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719Y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719Y1
KR200365719Y1 KR20-2004-0019499U KR20040019499U KR200365719Y1 KR 200365719 Y1 KR200365719 Y1 KR 200365719Y1 KR 20040019499 U KR20040019499 U KR 20040019499U KR 200365719 Y1 KR200365719 Y1 KR 200365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neck
head
functional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이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재 filed Critical 이상재
Priority to KR20-2004-0019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잠자리나 휴식중 인체의 목과 머리부분을 괴는데 사용되는 베개 특히, 기능성 베개가 제공된다.
상기 가능성 베개는, 수면이나 휴식시 인체의 머리부분을 받치는 베개에 있어서, 인체건강에 유익한 건강기능을 발생시키면서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는 기능성 목받침재가 내장되어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된 제 1 몸체부재 및, 상기 제 1 몸체에 인접 위치되고, 인체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치는 머리받침재가 내장되어 인체의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된 제 2 몸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재들은 커버체로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베개사용시 건강적인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보다 편안하게 충분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히 다분할 구조로서 인체의 목과 머리부분을 인체 특성에 맞추어 편안하게 받치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숙면을 취하도록 하면서 경부통증등을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다 콤팩트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고안은 잠자리나 휴식중 머리를 괴는데 사용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베개사용시 건강적인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보다 편안하게 충분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히 다분할 구조로서 인체의 목과 머리부분을 인체 특성에 맞추어 편안하게 받치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숙면을 취하도록 하면서 경부통증 등을 예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보다 콤팩트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잠자리에서 수면을 취하거나 휴식을 취할때,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물건으로서, 이와 같은 베개는 통상 외피와 내피를 구비하고, 상기내피속에는 어느정도의 부피를 갖도록 하는 솜 등의 큐션재 또는, 특정 형상의 딱딱한 플라스틱 또는 곡물(곡물 껍데기) 등이 채워져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베개는 일체형의 내피에 솜 등을 채워서 하나의 원통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괴일 수 있도록 한 것 일 뿐, 사용자의 목(경추)부분과 머리부분을 각기 개별적으로 분할 구조로 괴도록 하면서 인체의 특성에 따라 기능적으로 적절하게 괴이도록 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또한, 최근 사용이 증가되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폼(foam)으로 구성된 합성수지 베개들이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합성수지 베개들의 대부분도 그 형태는 종래 베개와 마찬가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다분할 구조는 아니므로 인체의 목부분과 머리부분을 각기 기능적으로 편안하게 괴이는 것을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합성수지 베개들은 종래 베개들이 내피와 이에 내장되는 솜의 복잡한 구조로 큐션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비하여, 합성수지 자체의 큐션기능을 이용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인체의 목부분과 머리부분을 인체 특성에 맞게 보다 편안하게 괴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목부분에 맞닿는 부분에는 경추 굴곡(선)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목받침재를 사용하고, 머리부분은 다른 내장재로서 편안하게 받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건강적인 기능과 인체 특성에 부합하는 기능을 모두 갖춘 다분할 구조의 기능성 베개가 제공되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베개사용시 건강적인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보다 편안하게 충분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특히 다분할 구조로서 인체의 목과 머리부분을 인체 특성에 맞추어 편안하게 받치도록 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콤팩트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외관도
도 2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a)는 제 2 몸체부재에 메모리폼을 내장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
(b)는 제 2 몸체부재에 오리털을 내장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제 1 몸체부재에 목받침재가 여러개의 주머니로 분리 저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의 평면도로서,
(a)는 제 2 몸체부재에 메모리폼을 내장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
(b)는 제 2 몸체부재에 오리털을 내장시킨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베개 10.... 목받침용 제 1 몸체부재
12.... 목받침재 16.... 주머니
14,52,74.... 개폐수단(지퍼) 30.... 머리받침용 제 2 몸체부재
32,76.... 메모리폼 34.... 오리털
50.... 커버체 70.... 완충용 제 3 몸체부재
72.... 큐션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수면이나 휴식시 인체의 머리부분을 받치는 베개에 있어서,
인체건강에 유익한 건강기능을 발생시키면서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는 기능성 목받침재가 내장되어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된 제 1 몸체부재; 및,
상기 제 1 몸체에 인접 위치되고, 인체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치는 머리받침재가 내장되어 인체의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된 제 2 몸체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재들은 커버체로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체의 목(경추)부분은 장시간 수면시 C자형의 곡선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베개를 사용하는데, 베개를 배지 않고 수면을 취하면 목이나 어깨가 뻐근하게 되는 근육 이상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경추)부분의 통증 즉, 경부통증은 통상 일생동안 35-80%의 높은 고안율을 나타나며 특히, 나이가 들수록 이와 같은 경부통증은 손쉽게 발생되고, 또한 이와 같은 경부통증은 현대인에게는 잘못된 자세로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발생되기도 하지만, 수면시 그 자세가 바르지 못하여 발생되기 쉽다.
즉, 사람의 일생중 대부분의 시간이 수면시간인데, 이 수면동안 목부분을 베개로 적절하게 괴이지 못하면, 경부통증이 손쉽게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베개는 이와 같은 인체의 목과 머리부분을 각각 그 인체특성에 맞추어 다분할 구조로 괴도록 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대충 머리부분을 괴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능성 베개는 인체 구조에 맞추어 다분할 구조로서 목부분과 머리부분을 개별적으로 적절하게 괴도록 하면서, 목질 한약재의 건강물질을 내장시키어 건강적인 기능도 제공하면서, 전체적으로 콤팩트하면서 숙면을 취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외관도이고, 도 2는 기능성 베개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기능성 베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기능성 베개의 제 1 몸체부재에 목받침재가 여러개의 주머니로 분리 저장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기능성 베개의 다른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기능성 베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기능성 베개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0은 기능성 베개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는데, 섬유 바람직하기는 통기가 잘되는 섬유(천)로 만들어진 커버체(50)내에 다음에 설명하는 몸체부재(30)(50)(70)들이 커버체(50)의 적어도 일면에 제공된 개폐수단(52) 예를 들어, 지퍼를 이용하여 삽입되는데, 이하에서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여러 일예들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일예(1a)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면이나 휴식시 인체의 목 및 머리부분을 받치는 본 고안인 제 1 기능성 베개(1a)는 크게 기능성 제 1,2 몸체부재 (10)(30)로 구성되어 커버체(50)로 감싸진다.
즉, 상기 제 1 몸체부재(10)는,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고 내부에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건강기능을 발생시키는 기능성 목받침재(12)가 내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부재(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실질적으로는 내장되는 기능성 목받침재(12)들이 내장된 후, 그 조각 들이 베개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매우 치밀하고 두꺼운 조직의 섬유(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여러 섬유조각들을 재봉처리하여 제 1 몸체부재(10)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 1 몸체부재(10)의 적어도 일면에는 기능성 목받침재 (12)들을 내부에 내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밀폐시키는 개폐수단(14) 예를 들어, 지퍼가 갖추어 짐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제 1 몸체부재(10)에 내장되는 기능성 목받침재(12)는 숯이나 조각자, 천궁, 방풍, 강활, 백지, 천마, 고본, 복신, 석창포 등의 딱딱한 목질 한약재를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목질 한약재들은 두통, 어지럼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지는 약재로서 특유한 향으로 악취를 제거하거나 습기를 흡수하면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여러 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때 상기 한약재들은 한가지만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골고루 섞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참나무 등을 600-900℃ 정도에서 구운 숯은 탄소 85%, 수분10%, 미네랄 3%, 휘발성분 2%로 구성되어 있고 특히 표면에는 미세한 구멍들이 수없이 형성된 다공질인데, 이와 같은 숯을 600-900℃ 에서 다시 탄화시키면 더욱 많은 구멍들이 형성되면서, 실제 사용시 세균이나 악취물질을 빨아들이면서 해독작용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숯은 물질의 부패 즉, 산화현상을 억제하고, 특히 다량의 농축된 미네랄 즉, 칼슘, 칼륨, 철, 인, 나트륨 등의 5대 미네랄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에는 식용으로도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베개는 숯이 내장되므로 수면시 인체에서 발생되는 땀등의 습기가 흡수되면서 베개를 보다 건조하게 유지시키면서 다른 건강적인 효과를 제공받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목받침재(12)중 하나로 사용되는 조각자는 조각자나무의 가시인데, 이와 같은 조각자는 소종, 배농 등의 효능이 있어 각종 부종부위는 물론, 피부탄력을 유지시키고 알레르기 비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따라서 인체의 목부위는 항상 옷에서 노출된 부위로 오염되기 쉽고 부종등이 손쉽게 발생되는 부위이므로 본 고안의 베개를 사용하면 유익한 것이다.
그리고, 천궁은 향이 나고 인체의 혈액순환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협압이 높은 사람에서 치료재로 사용되어 이와 같은 천궁이 내장된 본 고안의 베개는 혈약순환을 촉진시키어 보다 편안하게 숙면을 취하도록 할 것이다.
다음, 방풍은 해열,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뼈마디가 쑤시거나 목덜미가 뻣뻣한 경우에 이를 부드럽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인체의 목부분을 받쳐주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제 1 몸체부재(10)에는 상기 목질 한약재들중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을 내장시킴으로서, 인체의 목부분을 수면중에 받치면서 여러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이때, 도 3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베개에서 상기 기능성 목받침재(12)은 제 1 몸체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건강적인 효과를 제공하지만 인체(M)의 목(N)부분을 받치는 역할을 하므로, 대략 10mm 내외로 가공되어 제 1 몸체부재(10)가 인체의 목부분을 적당하게 받칠 수 있는 정도의 양으로제 1 몸체부재(10)내에 내장됨은 물론이다.
물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기능성 목받침재 (12) 즉, 목질 한약재들은 끝이 뽀족하지 않게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사용시 목부분이 한약재로서 찔리지 않도록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부재(10)는 매우 조밀하게 짜여지면서 두께가 어느 정도 두꺼운 섬유(천)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제 1 몸체부재(10)의 다른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 1 몸체부재(10)의 내부에 바로 목질 한약재와 같은 목받침재(12)를 내장시키지 않고, 여러개 예를 들어, 3개 정도의 주머니(16)들에 각각 다른 종류의 한약재를 넣고, 이 주머니(16)들을 개폐수단인 지퍼로 밀폐시킨후, 제 1 몸체부재(10)에 내장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기는 3개의 주머니(16)중 중앙측 주머니(16)에는 실질적으로 인체의 목(N)부분이 받쳐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한약재중 딱딱하고 적당한 크기 예를 들어 10mm 내외로 가공된 목질 한약재 즉, 숯, 조각자, 천궁, 방풍, 강활, 백지, 천마, 고본, 복신, 석창포중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된 것을 내장시키고, 반대로 다른 양측의 주머니(16)들에는 부드럽고 향이 주로 나면서 악취를 제거하는 쑥, 국화, 박하 중 하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을 내장시키어 다른 성질의 한약재가 내장된 여러개의 주머니(16)들을 상기 제 1 몸체부재(10)에 내장시키어 보다 효과적인 건강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1a)의 다른 구성요소인 상기 제 2 몸체부재(30)는, 상기 제 1 몸체(10)에 인접 위치되고, 인체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치는 머리받침재가 내장되어 인체의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 2 몸체부재(30)는 수면시 인체의 머리가 닿는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섬유로 제작하고, 전체적으로는 인체의 머리를 부드럽게 받치는 사각형태로 형성하여 제 1 몸체부재(10)에 인접 배치하면 되고, 이와 같은 제 2 몸체부재(30)의 적어도 일면에도 상기 머리받침재를 내장시키고, 이후 밀폐시키기 위한 개폐수단(36) 즉, 지퍼가 제공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몸체부재(30)에 내장되는 머리받침재의 그 재질에 따라 도 3a,7a 및 도 3b, 7b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a, 7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몸체부재(30)에 내장되는 머리받침재는 머리부분을 부드럽게 받치면서 사용시 머리의 하중으로 눌려져 도 7에서와 같이 제 1 몸체부재(10)에서의 인체(M) 목부분(N)의 경추만곡선을 유지시키는 메모리폼(memory foam)(32)을 사용할 수 있고, 또는 도 3b,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몸체부재(30)의 내부에 오리털(34)을 내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몸체부재(30)에는 머리가 닿아서 부드럽게 눌려지면서 보다 편안하게 숙면하도록 하고, 머리 (H)가 눌려지는 때에 목부분(N)의 경추만곡선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자형으로 유지시키어 경부통증 등을 예방시키게 할 것이다.
이때, 제 2 몸체부재(30)의 머리받침재로 사용되는 메모리폼(32)은 우주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주비행사들의 척추와 목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주 성분은 폴리우레탄 성분인데, 이와 같은 메모리 폼은 에너지 흡수성이 우수하고 하중 분산이 원활하면서, 땀등의 습기를 잘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다른 머리받침재인 오리털(34)의 경우에도 머리를 부드럽고 편안하게 받치게 하여 숙면을 취하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2 몸체부재 (10)(30)들은 통기가 잘되는 섬유(천)으로 된 커버체(50)의 개폐수단(52) 예를 들어, 지퍼를 열고 내부에 넣고 일체로 덮어서 전체적으로 양끝이 라운딩한 타원형 형태의 외관을 갖는 베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8에서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일예(1b)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기능성 베개 (1b)는 도 2 및 도 3의 제 1 기능성 베개(1a)에 제 3 몸체부재(70)를 추가한 것으로 상기 제 1,2 몸체부재(10)(30)의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다만 제 2 몸체부재(30)의 크기가 다음에 설명하듯이 제 3 몸체부재(70)로 감싸지도록 작아진 것이다.
즉, 상기 제 2 몸체부재(30)는 제 1 몸체부재(10)의 중앙측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1 몸체부재(10)의 양측으로 제 2 몸체부재(30)를 감싸면서 인체의 머리부분이 접촉되면서 받치도록 구성되고, 커버체(50)로서 상기 제 1,2 몸체 (10)(30)와 일체로 덮여지는 완충용 제 3 몸체부재(7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3 몸체부재(70)는, 인체의 머리부분과 부드럽게 접촉하는 부드러운 섬유로 구성되어 제 2 몸체부재(30)를 감싸면서 제 1 몸체부재(10)의 양측에 밀착되는 일정두께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폐수단(74) 예를 들어, 지퍼가 적어도 일면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몸체부재(70)의 개폐수단(74)의 개방시 삽입되는 상기 큐션재(72)는 솜을 사용하고, 따라서 상기 제 3 몸체부재(70)는 부드러운 섬유조각(천조작)을 재봉 처리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제작하여 그 내부에 솜을 삽입시키어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 2 기능성 베개(1b)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부재(10)에서 인체(M)의 목(N)부분을 받치고, 인체의 머리(머리중앙)(H)는 하중 분산성이 우수한 메모리 폼(32)이나 오리털(34)로 된 머리받침재가 내장된 사각형태의 제 2 몸체부재(30)가 받치고, 그 외곽으로 솜의 큐션재(72)가 내장되면서 제 2 몸체부재(30)를 감싸는 ㄷ자 형상의 제 3 몸체부재(70)가 머리의 나머지부분 또는 머리가 돌려지는 얼굴부분과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한다.
결국, 본 고안의 제 2 기능성 베개(1b)는 다분할 구조이면서 각기 다른 특성의 내장재 즉, 목받침재(12), 머리받침재(32)(34) 및 큐션재(72)로서 인체의 목,머리, 머리부분(얼굴부분)을 각각 적절하게 받치기 때문에, 보다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고,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것이며, 목질 한약재인 기능성 목받침재와 머리받침재인 메모리폼은 수면시 발생되는 땀 등의 습기를 흡수하여 보다 쾌적한 수면을 가능하게 하고, 여러 인체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여 건강베개의 기능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도 9에서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다른 일예(1c)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기능성 베개(1c)는 ㄷ자 형상으로 제작된 제 3 몸체부재(70)의 내부 양측으로 제 2 몸체부재(30)와 머리받침재로 사용되는 메모리폼(76)을 추가로 내장시킨 것이다.
따라서, 인체마다 머리의 크기가 틀리므로, 본 고안의 제 3 기능성 베개 (1c)는 보다 편안하게 머리부분을 받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10에서는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의 또 다른 일예(1d)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기능성 베개(1d)는 ㄷ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3 몸체부재(70)의 길이를 신장시키고, 상기 기능성 목받침재 (12)가 내장된 제 1 몸체부재(10)와 메모리폼(32)이나 오리털(34)이 내장되는 제 2 몸체부재(30)를 일체로 상기 제 3 몸체부재(70)로서 일체로 감싸지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 4 기능성 베개(1d)는 솜이 채워진 제 3 몸체부재(70)부분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보다 완충성이 우수하고, 결국 수면시 자주 자세를 바꾸기 쉬우면서 목부분이 유연한 어린이용이나 노약자용으로 사용하면 보다 편리할 것이다.
즉, 어린이는 수면중에 머리부분이 잘 돌려지므로, 솜이 내장된 제 3 몸체부재(70)가 확장된 제 4 기능성 베개(1d)는 어린이의 얼국부분을 부드럽게 접촉하면서 지탱시켜 주므로, 어린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여러 예의 기능성 베개들은 사용자의 년령이나 수면습관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될 것인데, 예를 들어 제 1 베개 (1a)는 수면습관이 좋고 건강한 성인용으로 사용하고, 제 2, 3 베개(1b)(1c)는 성인이지만 수면시 자주 얼굴을 돌리는 경우 사용하고, 제 4 베개(1d)는 어린이나 노약자용으로 사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고안인 여러 기능성 베개(1a)(1b)(1c)(1d)들은, 다분할 구조로서 기존의 일체형 베개보다 인체의 목과 머리 특성에 맞추어 보다 편안하게 받칠 수 있게 하고, 인체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같이 발생시키면서, 습기 제거성이 우수하여 베개를 항상 건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경부통증 이나 악취등을 예방하여 전체적으로 사용시 충분한 숙면을 가능하게 하고, 전체적인 구조도 콤팩트한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도면으로 사용상태를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베개중 제 3 몸체부재(70)를 갖춘 제 2-4 베개(1b)(1c)(1d)의 경우, 제 3 몸체부재 (70)내에 쿠션재(72)인 솜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부분에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고 제 2 몸체부재(30)에 머리부분을 받치도록 베개를 돌려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인데, 이 경우도 목부분이 유연한 어린이 등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기능성 베개에 의하면, 첫째 기존의 일체형 베개에 비하여 다분할 구조로 제작되어 목과 머리(머리부분) 등의 인체 특성에 맞추어 적절하게 받치면서,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받치기 때문에, 보다 편안하게 숙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둘째, 통상 사용하는 자성체, 옥, 세라믹 등의 기능성 물질 대신에, 실질적으로 인체건강에 보다 유익한 목질의 한약재가 내장되어 보다 건강적인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여러 형태의 기능성 베개(1a-1d)를 사용자의 년령이나 수면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실용적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0)

  1. 수면이나 휴식시 인체의 머리부분을 받치는 베개에 있어서,
    인체건강에 유익한 건강기능을 발생시키면서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는 기능성 목받침재(12)가 내장되어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된 제 1 몸체부재(10); 및
    상기 제 1 몸체(10)에 인접 위치되고, 인체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치는 머리받침재가 내장되어 인체의 머리를 받치도록 구성된 제 2 몸체부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재(10)(30)들은 커버체(50)로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부재(30)는 제 1 몸체부재(10)의 중앙측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1 몸체부재(10)의 양측으로 상기 제 2 몸체부재(30)를 감싸면서 인체의 머리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는 큐션재(72)가 내장되는 제 3 몸체부재(7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재(10)(30)(70)들은 커버체(50)로서 일체로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재(10)는 치밀하고 두꺼운 조직의 섬유로 구성되어 인체의 목부분을 받치도록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개폐수단(14)이 적어도 일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재(10)에 내장되는 기능성 목받침재(12)는 일정크기로 가공된 딱딱한 목질의 한약재로 이루어 져 건강기능을 발생시키면서 인체 목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재(10)에 내장되는 기능성 목받침재(12)는 상기 제 1 몸체부재(10)내에 추가로 내장되는 주머니(16)들에 내장되고,
    일 주머니(16)에 내장되는 목받침재(12)는 딱딱한 목질 한약재로 이루어 지고, 나머지 주머니(16)들에 내장되는 목받침재(12)는 부드럽고 향이 나는 한약재로 이루어 져 건강기능을 발생시키면서 인체 목부분을 받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부재(30)는 부드러운 섬유로 구성되어 인체의 머리를 부드럽게 받치도록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개폐수단(36)이 적어도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몸체부재(30)에 내장되는 머리받침재는, 머리부분을 부드럽게 받치고 눌려지면서 인체 목부분의 경추만곡선을 유지시키는 메모리폼(memory foam) (32) 또는 오리털(34)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50)는 통기가 잘되는 섬유로 구성되면서 적어도 일면에는 몸체부재들의 삽입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수단 (52)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부재(70)는 머리부분과 부드럽게 접촉하는 부드러운 섬유로 구성되어 제 2 몸체부재(30)를 감싸면서 제 1 몸체부재(10)의 양측에 밀착되는 일정두께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폐수단(74)이 적어도 일면에제공되며, 상기 큐션재(72)는 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부재(70)의 내부에는 추가로 메모리폼(76)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몸체부재(70)는 상기 제 1,2 몸체부재(10)(30)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성되어 완충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20-2004-0019499U 2004-07-08 2004-07-08 기능성 베개 KR200365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499U KR200365719Y1 (ko) 2004-07-08 2004-07-08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499U KR200365719Y1 (ko) 2004-07-08 2004-07-08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719Y1 true KR200365719Y1 (ko) 2004-10-27

Family

ID=4943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499U KR200365719Y1 (ko) 2004-07-08 2004-07-08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7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639A1 (ko) * 2016-11-28 2018-05-31 공인구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639A1 (ko) * 2016-11-28 2018-05-31 공인구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CN202760809U (zh) 中药保健枕
KR101221070B1 (ko) 목침과 탄성매트를 이용한 양면베개
KR200365719Y1 (ko) 기능성 베개
KR100620247B1 (ko) 녹차잎이 함유된 베개 및 그 제조방법
CN204394013U (zh) 一种香薰保健枕
KR200416291Y1 (ko) 베개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KR200271779Y1 (ko) 목베개
KR100808022B1 (ko) 기능성 베개
KR20050033337A (ko) 한방 건강베개
KR200188481Y1 (ko) 인체공학베개
CN212995831U (zh) 软硬双面珠子枕芯
KR200334973Y1 (ko) 건강침구
KR200261503Y1 (ko) 건강베개
KR200334906Y1 (ko) 건강베개
CN215994599U (zh) 一种男科中药药枕
JP2000023813A (ja)
KR200225892Y1 (ko) 한방베개
KR200368041Y1 (ko) 황토 시트
KR200258660Y1 (ko) 대나무편이 내입된 베개
KR101175995B1 (ko) 침구류의 구성방법
KR200342154Y1 (ko) 한방 건강베개
JP3066102U (ja) 加工石を配置した布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