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4092A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4092A
KR20060014092A KR1020040062667A KR20040062667A KR20060014092A KR 20060014092 A KR20060014092 A KR 20060014092A KR 1020040062667 A KR1020040062667 A KR 1020040062667A KR 20040062667 A KR20040062667 A KR 20040062667A KR 20060014092 A KR20060014092 A KR 20060014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head
user
pillow surf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분
천일매
Original Assignee
김우분
천일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분, 천일매 filed Critical 김우분
Priority to KR102004006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4092A/ko
Publication of KR2006001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탄성과 통기성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면이 형성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외형을 이루며, 외측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내측에 약재가 채워지는 몸체와,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압축됨으로써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에 탄성이 제공되도록 몸체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탄성홀과, 사용자의 머리에서 베개면과 접하는 부분이 외부와 통기되도록 베개면으로부터 탄성홀까지 연결되어 형성되는 통기홀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탄성홀의 압축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나 목부위가 편안해지도록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탄성홀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떠받쳐 주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가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통기홀이 탄성홀과 함께 베개면에 접하는 머리 부분에 대한 통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마다 통기홀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베개면을 사용하더라도 베개면에 지지되는 머리에 대한 통기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도 1은 종래의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베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몸체 111 : 베개면
112 : 측면 113 : 베갯속
120 : 탄성홀 130 : 통기홀
140 : 약재주머니 A,B,C,D : 약재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탄성홀의 압축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나 목부위가 편안해지도록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이 탄성을 가지도록 하며, 베개면에 접하는 머리 부분에 대한 외부와의 통기가 항상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람이 잠을 자거나 휴식하기 위해 누울 때, 머리를 일정한 높이에 있도록 머리 밑을 받칠 수 있게 만든 것으로서, 보통 천으로 외피를 만들어 그 내측에 팥, 녹두 등의 곡식이나, 쌀겨, 메밀껍질 등을 넣는다.
베개는 재료와 용도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 쓰는 베개로서 신혼 때 부부가 사용함과 아울러 베갯모에 한 쌍의 봉과 7마리의 새끼봉을 수놓은 구봉침과, 나무를 상자 모양으로 짜서 서랍을 짜 넣은 목침의 하나인 퇴침과, 여름철에 주로 사용했던 나무로 만든 목침과, 자기로 만든 것으로 머리를 식히기 위해 서재에서 잠깐 쉴 때 사용한 도기로 만든 도침과, 긴 사각형의 작은 포단을 몇 장씩 겹쳐서 만든 면침과, 대나무로 만든 죽침 등이 있다.
종래의 베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베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실용신안출원 제1985-10180호의 "베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베개(10)는 상부에 여러 개의 통기구멍(11)을 뚫고, 하방에 끼움구멍(12)을 형성하여 여러 개의 구멍(13)이 뚫리며, 내측에 약재 및 향료(14)를 내입한 케이스(15)를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베개(10)는 상부에 여러 개의 통기구멍(11)을 통해 내측에 끼워진 케이스(15)로부터 약재 및 향료(14)의 향을 맡으며, 취침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10)는 통기구멍(11)이 케이스(15) 내측에 채워진 약재 및 향료(14)의 향을 배출하는 용도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에서 베개(10)의 면과 접촉하는 부분이 외부와 통기되도록 하지 못함으로써 베개(10)의 면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은 취침시나 휴식시, 특히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 땀을 흘리게 됨으로써 숙면 또는 편안한 휴식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베개(10)가 목재나 합성수지 등의 형상 변형이 어려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높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와 목부분에 무리를 주어 사용자의 숙면과 편안한 휴식을 어렵게 하며, 이와 달리 베개(10)가 천 등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외형을 이루어 내측에 베갯속이 충진된 경우라도 베갯속의 재료의 특성에 따라 차이는 있겠으나 사용자의 머리가 항상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받쳐주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탄성홀의 압축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나 목부위가 편안해지도록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탄성홀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떠받쳐 주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통기홀이 탄성홀과 함께 베개면에 접하는 머리 부분에 대한 통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마다 통기홀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베개면을 사용하더라도 베개면에 지지되는 머리에 대한 통기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과 통기성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면이 형성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외형을 이루며, 외측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내측에 약재가 채워지는 몸체와,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압축됨으로써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에 탄성이 제공되도록 몸체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탄성홀과, 사용자의 머리에서 베개면과 접하는 부분이 외부와 통기되도록 베개면으로부터 탄성홀까지 연결되어 형성되는 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베개면(111)을 가짐과 아울러 내측에 약재(A,B,C,D)가 채워지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양측(112)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탄성홀(120)과, 베개면(111)과 탄성홀(120)까지 연결되는 통기홀(13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사용자의 머리(H)(도 7에 도시)를 지지하는 베개면(111)이 형성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외형을 이루고, 내측에 약재(A,B,C,D)가 채워지며, 내측의 약재(A,B,C,D)로부터 향을 외측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메쉬(mesh)로 형성되는 통풍구(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어느 정도 약재(A,B,C,D)의 향을 통과시킬 수 있는 천연섬유나 합성섬유의 천으로 박음질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다. 또한, 몸체(110)는 원통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네 개의 베개면(1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취침용 베개 사이즈뿐만 아니라 일반 베개보다 큰 사이즈의 쿠션 사이즈로도 제작될 수 있다.
약재(A,B,C,D)는 사용자가 맡게 되는 경우 건강이나 정신에 이로운 한방약재나 향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쑥(A), 결명자(B), 국화(C), 향나무(D)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A,B,C,D) 중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이다.
쑥(A)은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 식물성 섬유, 양질의 미네랄 그리고 다양하고 풍부한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염증과 통증을 없애며, 기침을 멈추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등 다양한 약리 작용뿐만 아니라 항암효과도 가지고 있다. 결명자(B)는 무기질 성분의 칼슘(Ca), 인(P), 철(Fe), 비타민 B, 니아신,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고루 들어 있고, 대황에 들어 있는 크리쏘파놀, 에모딘과 같은 성분이 있어 배변작용을 원활하게 하 며, 눈을 밝혀주고, 혈압강화 작용과 콜레스테롤 저하 및 변비 치료에 효능을 가지고 있다. 국화(C)는 꽃에 트리메칠싸이크로핵산, 카보시릭산, 아카세틴, 그리고 잎과 줄기에 아데닌, 쵸린스타치드린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양간명목(養肝明目)에 특효가 있고, 황색색소인 크리산테민, 정유, 아데닌, 콜린, 아미노산, 비타민, 프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두통이나 풍열을 없애고, 청열을 해독하며, 피로한 눈, 노안, 백내장 등에 좋다. 향나무(D)는 목부에 정유가 1.8%, 그리고 리그닌이 있으며, 정유의 주성분은 세드롤, 세드렌과 디테르펜계 물질이 있다. 리그닌 성분으로는 히노키논, 히노키울이 있으며, 향나무의 가지, 잎, 종자, 나무껍질 등은 해열작용을 한다.
또한, 약재(A,B,C,D)는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측에 채워지거나,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약재주머니(140) 내측에 충진되어 베갯속(113)과 함께 몸체(110) 내측에 채워질 수 있다. 약재주머니(140)는 내측에 충진되는 약재(A,B,C,D)의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메쉬(mesh)와 같은 재질, 또는 천으로 제작되며, 내측에 약재(A,B,C,D)를 충진하여 밀봉된 상태에서 좁쌀, 왕겨, 메밀껍질, 깃털, 스펀지 등과 같은 베갯속(113)과 함께 하나 또는 복수로 채워진다.
탄성홀(120)은 복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본 실시예에서처럼 단일로 이루어져 몸체(110)의 양측면(112)의 중심부를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홀(120)은 사용자의 머리(H)(도 7에 도시)가 베개면(111)에 지지시 압축됨으로써 머리(H)를 지지하는 베개면(111)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며, 머리(H)를 지지하는 베개면(111)이 머리(H)를 감싸서 안정적으로 지 지하도록 머리(H)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또한, 탄성홀(120)은 몸체(11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양단이 몸체(110)의 양측면(112)에 각각 박음질 등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과 아울러 몸체(110)가 외형을 유지하기 내측에 채워지는 약재(A,B,C,D)나 베갯속(113)에 의해서 복원력을 가진다.
통기홀(130)은 베개면(111)으로부터 탄성홀(120)까지 연결되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H)(도 7에 도시)에서 베개면(111)과 접하는 부분이 탄성홀(120)이나 다른 통기홀(130)을 통해 외부와 통기되도록 한다.
탄성홀(120)과 통기홀(130)은 단면형상이 원형, 사각형 그 밖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단면형상이 원형인 경우는 그 직경이, 단면형상이 다각형인 경우는 그 폭이 2cm ∼ 12cm임이 바람직하다. 탄성홀(120)과 통기홀(130)의 직경 또는 폭이 2cm 미만인 경우 탄성홀(120)은 압축량이 작아서 원하는 탄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며, 압축에 의해 탄성홀(120)이나 통기홀(130)이 함몰되어 통기성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탄성홀(120)과 통기홀(130)이 직경 또는 폭이 12cm를 초과하는 경우 탄성홀(120)이나 통기홀(130)이 압축에 의해 너무 쉽게 함몰되어 탄성 기능이나 통기성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통기홀(130)은 몸체(110)에 복수로 형성되는 베개면(111)마다 그 중심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0)가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경우 통기홀(130)은 네 개로 이루어져 "+"자로 형성되며, 그 중심을 탄성홀(120)이 관통하게 된다. 그러므로, 통기홀(130)은 베개면(111)의 중심부에 단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베개면(111)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머리(H)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어느 베개면(111)을 베고 있더라도 그 머리부분은 탄성홀(120)과 다른 통기홀(130)을 통해 안정적으로 통기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기능성 베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7에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의 사용상태도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H)가 베개면(111)에 놓이게 되면, 탄성홀(110)이 압축됨으로써 베개면(111)은 하강하여 사용자의 머리(H)나 목부분이 편해지도록 알맞은 높이로 조절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111)이 머리(H)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 또한, 탄성홀(120)은 몸체(110)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약재(A,B,C,D)나 베갯속(113)이 몸체(110) 내측에 채워짐으로써 복원력을 가지게 되어 베개면(111)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머리(H)를 편안하게 떠받치며, 베개면(111)으로부터 사용자의 머리(H)가 이탈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시킨다.
사용자가 베개면(111)에 머리(H)를 대고 취침이나 휴식을 취할 경우 베개면(111)으로부터 통기홀(130)과 탄성홀(120)을 통해 베개면(111)에 접하는 사용자의 머리(H)부분이 외부와 통기됨으로써 사용자가 시원함을 느끼도록 한다. 또한 베개면(111)마다 통기홀(130)이 형성됨으로써 어떠한 베개면(111)을 사용하더라도 탄성홀(120)을 통해 통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지면에 접하지 않는 다른 통기홀(130)을 통해서도 외부와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통기홀(130)들은 머리(H)의 가압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탄성홀(120)이 탄성을 가지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탄성홀(120)과 통기홀(130)은 그 직경이나 폭이 2cm ∼ 12cm에 해당하게 됨으로써 탄성홀(120)과 통기홀(130)이 사용자의 머리(H)를 지지시 압축되더 라도 탄성에 의해 함몰되어 완전하게 차단되지 않을 정도로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탄성홀(120)과 통기홀(130)이 사용자의 머리(H)를 지지하더라도 완전하게 차단되지 않게 됨으로써 원상으로의 회복이 뛰어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측에 채워지는 쑥(A), 결명자(B), 국화(C), 향나무(D)와 같은 약재 또는 몸체(110)에 베갯속(113)과 함께 채워지는 약재주머니(140)에 충진되는 이들 약재(A,B,C,D)로부터 몸체(110)의 외형을 이루는 천이나 메쉬를 통해 외측으로 향을 발산함으로써 취침이나 휴식을 위해 베개면(111)에 머리(H)를 대고 있는 사용자에게 약재(A,B,C,D)의 향을 제공하여 편안한 휴식과 함께 숙면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약재(A,B,C,D)마다 가지고 있는 효능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을 이롭게 하거나 질병 치료에 도움을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탄성홀의 압축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나 목부위가 편안해지도록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탄성홀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떠받쳐 주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통기홀이 탄성홀과 함께 베개면에 접하는 머리 부분에 대한 통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마다 통기홀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베개면을 사용하더라도 베개면에 지지되는 머리에 대한 통기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면에 지지시 탄성홀의 압축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나 목부위가 편안해지도록 베개면의 높 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탄성홀의 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떠받쳐 주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통기홀이 탄성홀과 함께 베개면에 접하는 머리 부분에 대한 통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베개면마다 통기홀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베개면을 사용하더라도 베개면에 지지되는 머리에 대한 통기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탄성과 통기성을 가지는 기능성 베개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면이 형성되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외형을 이루며, 외측으로 향이 발산되도록 내측에 약재가 채워지는 몸체와,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베개면에 지지시 압축됨으로써 상기 베개면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베개면에 탄성이 제공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탄성홀과,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서 상기 베개면과 접하는 부분이 외부와 통기되도록 상기 베개면으로부터 상기 탄성홀까지 연결되어 형성되는 통기홀
    을 포함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는,
    쑥, 결명자, 국화, 향나무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는,
    약재주머니 내측에 충진되어 베갯속과 함께 상기 몸체 내측에 채워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홀 또는 상기 통기홀은,
    직경 또는 폭이 2cm ∼ 12cm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홀은,
    몸체에 복수로 형성되는 베개면마다 그 중심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040062667A 2004-08-10 2004-08-10 기능성 베개 KR20060014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667A KR20060014092A (ko) 2004-08-10 2004-08-10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667A KR20060014092A (ko) 2004-08-10 2004-08-10 기능성 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36U Division KR200369164Y1 (ko) 2004-08-10 2004-08-10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092A true KR20060014092A (ko) 2006-02-15

Family

ID=3712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667A KR20060014092A (ko) 2004-08-10 2004-08-10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40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4870A1 (de) * 2011-10-20 2013-04-25 Sanders Gmbh Kissen, Verwendung und Herstellung desselben
KR101977301B1 (ko) * 2018-04-27 2019-08-28 이자영 기능성 베개의 제작방법
CN113925709A (zh) * 2021-09-18 2022-01-14 刘宗启 一种神经内科术后辅助护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4870A1 (de) * 2011-10-20 2013-04-25 Sanders Gmbh Kissen, Verwendung und Herstellung desselben
KR101977301B1 (ko) * 2018-04-27 2019-08-28 이자영 기능성 베개의 제작방법
CN113925709A (zh) * 2021-09-18 2022-01-14 刘宗启 一种神经内科术后辅助护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718B1 (ko) 다층구조로 분획 격실을 갖는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4100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베게
KR200484097Y1 (ko) 베개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CN204394013U (zh) 一种香薰保健枕
KR200369164Y1 (ko) 기능성 베개
KR20060014092A (ko) 기능성 베개
KR101455970B1 (ko) 기능성베개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CN204483672U (zh) 一种多功能环保气囊填充枕
KR101977301B1 (ko) 기능성 베개의 제작방법
CN208807960U (zh) 一种高抗菌防辐射乳胶床笠
RU61526U1 (ru) Изделие для домашнего обихода
KR100887717B1 (ko) 독립된 분획격실을 갖는 기초 원단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75995B1 (ko) 침구류의 구성방법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CN109259534A (zh) 一种可提供香氛的家纺用品
KR101392259B1 (ko) 수맥차단 건강 수면 베개
KR102629601B1 (ko) 기능성 경추 베개
CN207236575U (zh) 一种组合保健耳枕
KR200334973Y1 (ko) 건강침구
CN211483885U (zh) 可机洗可调高的棉花枕头
KR101417510B1 (ko) 피톤치드 인형
CN216875887U (zh) 一种多功能枕头
CN209595368U (zh) 三层结构复合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