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194U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194U
KR20160004194U KR2020150003444U KR20150003444U KR20160004194U KR 20160004194 U KR20160004194 U KR 20160004194U KR 2020150003444 U KR2020150003444 U KR 2020150003444U KR 20150003444 U KR20150003444 U KR 20150003444U KR 20160004194 U KR20160004194 U KR 20160004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illow
cushions
cushioning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097Y1 (ko
Inventor
권영택
Original Assignee
권영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택 filed Critical 권영택
Priority to KR2020150003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9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통기성쿠션과, 상기 상부통기성쿠션과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는 하부통기성쿠션과, 상기 각각의 쿠션 사이에 위치한 내충재와, 상기 내충재 일측으로 구비되는 쿠션재와, 상기 각각의 쿠션을 봉합처리하여 형성된 머리안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기성 있는 쿠션을 상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쿠션 사이에 내충재와 쿠션재를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쿠션 테두리부분을 봉합마감처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통기성 및 쿠션력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유용물질을 볼형태로 형성한 내충재를 구비하여 인체에 유익한 자연향 및 각종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개{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통기성 있는 쿠션을 상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쿠션 사이에 내충재와 쿠션재를 위치하여, 봉합처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통기성 및 쿠션력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유용물질을 볼형태로 형성한 내충재를 구비하여 인체에 유익한 각종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목 부분을 C자형 곡선을 유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재를 마련함으로써, 목의 통증 및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수면시 머리와 목을 받쳐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베개는 침구 중에서 숙면을 취하기 위한 중요한 인자중에 하나이다. 왜냐하면 인체에서 목은 몸통과 머리를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통로이며 수많은 신경계가 통과하고 있어 경추가 정위치하지 않을 경우, 이 경추를 통과하는 신경계가 압박을 받게 되며, 그로 인해 직접적인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신경계통에 장애가 유발되어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베개는 높이, 크기, 내부 재료의 탄성 등 여러 가지가 숙면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베개의 높이는 숙면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경추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선행기술로, 공개실용신안실 1998-065470 "베개"가 소개되었다.
상기 베개는 상,하단이 포켓에 일체로 봉착되는 상태로 포켓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며 칸막이 기능으로 베갯속의 유동범위를 축소하여베갯속의 쏠림을 억제시켜 주기 위한 다수의 격리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절결 구성되는 절결부를 통하여 격리부재에 결합되는 상태로 포켓의 상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입자형 하중지지소재를 밀폐상태로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라인을 갖는 수용팩으로 구성되는 함몰억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베개는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베개의 어느 한 부분이 푹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다수의 격리부재에 작용에 따라 쿠션력을 제공하지만, 사용자의 목 부분이 C자형 곡선을 유지하지 못함으로, 목뼈에 통증이 발생하고, 심지어, 목디스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실 1998-065470 "베개"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통기성큐션과 하부통기성큐션을 구비한 다음, 상기 각각의 큐션 사이에 내충재와 큐션재를 위치하여 봉합처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쿠션력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가 베개를 사용시에, 목 부분을 쿠션재로 받쳐 C자형 곡선을 유지함으로, 목뼈의 통증 및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통기성쿠션과, 상기 상부통기성쿠션과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는 하부통기성쿠션과, 상기 각각의 쿠션 사이에 위치한 내충재와, 상기 내충재 일측으로 구비되는 쿠션재와, 상기 각각의 쿠션을 봉합처리하여 형성된 머리안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쿠션은 다수개의 통공이 배열형성된 상부매쉬와, 상기 상부매쉬와 상호 대응하게 다수개의 통공이 배열형성된 하부매쉬 및 상기 상부매쉬와 하부매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로 형성된 공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충재는 황토, 옥돌, 게르마늄, 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재는 상·하부 직물과, 상기 각각의 직물 사이에 분사가 유기적으로 형성된 쿠션을 말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쿠션에 구획을 나누기 위해 처리한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기성 있는 쿠션을 상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쿠션 사이에 내충재와 쿠션재를 위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쿠션 테두리부분을 봉합마감처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통기성 및 쿠션력을 제공함은 물론, 각종 유용물질을 볼형태로 형성한 내충재를 구비하여 인체에 유익한 자연향 및 각종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베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부통기성쿠션(10)과, 상기 상부통기성쿠션(10)과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는 하부통기성쿠션(20)과, 상기 각각의 쿠션(10)(20) 사이에 위치한 내충재(30)와, 상기 내충재(30) 일측으로 구비되는 쿠션재(40)와, 상기 각각의 쿠션(10)(20)을 봉합처리하여 형성된 머리안착부(5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크게 상부통기성쿠션(10), 하부통기성쿠션(20), 내충재(30), 쿠션재(40), 머리안착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통기성쿠션(10)은 통기성 및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개의 통공(11a)이 무작위 또는 일정하게 배열형성된 상부매쉬(11)와, 상기 상부매쉬(11)에 상호 대응하는 하부매쉬(22)가 마련되되, 상부매쉬(11)에 크기에 상호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공(21a)이 무작위 또는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매쉬(11)(12) 사이에는 각각의 매쉬(11)(12)를 지지하여 통기성 및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지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 사이로 다수개의 공간부(14)가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로를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할 때, 인체 의 발한, 불감증세(피부로부터의 수분 증발) 등 수분을 몸 밖으로 방산(防散)하여 보다 편안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통기성쿠션(20)은 상부통기성쿠션(10)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통공(21a)이 무작위 또는 일정하게 배열형성되는 상부매쉬(21)와, 상기 상부매쉬(21)에 상호 대응하는 하부매쉬(22)가 마련되되, 상부매쉬(21)에 크기에 상호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공(22a)이 무작위 또는 일정하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매쉬(21)(22) 사이에는 각각의 매쉬(21)(22)를 지지하여 통기성 및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지지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3) 사이로 다수개의 공간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내충재(30)는 황토볼, 돌구슬, 나무볼, 게르마늄볼, 맥반석볼 등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소나무를 깎아 나무볼 형태로 다수개 제작하여, 솔잎의 효능인 소취 효과, 불면증 치유, 피부미용의 효과 등을 제공한다.
상기 쿠션재(40)는 다수개의 통공(11a)(21a)이 형성된 상·하부 직물과 각각의 직물 사이에 분사가 다수개 일정한 배열로 촘촘히 위치하여 유기적으로 연결형성된 것으로서, 일단에서 타단으로 말아 원기둥 형태로 형성하여 상부·하부 통기성쿠션(10)(20)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수면을 취할 때, 목 부분이 C자 형을 유지함으로써, 목 부분의 통증 및 목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방지함은 물론, 공기의 유동이 자유로워 시원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말아 형성함으로 보다 효과적인 쿠션감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머리안착부(50)는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알맞게, 베개 상면으로 봉제하거나 접합하여 형성하되, 쿠션재(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베개를 베고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형성한다.
한편, 베개의 일부분을 봉제 및 접합하여 구획을 나누기 위해 구획부(60)를 형성하는데,
상기와 같이 구획을 나누는 이유는 베개 내부에 다수개의 내충재(30)가 삽입될 시에, 다수개의 내충재(30)가 유기적으로 배열되어, 상부통기성쿠션(10)에 보다 효과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지지함으로, 베개의 어느 한 부분이 푹 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고안의 각각의 구성요소가 결합하는 구조를 설명하면,
먼저, 상부통기성쿠션(10)과 하부통기성쿠션(20)을 마련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쿠션(10)(20) 사이에 내충재(30)와 쿠션재(40)를 삽입하여, 각각의 쿠션(10)(20) 테두리를 봉제 및 접착하되, 베개의 횡방향으로 쿠션재(40)가 삽입되고, 상기 일측으로 다수개의 내충재(30)가 위치하며, 상기 내충재(30)가 위한 부분에 구획부(60)를 형성하여, 내충재(30)가 유기적으로 밀착시키고, 상부통기성쿠션(10) 중앙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의 크기에 알맞게 머리안착부(50)를 봉제 및 접합하여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베개의 형태를 설명하면,
베개의 일측 횡방향으로 길게 쿠션재(40)가 삽입되고, 상기 쿠션재(40) 양단부 일측으로 내충재(30)가 삽입되되, 상기 내충재(30)를 유기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구획부(60)를 형성하며, 상기 베개 일측 중앙부에 머리안착부(50)가 쿠션재(4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휴식 및 수면을 취할 경우에,
사용자의 목 부분은 쿠션재(40) 상부에 밀착하여, 자연스럽게 목 부분을 C자형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머리 부분은 머리안착부(50)에 위치하여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휴식을 취하는 과정에서, 내충재(30) 가지고 있는 자연향 및 각종 효능이 발산되어, 상부통기성쿠션(10)의 다수개의 통공(11a)(12a)과 지지부(13) 사이에 공간부(14)를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인체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매쉬(11)(21)와 하부매쉬(12)(22) 및 각각의 매쉬(11)(12)(21)(22) 사이에 다수개 촘촘히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23)가 배열되어 유기적으로 형성된 상부통기성쿠션(10)과 하부통기성쿠션(20)에 탄성력을 제공받아, 보다 효과적인 큐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통기성쿠션
20: 하부통기성쿠션
11,21: 상부매쉬
12,22: 하부매
11a.12a,21a,22a: 통공
13,23: 지지부
14: 삽입공간부
30: 내충재
40: 쿠션재
50: 머리안착부
60: 구획부

Claims (5)

  1. 상부통기성쿠션(10)과,
    상기 상부통기성쿠션(10)과 상호 대응하게 위치하는 하부통기성쿠션(20)과,
    상기 각각의 쿠션(10)(20) 사이에 위치한 내충재(30)와,
    상기 내충재(30) 일측으로 구비되는 쿠션재(40)와,
    상기 각각의 쿠션(10)(20)을 봉합처리하여 형성한 머리안착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쿠션(10)(20)은 다수개의 통공(11a)(21a)이 배열형성된 상부매쉬(11)(21)와, 상기 상부매쉬(11)(21)와 상호 대응하게 다수개의 통공(12a)(22a)이 배열형성된 하부매쉬(12)(22) 및 상기 상부매쉬(11)(21)와 하부매쉬(12)(2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지지부(13)(23)와, 상기 지지부(13)(23) 사이로 형성된 공간부(14)(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충재(30)는 황토, 옥돌, 게르마늄, 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40)는 상·하부 직물과, 상기 각각의 직물 사이에 분사가 유기적으로 형성된 쿠션을 말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쿠션(10)(20)에 구획을 나누기 위해 처리한 구획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150003444U 2015-05-29 2015-05-29 베개 KR200484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444U KR200484097Y1 (ko) 2015-05-29 2015-05-29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444U KR200484097Y1 (ko) 2015-05-29 2015-05-29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194U true KR20160004194U (ko) 2016-12-07
KR200484097Y1 KR200484097Y1 (ko) 2017-08-03

Family

ID=5757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444U KR200484097Y1 (ko) 2015-05-29 2015-05-29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426A (zh) * 2018-07-31 2018-12-07 广州雅莹生物科技有限公司 健康枕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725B1 (ko) 2019-01-17 2020-08-14 김종현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의 제조방법
KR102499433B1 (ko) 2019-01-17 2023-02-13 김종현 서로 다른 채움재의 수용을 위한 보조 수용공간을 갖는 침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70A (ko) 1997-01-10 1998-10-15 김광호 디스크라벨 생성 방법
KR20070043320A (ko) * 2005-10-21 2007-04-25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JP2009505773A (ja) * 2005-08-31 2009-02-12 ジョン−フワ パク 洗浄可能かつ高さ調節可能な枕
KR20130000325U (ko) * 2011-07-05 2013-01-15 임태순 에어메쉬베개
KR20140109748A (ko) * 2013-03-06 2014-09-16 주식회사 한영 베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70A (ko) 1997-01-10 1998-10-15 김광호 디스크라벨 생성 방법
JP2009505773A (ja) * 2005-08-31 2009-02-12 ジョン−フワ パク 洗浄可能かつ高さ調節可能な枕
KR20070043320A (ko) * 2005-10-21 2007-04-25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KR20130000325U (ko) * 2011-07-05 2013-01-15 임태순 에어메쉬베개
KR20140109748A (ko) * 2013-03-06 2014-09-16 주식회사 한영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426A (zh) * 2018-07-31 2018-12-07 广州雅莹生物科技有限公司 健康枕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97Y1 (ko)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729Y1 (ko) 고탄성 구조의 메모리폼 베개
KR200443995Y1 (ko) 기능성 건강베개
KR200484097Y1 (ko) 베개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KR101656567B1 (ko) 바로잠베개
KR101882615B1 (ko) 아로마테라피 메모리 폼 베개
CN204394013U (zh) 一种香薰保健枕
KR101455970B1 (ko) 기능성베개
KR100624090B1 (ko) 통풍 가능한 베개
CN104586142A (zh) 一种带气垫的床垫
KR20220033320A (ko) 거북목 교정용 경추베개 및 그 거북목 교정용 경추베개의 향기 솜 제조방법
KR100584040B1 (ko) 건강베개
KR101895003B1 (ko) 기능성 베개
CN204970620U (zh) 罗布麻枕芯
KR200490055Y1 (ko) 메모리폼 베개
JP3189528U (ja) フレキシブル通気性載置装置
KR20120007538U (ko) 충격흡수용 목침
CN219762945U (zh) 一种便于拆卸的床垫结构
KR101024521B1 (ko) 탄성끈이 설치된 베개
KR102482492B1 (ko) 기능성 두피 베개
KR200369164Y1 (ko) 기능성 베개
CN208807951U (zh) 一种竹炭负离子床垫
KR20060014092A (ko) 기능성 베개
KR20240077319A (ko) 다기능 베개
KR100757668B1 (ko) 황토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