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516A - 복합관용 피팅구조 - Google Patents

복합관용 피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516A
KR20170057516A KR1020150160602A KR20150160602A KR20170057516A KR 20170057516 A KR20170057516 A KR 20170057516A KR 1020150160602 A KR1020150160602 A KR 1020150160602A KR 20150160602 A KR20150160602 A KR 20150160602A KR 20170057516 A KR20170057516 A KR 20170057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omposite pipe
inclined surface
ferrule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064B1 (ko
Inventor
이준배
안경욱
홍원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Priority to KR102015016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0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2Electrically insulating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금속층을 포함하며 외피는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복합관을 기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는, 복합관의 선단부의 상기 플라스틱층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되는 제 1 나사부, 상기 피팅몸체의 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 2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와 상기 제 2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1 나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결합말단부를 구비하는 피팅몸체;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 2 경사면, 및 상기 제 2 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3 나사부가 형성되는 상기 패럴몸체;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결합말단부와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방지수단; 및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에 장착되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관과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결합말단부에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압착되도록 하며,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2 경사면이 기밀하게 서로 밀착되는 한편, 패럴몸체변형부는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경사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복합관의 상기 플라스틱층을 파고들며, 상기 커버링은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 및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복합관용 피팅구조{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본 발명은 외층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를 갖는 복합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피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온 고압과 온도 편차가 심한 환경하에서도 복합관의 기밀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복합관용 피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체를 흘려보내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관(튜브, 파이프)은 그 연결부에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수단으로 그 관의 특성에 적합한 구조와 재료를 가진 피팅이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금속관은 고압관으로서 패럴(ferrule)타입의 피팅구조가 많이 사용되며, 플라스틱 관의 경우에는 비교적 저압에서 사용되므로 설치가 간단한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간의 융합접합 방식이나 슬리브에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 혹은 단순한 원터치방식에 의한 바이트 타입을 많이 사용한다.
최근 들어서 물관이나 저압용 가스관으로 사용되던 플라스틱 복합관이 고압용 관으로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이에 적합한 피팅이 만들어졌으나, 대부분은 종래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고전적인 금속관에 사용되는 피팅에 비하여 신뢰성이 상당히 떨어지거나 경제적으로 설치에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파이프의 내부에 피팅몸체를 설치하고 외부에서 슬리브를 압착하는 방식은 내부에 설치되는 몸체가 파이프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방해하여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하는 효과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컨과 같이 연결부가 구리계열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장착되는 경우에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팅의 몸체부를 황동과 같은 구리합금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철에 비하여 결합강도가 떨어져서 종래의 동일한 구조로 제작하는 경우 기밀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도차이가 심한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온도변화에 대한 수축과 팽창이 반복되어 누설의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철을 재료로 사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금속간의 절연을 위하여 별도의 다수의 플라스틱 부품을 중간에 결합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과 구조의 복잡성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파이프의 외부에 결합되는 대표적인 피팅은 패럴(ferrule)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이 있으며, 이 구조는 주로 금속관에 적용되어 반도체라인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패럴타입은 전방패럴과 후방패럴로 나뉘어 전방패럴이 후방패럴의 압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파이프의 외피와 피팅몸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최근에는 단일패럴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어 일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패럴타입은 플라스틱 외피를 가지는 복합관을 위해 개발된 것이 아니므로, 불필요한 과설계로 제작되어 있어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는 단점이 있고, 경도가 아주 낮은 플라스틱 외피에 과도한 압착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고온에서 파이프 외피의 손상과 함께 누설이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압하에서 온도 편차가 큰 곳에 사용되는 경우 외피 플라스틱과 금속 피팅과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하여 장기적으로 사용되면 금속과 플라스틱 사이의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여 누수의 위험 또한 존재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70도 이상의 고온 환경 하에서는 패럴이 파이프의 외피에 결합된 부분이 압력집중이 생겨서 외피 플라스틱이 견디지 못하고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패럴타입의 피팅구조는 고온 고압하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피 플라스틱을 나사로 고정하는 피팅몸체와 패럴구조를 단순화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패럴몸체를 구성하여 고온 고압하에서도 파이프 외피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시켜 견딜 수 있으며, 온도편차가 심한 경우에도 몸체부와 패럴부가 서로 협력 및 상보작용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피팅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외피를 가지는 복합관이 고압의 환경하에 사용되는 경우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외피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복합관용 피팅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패럴타입 피팅구조를 응용하고 플라스틱 외피에 적합한 조합형 피팅구조를 제안하여, 기밀성유지 효과를 이중으로 보장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복합관이 가지는 금속과 플라스틱 간의 열팽창 차이에 의한 기밀성 파괴를 최소화하여 온도편차가 큰 환경하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복합관용 피팅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금속층을 포함하며 외피는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복합관을 기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에 있어서, 중공의 피팅몸체로서, 상기 피팅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복합관의 선단부의 상기 플라스틱층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되는 제 1 나사부,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피팅몸체의 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 2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와 상기 제 2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1 나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결합말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피팅몸체;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삽입되는 중공의 패럴몸체로서, 상기 패럴몸체의 선단부에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 2 경사면, 및 상기 제 2 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3 나사부가 형성되는 상기 패럴몸체;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결합말단부와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방지수단; 및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에 장착되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관과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결합말단부에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압착되도록 하며,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2 나사부와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3 나사부에 의해 상기 피팅몸체와 상기 패럴몸체가 결합될 때,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2 경사면이 기밀하게 서로 밀착되는 한편,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2 경사면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패럴몸체변형부는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경사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복합관의 상기 플라스틱층을 파고들며, 상기 커버링은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 및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커버링은, 상기 패럴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패럴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 및 상기 패럴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내측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 두꺼운 라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 얇은 파단예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이 장착되는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관용 피팅구조의 완전한 결합 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구조의 결합 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럴몸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팅구조의 결합 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및 패럴바디 단부의 단면도.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결합이 완료되기 전의 단면도이다.
기본 구조는 두 개의 주요부품인 피팅몸체(1)와 패럴몸체(2) 그리고 두 개의 층 이상을 가지는 복합관(3)으로 구성된다.
피팅몸체(1)와 패럴몸체(2)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황동과 같은 일반적인 금속재료로 제작되며, 복합관(3)은 외피를 이루는 플라스틱층(31)과 금속층(32)으로 구성된다.
플라스틱층(31)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이미드와 같은 폴리머 중합체가 사용된다. 금속층(32)은 복합관의 사용처에 따라 결정되며 일반적으로는 저렴한 알루미늄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합관(3)은 플라스틱-금속-플라스틱 층으로 이루어지는 삼중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피팅몸체(1)는 그 내면에 복합관(3)의 외피를 이루는 플라스틱층(31)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나사부(11)를 가지며, 복합관(3)이 삽입되는 입구부에는 패럴몸체(2)와 결합하기 위한 제 2 나사부(12)를 구비하여 패럴몸체(2)의 외면에 구비된 제 3 나사부(21)와 결합된다.
피팅몸체(1)의 제 1 나사부(11)와 제 2 나사부(12) 사이에는 일정 각도를 가지는 피팅몸체경사면(13)을 형성하고, 패럴몸체(2)의 일단에는 패럴몸체경사면(22)을 구비하여 이들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각 경사면(13,22)의 금속대 금속 접촉에 의하여 기밀을 이루게 된다.
복합관(3)과의 결합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자의 회전토크에 의하여 복합관(3)의 플라스틱층(31)은 피팅몸체(1)의 제 1 나사부(11)와 결합하며, 도면 1의 화살표 방향인 좌측으로 진행하게 된다.
복합관(3)의 이동에 의하여 그 말단부가 피팅몸체(1)의 결합말단부(14)에 도달하게 되면 결합말단부(14)와 플라스틱층(31)의 밀착력에 의하여 기밀구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결합말단부(14)는 복합관(3)의 금속층(32)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그 반경이 조절된다.
이것은 피팅몸체(1)의 금속재료와 복합관(3) 금속층(32)의 금속재료가 일반적으로 다르므로 직접 접촉에 의한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복합관(3)과 피팅몸체(1)와 결합이 완료되면 패럴몸체(2)에 회전토크를 가하여 패럴몸체(2)와 피팅몸체(1)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2는 결합이 이루어진 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팅몸체(1)의 제 2 나사부(12)와 패럴몸체(2)의 제 3 나사부(21)와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패럴몸체(2)의 말단부인 패럴몸체변형부(23)는 피팅몸체경사면(13)에 접촉하여 힘을 받음에 따라 일정 각도로 변형을 일으키며 구부러져 복합관(3)의 플라스틱층(31)으로 파고들어가며 조이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종래의 패럴타입 피팅과 유사하며 당업자 사이에 자명하다. 다만, 금속제로 이루어진 패럴몸체(2)의 강도가 플라스틱층(31)의 강도보다 월등히 크므로 패럴몸체변형부(23)가 플라스틱층(31)으로 상당부분 파고들어가게 제작된다.
피팅몸체(1)의 제 1나사부(11)와 복합관(3) 플라스틱층(31)간의 결합은 종래의 단순한 패럴피팅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데, 종래 패럴은 통상적으로 전방패럴과 후방패럴로 구분되어 후방패럴의 압축에 의해 전방패럴의 말단이 변형을 하여 파이프에 물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가 동일하게 복합관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패럴몸체(2)의 패럴몸체몸체변형부(23)와 플라스틱층(31) 간의 결합부에 부하 하중이 집중되어, 고온 고압의 경우에는 플라스틱층(31)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넘어서 외피가 파괴되거나 벗겨지는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복합관에는 종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피팅몸체(1)의 제 1 나사부(11)는 결합부에 걸리는 부하하중을 분산시켜줌으로써 고온 고압에서도 외피 플라스틱층(31)이 견딜 수 있게 도와준다.
특히, 피팅몸체(1)의 결합말단부(14)에 의한 기밀수단이 작동하는 경우에는 파이프 내압에 의해 파이프가 팽창하여 플라스틱층(31)이 제 1 나사부(11)에 더욱 밀착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기밀작용 상승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피팅몸체(1)의 결합말단부(14)와 복합관(3) 말단부의 결합에 의한 기밀부와 패럴몸체(2)의 패럴몸체변형부(23)와 복합관(3)의 플라스틱층(31) 간의 결합에 의한 기밀부는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기타 온도변화등 외란에 의하여 패럴몸체(2)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패럴몸체변형부(23)의 결합이 느슨해져 누설의 위험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피팅몸체(1)가 동시에 우측으로 움직임에 따라 복합관(3) 말단부와 피팅몸체(1) 결합말단부(14)와의 기밀이 강해지고, 이와 반대로 결합말단부(14)가 좌측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이 발생하여 누설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우에 동시에 패럴몸체(2) 역시 좌측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여 패럴몸체변형부(23)와 플라스틱층(31)과의 결합이 강화되어 누설 위험을 보상하게 된다.
이러한 상보적인 거동은 단순히 기밀구조를 이중으로 구비하는 것을 넘어선 효과적인 기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도 2 에는 복합관(3)의 말단부와 피팅몸체(1)의 결합말단부(14)가 직접 접촉되어 결합되어 있지 않고, 그 사이에 하단에 기술할 와셔 형태의 금속층접촉방지수단(16)이 구비되어 있다.
복합관(3)의 금속층(32)이 알루미늄이고 피팅몸체(1)가 황동인 경우와 같이 이종금속의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에, 직접 접촉에 의한 갈바닉 부식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결합말단부(14)는 복합관(3)의 최외각에 위치한 플라스틱층(31) 만이 접촉되어 압착되도록 반경을 설계하거나, 도 2 과 같이 결합말단부(14)와 복합관(3)의 말단부 사이에 금속층(32)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금속층접촉방지수단(16)이 구비된다.
상기 금속층접촉방지수단(16)은 갈바닉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밀작용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파이프의 외피로 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이 피팅몸체(1)와 직접접촉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고온과 온도편차가 심한 환경 아래에서는 열적특성과 탄성계수 그리고 열팽창률로 인하여 일차적인 기밀작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소지가 있으므로, 열적특성이 우수하며 탄성계수가 폴리에틸렌에 비해 우수한 테프론계열의 소재나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여 보다 좋은 기밀성을 갖도록 금속층 접촉 방지 수단(16)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합관(3)과 피팅몸체(1)에 눌리어 심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은 경도, 예를 들어 60 ~ 80 (듀로미터 A)를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층접촉방지수단(16)은 복합관(3)의 회전토크에 저항하며 압축되므로 접히거나 모양이 변형되지 않도록 적절한 두께와 면적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복합관(3)의 외피로 파고 들어가는 패럴몸체(2)의 말단부인 패럴몸체변형부(23) 바로 상단의 패럴몸체경사면(22)은 피팅몸체경사면(13)과 금속대 금속 접촉에 의한 기밀이 이루어진다.
패럴몸체변형부(23)의 기능은 공지된 패럴의 기능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서는 패럴몸체변형부(23)의 변형변위가 상당히 크며 삽입각도도 종래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다르다.
삽입길이는 수평방향으로 1.2 ~ 2.5mm, 수직방향으로 0.3 ~ 1 mm에 이르며 각도는 25 ~ 45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지기술은 단일패럴의 경우에 금속의 접촉에 의한 기밀작용을 돕기 위해 패럴 여러부위에 적절한 홈이나 쐐기모양의 변형부등을 형성하고 있고 있으나 본 발명은 추가적인 경사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패럴몸체(2)의 내외부에 적절한 홈을 형성하여 패럴몸체변형부(23)가 적절히 변형되어 기밀작용을 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각 경사면(13,22)의 직접 접촉에 의한 기밀작용은 피팅몸체경사면(13)의 표면조도가 중요하게 되며, 표면조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미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패럴몸체변형부(23) 바로 상단부의 접촉이 패럴몸체(2)의 가공에 의한 오차로 인하여 완전하지 못하거나, 파이프가 균일하지 못하여 패럴몸체변형부(23)가 일부 불균일하게 힘을 받아 변형함으로써 상단부인 금속대 금속 기밀에 미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자가 가하는 힘에 따라 패럴몸체(2)의 전진량이 달라지게 되어 균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럴몸체(2)의 단면도이다.
패럴몸체 경사면(22)과 패럴몸체 변형부(23)가 형성되는 패럴몸체(2)의 선단부에는, 커버링(4)이 삽입된다. 커버링(4)이 삽입되는 패럴몸체(2) 선단부의 내측에는 단차부(25)가 형성될 수도 있다. 단차부(25)는 선단부의 내측 부분을 더 깎아 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커버링(4)은 NBR(Nitrile Butadien Rubber)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버링(4)은, 패럴몸체 경사면(22)에 삽입되었을 때, 패럴몸체(2)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41), 패럴몸체(3)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42) 및 외측부(41)와 내측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4)를 포함한다. 외측부(41)와 내측부(42) 사이에는 패럴몸체(2)의 선단부, 예를 들어 패럴몸체 변형부(23)의 적어도 일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홈(43)이 형성된다.
연결부(44)는 외측부(41)와 내측부(42)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로 형성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패럴몸체(2)가 피팅몸체(1)에 결합될 때, 패럴몸체(2)의 선단부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연결부(44)가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도 4는 커버링(4)이 장착된 패럴몸체(2)가 피팅몸체(1)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패럴몸체 변형부(23)는 피팅몸체 경사면(13)에 눌려서 복합관(3)의 플라스틱층(31)을 파고들어 간다.
커버링(4)의 외측부(41)와 내측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4)는 단차부(25)에 눌려 절단되고, 외측부(41)와 내측부(42)는 서로 분리된다.
분리된 외측부(41)는 피팅몸체 경사면(13)과 패럴몸체 경사면(22) 사이에 배치되고, 시일링 부재, 예를 들어 오링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이들 경사면(13, 22) 사이의 기밀을 향상시킨다. 특히, 각 경사면(13,22)의 가공오차에 의한 표면조도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가스누출 위험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내측부(42)는 플라스틱층(31)과 단차부(25) 사이에 배치되고, 시일링 부재, 예를 들어 오링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플라스틱층(31)과 패럴몸체변형부(23) 사이의 기밀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탄성계수가 큰 시일링 부재는, 특히 플라스틱층(31)과 금속재료로 제작된 단차부(25)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따른 반복적인 열부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누설을 막아주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도 5는 커버링(4a)이 장착된 상태의 패럴몸체(2)의 선단부의 단면도이다.
커버링(4a)의 내측부(42)는 연결부(44)에 근접한 부분에 가장 큰 두께(t1)를 갖는 라운드부(421)를 갖는다. 이 라운드부(421)는 패럴몸체(2)가 피팅몸체(1)에 결합되고, 내측부(42)가 연결부(44)에서 분리되면, 플라스틱층(31)과 단차부(25) 사이에서 좀 더 오링에 가까운 형상으로 유지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커버링(4a)의 연결부(44)는 내측부(42)에 인접한 부분에 가장 작은 두께(t2)를 갖는 파단예정부(422)를 갖는다. 이 파단예정부(422)는 패럴몸체(2)가 피팅몸체(1)에 결합될 때, 패럴몸체(2)의 선단부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외측부(41)는 두께(t2)보다는 크고 두께(t1)보다는 작은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압용 복합관에 사용할 수 있는 피팅구조와, 온도변화가 급격하게 동반되는 환경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복합관용 피팅구조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제공하였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도면에 도시된 피팅구조의 우측 부분을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도시되지 않은 좌측 부분에는, 파이프의 연결을 위해서, 우측 부분과 동일한 대칭적 구조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에어컨 등에 연결되기 위한 나사선이 피팅몸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피팅몸체 11 : 제 1 나사부
12 : 제 2 나사부 13 : 피팅몸체경사면
14 : 결합말단부 16 : 금속층접촉방지수단
2 : 패럴몸체 21 : 제 3 나사부
22 : 패럴몸체경사면 23 : 패럴몸체변형부
25 : 단차부
3 : 복합관 31 : 플라스틱층
32 : 금속층
4 : 커버링 41 : 내측부
42 : 외측부 43 : 삽입홈
44 : 연결부 421: 라운드부
422: 파단예정부

Claims (6)

  1. 내부에 금속층을 포함하며 외피는 플라스틱층으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의 복합관을 기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에 있어서,
    중공의 피팅몸체로서, 상기 피팅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복합관의 선단부의 상기 플라스틱층과 결합되기 위해 형성되는 제 1 나사부,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피팅몸체의 입구 측에 형성되는 제 2 나사부, 상기 제 1 나사부와 상기 제 2 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1 나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결합말단부를 구비하는 상기 피팅몸체;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삽입되는 중공의 패럴몸체로서, 상기 패럴몸체의 선단부에 상기 제 1 경사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 2 경사면, 및 상기 제 2 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3 나사부가 형성되는 상기 패럴몸체;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결합말단부와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방지수단; 및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에 장착되는 커버링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관과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나사부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결합말단부에 상기 복합관의 상기 선단부가 압착되도록 하며,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2 나사부와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3 나사부에 의해 상기 피팅몸체와 상기 패럴몸체가 결합될 때,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2 경사면이 기밀하게 서로 밀착되는 한편,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제 2 경사면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패럴몸체변형부는 상기 피팅몸체의 상기 제 1 경사면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복합관의 상기 플라스틱층을 파고들며,
    상기 커버링은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 및 상기 플라스틱층과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은, 상기 패럴몸체의 선단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패럴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부 및 상기 패럴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부를 포함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은 상기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내측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 두꺼운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 얇은 파단예정부를 포함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이 장착되는 상기 패럴몸체의 상기 선단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복합관용 피팅구조.
KR1020150160602A 2015-11-16 2015-11-16 복합관용 피팅구조 KR10176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02A KR101760064B1 (ko) 2015-11-16 2015-11-16 복합관용 피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602A KR101760064B1 (ko) 2015-11-16 2015-11-16 복합관용 피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16A true KR20170057516A (ko) 2017-05-25
KR101760064B1 KR101760064B1 (ko) 2017-07-24

Family

ID=5905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602A KR101760064B1 (ko) 2015-11-16 2015-11-16 복합관용 피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18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금속관용 피팅구조
WO2021002727A1 (ko) * 2019-07-03 2021-01-07 강석재 배관기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2373A (ja) 2006-09-26 2008-04-10 Daikin Ind Ltd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918A (ko) * 2018-08-13 2020-02-21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금속관용 피팅구조
WO2021002727A1 (ko) * 2019-07-03 2021-01-07 강석재 배관기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064B1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39697B2 (en) Gasket with an annular anchoring heel
KR101879248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AU2006320057A1 (en) Pipe joint
KR20080102209A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KR101760064B1 (ko) 복합관용 피팅구조
US75660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conduits of dissimilar materials which are subject to large temperature variations
JP2009019770A (ja) 異種金属管接続構造
US9500305B2 (en) Fitting mechanism for use with multilayer composite pipe
EP1736696B1 (en) Joint
JP4257086B2 (ja) ヘッダー接続用継手構造
KR101655935B1 (ko) 복합관용 피팅구조
KR101949436B1 (ko) 냉매 관의 연결구조
JP4691904B2 (ja) 油井鋼管用継手
RU2325581C2 (ru) Герметичное 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197297Y1 (ko) 파이프 배관용 연결구
EA013935B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непроницаемая для жидкости манжета
KR200156985Y1 (ko) 복합관용 원터치식 관연결구
KR200184274Y1 (ko) 합성수지배관용 이음쇠
KR101631598B1 (ko) 복합관용 피팅구조
KR102290701B1 (ko) 배관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관구조물
CN109282093A (zh) 挤压式管路连接系统
JP6300067B2 (ja) 管継手
JP2003194268A (ja) 配管用ステンレス管継手
KR20200018918A (ko) 금속관용 피팅구조
JP2001263551A (ja) バルブの接続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