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973Y1 - 건강침구 - Google Patents

건강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973Y1
KR200334973Y1 KR20-2003-0026956U KR20030026956U KR200334973Y1 KR 200334973 Y1 KR200334973 Y1 KR 200334973Y1 KR 20030026956 U KR20030026956 U KR 20030026956U KR 200334973 Y1 KR200334973 Y1 KR 200334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ding
pine
cushion
further provided
cor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규상
Original Assignee
노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규상 filed Critical 노규상
Priority to KR20-2003-0026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9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2Making upholstery from waddings, fleeces, ma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잣나무, 소나무 등의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가 내피에 충진되고, 허브향이나 아로마향 솔잎, 국화, 한약재나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된 보조심재를 침구의 외피의 내측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보조심재의 교체가 가능하고, 보조심재의 개수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강침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건강침구는,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베개, 매트, 보료, 매트리스, 쿠션,방석, 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의 침구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잣나무, 소나무를 콩알만하게 가로, 세로 1cm 내외의 크기로 잘라 사각, 오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다듬은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외피의 내측에 일측이 개방되고 나머지 둘레부가 봉합된 주머니가 더 구비되고, 이 주머니에 인입되는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베개, 방석, 이불, 보료, 매트리스, 쿠션,방석, 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과 같은 침구를 사용할 시, 사용자의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함에 있어 보다 편안하게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 된 보조심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세척시에 보조심재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건강침구{HEALTH BEDDING WITH MEDICINES TEABAG}
본 고안은 배개, 이불, 보료, 매트, 매트리스, 쿠션,방석, 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 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구의 내피속에 잣나무, 소나무 등의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방향재,음이온석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 된 보조심재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편안한 휴식과 함께 쾌적한 느낌을 갖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보조심재의 개수를 한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강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 이불, 보료, 매트,매트리스, 쿠션, 방석, 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의 침구는 솜이나 기타의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내피와 이 내피를 감싸는 외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피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심재가 더 수용되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함에 있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들어, 상기 내피의 속에 향기로 인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식물의 꽃잎이나 줄기 또는 솔잎 등과 같은 심재를 더 수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숙면을 취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함에 있어, 심재에서 발산되는 향기 등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하고 쾌적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근자들어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등이 발산되는 숯이나 기타의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휴식과 함께 머리를 맑게 해줌으로써 피로감이 쉽게 풀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건강침구들은 심재가 내피의 속에 함침되어 있음에 따라, 장기간 사용할 때 심재의 교체가 불가능하고, 또한 오물질이 묻어 내피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 내피에 함침된 심재가 세척시에 물에 의해 그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내피내에 함침되어 있는 심재는 그 분량이 한정되어 양산됨으로써, 심재의 함침분량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절하게 심재의 양이나 또는 심재의 종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가 솔잎 성분으로 이루어진 심재가 함침된 침구를 사용하다가 솔잎성분이 아닌 아로마 성분이나 또는 허브향이 나는 침구를 사용하고자할 경우, 새로운 침구를 재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구입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즉, 종래 건강침구의 경우 내피에 함침된 심재의 성분이 한정되어 있고, 다른 것으로 교체가 불가능함에 따라, 원하는 성분이 들어있는 침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심재가 함침된 침구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고 이로인해, 적지않은 비용부담을 느끼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건강침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잣나무 또는 소나무 등의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향이나 아로마향 솔잎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된 보조심재를 침구의 내피속에 구비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보조심재의 교체가 가능하고, 보조심재의 개수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강침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침구의 외피 속에 허브향이나 아로마향 솔잎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된 보조심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건강침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건강침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피 11 : 속재
20 : 외피 21 : 주머니
30 : 보조심재 100 : 건강침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건강침구는,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베개, 매트, 보료, 매트리스, 쿠션,방석, 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의 침구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잣나무, 소나무를 콩알만하게 가로, 세로 1cm 내외의 크기로 잘라 사각, 오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다듬은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외피의 내측에 일측이 개방되고 나머지 둘레부가 봉합된 주머니가 더 구비되고, 이 주머니에 인입되는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건강침구는, 침구의 내피가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있고 또한, 외피의 내측에 보조심재가 별도의 주머니에 더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함에 있어 보다 편안하게 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 된 보조심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세척시에 보조심재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인 건강침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인 건강침구의 제1실시예로서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강침구는 베개 이외에 매트, 이불, 보료, 매트리스, 쿠션, 방석, 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의 침구는 물론, 내피를 감싸는 외피를 갖는 구성물품 예를들어 방석이나 쿠션 등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피(10)와 이 내피(10)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 건강침구(100)의 상기 내피(10)의 내측에 잣나무 또는 소나무 등의 나무알갱이를 콩알만하게 가로 세로 1cm 내외로 하여 사각, 오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다듬어 굴곡이 유연하게 해서 그중 전체 또는 일부를 망사에 넣고 별도의 한약재료를 또 다른 망사에 넣은 다음, 나무알갱이와 한약재료가 담겨진 망사를 같이 24시간 삶은 후 9일동안 응달에 말려서 이루어진 다량의 속재(11)가 충진되고, 이 속재(11)가 다량으로 충진된 건강침구(100)의 내피(10)속에 허브, 라벤다, 아로마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등을 응달에 9일이상 건조시켜 적은 봉지에 담아 티백화 된 보조심재(30)를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된다.
이와 같이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11)와 티백화 된 보조심재(30)를 내피(10)의 속에 충진한 후, 상기 내피(10)를 재봉하거나 또는 별도의 지퍼 등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건강침구(100)를 이용하여 휴식을 취하거나 또는 숙면을 취함에 있어서 내피(10)속에 충진된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11)들과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방향재, 한약재, 음이온석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 된 보조심재(30)에 의해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심재(3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또는 기호에 따라 적절하게 그 수량 및 종류를 선택하여 내피(10)속에 충진하여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효능이 다 된 보조심재를 다른 것으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적은 비용으로 건강침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인 건강침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구성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내피(10)와 이 내피(10)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20)로 이루어진 건강침구(100)의 상기 외피(2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이상 또는 장형의 주머니(21)를 구비하되, 이 주머니(21)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외피(20)의 내측부에 그 둘레를 봉합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주머니(21)의 일측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티백화 된 보조심재(30)를 주머니(21)의 내측에 인입하고, 상기 내피(10)의 둘레부를 감싼 외피(20)의 마주보는 부분을 서로 봉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외피(20)의 내측에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 음이온석 등이 건조되어 티백화 된 보조심재(30)가 구비된 건강침구(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심재(30)가 건강침구(100)의 외피(20)로부터 자유로이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보조심재(30)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심재에 수용된 식물 또는 기타의 수용부재의 종류를 변경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여러종류의 보조심재만을 구입하여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그 종류를 변경하여 상기 외피의 주머니에 인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침구를 교체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건강침구는, 내피와 이 내피를 감싸는 외피의 내측에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보조심재가 자유로이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보조심재의 교체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구입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어 널리 실용화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베개, 매트, 보료, 매트리스, 쿠션,방석,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의 침구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잣나무, 소나무를 콩알만하게 가로, 세로 1cm 내외의 크기로 잘라 사각, 오각,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다듬은 나무알갱이로 이루어진 속재와;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침구.
  2.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내피, 상기 내피의 외부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베개, 매트, 보료, 매트리스,쿠션, 방석,의자나 소파의 등받이 등의 침구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내측에는 상기 외피의 내측에 일측이 개방되고 나머지 둘레부가 봉합된 주머니가 더 구비되고, 이 주머니에 인입되는 허브, 라벤다, 아로마 등의 향기나는 식물의 잎이나 또는 꽃 줄기 쑥, 구절초, 솔잎, 국화, 한약재료, 방향재, 음이온석 등이 티백화 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심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침구.
KR20-2003-0026956U 2003-08-21 2003-08-21 건강침구 KR200334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56U KR200334973Y1 (ko) 2003-08-21 2003-08-21 건강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56U KR200334973Y1 (ko) 2003-08-21 2003-08-21 건강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973Y1 true KR200334973Y1 (ko) 2003-12-03

Family

ID=4942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956U KR200334973Y1 (ko) 2003-08-21 2003-08-21 건강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9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48B1 (ko) 2006-01-24 2007-02-22 송병만 한약재가 내장된 베개
KR102296632B1 (ko) * 2021-06-04 2021-09-01 주식회사 엘덤 향기테라피를 이용한 건강 베개
WO2023191608A1 (ru) * 2022-03-27 2023-10-05 Кулдархан Нурсапаевна АЛДИБЕК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звоночных гры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48B1 (ko) 2006-01-24 2007-02-22 송병만 한약재가 내장된 베개
KR102296632B1 (ko) * 2021-06-04 2021-09-01 주식회사 엘덤 향기테라피를 이용한 건강 베개
KR102364257B1 (ko) * 2021-06-04 2022-02-17 주식회사 엘덤 향기테라피를 이용한 건강 베개의 제조방법
WO2023191608A1 (ru) * 2022-03-27 2023-10-05 Кулдархан Нурсапаевна АЛДИБЕК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озвоночных гры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1733A (en) Pillow for an individual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a pillow for an individual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101221070B1 (ko) 목침과 탄성매트를 이용한 양면베개
KR200334973Y1 (ko) 건강침구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JPH08131307A (ja)
CN212995830U (zh) 湿度报警枕芯
KR20110051699A (ko) 찜질팩 기능을 갖는 봉제완구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KR101417510B1 (ko) 피톤치드 인형
KR101175995B1 (ko) 침구류의 구성방법
KR200337225Y1 (ko) 건강방석
JPH04329908A (ja) 健康枕及び健康マット
KR100757668B1 (ko) 황토 베개
KR100666417B1 (ko) 향기발산부재와 공기 정화부재를 투입한 파이프 부재들을 이용하여 침구류를 구성하는 방법
KR20000006987A (ko) 침구류
KR200335882Y1 (ko) 이중 쿠션 매트리스
JP2005152041A (ja) ヨモギペレットを内包する寝具及び寝具カバー
KR200358542Y1 (ko) 침대용 매트리스
CN201175189Y (zh) 中药保健枕头
CN211212431U (zh) 一种保健枕头
RU10064U1 (ru) Матрац "биомат"
KR20020060116A (ko) 숙면베개
KR20030094189A (ko) 향기발산부재와 공기 정화부재의 작용에 의해 실내의 공기 정화 작용과 수면자의 몸체에 향기가 용이하게 접 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이불 또는 베개와 같은 침구류와 그 방법을 이용한 침구류의 구성방법
KR200365719Y1 (ko) 기능성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