게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부착하여 사용하면 얼굴의 모양에 따라 냉각 패드로서의 기능을 다 할 것이다.
상기 날개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제2, 3 또는 4 스폰지(22)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천(32)으로 이루어져서, 측면베개(20)의 하부면에서 어깨부위 쪽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게 구비되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수면을 취할 때에는 여러 번 뒤척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베개가 엉뚱한 곳으로 밀려나 있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측면베개(20)의 안쪽, 바람직하게는 어깨가 들어 가는 홈부(25)에 날개부(30)를 구비하게 되면, 취침시 어깨가 날깨부(30)에 얹혀지게 되고 어깨의 눌림작용을 통해서 베개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이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접이부(26)를 통해서 경추베개(10)와 측면베개(20)를 접어서 포개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경추베개(10)와 좌우측의 측면베개(20)를 접이식으로 접어서 포개 놓고 사용하게 되면, 잠시 동안 TV나 독서 등을 편안히 할 수 있게 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경추베개 11: 외피
12: 내용물 13: 안착부
14: 벽부
20: 측면베개 21: 제1 스폰지
22: 제2, 3 또는 4 스폰지 23: 귀 안착부
24: 통풍공 25: 홈부
26: 접이부
30: 날개부 32: 천
40: 바닥받침부 50: 냉각패드
60: 주머니

Claims (12)

  1. 폴리에틸렌 폼(PE FOAM: Polyethylene Foam) 또는 에바 폼(EVA FOAM: Ethylene Vinyl Acetate)재질로 구성되어 C자형과 M자형 베개 형태로 몰드로 성형하여 이루어져서 경추와 후두골의 연접부를 지압하는 외피(11)와,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rm)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피(11)의 내부에 채워져 탄성을 제공하는 내용물(12)로 구성되는 경추베개(10);
    측면으로 누울 때 귀가 눌려지지 않도록 하는 귀 안착부(23)와,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풍공(24)을 구비하여, 상기 경추베개(10)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베개(20); 및
    하부는 천(32)과 얇은 스폰지 형태의 제2, 3 또는 4 스폰지(22)를 접착하여 만들어진 패드로 이루어져서 상기 측면베개(20)와 연결되되, 상기 측면베개(20)의 하부면에서 어깨부위 쪽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수면시 베개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해주는 날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독립된 상기 경추베개(10)와 상기 측면베개(20)는 각각 분리되어 제조되어서 봉제(縫製)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개(10)는, 경추와 후두골이 안착되게 돌출하는 안착부(13)와, 상기 안착부(13)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어 두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벽부(14)를 M자 형태로 구성하되, 상기 안착부(13)는 C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에바 폼 또는 폴리에틸렌 폼으로 성형한 상기 외피(12)와 상기 내용물(12)을 삽입한 다음 바닥부를 동일한 재질로 열 융착하여 밀봉하고, 그 하부에 메모리 폼 또는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을 일정한 두께로 두세 겹 적층하여 높이 조절하게 하고, 성형물을 부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개(10)의 안착부(13)에 대한 반경(R)은 60 내지 80㎜이고,
    상기 안착부(13)에 대한 내측각(a)은 40 내지 50도이고, 외측각(b)은 30 내지 40도이고, 최고 정점까지의 높이(h1)는 40 내지 50㎜이며,
    상기 벽부(14)에 대한 내측각(c)은 75 내지 85도이고, 외측각(d)은 50 내지 60도이고, 최고 정점까지의 높이(h2)는 8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개(10)의 C자형 하부에는, 무거운 쪽이 방바닥에 자연스럽게 안착되는 지렛대 형상을 이루도록 바닥받침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베개(20)는, 주머니(60)로 싸여진 필터 폼(Fillter Foam) 재질의 제1 스폰지(21)와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메모리 폼 재질의 제2, 3 또는 4 스폰지(22)가 일정한 두께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적층하고 스폰지를 끼워 넣거나 빼냄으로써 높이 조절하고 통풍공(24)을 내어 스폰지의 탄성과 바람을 잘 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폴리우레탄 폼 제2, 3 또는 4 스폰지(22)를 "I"자, 계란판 또는 빨래판 형상으로 가공하여 스프링 역할을 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베개(20)의 내측에는, 옆으로 누워 취침할 때에 어깨부위가 상기 측면베개(20)에 걸리지 않고 상기 날개부(30)의 상부에 안착되게 하는 홈부(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개(10) 및 상기 측면베개(20)에는 우레탄 젤 조각의 냉각패드(50)나 압축된 숯 조각이 구비되며, 상기 경추베개(10)의 상부에는 지압돌기(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추베개(10)의 안착부(13)에 우레탄 필름을 형상화시켜 이루어진 오목한 부분에 액체로 된 우레탄 젤을 담아 고체화시켜서 형성시켜서 냉각지압효과를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베개(20)의 귀 안착부(23)는 "ㄱ"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외곽으로는 탄성이 좋은 고탄성폼과 메모리폼으로 적층하여 만들고 "ㄱ"자 형태의 안착부에는 부드러운 연질의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이식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접이부(26)를 통해서 경추베개(10)와 측면베개(20)를 접어서 포개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2020150008182U 2015-12-14 2015-12-14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200484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82U KR200484694Y1 (ko) 2015-12-14 2015-12-14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182U KR200484694Y1 (ko) 2015-12-14 2015-12-14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98U true KR20170002198U (ko) 2017-06-22
KR200484694Y1 KR200484694Y1 (ko) 2017-10-18

Family

ID=5924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182U KR200484694Y1 (ko) 2015-12-14 2015-12-14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9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80B1 (ko) * 2018-08-03 2019-07-03 김정국 높낮이 조절 베개
KR20190114590A (ko) * 2018-03-30 2019-10-10 김봉균 동물의 귀 정맥 영상 촬영 장치
KR102165906B1 (ko) * 2020-07-21 2020-10-14 안희중 경추 지압 베개
KR102224741B1 (ko) * 2019-11-27 2021-03-05 이효정 경추 및 척추 지압용 베개
KR102364352B1 (ko) * 2020-11-25 2022-02-18 주식회사 피유텍 경추 지압용 베개 및 상기 경추 지압용 베개의 제조를 위한 베개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42U (ko) 2020-12-14 2022-06-21 이영선 경추 지지 베개
KR102546672B1 (ko) * 2021-09-15 2023-06-26 주식회사 신양테크 바이오베개 및 바이오베개의 제조방법
KR102578451B1 (ko) 2021-10-28 2023-09-13 김종욱 경추 베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907A (ja) * 2008-05-07 2009-11-19 Hai Shukuchin
KR20110015230A (ko) * 2009-08-07 2011-02-15 김진호 높이조절 접이식 견인베개
KR101520574B1 (ko) * 2014-01-29 2015-05-14 김혜경 인체공학 베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907A (ja) * 2008-05-07 2009-11-19 Hai Shukuchin
KR20110015230A (ko) * 2009-08-07 2011-02-15 김진호 높이조절 접이식 견인베개
KR101520574B1 (ko) * 2014-01-29 2015-05-14 김혜경 인체공학 베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590A (ko) * 2018-03-30 2019-10-10 김봉균 동물의 귀 정맥 영상 촬영 장치
KR101996180B1 (ko) * 2018-08-03 2019-07-03 김정국 높낮이 조절 베개
WO2020027603A1 (ko) * 2018-08-03 2020-02-06 김정국 높낮이 조절 베개
CN112533513A (zh) * 2018-08-03 2021-03-19 金正国 高度调节枕头
JP2021531949A (ja) * 2018-08-03 2021-11-25 キム、ジョン グクKIM, Joung Gug 高低調節まくら
KR102224741B1 (ko) * 2019-11-27 2021-03-05 이효정 경추 및 척추 지압용 베개
KR102165906B1 (ko) * 2020-07-21 2020-10-14 안희중 경추 지압 베개
KR102364352B1 (ko) * 2020-11-25 2022-02-18 주식회사 피유텍 경추 지압용 베개 및 상기 경추 지압용 베개의 제조를 위한 베개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94Y1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9615682B1 (en) Headrest for head and neck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US11357347B1 (en) Portable head and neck support pillow
KR101234996B1 (ko) 경추 밀착형 기능성 숙면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742734B1 (ko) 베개
KR200485147Y1 (ko) 경추 베개
KR200486642Y1 (ko) 경추 보호용 베개
JP3111334U (ja) 快眠枕
JP3128886U (ja) 枕装置
JP3132068U (ja) 枕装置
US9687379B1 (en) Cervical restraint padding system
KR101491029B1 (ko) 다기능 베개
KR200438607Y1 (ko) 베개
JP2003052509A (ja)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JP3040522U (ja) 変形型枕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KR20190026144A (ko) 기능성 양면 베개 및 그 베개의 제조방법
CN218528374U (zh) 一种运动蓄能枕
KR102520310B1 (ko) 경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1905336B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