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073B1 -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 Google Patents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073B1
KR101641073B1 KR1020140169458A KR20140169458A KR101641073B1 KR 101641073 B1 KR101641073 B1 KR 101641073B1 KR 1020140169458 A KR1020140169458 A KR 1020140169458A KR 20140169458 A KR20140169458 A KR 20140169458A KR 101641073 B1 KR101641073 B1 KR 10164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ser
pillow
support
resonan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471A (ko
Inventor
조수용
조인호
조민지
유지만
Original Assignee
조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용 filed Critical 조수용
Priority to KR102014016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07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거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소리가 공명되는 공명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공명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개방된 상면 타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명공간을 차폐하고,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경추지지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공명공간에서 공명된 소리가 상기 경추지지영역을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경질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베개 내부에 공명공간을 형성하고 베개 일측에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거치공을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공명공간에 의해 공명되도록 하여 음향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취침 시 별도의 전력없이도 풍부한 음량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 또는 음향을 골전도 방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음향으로 인한 소음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Pillow having resonance speaker functions}
본 발명은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취침 시 별도의 전력없이도 풍부한 음량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 또는 음향을 골전도 방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과다한 이어폰 사용으로 인한 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음향으로 인한 소음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한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생활양식 및 건강유지등을 위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고, 이러한 사회적 요구사항에 따라 신체적 건강관리 제품뿐 아니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데, 일예로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가 그 한 품목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수면 시 머리를 보호하고 안락함을 주기 위하여 그 내부에 솜이나 기타 화학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 등을 채워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나,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는 수면을 취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수면유도음악과 같은 기능음악을 통해 수면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시간에 기상을 돕는 알림기능등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100)는 베갯속에 스피커(110)가 내장되는 것으로서, 스피커(110)는 스피커 지지대를 통해 베갯속에 내장되어 그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단자(120)를 통해 스피커와 전원부 또는 제어부를 연결하여 스피커에서 음성 및 음향의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는 내부에 블루투스, 와이파이등과 같은 통신모듈(130)이 내장되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와 연결됨으로써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리정보에 따라 스피커에서 음성 및 음향의 소리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100)는 스피커(110)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베갯속에 스피커(110)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스피커(110)에서 흘러나오는 음향이나 음성이 베개(100)의 내피 또는 외피에 묻혀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100)는 취침 시 사용자의 머리가 베개(100)의 양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베게 속에 내장된 스피커(110)가 사용자의 머리에 눌리게 되면서 사용자의 취침에 방해를 줄 뿐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에 반복적으로 가압된 스피커(110)가 자주 손상 또는 파손되면서 그 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취침 시 별도의 전력없이도 풍부한 음량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 또는 음향을 골전도 방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과다한 이어폰 사용으로 인한 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음향으로 인한 주변의 소음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및 음향 제공시 피톤치드 또는 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되도록 하되,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공명됨에 따라 본체가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피톤치드 또는 향기의 발산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거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소리가 공명되는 공명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공명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개방된 상면 타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명공간을 차폐하고,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경추지지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공명공간에서 공명된 소리가 상기 경추지지영역을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경질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면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향 방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향 발산부재가 수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목재로 형성되어 상기 공명공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산된 소리가 공명되는 경우 진동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사용자의 머리 일측이 지지되는 머리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이 개방된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수납지지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수납지지대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슬라이딩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가 상기 지지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측을 지지하는 연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는 측부 일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부 거치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베개 내부에 공명공간을 형성하고 베개 일측에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거치공을 형성하여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공명공간에 의해 공명되도록 하여 음향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취침 시 별도의 전력없이도 풍부한 음량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 또는 음향을 골전도 방식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과다한 이어폰 사용으로 인한 폐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음향으로 인한 소음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음성 및 음향 제공시 피톤치드 또는 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공되도록 하되,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공명됨에 따라 본체가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피톤치드 또는 향기의 발산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스피커가 내장된 베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거치공에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공명공간 내에서 소리가 공명되면서 향기 및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에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1)는 본체(10) 및 머리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이 개방된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개방된 상면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부(12)와, 몸체부(11)의 내부에 수납되는 향 발산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영역(12a)을 제공함과 아울러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공명하여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10)는 취침 전 경침으로 활용하여 경추의 피로를 풀어주도록 함과 아울러 취침시엔 베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공되는 음향을 통해 집중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업무 및 학습에 따른 목근육의 피로를 풀어주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11)는 단면이 대략 반구형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양측단부의 상면 일측에 각각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거치공(11a)이 형성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지 않은 상부 거치공(11a)에는 차폐부재(11aa)가 삽입되어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지 않은 상부 거치공(11a)을 차폐함으로써 공명공간(11b)에서 공명된 소리가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지 않은 상부 거치공(11a)을 통해 외부로 발산됨에 따라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11)는 내부에 거기공에 삽입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소리가 공명되는 공명공간(11b)이 형성되며, 상면 중앙부분에 개구(11c)가 형성되어 개구(11c)를 통해 공명공간(11b)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러한 몸체부(11)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소리가 공명되는 공명공간(11b)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공명공간(11b)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리가 공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향 발산부재(13)로부터 발산되는 향이 일정량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몸체부(11)는 양측부에 각각 측부 거치공(11d)이 형성되어 상부 거치공(11a)을 차폐부재(11aa)로 차폐한 상태에서 측부 거치공(11d)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다.
커버부(12)는 개구(11c)가 형성된 몸체부(11)의 일측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공명공간(11b)을 차폐하고,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경추지지영역(12a)을 제공하며, 일측에 복수개의 향 발산공(12b)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부(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1)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공명공간(11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향 발산부재(13)의 수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경질로 형성되어 경추지지영역(12a)을 통해 공명된 소리가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한 몸체부(11)와 커버부(12)는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중에서도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소나무 또는 편백나무등과 같은 목재로 형성되어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공명되는 경우 진동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 발산부재(13)는 아로마, 허브등과 같이 향기를 발산하는 부재로서, 몸체부(11)의 내부, 즉 공명공간(11b) 내에 수납된다.
이러한, 향 발산부재(13)는 향을 발산하여 발산된 향이 일정량 공명공간(11b)에 저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중 일부가 향 발산공(1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향기를 제공하되, 휴대 단말기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공명되는 경우 소리의 파동, 즉 음파에 의해 몸체부(11)가 진동됨에 따라 보다 많은 양의 향기가 향 발산공(12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향기를 통해 안정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거나 향기를 통해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머리지지부(20)는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납지지대(21)와, 수납지지대(2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지지부(22) 및 슬라이딩 지지부(2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연질의 지지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슬라이딩 지지부(22)의 인입, 인출동작을 통해 휴대성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머리 일측, 특히 뒷머리를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편안한 취침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지지대(21)는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21a)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되어 수납공간(21a)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러한 수납지지대(21)는 보관시 후술하는 슬라이딩 지지부(22)의 수납공간(21a)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 지지부(22)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수납지지대(21)의 전면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납공간(21a)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수납위치로부터 수납지지대(2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사용자의 경추부분과 대응되는 지지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지지부(22)는 보관시 수납위치에 위치하여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 취침시 지지위치에 위치되어 후술하는 지지부재(23)가 사용자의 머리일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지지부(22)는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면에 지지부재(23)가 삽입되는 설치홈(22a)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3)는 슬라이딩 지지부(22)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메모리폼, 라텍스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지지부(22)가 지지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머리 일측, 특히 뒷머리를 지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거치공에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공명공간 내에서 소리가 공명되면서 향기 및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에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같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1)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취침을 위해 커버부(12)의 경추지지영역(12a)에 경추를 지지하고,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후단부를 어느 하나의 상부 끼움공에 삽입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리가 출력되면, 출력된 소리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명공간(11b)에서 공명되는데, 소리가 공명됨에 따라 본체(10)가 진동되고, 본체(10)가 진동함에 따라 본체(10)로부터 피톤치드가 발산됨과 아울러 본체(10) 내부에 수납된 향 발산부재(13)로부터 향기가 발산되어 향 방출공으로 배출된다.
한편, 공명되어 커버부(12)로 전달된 소리는 사용자의 머리 뒤 쪽의 뼈 또는 경추를 통해 사용자에게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되면서 사용자에게 음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취침을 위해 뒷머리를 지지하고자 하는 경우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지지부(22)를 수납위치에서 지지위치로 인출함으로써 뒷머리는 커버부(12)의 상면에 지지하고, 경추부분은 머리지지부(20)의 지지부재(23)에 지지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10 : 본체
11 : 몸체부 11a : 상부 거치공
11aa : 차폐부재 11b : 공명공간
11c : 개구 11d : 측부 거치공
12 : 커버부 12a : 경추지지영역
12b : 향 발산공 13 : 향 발산부재
20 : 머리지지부 21 : 수납지지대
21a : 수납공간 22 : 슬라이딩 지지부
23 : 지지부재

Claims (7)

  1. 수면시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베개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 일측에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거치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발산되는 소리가 공명되는 공명공간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이 개방되어 상기 공명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중 개방된 상면 타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명공간을 차폐하고, 상면 일측에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경추지지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공명공간에서 공명된 소리가 상기 경추지지영역을 통해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경질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면 타측에 적어도 하나의 향 방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내부에 향 발산부재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목재로 형성되어 상기 공명공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발산된 소리가 공명되는 경우 진동되어 피톤치드를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사용자의 머리 일측이 지지되는 머리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 일측이 개방된 수납지지대와;
    상기 수납지지대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상기 수납지지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수납위치와, 상기 수납지지대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슬라이딩 지지부; 및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가 상기 지지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머리 일측을 지지하는 연질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측부 일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부 거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KR1020140169458A 2014-12-01 2014-12-01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64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58A KR101641073B1 (ko) 2014-12-01 2014-12-01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458A KR101641073B1 (ko) 2014-12-01 2014-12-01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71A KR20160065471A (ko) 2016-06-09
KR101641073B1 true KR101641073B1 (ko) 2016-07-20

Family

ID=5613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458A KR101641073B1 (ko) 2014-12-01 2014-12-01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95B1 (ko) * 2017-10-12 2019-05-22 조종식 다기능 경침
KR102179039B1 (ko) * 2020-05-28 2020-11-16 이영수 노트북형 모니터 장치
KR102582849B1 (ko) * 2021-10-07 2023-09-25 김주연 빛투과 석재 테이블
KR200497308Y1 (ko) * 2021-10-27 2023-10-04 지오상 기능성 베개
KR102578451B1 (ko) * 2021-10-28 2023-09-13 김종욱 경추 베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11B1 (ko) * 2013-03-22 2013-07-08 김문식 숙면 유도용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217B1 (ko) * 2005-03-23 2007-05-31 이송자 기능성 베개
KR20110011746U (ko) * 2010-06-15 2011-12-21 남지우 수면유도 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411B1 (ko) * 2013-03-22 2013-07-08 김문식 숙면 유도용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471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073B1 (ko) 공명 스피커 기능을 갖는 베개
US9930433B2 (en) External attachments for speakers in seats
KR101091781B1 (ko) 쿠션 및 동 쿠션을 갖춘 음향 시스템
KR101639286B1 (ko) 스마트 베개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US20070253591A1 (en) Flexible pad support, such as enclosing one or more speakers and placeable underneath a pillow for providing a muffled and selectively audible alarm
US20070124862A1 (en) Pillow with speakers
US20070277319A1 (en) Pillow adapted for music system engagement and use in the prone or supine head position
US7636967B1 (en) Massage table assembly
US20140101854A1 (en) Ambient sound-isolating pillow
US20220015547A1 (en) Pillow with composite material supporting structure
JP2007125071A (ja) 骨伝導スピーカ内蔵の頭部保持装置
KR20110011746U (ko) 수면유도 베개
US20110237989A1 (en) Vibro-Acoustical Body Support
US11553270B2 (en) Noise attenuating headphones
KR20100082047A (ko) 자바라의 속에 스피커가 내장된 목 베개
KR101886623B1 (ko) 무선충전패드가 구비된 안마의자
CN202979247U (zh) 耳机
KR100463124B1 (ko) 아로마테라피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베개
KR200492030Y1 (ko) 단말기 수용이 가능한 침대헤드 및 이를 구비한 침대프레임
TW202145939A (zh) 具複合材料支撐結構的枕頭
KR20110000624U (ko) 수면용 머리 받침대
CN111568134A (zh) 一种音乐枕头
US7861821B2 (en) Acoustically transmissive blanket system
KR101784619B1 (ko) 이어팁
KR200345154Y1 (ko) 수면용 머리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