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411B1 - 숙면 유도용 베개 - Google Patents

숙면 유도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411B1
KR101283411B1 KR1020130030906A KR20130030906A KR101283411B1 KR 101283411 B1 KR101283411 B1 KR 101283411B1 KR 1020130030906 A KR1020130030906 A KR 1020130030906A KR 20130030906 A KR20130030906 A KR 20130030906A KR 101283411 B1 KR101283411 B1 KR 101283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awer
pillow
guide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식
Original Assignee
김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식 filed Critical 김문식
Priority to KR102013003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411B1/ko
Priority to PCT/KR2013/006472 priority patent/WO20141486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발산부재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띠 형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저면은 구배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기호에 따라 상면과 저면 중 한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에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함으로서 내측에 삽입된 발산부재로부터 발산되는 향에 의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숙면 유도용 베개{The pillow to induce deep sleep}
본 발명은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형이 따라 선택적으로 베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부의 상면과 저면의 구배를 다르게 형성하고, 본체부의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서랍부를 포함하며, 서랍부에 숙면에 도움이 되는 부재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여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베개들은 실용신안등록제0214224호와 같이 단순하게 베개속의 내부에 감국과 메밀피와 같은 부재들을 삽입하여 구성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식의 베개는 수면시에 수면자의 머리에 의해 베개속에 담겨진 감국과 메밀피들이 짓눌려져 버리기 때문에 얼마의 시간이 지나지 안이하여 망가져버리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312556호와 같이 베개의 내부에 통 파이프부재를 삽입하고 그 파이프의 부재의 내부에 향기 발산 수단을 충진 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방식의 베개는 파이프 부재에 담겨진 향기 발산 수단이 파이프의 양 끝단을 통하여 향기를 발산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향기 발산 부재를 통과하는 공기의 대류현상 즉 대기중의 공기가 순환하는 통풍에 중대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즉 향기 발산 부재 자체가 막히어 있다 보니 공기의 대류현상이 정지되면서 곰팡이와 같은 부패성 부재들에 의해 용이하게 부패되는 중대한 결점으로 인하여 숙면을 취하여 할 수면자의 숙면을 오히려 방해 할 뿐만 아니라 밀폐된 파이프 내부에 담겨진 향기 발산 수단들이 통기부족으로 인하여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유해 인자들로 인하여 수면자의 건강을 해칠 수가 있는 중대한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0308932호 와 같이 베개의 외부면에 돌출 되도록 구성되는 건강소재 즉 옥, 자석, 세라믹, 황토, 숯등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소재를 베개의 외부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베개가 있으나 이러한 방식의 베개는 베개 외부면에 부착된 상기와 같은 소재들이 수면자의 머리와 접촉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파괴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자의 머리카락을 지저분하게 훼손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제0170067호와 같이 베개의 외주면에 방사물질을 내장한 방진(防塵)천과 일반천을 겹치게 구성한 다음 다수개의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들어 갈수 있는 삽입공간과 쿠션물질 (솜,메밀,톱밥,바이오 등)이 들어갈 수 있는 삽입공간이 구성되도록 미싱을 이용하여 가공한 다음 여러 종류의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베개 쿠션 물질들을 삽입공간에 분리 투입하여 베개를 구성한 것이 있는데 이 방식의 베개는 베개 외주면에 구성되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과 쿠션 물질들이 미싱에 의해 구성되는 칸막이 속에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쿠션물질들을 교체 할 때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가 없는 불편함이 있다.
그 이유는 칸막이 속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원적외선 방사물질과 쿠션물질들이 수면자의 머리에 연속적으로 눌려지면서 베개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천과 접착되거나 고형화 되기 때문에 칸막이의 끝 단면에 구성되는 지퍼가 있다하여도 상기 물질들의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출원번호89-17559호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진 튜뷰형의 탄성부재들을 베개속에 충진하여 베개를 구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에 따라 구성되는 베개는 단순하게 절단 되어진 튜뷰형의 합성수지들을 베개속에 넣어서 베개를 구성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진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 고유의 냄새로 인하여 숙면자의 숙면을 도와주지 못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베개는 인간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침구류의 한 종류로서 잠자리에서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에 사람의 중추부에 해당하는 뇌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베개의 내피속에 삽입되는 방향제 또는 쿠션재나 메밀과 같은 곡물의 껍데기들은 수면자의 머리에 짓 눌리면서 고형화 되기 때문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부패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해롭게 할뿐만 아니라 자주 교환해야 주어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96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부의 상면과 저면의 구배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기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일측에 탈부착이 가능한 서랍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부에 솔잎이나 국화잎 등의 발산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솔잎이나 국화잎 등에서 발생되는 향에 의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외측면에 실리콘 소재의 커버부를 형성하여 딱딱한 목침으로 인해 경추 디스크에 무리를 주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발산부재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띠 형상의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상면과 저면은 구배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기호에 따라 상면과 저면 중 한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랍부는 본체부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하부본체의 전면에 파지부를 형성하거나, 서랍부의 전면에 파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는 구배가 다르게 형성되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나뉘어지며, 상기 상부 본체는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급경사를 이루어 폭이 좁은 형태를 띄는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하며, 전면에는 상기 서랍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삽입홈를 구비하고, 양측면의 저측에는 하부 본체와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결합홈과, 상부 본체의 전후면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하부 본체는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저면은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폭이 넓은 형태를 띄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하며, 전면에는 상기 서랍부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삽입홈과, 상면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 본체의 제1결합홈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결합돌기와, 내측에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 상부본체의 제2결합돌기를 결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부의 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2삽입홈을 통해 삽입되는 서랍부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한쌍의 가이드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와 직교하도록 형성하며 다수개 형성되어 삽입된 서랍부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부 본체의 가이드부와, 하부본체의 가이드부는 일정간격에 아치형태로 구비된 걸림홈부가 구비되어 있어 서랍부가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서랍부는 상부본체의 제1삽입홈과 하부본체의 제2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되어 내삽되는 발산부재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로 인해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는 다수개의 칸막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가이드부와, 상기 칸막이 가이드부에 의해 고정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칸막이와, 상기 서랍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와 하부본체의 가이드부에 구성된 걸림홈부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에 민무늬로 형성하거나 요철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는 본체부의 상면과 저면의 구배를 달리 형성하여 사용자의 기호 및 체형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에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함으로서 내측에 삽입된 발산부재로부터 발산되는 향에 의해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발산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서랍부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어 발산부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발산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랍부에 내측에는 겨울에는 물에 적신 스폰지를 삽입하여 가습기의 역할을 하거나 여름에는 아이스팩을 삽입하여 시원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잎이나 국화, 허브 및 약재 등을 이용하여 공부하는 수험생이나 주부 및 직장인들 등에 피로를 덜게 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외측에 탄성 및 연성질로 형성된 커버부를 위치시킴으로서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딱딱한 본체부가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추 디스크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의 전후면에 요철무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할 경우 지압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상부본체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하부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서랍부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커버부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본체부와 커버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서랍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커버부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상부본체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하부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상부본체와 하부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서랍부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커버부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본체부와 커버부를 결합한 상태에서 서랍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나뉘어지며 상면과 저면의 구배가 달리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발산부재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200)와,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띠 형상의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구배가 다르게 형성되는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로 나뉘어지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다.
상기 상부 본체(110)는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급경사를 이루어 폭이 좁은 형태를 띄는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11)을 구비하며, 전면에는 후술되는 상기 서랍부(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삽입홈(112)를 구비하고, 양측면의 저측에는 하부 본체(120)와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결합홈(113)과, 상부 본체(110)의 전후면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본체(110)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삽입홈(112)을 통해 삽입되는 서랍부(200)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114)를 구비하고, 한쌍의 가이드부(114)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14)와 직교하도록 형성하며 다수개 형성되어 삽입된 서랍부(20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판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홈(113)은 상부 본체(110)의 저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양측면의 저측에 형성되되 가이드부(114)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하부본체(120)의 제2결합돌기(124)와 맞물려 맞대도록 위치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제1결합돌기(116)는 전면과 배면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후술되는 하부 본체(120)의 제3결합돌기(127)의 내측에 형성된 통공(1271)과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본체(120)는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저면은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폭이 넓은 형태를 띄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21)을 구비하며, 전면에는 상기 서랍부(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삽입홈(122)과, 상기 제2삽입홈(122)의 일측에서 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하며 서랍부(20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123)와, 상면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 본체(110)의 제1결합홈(113)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결합돌기(124)와, 내측에 통공(1271)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271)에 상부본체(100)의 제2결합돌기(124)를 결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결합돌기(12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본체(120)의 내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2삽입홈(122)을 통해 삽입되는 서랍부(200)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125)를 구비하고, 한쌍의 가이드부(125)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25)와 직교하도록 형성하며 다수개 형성되어 삽입된 서랍부(20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판부(1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홈(112)와 제2삽입홈(122)은 상호 결착된 상태의 높이가 서랍부(200)의 높이가 될 수 있도록 하여 삽입 및 인출되는 서랍부(200)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본체(110)의 가이드부(114)와, 하부본체(120)의 가이드부(125)는 일정간격에 아치형태로 구비된 걸림홈부(1251)가 구비되어 있어 서랍부(200)가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부(200)는 상기 상부본체(110)의 제1삽입홈(112)과 하부본체(120)의 제2삽입홈(12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되어 내삽되는 발산부재가 발산되어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는 다수개의 칸막이(2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가이드부(210)와, 상기 칸막이 가이드부(210)에 의해 고정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칸막이(220)와, 상기 서랍부(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가이드부(114)와 하부본체(120)의 가이드부(125)에 구성된 걸림홈부(1251)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칸막이(220)는 서랍부(200)의 내측에 다수개 삽입되어 구획을 나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산부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발산부재를 서로 섞이지 않고 잔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부(200)에 삽입하는 발산부재는 숙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쑥, 솔잎, 향나무나 국화 또는 허브 등을 부직포나 헝겊으로 형성된 주머니에 삽입하여 형성한다. 발산부재로 사용되는 쑥, 솔잎, 향나무나 국화 또는 허브 등의 부재를 사용하거나 얼음 등을 사용하여 더운 여름날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쑥, 솔잎, 향나무나 국화 또는 허브 등의 효능은 익히 알려진 것이므로 본원발명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300)는 조립된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의 외측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머리 무게에 의해 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경추 디스크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상기 커버부(3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순히 본체부(100)의 외측에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서랍부(200)에 삽입된 발산부재로 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31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20)는 탄성을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에 끼워넣을 때 잡아당겨 늘림으로서 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오염물질이 쉽게 지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청소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공(310)의 배열을 달리 형성함으로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효과를 지닌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의 커버부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숙면 유도용 베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로 나뉘어지며 상면과 저면의 구배가 달리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발산부재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띠 형상의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300')의 표면에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지압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상이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랍부(200)를 본체부(100)로부터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하본 본체(120)의 전면에 파지부(123)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랍부(200')의 전면에 파지부(25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상기 본체부(100')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서랍부(200')는 상기 상부본체(110')의 제1삽입홈(112')과 하부본체(120')의 제2삽입홈(12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되어 내삽되는 발산부재가 발산되어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는 다수개의 칸막이(2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가이드부(210')와, 상기 칸막이 가이드부(210')에 의해 고정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칸막이(220')와, 상기 서랍부(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가이드부(114')와 하부본체(120')의 가이드부(125')에 구성된 걸림홈부(1251')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부(230')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부(200')의 전면에는 파파지부(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3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순히 본체부(100')의 외측에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며, 상면과 저면에는 요철형상의 무늬가 형성되어 지압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서랍부(200')에 삽입된 발산부재로 부터 발산되는 향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310')을 형성한다.
본원발명인 숙면을 유도하는 베개는 사출 성형된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를 서로 맞물려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본체(120)의 제2결합돌기(124)를 상기 상부본체(110)의 결합홈(113)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고정된 하부본체(120)의 제3결합돌기(127)는 내측에 통공(1271)이 형성되어 상부 본체(110)의 결합돌기(116)와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실직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상부본체(110)의 결합돌기(116)와 하부본체(120)의 제3결합돌기(127)를 서로 결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본체(110)와 하부본체(120)가 결합되면 원형이 띠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부(200)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커버부(200)는 플렉시블한 재료로 사용되므로 본체부(1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본체부(1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머리무게에 따라 늘어져 편안한 느낌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110)의 상면과 하부본체(120)의 저면에는 커버부(2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결착되어 있던 커버부(220)가 전후면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서랍부(200)는 발산부재를 삽입하거나 칸막이(220)를 없애고 읽고 있던 책이나 다른 용품을 수납할 수도 있는 수납부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겨울에는 물에 적신 스폰지를 삽입하여 가습기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여름에는 아이스팩을 삽입하여 시원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솔잎이나 국화, 허브 및 약재등을 이용하여 공부하는 수험생이나 주부 및 직장인들 등에 피로를 덜게 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부 200 : 서랍부
300 : 커버부

Claims (7)

  1.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위치하며 발산부재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부(200)와,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띠 형상의 커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과 저면은 구배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체형 및 기호에 따라 상면과 저면 중 한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20)로 나뉘어지며,
    상기 상부 본체(110)는 저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면은 내측으로 급경사를 이루어 폭이 좁은 형태를 띄는 것으로, 상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11)을 구비하며, 전면에는 상기 서랍부(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삽입홈(112)를 구비하고, 양측면의 저측에는 하부 본체(120)와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결합홈(113)과, 상부 본체(110)의 전후면 내측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6)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본체(120)는 상면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저면은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폭이 넓은 형태를 띄는 것으로서, 저면에는 다수개의 통공(121)을 구비하며, 전면에는 상기 서랍부(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삽입홈(122)과, 상면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 본체(110)의 제1결합홈(113)과 결합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2결합돌기(124)와, 내측에 통공(1271)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271)에 상부본체(100)의 제2결합돌기(124)를 결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3결합돌기(127)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하기 편리하도록 하부본체(120)의 전면에 파지부(123)를 형성하거나, 서랍부(200)의 전면에 파지부(250)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3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에 민무늬로 형성하거나 요철무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및 2삽입홈(112,122)을 통해 삽입되는 서랍부(200)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부(114,125)를 구비하고, 한쌍의 가이드부(114,125)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부(114,125)와 직교하도록 형성하며 다수개 형성되어 삽입된 서랍부(200)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판부(115,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110)의 가이드부(114)와, 하부본체(120)의 가이드부(125)는 일정간격에 아치형태로 구비된 걸림홈부(1141, 1251)가 구비되어 있어 서랍부(200)가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200)는 상부본체(110)의 제1삽입홈(112)과 하부본체(120)의 제2삽입홈(12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일면이 개방되어 내삽되는 발산부재로부터 발산되는 향기로 인해 숙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내측에는 다수개의 칸막이(2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칸막이가이드부(210)와, 상기 칸막이 가이드부(210)에 의해 고정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칸막이(220)와, 상기 서랍부(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10)의 가이드부(114)와 하부본체(120)의 가이드부(125)에 구성된 걸림홈부(1251)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면 유도용 베개.
  7. 삭제
KR1020130030906A 2013-03-22 2013-03-22 숙면 유도용 베개 KR101283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906A KR101283411B1 (ko) 2013-03-22 2013-03-22 숙면 유도용 베개
PCT/KR2013/006472 WO2014148694A1 (ko) 2013-03-22 2013-07-19 숙면 유도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906A KR101283411B1 (ko) 2013-03-22 2013-03-22 숙면 유도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411B1 true KR101283411B1 (ko) 2013-07-08

Family

ID=4899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906A KR101283411B1 (ko) 2013-03-22 2013-03-22 숙면 유도용 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83411B1 (ko)
WO (1) WO201414869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2150A (zh) * 2015-02-13 2015-05-20 绵阳安智圣达创意科技有限公司 带小抽屉的办公室便利枕头
KR20160065471A (ko) * 2014-12-01 2016-06-09 조수용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756448B1 (ko) * 2015-11-17 2017-07-19 주식회사 백합상사 베개
CN107019386A (zh) * 2017-06-19 2017-08-08 沈前 具有促进睡眠功能的红木枕头及其保健组合药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279Y1 (ko) * 2000-09-05 2001-09-13 최주락 다용도 베개
KR200387340Y1 (ko) * 2005-01-31 2005-06-17 임흥호 신축성을 갖는 건강베개
KR20100077562A (ko) * 2008-12-29 2010-07-08 송영걸 목침과 탄성매트를 이용한 양면베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049A (ja) * 1994-10-11 1996-06-25 Takashima:Kk 寝具用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279Y1 (ko) * 2000-09-05 2001-09-13 최주락 다용도 베개
KR200387340Y1 (ko) * 2005-01-31 2005-06-17 임흥호 신축성을 갖는 건강베개
KR20100077562A (ko) * 2008-12-29 2010-07-08 송영걸 목침과 탄성매트를 이용한 양면베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471A (ko) * 2014-12-01 2016-06-09 조수용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641073B1 (ko) * 2014-12-01 2016-07-20 조수용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CN104622150A (zh) * 2015-02-13 2015-05-20 绵阳安智圣达创意科技有限公司 带小抽屉的办公室便利枕头
KR101756448B1 (ko) * 2015-11-17 2017-07-19 주식회사 백합상사 베개
CN107019386A (zh) * 2017-06-19 2017-08-08 沈前 具有促进睡眠功能的红木枕头及其保健组合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8694A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362B2 (en) Modular pet bed assembly
US7530326B2 (en) Blanket assembly for pet bed
US6041458A (en) Tubular pillow with casing and method of covering
KR101283411B1 (ko) 숙면 유도용 베개
KR101221070B1 (ko) 목침과 탄성매트를 이용한 양면베개
JP2007037934A (ja) 分割可能な敷き布団
KR101219567B1 (ko) 숙면 유도용 베개
KR20150000054U (ko) 경추 지지 베개
KR100661434B1 (ko) 뜬베개
KR100935799B1 (ko) 건강베개
KR200438772Y1 (ko) 방오기능이 겸비된 베개
KR200258261Y1 (ko) 숙면 베개
AU2013219905B2 (en) Aromatic cover
KR20160004194U (ko) 베개
JP2003235708A (ja) 機能性枕
KR20110007707U (ko) 가변형 매트리스 커버
JP3137030U (ja) 高さと硬さの調整可能な快眠枕
KR20110116730A (ko) 약재내장쿠션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CN215226277U (zh) 一种无甲醛防螨透气型床垫
JP3050776U (ja)
KR100666417B1 (ko) 향기발산부재와 공기 정화부재를 투입한 파이프 부재들을 이용하여 침구류를 구성하는 방법
KR101551571B1 (ko)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KR200468172Y1 (ko) 목곽 쿠션 베개
JP3022201U (ja) 健康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