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543A -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 Google Patents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543A
KR20170055543A KR1020177010593A KR20177010593A KR20170055543A KR 20170055543 A KR20170055543 A KR 20170055543A KR 1020177010593 A KR1020177010593 A KR 1020177010593A KR 20177010593 A KR20177010593 A KR 20177010593A KR 20170055543 A KR20170055543 A KR 20170055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lement
metal layer
melting point
point metal
n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712B1 (ko
Inventor
요시히로 요네다
Original Assignee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0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constriction for localised f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01H85/11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with applied local area of a metal which, on melting, forms a eutectic with the main material of the fusible member, i.e. M-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6Fuses formed as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소형화가 도모된 퓨즈 소자에 있어서도, 속용단성 및 용단 후에 있어서의 절연성이 우수한 퓨즈 소자, 및 퓨즈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퓨즈 소자 (1) 의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5) 로서,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퓨즈 엘리먼트 (5) 이다. 특히,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층 (5a) 과 저융점 금속층 (5a) 의 상하에 고융점 금속층 (5b) 을 갖고, 저융점 금속층 (5a) 은, 통전 시에 고융점 금속층 (5b) 을 침식하여 용단한다.

Description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FUSE ELEMENT, FUSE COMPONENT, AND FUSE COMPONENT WITH BUILT-IN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전류 경로 상에 실장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당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및 그러한 퓨즈 엘리먼트를 갖는 퓨즈 소자 그리고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속단성, 용단 후의 절연성이 우수한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에 있어서 2014년 9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번호 특원 2014-197630 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고, 이들 출원은 참조됨으로써 본 출원에 원용된다.
종래,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당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가 이용되고 있다. 퓨즈 엘리먼트로는, 예를 들어 땜납을 유리관에 봉입한 홀더 고정형 퓨즈나, 세라믹 기판 표면에 Ag 전극을 인쇄한 칩 퓨즈, 구리 전극의 일부를 가늘게 하여 플라스틱 케이스에 장착한 나사 고정 또는 삽입형 퓨즈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82064호
그러나, 상기 기존의 퓨즈 엘리먼트에 있어서는, 리플로우에 의한 표면 실장을 할 수 없고, 전류 정격이 낮으며, 또 대형화에 의해 정격을 올리면 속단성이 열등하다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 리플로우 실장용의 속단 퓨즈 소자를 상정한 경우, 리플로우의 열에 의해 용융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는 퓨즈 엘리먼트에는 융점이 300 ℃ 이상인 Pb 함유 고융점 땜납이 용단 특성상 바람직하다. 그러나, RoHS 지령 등에 있어서는, Pb 함유 땜납의 사용은 한정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것에 불과하여, 향후 Pb 프리화의 요구는 강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즉, 퓨즈 엘리먼트로는, 리플로우에 의한 표면 실장이 가능하고 퓨즈 소자에 대한 실장성이 우수할 것, 정격을 올려 대전류에 대응 가능할 것, 정격을 초과하는 과전류 시에는 신속하게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속용단성을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화가 도모된 퓨즈 소자에 있어서도, 속용단성 및 용단 후에 있어서의 절연성이 우수한 퓨즈 소자, 및 퓨즈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는, 퓨즈 소자의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로서, 통전 방향의 길이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큰 것이다.
또,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는, 오목 또는 관통공을 가짐으로써, 통전 경로를 분할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퓨즈 소자는,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를 갖는 퓨즈 소자로서, 퓨즈 엘리먼트는, 통전 방향의 길이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큰 것이다.
또,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퓨즈 소자는, 퓨즈 엘리먼트에 오목 또는 관통공을 가짐으로써, 통전 경로를 분할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는,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와, 퓨즈 엘리먼트를 가열하여 용단하는 발열체를 갖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로서, 퓨즈 엘리먼트는, 통전 방향의 길이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큰 것이다.
또,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는, 퓨즈 엘리먼트에 오목 또는 관통공을 가짐으로써, 통전 경로를 분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퓨즈 엘리먼트의 통전 방향의 길이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큰 것으로 했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오목부 또는 관통공을 복수 형성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 오목부 또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통전 경로를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부 또는 관통공에 의해 형성되는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됨으로써, 자체적인 발열에 의해 용융, 팽창하여 퓨즈 엘리먼트가 폭발적 비산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리플로우에 의한 표면 실장이 가능하고, 정격을 올려 대전류에 대응 가능하며, 또한 정격을 초과하는 과전류 시에는 신속하게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속용단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퓨즈 엘리먼트이고,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에 고융점 금속층이 교대로 복수 적층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퓨즈 엘리먼트이고,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에 고융점 금속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상하에 산화 방지막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퓨즈 엘리먼트이고,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에 고융점 금속층을 형성한 관통공을 배치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퓨즈 엘리먼트이고,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와, 엘리먼트의 폭 방향 측면에 고융점 금속층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보호 부재가 형성된 퓨즈 엘리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단부 (端部) 를 절곡하여 단자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단부를 절곡하여 단자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절연 기판 상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단부를 절곡하여 단자부를 형성한 퓨즈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 은,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는,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 은,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는,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은,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 은,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 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 는,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 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퓨즈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 은,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 는,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은,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 는,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표 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5 는,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6 은,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퓨즈 엘리먼트를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 은, 제 11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퓨즈 엘리먼트를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8 은,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 는,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은,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표 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1 은, 제 12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2 는, 제 1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립 칩형의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표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3 은, 제 13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립 칩형의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이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4 는, 제 1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립 칩형의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5 는, 제 1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립 칩형의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6 은, 제 1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립 칩형의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표 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7 은, 제 14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립 칩형의 퓨즈 소자를 나타내는 이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 1 실시형태]
[퓨즈 소자]
본 발명에 관련된 퓨즈 소자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기판 (2) 과, 절연 기판 (2)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 (3, 4) 과, 제 1 및 제 2 전극 (3, 4) 간에 걸쳐서 실장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제 1 전극 (3) 과 제 2 전극 (4) 간의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5) 와, 퓨즈 엘리먼트 (5) 가 형성된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상을 덮는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절연 기판 (2) 은, 예를 들어 알루미나, 유리 세라믹스, 멀라이트, 지르코니아 등의 절연성을 갖는 부재에 의해 방형상으로 형성된다. 그 외, 절연 기판 (2) 은, 유리 에폭시 기판, 페놀 기판 등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 사용되는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절연 기판 (2) 의 서로 대향하는 양단부에는, 제 1, 제 2 전극 (3, 4)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전극 (3, 4) 은, 각각 Cu 나 Ag 배선 등의 도전 패턴에 의해 형성되고, Cu 등 산화되기 쉬운 배선 재료의 경우에는 표면에 적절히 산화 방지 대책으로서 Ni/Au 도금이나 Sn 도금 등의 보호층 (6)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제 2 전극 (3, 4) 은,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측면을 개재하여 이면 (2b) 에 이른다. 퓨즈 소자 (1) 는, 이면 (2b) 에 형성된 제 1, 제 2 전극 (3, 4) 을 개재하여 회로 기판의 전류 경로 상에 실장된다.
퓨즈 소자 (1) 는, 소형 또한 고정격의 퓨즈 소자를 실현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절연 기판 (2) 의 치수로서 3 ∼ 4 ㎜ × 5 ∼ 6 ㎜ 정도로 소형이면서, 저항값이 0.5 ∼ 1 mΩ, 50 ∼ 60 A 정격으로 고정격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사이즈, 저항값 및 전류 정격을 구비하는 퓨즈 소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퓨즈 소자 (1) 는,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상에, 내부를 보호함과 함께 용융된 퓨즈 엘리먼트 (5) 의 비산을 방지하는 커버 부재 (20) 를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커버 부재 (20) 는,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상에 탑재되는 측벽 (20a) 과, 퓨즈 소자 (1) 의 상면을 구성하는 천면 (天面)(20b) 을 갖는다. 이 커버 부재 (20) 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플라스틱, 세라믹스, 유리 에폭시 기판 등의 절연성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
제 1 및 제 2 전극 (3, 4) 간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 는,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 (줄열) 에 의해 용단되어, 제 1 전극 (3) 과 제 2 전극 (4) 간의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이고, 내층으로서 저융점 금속층 (5a), 저융점 금속층 (5a) 에 적층된 외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 (5b) 을 갖고,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땜납 등의 접착 재료 (8) 를 개재하여 제 1 및 제 2 전극 (3, 4) 사이에 탑재된 후, 리플로우 납땜 등에 의해 절연 기판 (2) 상에 접속된다.
저융점 금속층 (5a) 은, 바람직하게는 Sn 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이고, 「Pb 프리 땜납」이라고 일반적으로 불리는 재료이다. 저융점 금속층 (5a) 의 융점은, 반드시 리플로우로의 온도보다 높을 필요는 없고, 200 ℃ 정도에서 용융되어도 된다. 고융점 금속층 (5b) 은, 저융점 금속층 (5a) 의 표면에 적층된 금속층이고, 예를 들어 Ag 혹은 Cu 또는 이들 중 어느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이고, 퓨즈 엘리먼트 (5) 를 리플로우로에 의해 절연 기판 (2) 상에 실장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용융되지 않는 높은 융점을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 (5a) 에 외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 (5b) 을 적층함으로써, 리플로우 온도가 저융점 금속층 (5a) 의 용융 온도를 초과한 경우라도 퓨즈 엘리먼트 (5) 로서 용단하는 데에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리플로우에 의해 효율적으로 실장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층 (5a) 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용단되어, 제 1 및 제 2 전극 (3, 4) 간의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이때, 퓨즈 엘리먼트 (5) 는, 용융된 저융점 금속층 (5a) 이 고융점 금속층 (5b) 을 침식함으로써, 고융점 금속층 (5b) 이 고융점 금속층 (5s) 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용융을 개시한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층 (5a) 에 의한 고융점 금속층 (5b) 의 침식 작용을 이용하여 단시간에 용단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융 금속은, 제 1 및 제 2 전극 (3, 4) 의 물리적인 인입 작용에 의해 좌우로 분단되므로,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제 1 및 제 2 전극 (3, 4) 간의 전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이하에서는, 간단히 폭 W 라고도 기재한다.)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 통전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도 화살표가 통전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에 병렬되는 원형의 관통공 (5d, 5e) 을 가지고 있다. 또한, 관통공 (5d, 5e) 은, 비관통의 오목이어도 되지만, 퓨즈 엘리먼트 (5) 에 오목을 형성하는 예는 별도의 실시형태로 설명한다. 또, 관통공 (5d, 5e) 은, 원형으로는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되지만, 다른 형상의 예에 대해서는 별도의 실시형태로 설명한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이나 오목은 필수가 아니고,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를 얇게 조정함으로써, 평탄한 사각형 형상의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퓨즈 엘리먼트 (5) 의 두께 t 를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W 의 1/30 이하로 함으로써, 양호한 전류 차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 (5) 의 두께 t 를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W 의 1/60 이하의 비율로 하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W 를 적절히 넓게 함으로써 50 A 이상의 대전류에도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이란,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단부 평면에 있어서의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로 한다. 후에 나타내는 절곡 단자부는, 실장 땜납 등의 접속 재료가 많이 부착되어, 실질적으로 용단 부위로서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길이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이 퓨즈 엘리먼트 (5) 상에서 불균일해지는 경우에는, 길이가 최소가 되는 부분을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로 한다. 또, 폭 방향의 길이 W 란,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퓨즈 엘리먼트 (5) 상에서 불균일해지는 경우에는, 길이가 최대가 되는 부분을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길이 W 로 한다.
이하에서는, 2 개의 관통공 (5d, 5e) 이 폭 방향으로 병렬된 퓨즈 엘리먼트 (5) 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관통공 (5d, 5e) 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 (5) 를 폭 방향으로 분단하는 복수의 통전 경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2 개의 관통공 (5d, 5e) 으로 분단된 복수의 협폭 부분 (5f ∼ 5h)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 (줄열) 에 의해 용단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모든 협폭 부분 (5f ∼ 5h) 이 용단됨으로써, 제 1, 제 2 전극 (3, 4) 간에 걸친 전류 경로를 차단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 5e) 을 가짐으로써 병렬되는 복수의 협폭 부분 (5f ∼ 5h) 을 형성하기 때문에,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되면, 저항값이 낮은 협폭 부분으로 많은 전류가 흘러 가, 자기 발열에 의해 순차 용단되어 가고, 마지막에 남은 협폭 부분이 용단될 때에만 아크 방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에 의하면, 마지막에 남은 협폭 부분의 용단 시에 아크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협폭 부분의 체적에 따라 소규모의 것이 되어,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용단 후에 있어서의 절연성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복수의 협폭 부분 (5f ∼ 5h) 마다 용단되므로, 각 협폭 부분의 용단에 필요한 열에너지는 적어도 되어, 단시간에 차단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함으로써, 퓨즈 엘리먼트 (5) 의 체적을 확보하면서, 관통공 (5d, 5e) 을 병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하여 용단될 때에 아크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용융된 퓨즈 엘리먼트가 광범위에 걸쳐 비산하고, 비산한 금속에 의해 새롭게 전류 경로가 형성되거나, 혹은 비산한 금속이 단자나 주위의 전자 부품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절연 기판 상의 전극 단자 사이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탑재된 퓨즈 엘리먼트에 있어서는, 정격을 초과한 전압이 인가되어 대전류가 흐르면 전체적으로 발열한다. 그리고, 퓨즈 엘리먼트는, 전체가 용융하여 응집 상태가 된 후, 대규모의 아크 방전이 발생하면서 용단된다. 이 때문에, 퓨즈 엘리먼트의 용융물이 폭발적으로 비산한다. 이 때문에, 비산한 금속에 의해 새롭게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절연성을 저해하거나, 혹은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전극 단자를 용융시켜 함께 비산함으로써 주위의 전자 부품 등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퓨즈 엘리먼트는, 전체적으로 응집한 후에 이것을 용융, 차단시키므로 용단에 필요한 열에너지도 많아져, 속용단성이 열등하다.
아크 방전을 신속하게 멈춰 회로를 차단하는 대책으로서, 중공 케이스 내에 소호재를 채운 것이나, 방열재의 주위에 퓨즈 엘리먼트를 나선상으로 감아 타임 래그를 발생시키는 고전압 대응의 전류 퓨즈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전압 대응의 전류 퓨즈에 있어서는, 소호재의 봉입이나 나선 퓨즈의 제조와 같은, 모두 복잡한 재료나 가공 프로세스가 필요로 되어, 퓨즈 소자의 소형화나 전류의 고정격화와 같은 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퓨즈 엘리먼트를 폭 방향으로 분할한 가늘고 긴 엘리먼트를 병렬시키는 것도 생각되지만, 가늘고 긴 엘리먼트는 급격한 가열에 의해 용단되어 전체가 비산하기 쉽기 때문에, 통전 경로의 일부만을 분할하는 2 개의 관통공 (5d, 5e) 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2 개의 관통공 (5d, 5e) 부근을 먼저 가열 용단시킬 수 있어,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 5e)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 5e) 의 크기는, 그 직경을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 5e)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퓨즈 엘리먼트 (5) 는, 내층이 되는 저융점 금속층 (5a) 에 고융점 금속층 (5b) 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단 온도를 종래의 고융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칩 퓨즈 등보다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동일 사이즈의 칩 퓨즈 등에 비해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전류 정격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동일한 전류 정격을 갖는 종래의 칩 퓨즈보다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속용단성이 우수하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소자 (1) 가 장착된 전기 계통에 비정상으로 높은 전압이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서지에 대한 내성 (내펄스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는, 예를 들어 100 A 의 전류가 수 msec 흐른 경우에까지 용단되어서는 안된다. 이 점, 종래의 Pb 계 퓨즈 엘리먼트에 비해 Sn 과 Ag 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퓨즈 엘리먼트는 비저항이 약 1/4 ∼ 1/3 로 작아 저저항이고, 또한 극히 단시간에 흐르는 대전류는 도체의 표층을 흐르는 점으로부터 (표피 효과), 퓨즈 엘리먼트 (5) 는, 외층으로서 저항값이 낮은 Ag 도금 등의 고융점 금속층 (5b)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지에 의해 인가된 전류를 흐르게 하기 쉬워, 자기 발열에 의한 용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종래의 Pb 계 땜납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퓨즈에 비해 대폭 서지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펄스 시험]
여기서, 퓨즈 소자 (1) 의 내펄스 시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시험에서는, 퓨즈 소자로서 저융점 금속박 (Sn 96.5/Ag/Cu) 의 양면에 각각 두께 4 ㎛ 의 Ag 도금을 실시한 퓨즈 엘리먼트 (실시예) 와, 저융점 금속박 (Pb 90/Sn/Ag) 만으로 이루어지는 퓨즈 엘리먼트 (비교예) 를 준비하였다. 실시예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는, 단면적이 0.1 ㎟, 길이 L 이 1.5 ㎜ 이고, 퓨즈 소자 저항은 2.4 mΩ 이다. 비교예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는, 단면적이 0.15 ㎟, 길이 L 이 1.5 ㎜ 이고, 퓨즈 소자 저항은 2.4 mΩ 이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각각 절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제 2 전극 사이에 땜납 접속하고 (도 1 참조), 100 A 의 전류를, 10 초 간격으로, 10 msec 간 흘리고 (on = 10 msec/off = 10 sec), 용단될 때까지의 펄스수를 계측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는, 용단까지 3890 회의 펄스에 견딜 수 있었지만, 비교예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는, 단면적이 실시예에 관련된 퓨즈 엘리먼트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412 회 밖에 견딜 수 없었다. 이것으로부터, 저융점 금속층에 고융점 금속층을 적층한 퓨즈 엘리먼트는, 내펄스성이 대폭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층 (5a) 의 체적을 고융점 금속층 (5b) 의 체적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층 (5a) 의 체적을 많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고융점 금속층 (5b) 의 침식에 의한 단시간으로의 용단을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는, 내층이 저융점 금속층 (5a), 외층이 고융점 금속층 (5b) 의 피복 구조이고, 저융점 금속층 (5a) 과 고융점 금속층 (5b) 의 층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2.1 : 1 ∼ 100 : 1 로 해도 된다. 이로써, 확실하게 저융점 금속층 (5a) 의 체적을 고융점 금속층 (5b) 의 체적보다 많게 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고융점 금속층 (5b) 의 침식에 의한 단시간으로의 용단을 실시할 수 있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는, 내층을 구성하는 저융점 금속층 (5a) 의 상하면에 고융점 금속층 (5b) 이 적층되는 점에서, 층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2.1 : 1 이상으로 저융점 금속층 (5a) 이 두꺼워질수록 저융점 금속층 (5a) 의 체적이 고융점 금속층 (5b) 의 체적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층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100 : 1 을 초과하여 저융점 금속층 (5a) 이 두껍고, 고융점 금속층 (5b) 이 얇아지면, 고융점 금속층 (5b) 이 리플로우 실장 시의 열로 용융된 저융점 금속층 (5a) 에 의해 침식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막두께의 범위는, 막두께를 변경한 복수의 퓨즈 엘리먼트의 샘플을 준비하고, 땜납 페이스트를 개재하여 제 1 및 제 2 전극 (3, 4) 상에 탑재한 후, 리플로우 상당의 260 ℃ 의 온도를 가하고, 퓨즈 엘리먼트가 용단되지 않는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구하였다.
100 ㎛ 두께의 저융점 금속층 (5a)(Sn 96.5/Ag/Cu) 의 상하면에, 두께 1 ㎛ 의 Ag 도금층을 형성한 퓨즈 엘리먼트에서는, 260 ℃ 의 온도하에서 Ag 도금이 용해되어 엘리먼트 형상을 유지할 수 없었다. 리플로우에 의한 표면 실장을 고려하면, 100 ㎛ 두께의 저융점 금속층 (5a) 에 대해, 고융점 금속층 (5b) 의 두께는 3 ㎛ 이상이면 리플로우에 의한 표면 실장에 의해서도 확실하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융점 금속으로서 Cu 를 사용한 경우에는, 두께 0.5 ㎛ 이상이면 리플로우에 의한 표면 실장에 의해서도 확실하게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 고융점 금속층에 Cu 를 채용하는 것에 의한 침식성의 경감이나, 저융점 금속층의 재료에 Sn/Bi 나 In/Sn 등의 융점이 낮은 합금을 채용하는 것에 의한 Sn함유량의 저감에 의해,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100 : 1 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저융점 금속층 (5a) 의 두께는, 고융점 금속층 (5b) 에 대한 침식을 확산하여 신속하게 용단하는 것을 고려하면, 퓨즈 엘리먼트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층 (5a) 의 표면에 고융점 금속층 (5b) 을 도금 기술을 사용하여 성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예를 들어 장척상의 땜납박의 표면에 Ag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사이즈에 따라 절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저융점 금속박과 고융점 금속박을 첩합 (貼合) 함으로써 제조해도 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예를 들어 압연한 2 장의 Cu 박, 혹은 Ag 박 사이에, 동일하게 압연한 땜납박을 사이에 두고 프레스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융점 금속박은, 고융점 금속박보다 유연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두께의 편차를 흡수하여 저융점 금속박과 고융점 금속박을 간극 없이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저융점 금속박은 프레스에 의해 막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미리 두껍게 해 두면 된다. 프레스에 의해 저융점 금속박이 퓨즈 엘리먼트 단면 (端面) 으로부터 밀려나온 경우에는, 잘라 내어 형태를 정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퓨즈 엘리먼트 (5) 는, 증착 등의 박막 형성 기술이나, 다른 주지의 적층 기술을 사용함으로써도, 저융점 금속층 (5a) 에 고융점 금속층 (5b) 을 적층한 퓨즈 엘리먼트 (5) 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융점 금속층 (5a) 과 고융점 금속층 (5b) 을 교대로 복수층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최외층으로는, 저융점 금속층 (5a) 과 고융점 금속층 (5b) 의 어느 것이라도 되지만, 저융점 금속층 (20a) 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최외층이 저융점 금속층 (20a) 인 경우, 용융 과정에 있어서 고융점 금속층 (21a) 이 양면으로부터 저융점 금속층 (20a) 에 의한 침식을 받으므로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용단될 수 있다. 최외층의 저융점 금속층 (20a) 은, 퓨즈 엘리먼트의 실장 시에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면에 땜납 페이스트를 적당량 도포하고, 리플로우 가열에 의해 전극과의 접속과 동시에 코팅해도 된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층 (5b) 을 최외층으로 했을 때에, 추가로 당해 최외층의 고융점 금속층 (5b) 의 표면에 산화 방지막 (7) 을 형성해도 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최외층의 고융점 금속층 (5b) 이 추가로 산화 방지막 (7) 에 의해 피복됨으로써, 예를 들어 고융점 금속층 (5b) 으로서 Cu 도금이나 Cu 박을 형성한 경우에도 Cu 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Cu 의 산화에 의해 용단 시간이 길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고, 단시간에 용단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고융점 금속층 (5b) 으로서 Cu 등의 염가이지만 산화하기 쉬운 금속을 사용할 수 있어, Ag 등의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고융점 금속의 산화 방지막 (7) 은, 내층의 저융점 금속층 (5a) 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Sn 을 주성분으로 하는 Pb 프리 땜납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산화 방지막 (7) 은, 고융점 금속층 (5b) 의 표면에 주석 도금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그 외, 산화 방지막 (7) 은, Au 도금이나 프리플럭스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융점 금속층 (5a) 의 상면 및 이면에 고융점 금속층 (5b) 이 적층되어도 되고, 혹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융점 금속층 (5a) 의 대향하는 2 개의 단면을 제외한 외주부가 고융점 금속층 (5b) 에 의해 피복되어도 된다. 즉, 통전 방향의 측면을 고융점 금속층 (5b) 에 의해 덮도록 해도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퓨즈 엘리먼트 (5) 는, 측면으로부터 저융점 금속층 (5a) 이 노정되어 있기 때문에 저융점 금속이 용융되어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어 퓨즈 소자 (1) 의 기능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도 7 에 나타내는 퓨즈 엘리먼트 (5) 와 같은 구조에서는, 저융점 금속이 용융되어 외부로 유출될 우려를 저감시켜, 퓨즈 소자 (1) 의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보호 부재 (10) 를 형성해도 된다. 보호 부재 (10)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리플로우 실장 시에 있어서의 접속용 땜납의 유입이나 내층의 저융점 금속층 (5a) 의 유출을 방지하여 형상을 유지함과 함께,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도 용융 땜납의 유입을 방지하여 정격의 상승에 의한 속용단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는, 외주에 보호 부재 (10) 를 형성함으로써 리플로우 온도하에서 용융된 저융점 금속층 (5a) 의 유출을 방지하여, 엘리먼트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저융점 금속층 (5a) 의 상면 및 하면에 고융점 금속층 (5b) 을 적층하고, 측면으로부터 저융점 금속층 (5a) 이 노출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있어서는, 외주부에 보호 부재 (10) 를 형성함으로써 당해 측면으로부터의 저융점 금속의 유출이 방지되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보호 부재 (10) 를 외주에 형성함으로써,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 용융 땜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제 1, 제 2 전극 (3, 4) 상에 땜납 접속되는 경우,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의 발열에 의해 제 1, 제 2 전극에 대한 접속용 땜납이나 저융점 금속층 (5a) 을 구성하는 금속이 용융되어, 용단되어야 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중앙부로 유입할 우려가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땜납 등의 용융 금속이 유입하면 저항값이 낮아지고, 발열이 저해되어, 소정의 전류값에 있어서 용단되지 않거나, 또는 용단 시간이 늘어나거나, 혹은 용단 후에 제 1, 제 2 전극 (3, 4) 간의 절연 신뢰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보호 부재 (10) 를 외주에 형성함으로써 용융 금속의 유입을 방지하고, 저항값을 고정시켜 소정의 전류값으로 신속하게 용단시키고, 또한 제 1, 제 2 전극 (3, 4) 간의 절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호 부재 (10) 로는, 절연성이나 리플로우 온도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구비하고, 또한 용융 땜납 등에 대한 레지스트성을 구비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 (10) 는, 폴리이미드 필름을 이용하여,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 (11) 에 의해 테이프상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중앙부에 첩부 (貼付)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보호 부재 (10) 는, 절연성, 내열성, 레지스트성을 구비한 잉크를 퓨즈 엘리먼트 (5) 의 외주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보호 부재 (10) 는, 솔더 레지스트를 이용하여, 퓨즈 엘리먼트 (5) 의 외주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필름, 잉크, 솔더 레지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부재 (10) 는, 장척상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외주에 첩착 (貼着) 또는 도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또 사용 시에는 보호 부재 (10) 가 형성된 퓨즈 엘리먼트 (5) 를 절단하면 되어,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펀칭 머신에 의해 펀치를 함으로써 천공 가공을 해도 되고, 예리한 선단 부분을 갖는 펀치 등에 의해 천공 가공을 하도록 해도 된다. 또, 프레스 가공에 의해 천공 가공을 하도록 해도 되고, 커터 등으로 절단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에 대해 천공을 실시할 수 있는, 각종 공지된 가공 방법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실장 상태]
이어서, 퓨즈 엘리먼트 (5) 의 실장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 (5) 가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다. 이로써, 퓨즈 소자 (1) 는,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흘렀을 때에, 제 1, 제 2 전극 (3, 4) 간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융 금속이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에 부착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전류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퓨즈 엘리먼트를 절연 기판의 표면에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등, 퓨즈 엘리먼트가 절연 기판의 표면과 접하는 퓨즈 소자에 있어서는, 제 1, 제 2 전극 간에 있어서 퓨즈 엘리먼트의 용융 금속이 절연 기판 상에 부착되어 리크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Ag 페이스트를 세라믹 기판에 인쇄함으로써 퓨즈 엘리먼트를 형성한 퓨즈 소자에 있어서는, 세라믹과 Ag 가 소결되어 침투해 버려, 제 1, 제 2 전극 간에 잔류해 버린다. 그 때문에, 당해 잔류물에 의해 제 1, 제 2 전극 간에 리크 전류가 흘러, 전류 경로를 완전하게는 차단할 수 없다.
이 점, 퓨즈 소자 (1) 에 있어서는, 절연 기판 (2) 과는 별도로 단체 (單體) 로 퓨즈 엘리먼트 (5) 를 형성하고, 또한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시키고 있다. 따라서,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융 시에도 용융 금속이 절연 기판 (2) 에 침투하는 일도 없이 제 1, 제 2 전극 상으로 인입되어, 확실하게 제 1, 제 2 전극 간을 절연할 수 있다.
[플럭스 코팅]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외층의 고융점 금속층 (5b) 또는 저융점 금속층 (5a) 의 산화 방지와, 용단 시의 산화물 제거 및 땜납의 유동성 향상을 위해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 (5) 상의 외층의 대략 전체면에 플럭스 (17) 를 도포해도 된다. 플럭스 (17) 를 도포함으로써, 저융점 금속 (예를 들어 땜납) 의 젖음성을 높임과 함께, 저융점 금속이 용해되고 있는 동안의 산화물을 제거하고, 고융점 금속 (예를 들어 Ag) 에 대한 침식 작용을 이용하여 속용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럭스 (17) 를 도포함으로써, 최외층의 고융점 금속층 (5b) 의 표면에, Sn 을 주성분으로 하는 Pb 프리 땜납 등의 산화 방지막 (7) 을 형성한 경우에도, 당해 산화 방지막 (7) 의 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고, 고융점 금속층 (5b) 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속용단성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플럭스 (17) 는, 전류 차단 시의 아크 방전에 의한 용융 비산물의 절연 기판 표면이나 보호 부재 표면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여, 절연 저항의 저하도 억제한다.
이러한 퓨즈 엘리먼트 (5)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전극 (3, 4) 상에 리플로우 납땜에 의해 접속할 수 있지만, 그 외에도 퓨즈 엘리먼트 (5) 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 1, 제 2 전극 (3, 4) 상에 접속해도 된다.
[용단 순서의 제어]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각 관통공 (5d) 사이를 순차 용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퓨즈 엘리먼트 (5) 는, 복수의 통전 경로 중, 중앙 부근의 일부의 단면적을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저항화함으로써,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되면, 먼저 비교적 저저항의 부분으로부터 많은 전류가 통전하여 용단되어 간다. 이 용단은 자기 발열에 의한 아크 방전을 수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도 없다. 그 후, 남은 당해 고저항화된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고, 마지막에 아크 방전을 수반하여 용단된다. 이로써, 퓨즈 엘리먼트 (5) 는, 각 관통공 (5d, 5e) 에 의해 분단되는 협폭 부분 (5f ∼ 5h) 을 순차 용단시킬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단면적이 작은 부분의 용단 시에 아크 방전이 발생하지만, 해당하는 부분의 체적에 따라 소규모의 것이 되어,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퓨즈 소자 (1) 는, 최초로 용단되는 비교적 저저항의 부분과, 이 부분에 인접하는 협폭 부분 사이에 절연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절연부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 (5) 자체의 발열에 의해 팽창하여 인접하는 협폭 부분끼리가 접촉하여 응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퓨즈 소자 (1) 는, 협폭 부분을 소정의 용단 순서로 용단시킴과 함께, 인접하는 협폭 부분끼리가 일체화하는 것에 의한 용단 시간의 증가나 아크 방전의 대규모화에 의한 절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에 나타내는 3 개의 협폭 부분 (5f ∼ 5h) 으로 이루어지는 퓨즈 엘리먼트 (5) 가 탑재된 퓨즈 소자 (1) 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정중앙의 협폭 부분 (5g) 의 단면적을 작게 하여 고저항화함으로써, 외측의 협폭 부분 (5f, 5hC) 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많은 전류를 흘려 용단시킨 후, 마지막에 정중앙의 협폭 부분 (5g) 을 용단한다. 이때, 퓨즈 소자 (1) 는, 협폭 부분 (5f, 5h) 과의 사이, 및 협폭 부분 (5g, 5h) 사이의 관통공 (5e, 5d) 에 각각 절연부를 형성함으로써, 협폭 부분 (5f, 7h) 이 자기 발열에 의해 용융했을 때에도, 인접하는 협폭 부분 (5g) 과 접촉하는 일 없이 단시간에 용단됨과 함께, 마지막에 협폭 부분 (5g) 을 용단시킬 수 있다. 또, 단면적이 작은 협폭 부분 (5g) 은, 인접하는 협폭 부분 (5f, 5h) 과의 접촉도 없어, 용단 시에 있어서의 아크 방전도 소규모의 것에 그친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 (5) 는, 2 개 이상의 관통공 (5d, 5e) 을 형성한 경우, 외측의 협폭 부분을 최초로 용단시키고, 내측의 협폭 부분을 마지막으로 용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 (5) 는, 3 개의 협폭 부분 (5f, 5g, 5h) 을 형성함과 함께, 정중앙의 협폭 부분 (5g) 을 마지막에 용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 (5) 에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되면, 먼저 외측에 형성된 2 개의 협폭 부분 (5f, 5h) 에 많은 전류가 흘러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된다. 이들 협폭 부분 (5f, 5h) 의 용단은 자기 발열에 의한 아크 방전을 수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도 없다.
이어서, 내측에 형성된 협폭 부분 (5g) 에 전류가 집중하여, 아크 방전을 수반하면서 용단된다. 이때, 퓨즈 엘리먼트 (5) 는, 내측에 형성된 협폭 부분 (5g) 을 마지막으로 용단시킴으로써, 아크 방전이 발생해도 협폭 부분 (5g) 의 용융 금속의 비산을 억제하여, 용융 금속에 의한 쇼트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도, 퓨즈 엘리먼트 (5) 는, 3 개의 협폭 부분 (5f ∼ 5h) 중, 내측에 위치하는 정중앙의 협폭 부분 (5g) 의 단면적을 외측에 위치하는 다른 협폭 부분 (5f, 5h) 의 단면적보다 작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저항화하고, 이로써 정중앙의 협폭 부분 (5g) 을 마지막으로 용단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마지막에 용단시키고 있기 때문에, 아크 방전도 협폭 부분 (5g) 의 체적에 따라 소규모의 것이 되어, 용융 금속의 폭발적인 비산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단자부]
여기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전 방향의 양단을 회로 기판측으로 90 도 절곡하여, 그 단면을 단자부 (30) 로 할 수 있다.
단자부 (30) 는, 퓨즈 엘리먼트 (5) 가 탑재된 퓨즈 소자 (1)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면, 당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속 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전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 (30)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땜납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형성한 단자부 (30)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과 도통 접속됨으로써, 소자 전체의 저항값을 낮춰, 소형화 또한 고정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퓨즈 소자 (1) 는, 절연 기판 (2) 의 이면 (2b) 에 회로 기판과의 접속용 전극을 형성함과 함께, 도전 페이스트가 충전된 스루홀 등을 통하여 제 1, 제 2 전극 (3, 4) 과 접속하는 경우, 스루홀이나 캐스털레이션의 구멍 직경이나 구멍수의 제한이나, 도전 페이스트의 저항률이나 막두께의 제한에 의해, 퓨즈 엘리먼트의 저항값 이하의 실현이 어렵고, 고정격화가 곤란해진다.
그래서,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단자부 (30) 를 형성한다. 그리고, 퓨즈 소자 (1)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 상에 실장함으로써, 단자부 (30) 를 직접 회로 기판의 접속 단자에 접속한다. 이로써, 퓨즈 소자 (1) 는, 도전 스루홀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고저항화를 방지할 수 있어, 퓨즈 엘리먼트 (5) 에 의해 소자의 정격이 정해져,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고정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단자부 (30) 를 형성함으로써, 절연 기판 (2) 의 이면 (2b) 에 회로 기판과의 접속용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표면 (2a) 에만 제 1, 제 2 전극 (3, 4) 을 형성하면 충분하여, 제조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에 단자부 (30) 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프레스 머신 등에 의한 가압에 의해, 양측 가장자리부를 절곡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단자부 (30) 가 형성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e, 5f) 을 형성하기 위해서 프레스 가공을 사용함으로써, 천공 가공과 함께 절곡 가공을 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소자 (1) 는, 단자부 (30) 를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관통공 (5d, 5e) 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5)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연 기판 (2) 에 제 1, 제 2 전극 (3, 4) 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절연 기판 (2) 은, 퓨즈 엘리먼트 (5) 의 열을 방열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열전도성이 양호한 세라믹 기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를 절연 기판 (2) 에 접속하는 접착제로는, 도전성은 없어도 되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퓨즈 소자의 제조 공정]
퓨즈 엘리먼트 (5) 가 사용되는 퓨즈 소자 (1) 는, 이하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퓨즈 엘리먼트 (5) 가 탑재되는 절연 기판 (2) 은, 표면 (2a) 에 제 1, 제 2 전극 (3, 4) 이 형성된다. 제 1, 제 2 전극 (3, 4) 은, 퓨즈 엘리먼트 (5) 가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이로써,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소자 (1)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회로 기판에 형성된 회로 상에 직렬로 장착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에 땜납 등의 접속 재료를 개재하여 탑재되고, 리플로우 실장으로 접속된다. 종래의 Pb 계 땜납 (융점 300 ℃ 정도) 을 퓨즈 엘리먼트로 하는 경우에는, Sn 계 땜납 (융점 220 ℃ 정도) 으로 실장하면, 250 ℃ 정도의 리플로우 온도에서 Sn 과 Pb 가 합금화하여 퓨즈 엘리먼트가 용단되기 때문에, 비교적 Sn 비율이 적은 융점이 높은 Pb 계 땜납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저융점 금속층과 고융점 금속층의 적층 엘리먼트를 사용함으로써, Sn 계 땜납 (융점 220 ℃ 정도) 으로 실장해도 퓨즈 엘리먼트가 용단되는 일은 없고, 실장 프로세스의 저온화를 도모할 수 있어, Pb 프리화도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 (5) 상에는 플럭스 (17) 가 형성된다. 플럭스 (17) 가 형성됨으로써, 퓨즈 엘리먼트 (5) 의 산화 방지, 젖음성의 향상을 도모하여, 신속하게 용단시킬 수 있다. 또, 플럭스 (5) 를 형성함으로써, 아크 방전에 의한 용융 금속의 절연 기판 (2) 에 대한 부착을 억제하여, 용단 후에 있어서의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또한, 이하에서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 5e) 을 퓨즈 엘리먼트의 폭 방향의 측면으로 병렬해 가지고 있고, 개구 형상은 대략 반원형으로 되어 있다. 즉, 관통공 (5d, 5e) 은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측면에 노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 5e) 부근은, 다른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대략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 5e) 의 크기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 5e)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 5e)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통전 전류에 의해 용단될 때에는 협폭 부분 (5g) 으로부터 용단된다.
[제 3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원형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은, 각각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d1, 5d2) 이란, 통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관통공 (5e1, 5e2) 이란, 통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에는,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이 어레이상으로 배열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1, 5d2) 의 크기는, 각각의 직경과 관통공 (5d1, 5d2) 의 간격을 더한 크기, 즉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1, 5d2)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관통공 (5e1, 5e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의 크기와 동일하게 정의를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1, 5e1) 의 사이 및 관통공 (5d2, 5e2) 의 사이에 각각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1, 5d2)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1, 5e2)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게 되고, 1 열만이 병렬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단 위치를 복수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원형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은, 각각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d1, 5d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고, 관통공 (5e1, 5e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즈 엘리먼트 (5) 에는, 관통공 (5d1, 5d2) 과, 관통공 (5e1, 5e2) 이 통전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각각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간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1, 5d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을 포함한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1, 5d2)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관통공 (5e1, 5e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의 크기와 동일하게 정의를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2, 5e1) 의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1)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2)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게 되고, 1 열만이 병렬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단 위치를 복수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사각형의 관통공 (5d, 5e) 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 5e)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 5e) 의 크기는, 사각형의 통전 방향의 한 변의 길이, 즉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 5e)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 5e)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제 6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능형의 관통공 (5d, 5e) 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 5e)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 5e)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 5e) 의 크기는, 통전 방향의 능형의 대각선의 길이, 즉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 5e)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 5e) 의 사이, 즉 폭 방향의 능형의 정점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능형의 정점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능형의 정점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7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원형의 오목부 (5d3, 5e3) 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 (5d3, 5e3) 는, 퓨즈 엘리먼트 (5) 를 관통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융점 금속층 (5a) 이 압출되어 고융점 금속층 (5b) 만으로 이루어지는 유발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오목부 (5d3, 5e3) 는, 퓨즈 엘리먼트 (5) 를 선단이 예리하지 않은 펀치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오목부 (5d3, 5e3) 는,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오목부 (5d3, 5e3) 를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오목부 (5d3, 5e3)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오목부 (5d3, 5e3) 를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주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오목부 (5d3, 5e3) 는, 고융점 금속층 (5b) 만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인 통전 경로를 구성한다. 그러나, 통전에 의해 저융점 금속층 (5a) 이 먼저 용융을 개시하는 본퓨즈 엘리먼트 (5) 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 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저융점 금속층 (5a) 을 갖는 적층 구조 부분을 주통전 경로라고 정의하여, 오목부 (5d3, 5e3) 의 통전 경로와는 구별한다.
또, 오목부 (5d3, 5e3) 의 크기는, 오목부 (5d3, 5e3) 의 직경, 즉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천공 가공 (오목 가공) 이 어려워짐과 함께,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 5e)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오목부 (5d3, 5e3)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오목부 (5d3)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오목부 (5e3)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오목부 (5d3, 5e3) 에 있어서 통전은 되지만, 저융점 금속층 (5a) 이 고융점 금속층 (5b) 에 의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 엘리먼트 (5) 전체에서 폭발적으로 용융하지 않고, 주통전 경로마다 용단되게 되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8 실시형태]
[퓨즈 엘리먼트]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회로 기판측으로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사각형의 절입 관통공 (5d4, 5e4) 을 가지고 있다.
절입 관통공 (5d4, 5e4) 은, 퓨즈 엘리먼트 (5) 의 중앙부에서 3 변에 절입을 넣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일부를 두드려 일으켜 형성할 수 있고, 사각형의 개구를 가지고 있다. 절입 관통공 (5d4, 5e4) 은, 단자부 (30) 를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과 동시에 3 변에 절입을 넣을 수 있고, 해당하는 영역을 두드려 일으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절입 관통공 (5d4, 5e4) 은,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절입구가 노정되도록 두드려 일으키는 방향을 정하고 있다.
[절입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절입 관통공 (5d4, 5e4)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절입 관통공 (5d4, 5e4)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기 위해,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때문에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절입 관통공 (5d4, 5e4)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절입 관통공 (5d4, 5e4) 의 크기는, 사각형의 통전 방향의 한 변의 길이, 즉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절입 관통공 (5d4, 5e4)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절입 관통공 (5d4, 5e4) 의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절입 관통공 (5d4)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절입 관통공 (5e4)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보다 간단한 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절입 관통공 (5d4, 5e4) 은,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절입구가 노정되도록 두드려 일으키는 방향을 정해도 된다. 즉, 도 25 에서 설명한 절입 관통공 (5d4, 5e4) 의 절입 위치와 두드려 일으키는 방향을 90 도 회전시켜도 된다.
[제 9 실시형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퓨즈 소자 (1) 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절연 기판 (2) 과, 절연 기판 (2) 에 적층되고, 절연 부재 (15) 로 덮인 발열체 (14) 와, 절연 부재 (15) 상에 발열체 (14) 와 중첩되도록 적층된 발열체 인출 전극 (16) 과, 단자부 (30) 를 양단에 갖고 회로 기판 상의 회로 패턴에 땜납 페이스트 등의 접착 재료 (8) 에 의해 단자부 (30) 가 접속되고, 중앙부가 발열체 인출 전극 (16) 에 접속된 퓨즈 엘리먼트 (5) 와,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형성되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발생하는 산화막을 제거함과 함께 퓨즈 엘리먼트 (5) 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플럭스 (17) 와, 퓨즈 엘리먼트 (5) 를 덮는 외장체가 되는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구조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자부 (30) 를 갖는 경우와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관통공 (5d) 을 형성하는 위치는, 발열체 인출 전극 (16) 의 단부로부터 브리지부, 즉 단자부 (30) 측을 향해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의 두께 t 를 조정함으로써 관통공은 없어도 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이고, 내층으로서 저융점 금속층 (5a), 저융점 금속층 (5a) 에 적층된 외층으로서 고융점 금속층 (5b) 을 갖고,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땜납 등의 접착 재료 (8)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 상의 회로 패턴에 접속된다. 또, 도시되지 않지만, 절연 기판의 통전 방향의 양단에 형성한 전극과 땜납 등의 접착 재료 (8) 를 개재하여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단자부의 열을 절연 기판을 통한 방열에 의해, 정격 통전 시의 소자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정격 전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발열체 (14) 는, 비교적 저항값이 높고 통전하면 발열하는 도전성을 갖는 부재이고, 예를 들어 W, Mo, Ru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합금 혹은 조성물, 화합물의 분상체를 수지 바인더 등과 혼합하여, 페이스트상으로 한 것을 절연 기판 (2) 상에 스크린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패턴 형성하고, 소성하는 등에 의해 형성한다.
발열체 (14) 를 덮도록 절연 부재 (15) 가 배치되고, 이 절연 부재 (15) 를 개재하여 발열체 (14) 에 대향하도록 발열체 인출 전극 (16) 이 배치된다. 발열체 (14) 의 열을 효율적으로 퓨즈 엘리먼트 (5) 에 전하기 위해서, 발열체 (14) 와 절연 기판 (11) 사이에 절연 부재 (15) 를 적층해도 된다. 절연 부재 (15) 로는, 예를 들어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발열체 인출 전극 (16) 은, 발열체 (14) 의 일단과 연속됨과 함께, 일단이 도시되지 않은 발열체 전극에 접속되고, 타단이 발열체 (14) 를 개재하여 타방의 도시되지 않은 발열체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발열체 (14) 는, 도시되지 않은 전극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발열하여, 퓨즈 엘리먼트 (5) 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비정상인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라도, 발열체 (14) 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퓨즈 엘리먼트 (5) 를 가열하여, 원하는 조건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를 용단시킬 수 있다.
[제 10 실시형태]
[퓨즈 소자]
또한, 이하에서는, 퓨즈 소자 (1) 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퓨즈 소자 (1) 로서의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대략 동등하고, 이것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 도시를 하지 않는다. 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소자 (1) 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8 ∼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는, 절연 기판 (2) 과, 퓨즈 엘리먼트 (5) 와,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절연 기판 (2) 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측벽 (2c) 과, 폭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측벽 (2d) 과, 측벽 (2c, 2d) 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부 (2e) 를 가지고 있다. 측벽 (2c) 간의 거리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보다 크고, 폭 방향의 길이 W 에 더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두고 이간되어 있다.
커버 부재 (20) 는, 폭 방향의 양단에 측벽 (20a) 을 가지고 있다. 측벽 (20a) 간의 거리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크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에 더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가진 거리로 이간되어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단부가 복수회 절곡된 단자부 (30) 를 갖는다.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은, 통전 방향의 양단에서 중앙부로부터 볼 때 최초로 절곡된 부분 간의 길이로 한다. 특히,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양단부가 3 단계에 걸쳐서 절곡되어 단자부 (30) 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양단이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측으로 90 도의 각도로 절곡되고, 또 그 앞에서 회로 기판과 병행이 되도록 90 도 절곡되고, 또 그 앞에서 회로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90 도 절곡된 구조체로 되어 있다. 즉,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단면은, 회로 기판에 대해 상방을 향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의 양단을 절곡하여 단자부 (30) 를 형성한 것과 차이가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절곡 가공은, 단자부 (30) 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도시되지 않은 지그에,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베이스 부재인 절연 기판 (2) 을 재치 (載置) 하고, 절연 기판 (2) 의 측벽 (2c) 사이에, 사각형 평판상의 퓨즈 엘리먼트 (5) 를 재치하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상부에 커버 부재 (20) 를 재치하고, 커버 부재 (20) 를 가압함으로써 절곡 가공을 할 수 있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절곡 위치는, 커버 부재 (20) 의 측벽 (20a) 및 절연 기판 (2) 의 측벽 (2d) 에 의해 정해진다고 말할 수 있다. 커버 부재 (20) 와 절연 기판 (2) 을 조합했을 때, 커버 부재 (20) 의 측벽 (20a) 과 절연 기판 (2) 의 측벽 (2d) 사이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막두께보다 충분히 이간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퓨즈 소자 (1) 는, 커버 부재 (20) 의 측벽 (20a) 과 절연 기판 (2) 의 측벽 (2d) 사이의 공간에 퓨즈 엘리먼트 (5) 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 (30) 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땜납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형성한 단자부 (30)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과 도통 접속됨으로써, 소자 전체의 저항값을 낮춰, 소형화 또한 고정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도전 스루홀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고저항화를 방지할 수 있어, 퓨즈 엘리먼트 (5) 에 의해 소자의 정격이 정해져,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고정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단자부 (30) 를 형성함으로써, 절연 기판 (2) 에 회로 기판과의 접속용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 공정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단자부 (30) 가 복수회 절곡된 것에 의해 회로 기판과 대향하는 위치가 평면이 되어, 회로 기판과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단자부 (30) 가 복수회 절곡된 구조이지만, 상기 서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그를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평판 상의 퓨즈 엘리먼트를 용이하게 절곡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0 에 나타내는, 절연 기판 (2) 의 오목부 (2e) 에는, 발열체를 배치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1 실시형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다음에,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소자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1 ∼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절연 기판 (2) 과, 절연 기판 (2) 에 적층되고, 절연 부재 (15) 로 덮인 발열체 (14) 와, 절연 부재 (15) 상에 발열체 (14) 와 중첩되도록 적층된 발열체 인출 전극 (16) 과, 절연 기판 (2)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 (3, 4) 과, 제 1 및 제 2 전극 (3, 4) 사이에 걸쳐서 실장됨과 함께 중앙부가 발열체 인출 전극 (16) 에 접속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또는 발열체 (14) 에 의한 가열로 용단되어, 제 1 전극 (3) 과 제 2 전극 (4) 간의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5),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형성되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발생하는 산화막을 제거함과 함께 퓨즈 엘리먼트 (5) 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플럭스 (17) 와, 퓨즈 엘리먼트 (5) 를 덮는 외장체가 되는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31 은, 절연 기판 (2) 상에 퓨즈 엘리먼트 (5) 를 재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2 는, 절연 기판 (2) 상에 퓨즈 엘리먼트 (5) 를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3 은,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플럭스 (17) 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4 는, 플럭스 (17) 를 도포한 후에 커버 부재 (20) 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1 ∼ 도 34 의 순서에 따라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35 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의 이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발열체 (14) 는,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발열하여, 퓨즈 엘리먼트 (5) 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비정상인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라도, 발열체 (14) 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퓨즈 엘리먼트 (5) 를 가열하여, 원하는 조건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를 용단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절연 기판 (2) 의 표면 (2a) 및 이면 (2b) 을 접속하는 제 1 전극 (3) 및 제 2 전극 (4) 을 스루홀에 의해 절연 기판 (2) 의 표리의 도통을 확보하여,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구성한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36 및 도 3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5d1, 5e1) 이나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원형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3) 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은, 각각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d1, 5d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고, 관통공 (5e1, 5e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즈 엘리먼트 (5) 에는, 관통공 (5d1, 5d2) 과, 관통공 (5e1, 5e2) 이 통전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각각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전극 (3, 4) 을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전극 (3, 4)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1, 5e1,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발열체 인출 전극 (16) 의 단부로부터 브리지부, 즉 단자부 (30) 측을 향해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관통공 (5d1, 5d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을 포함한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제 1, 제 2 전극 (3, 4) 에 걸리는 부분에까지 관통공 (5d1, 5d2)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관통공 (5e1, 5e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의 크기와 동일하게 정의를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2, 5e1) 의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1)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2)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게 되고, 1 열만이 병렬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단 위치를 복수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게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제 12 실시형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다음에,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소자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8 ∼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절연 기판 (2) 과, 절연 기판 (2) 에 적층되고, 절연 부재 (15) 로 덮인 발열체 (14) 와, 절연 부재 (15) 상에 발열체 (14) 와 중첩되도록 적층된 발열체 인출 전극 (16) 과, 중앙부가 발열체 인출 전극 (16) 에 접속되고, 통전 방향의 양단에 단자부 (30) 를 갖고, 단자부 (30) 간의 사이에서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또는 발열체 (14) 에 의한 가열로 용단되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5) 와,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형성되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발생하는 산화막을 제거함과 함께 퓨즈 엘리먼트 (5) 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플럭스 (17) 와, 퓨즈 엘리먼트 (5) 를 덮는 외장체가 되는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38 은, 절연 기판 (2) 상에 퓨즈 엘리먼트 (5) 를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9 는,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플럭스 (17) 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0 은, 플럭스 (17) 를 도포한 후에 커버 부재 (20) 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8 ∼ 도 41 의 순서에 따라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1 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의 이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절연 기판 (2) 상에 퓨즈 엘리먼트 (5) 를 재치하기 전의 상태는, 도 31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체 길이 L 이나 폭 W 에 대해서는, 도 37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양단을 회로 기판측으로 90 도 절곡하고, 그 단면을 단자부 (30) 로 하고 있다.
단자부 (30) 는, 퓨즈 엘리먼트 (5) 가 탑재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면, 당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속 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고, 통전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 (30) 는, 도 40 및 도 4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땜납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형성한 단자부 (30)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과 도통 접속됨으로써, 소자 전체의 저항값을 낮춰, 소형화 또한 고정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써,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도전 스루홀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고저항화를 방지할 수 있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의해 소자의 정격이 정해져,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고정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5d1, 5e1) 이나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관통공 (5d1, 5e1) 이나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도 37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원형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은, 각각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d1, 5d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고, 관통공 (5e1, 5e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즈 엘리먼트 (5) 에는, 관통공 (5d1, 5d2) 과, 관통공 (5e1, 5e2) 이 통전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각각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부 (30) 사이를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단자부 (30)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1, 5e1,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발열체 인출 전극 (16) 의 단부로부터 브리지부, 즉 단자부 (30) 측을 향해 걸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관통공 (5d1, 5d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을 포함한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절곡 부분에까지 관통공 (5d1, 5d2)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관통공 (5e1, 5e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의 크기와 동일하게 정의를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2, 5e1) 의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1)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2)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협폭 부분 (5g ∼ 5f) 에 대해서는, 도 37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게 되고, 1 열만이 병렬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단 위치를 복수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열체 (14) 는, 도시되지 않은 전극으로부터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발열하여, 퓨즈 엘리먼트 (5) 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정격 전류를 초과하는 비정상인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라도, 발열체 (14) 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퓨즈 엘리먼트 (5) 를 가열하여, 원하는 조건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를 용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3 실시형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다음에,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소자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소자는, 플립 칩형의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의 일례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2 및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절연 기판 (2) 과, 절연 기판 (2) 에 적층되고, 절연 부재로 덮인 발열체와, 절연 부재 상에 발열체와 중첩되도록 적층된 발열체 인출 전극 (16) 과, 중앙부가 발열체 인출 전극 (16) 에 접속되고, 통전 방향의 양단에 단자부 (30) 를 갖고, 단자부 (30) 간의 사이에서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또는 발열체에 의한 가열로 용단되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5) 와,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형성되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발생하는 산화막을 제거함과 함께 퓨즈 엘리먼트 (5) 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플럭스와, 퓨즈 엘리먼트 (5) 를 덮는 외장체가 되는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42 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의 표면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3 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의 이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내부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제 12 실시형태와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양단을 회로 기판측으로 90 도 절곡하고, 그 단면을 단자부 (30) 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플립 칩형이기 때문에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방향이 다른 실시형태와 달리 표리가 반대가 된다 (페이스 다운). 따라서, 퓨즈 엘리먼트 (5) 는, 단면을 절곡하는 방향이, 절연 기판 (2)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방향이 된다. 또, 발열체 인출 전극 (16) 도 동일하게, 절연 기판 (2)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접속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단자부 (40) 를 탑재하고 있다.
단자부 (30) 는, 퓨즈 엘리먼트 (5) 가 탑재된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면, 당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속 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고, 통전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 (30) 는,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가 페이스 다운으로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땜납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또, 단자부 (40) 도 동일하게 페이스 다운으로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형성한 단자부 (30)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과 도통 접속됨으로써, 소자 전체의 저항값을 낮춰, 소형화 또한 고정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써,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00) 는, 도전 스루홀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고저항화를 방지할 수 있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의해 소자의 정격이 정해져,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고정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4 실시형태]
[퓨즈 소자]
다음에, 플립 칩형의 퓨즈 소자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소자의 구조로서 동일 기능의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4 ∼ 도 4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는, 절연 기판 (2) 과, 절연 기판 (2) 에 적층되고, 통전 방향의 양단에 단자부 (30) 를 갖고, 단자부 (30) 간의 사이에서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전류 경로를 차단하는 퓨즈 엘리먼트 (5) 와,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형성되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발생하는 산화막을 제거함과 함께 퓨즈 엘리먼트 (5) 의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복수의 플럭스 (17) 와, 퓨즈 엘리먼트 (5) 를 덮는 외장체가 되는 커버 부재 (20) 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44 는, 절연 기판 (2) 상에 퓨즈 엘리먼트 (5) 를 재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5 는, 퓨즈 엘리먼트 (5) 상에 플럭스 (17) 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6 은, 플럭스 (17) 를 도포한 후에 커버 부재 (20) 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44 ∼ 도 46 의 순서에 따라 퓨즈 소자 (1) 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7 은, 퓨즈 소자 (1) 의 이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적층 구조체가 대략 사각형 판상으로 되어 있고,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체 길이 L 이나 폭 W 에 대해서는, 도 37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양단을 회로 기판측으로 90 도 절곡하고, 그 단면을 단자부 (30) 로 하고 있다.
단자부 (30) 는, 퓨즈 엘리먼트 (5) 가 탑재된 퓨즈 소자 (1) 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면, 당해 회로 기판에 형성된 접속 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고, 통전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부 (30) 는, 도 4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소자 (1) 가 페이스 다운으로 회로 기판에 실장됨으로써,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땜납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퓨즈 소자 (1) 는, 퓨즈 엘리먼트 (5) 에 형성한 단자부 (30) 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과 도통 접속됨으로써, 소자 전체의 저항값을 낮춰, 소형화 또한 고정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써, 퓨즈 소자 (1) 는, 도전 스루홀을 개재시키는 것에 의한 고저항화를 방지할 수 있고, 퓨즈 엘리먼트 (5) 에 의해 소자의 정격이 정해져,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고정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 (5) 는,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5d1, 5e1) 이나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 관통공 형상이 아니라 오목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관통공 (5d1, 5e1) 이나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도 37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퓨즈 엘리먼트 (5) 는, 통전 방향의 중간 부분이고,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으로 병렬되는 원형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갖고 있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은, 각각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5d1, 5d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고, 관통공 (5e1, 5e2) 이란, 통전 방향에 대해 중심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퓨즈 엘리먼트 (5) 에는, 관통공 (5d1, 5d2) 과, 관통공 (5e1, 5e2) 이 통전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각각 배열되어 있다.
[관통공]
다음에, 퓨즈 엘리먼트 (5) 의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와 그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부근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장 빨리 용단되게 되기 때문에, 용단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특히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단자부 (30) 사이를 회로 절단하기 위해서, 단자부 (30) 사이의 중앙 부근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관통공 (5d1, 5e1) 과, 관통공 (5d2, 5e2) 을 형성하는 위치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L1, L2 만큼 떨어진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1, L2 의 구체적인 크기는, (L/4) < L1, (L/4) < L2 로 한다.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를 복수로 분할하면서도, 제 1, 제 2 전극 (3, 4) 부근은 소정의 열용량을 갖는 엘리먼트 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또, 관통공 (5d1, 5d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을 포함한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를 L0 으로 하면,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경로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L/2) > L0 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크게 해 버리면, 절곡 부분에까지 관통공 (5d1, 5d2) 이 이르러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관통공 (5e1, 5e2) 의 크기는, 관통공 (5d1, 5d2) 의 크기와 동일하게 정의를 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퓨즈 엘리먼트 (5) 는, 관통공 (5d2, 5e1) 의 사이에 협폭 부분 (5g)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d1)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f) 을 가지고 있고, 관통공 (5e2) 의 퓨즈 엘리먼트 (5) 의 폭 방향의 외측에 협폭 부분 (5h) 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협폭 부분 (5g∼ 5f) 에 대해서는, 도 37 과 대략 동등하므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퓨즈 엘리먼트 (5) 는, 퓨즈 엘리먼트 (5) 의 통전 방향으로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게 되고, 1 열만이 병렬된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해, 퓨즈 엘리먼트 (5) 의 용단 위치를 복수 지점에서 보다 정확하게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는,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가 큰 광폭 구조로 되어 있고, 특히 저융점 금속층과 고융점 금속층의 적층 구조체로 함으로써 소형 또한 대전류에 대응할 수 있는 퓨즈 소자 또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간이한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퓨즈 엘리먼트에 관통공 또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퓨즈 엘리먼트의 폭발적인 용융을 억제할 수 있고,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 후에도 절연성이 담보되는 안전성이 높은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퓨즈 엘리먼트에 형성하는 관통공 또는 오목부의 수나 종류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단자부의 유무를 포함하여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조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적용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 엘리먼트는, 모두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에 적용 가능하고, 대전류화에 대응할 수 있는 소형의 표면 실장형의 퓨즈 소자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1 : 퓨즈 소자
2 : 절연 기판
2a : 표면
2b : 이면
3 : 제 1 전극
4 : 제 2 전극
5 : 퓨즈 엘리먼트
5a : 저융점 금속층
5b : 고융점 금속층
5e ∼ 5d : 관통공 (오목부)
5f ∼ 5h : 협폭 부분
6 : 보호층
7 : 산화 방지막
8 : 접착 재료
10 : 보호 부재
11 : 접착제
14 : 발열체
15 : 절연 부재
16 : 발열체 인출 전극
20 : 커버 부재
20a : 측벽
20b : 천면
30 : 단자부
40 : 단자부
100 :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Claims (243)

  1. 퓨즈 소자의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에 있어서,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큰, 퓨즈 엘리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저융점 금속층에 적층된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에 상기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통전 방향의 양측면에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목 또는 관통공을 갖는, 퓨즈 엘리먼트.
  6. 제 5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의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 L0 이 (1/2)L 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당해 오목 또는 관통공과 통전 방향의 양단부까지의 거리를 각각 L1, L2 로 하면, L1 이 (1/4)L 보다 크고, L2 가 (1/4)L 보다 커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퓨즈 엘리먼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퓨즈 엘리먼트.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퓨즈 엘리먼트.
  14.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땜납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Ag, Cu, Ag 또는 Cu 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퓨즈 엘리먼트.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땜납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Ag, Cu, Ag 또는 Cu 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퓨즈 엘리먼트.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땜납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Ag, Cu, Ag 또는 Cu 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퓨즈 엘리먼트.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땜납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Ag, Cu, Ag 또는 Cu 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퓨즈 엘리먼트.
  1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상기 고융점 금속층보다 체적이 많은, 퓨즈 엘리먼트.
  1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상기 고융점 금속층보다 체적이 많은, 퓨즈 엘리먼트.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상기 고융점 금속층보다 체적이 많은, 퓨즈 엘리먼트.
  2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상기 고융점 금속층보다 체적이 많은, 퓨즈 엘리먼트.
  22.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2 : 1 ∼ 100 : 1 인, 퓨즈 엘리먼트.
  2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2 : 1 ∼ 100 : 1 인, 퓨즈 엘리먼트.
  2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2 : 1 ∼ 100 : 1 인, 퓨즈 엘리먼트.
  2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비가 저융점 금속층 : 고융점 금속층 = 2 : 1 ∼ 100 : 1 인, 퓨즈 엘리먼트.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0 ㎛ 이상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0 ㎛ 이상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0 ㎛ 이상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0 ㎛ 이상이고,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3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30.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도금함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도금함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도금함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도금함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4.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금속박을 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금속박을 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금속박을 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금속박을 첩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박막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3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박막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4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박막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4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은,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박막 형성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퓨즈 엘리먼트.
  42.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추가로 산화 방지막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추가로 산화 방지막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추가로 산화 방지막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표면에, 추가로 산화 방지막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이, 교대로 복수층 적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이, 교대로 복수층 적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이, 교대로 복수층 적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4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고융점 금속층이, 교대로 복수층 적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0.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대향하는 2 단면을 제외한 외주부가 상기 고융점 금속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대향하는 2 단면을 제외한 외주부가 상기 고융점 금속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대향하는 2 단면을 제외한 외주부가 상기 고융점 금속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대향하는 2 단면을 제외한 외주부가 상기 고융점 금속층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4.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5. 제 5 항에 있어서,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6. 제 6 항에 있어서,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7. 제 7 항에 있어서,
    외주의 적어도 일부가 보호 부재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5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고,
    상기 복수의 협폭 부분이,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5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고,
    상기 복수의 협폭 부분이,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6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고,
    상기 복수의 협폭 부분이,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61.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62.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63.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64. 제 58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65. 제 59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66. 제 60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67. 제 61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68. 제 62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69. 제 63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70. 제 58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이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71. 제 59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이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72. 제 60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이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73. 제 61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이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74. 제 62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이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75. 제 63 항에 있어서,
    3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이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
  76. 제 70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77. 제 71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78. 제 72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79. 제 73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80. 제 74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81. 제 75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엘리먼트.
  8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자의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8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자의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8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자의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8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소자의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엘리먼트.
  8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0.5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87.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0.5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88.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0.5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89.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층의 막두께는, 0.5 ㎛ 이상인, 퓨즈 엘리먼트.
  9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엘리먼트.
  91. 제 5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엘리먼트.
  92. 제 6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엘리먼트.
  93. 제 7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엘리먼트.
  94. 제 90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엘리먼트.
  95. 제 91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엘리먼트.
  96. 제 92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엘리먼트.
  97. 제 93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엘리먼트.
  98.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를 갖는 퓨즈 소자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큰, 퓨즈 소자.
  99. 제 98 항에 있어서,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저융점 금속층에 적층된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퓨즈 소자.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에 상기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퓨즈 소자.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통전 방향의 양측면에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퓨즈 소자.
  102.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오목 또는 관통공을 갖는, 퓨즈 소자.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있어서의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의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 L0 이 (1/2)L 보다 작은 퓨즈 소자.
  104.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당해 오목 또는 관통공과 통전 방향의 양단부까지의 거리를 각각 L1, L2 로 하면, L1 이 (1/4)L 보다 크고, L2 가 (1/4)L 보다 커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05.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퓨즈 소자.
  106.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퓨즈 소자.
  107.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퓨즈 소자.
  108.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퓨즈 소자.
  109.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퓨즈 소자.
  110.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퓨즈 소자.
  111.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2. 제 102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3. 제 103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4. 제 104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5.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6.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7.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8.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19.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0.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1. 제 11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2.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3.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4.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5.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6.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7.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8.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퓨즈 소자.
  129.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퓨즈 소자.
  130.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퓨즈 소자.
  131.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퓨즈 소자.
  132. 제 102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퓨즈 소자.
  133. 제 103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퓨즈 소자.
  134. 제 104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상기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퓨즈 소자.
  135.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소자.
  136.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소자.
  137.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소자.
  138. 제 135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퓨즈 소자.
  139. 제 136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퓨즈 소자.
  140. 제 137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퓨즈 소자.
  141. 제 135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42. 제 136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43. 제 137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44. 제 138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45. 제 139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46. 제 140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47. 제 135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소자.
  148. 제 136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소자.
  149. 제 137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소자.
  150. 제 138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소자.
  151. 제 139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소자.
  152. 제 140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퓨즈 소자.
  153. 제 147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54. 제 148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55. 제 149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56. 제 150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57. 제 151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58. 제 152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퓨즈 소자.
  159.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60.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61.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62.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퓨즈 소자.
  163. 제 98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소자.
  164.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소자.
  165.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소자.
  166.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퓨즈 소자.
  167. 제 163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소자.
  168. 제 164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소자.
  169. 제 165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소자.
  170. 제 166 항에 있어서,
    당해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퓨즈 소자.
  171. 통전 경로를 구성하고,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가 통전함으로써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가열하여 용단하는 발열체를 갖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보다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가 큰,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2. 제 171 항에 있어서,
    저융점 금속층과,
    상기 저융점 금속층에 적층된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3. 제 17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의 상하에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4. 제 17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금속층은, 통전 방향의 양측면에 고융점 금속층을 갖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5.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오목 또는 관통공을 갖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6.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통전 방향의 전체 길이 L 에 대해,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의 통전 방향의 최대 길이 L0 이 (1/2)L 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7.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당해 오목 또는 관통공과 통전 방향의 양단부까지의 거리를 각각 L1, L2 로 하면, L1 이 (1/4)L 보다 크고, L2 가 (1/4)L 보다 커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8.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79.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0.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1.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2.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3.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은, 원형, 사각형 혹은 능형 중 어느 것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4.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5. 제 175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6. 제 176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7. 제 177 항에 있어서,
    절연 기판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걸쳐서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8. 제 18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89. 제 18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0. 제 18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1. 제 18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Sn 혹은 Sn 을 주체로 하는 땜납으로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2. 제 184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3. 제 18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4. 제 18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5. 제 18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과,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6.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7.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8.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199.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는, 절연 기판으로부터 이간하여 실장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0.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1.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2.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3.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표면이 플럭스로 코팅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4.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5. 제 175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6. 제 176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7. 제 177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에 의해 절연 기판 상이 덮여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8.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09.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0.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또는 관통공에 의해, 병렬하는 복수의 협폭 부분을 갖는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갖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가, 정격을 초과하는 전류의 통전에 의한 자기 발열에 의해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1. 제 208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2. 제 209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3. 제 210 항에 있어서,
    복수의 협폭 부분이, 순차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4. 제 208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5. 제 209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6. 제 210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7. 제 211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8. 제 212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19. 제 213 항에 있어서,
    1 개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다른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0. 제 208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1. 제 209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2. 제 210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3. 제 211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4. 제 212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5. 제 213 항에 있어서,
    3 개의 협폭 부분이 병렬되고,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마지막에 용단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6. 제 220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7. 제 221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8. 제 222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29. 제 223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0. 제 224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1. 제 225 항에 있어서,
    정중앙의 상기 협폭 부분은, 일부 또는 전부의 단면적이 양측의 협폭 부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2.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3.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4.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5.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에, 외부 접속 단자가 되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6. 제 171 항 내지 제 1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7. 제 175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8. 제 17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39. 제 17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30 이하인,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40. 제 236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41. 제 23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42. 제 238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243. 제 239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엘리먼트의 두께 t 가, 통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길이 W 의 1/60 이하로 하는,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KR1020177010593A 2014-09-26 2015-09-24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KR102049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7630A JP6483987B2 (ja) 2014-09-26 2014-09-26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及び発熱体内蔵ヒューズ素子
JPJP-P-2014-197630 2014-09-26
PCT/JP2015/076913 WO2016047681A1 (ja) 2014-09-26 2015-09-24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及び発熱体内蔵ヒューズ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543A true KR20170055543A (ko) 2017-05-19
KR102049712B1 KR102049712B1 (ko) 2019-11-28

Family

ID=5558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593A KR102049712B1 (ko) 2014-09-26 2015-09-24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7043B2 (ko)
JP (1) JP6483987B2 (ko)
KR (1) KR102049712B1 (ko)
CN (1) CN106688073B (ko)
TW (1) TWI697023B (ko)
WO (1) WO20160476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917A (ko) * 2019-06-20 2020-12-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단부 단선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한 단열패턴을 가지는 칩 퓨즈 및 상기 칩 퓨즈를 구비한 충전장치
KR20200145916A (ko) * 2019-06-20 2020-12-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단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한 적층 구조를 가지는 퓨즈 및 상기 퓨즈를 구비한 칩 퓨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7428B2 (ja) 2016-09-16 2020-06-1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保護素子
WO2018159283A1 (ja) * 2017-02-28 2018-09-0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JP7002955B2 (ja) * 2017-02-28 2022-01-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素子
CN109148411B (zh) * 2018-08-15 2020-06-16 乐健科技(珠海)有限公司 散热基板及其制备方法
JP6947139B2 (ja) * 2018-08-29 2021-10-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過電流遮断ユニット
CN109669102A (zh) * 2018-12-30 2019-04-23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键合铝丝熔断电流试验装置
JP7433796B2 (ja) * 2019-07-24 2024-02-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
JP7368144B2 (ja) * 2019-08-27 2023-10-24 Koa株式会社 チップ型電流ヒューズ
JP7339071B2 (ja) * 2019-08-29 2023-09-0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バッテリパック
TWI700719B (zh) * 2019-12-13 2020-08-01 聚鼎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元件及其電路保護裝置
TWI731801B (zh) * 2020-10-12 2021-06-21 功得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保護元件及其製作方法
JP2023057377A (ja) * 2021-10-11 2023-04-21 Koa株式会社 回路保護素子
CN114203678B (zh) * 2022-02-18 2022-05-06 威海嘉瑞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5426A (en) * 1996-06-27 1999-05-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Knife blade fuse
JP2011082064A (ja) 2009-10-08 2011-04-21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ヒューズ
WO2013146889A1 (ja) * 2012-03-29 2013-10-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
KR20130114985A (ko) * 2012-04-10 2013-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1504A (en) * 1958-05-15 1959-11-03 Sigmund Cohn Corp Fuse memb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152233A (en) * 1961-03-21 1964-10-06 Chase Shawmut Co Blade-type electric fuses
US3113195A (en) * 1962-02-05 1963-12-03 Chase Shawmut Co Fuse structures for elevated circuit voltages
CH642772A5 (de) * 1977-05-28 1984-04-30 Knudsen Ak L Elektrische schmelzsicherung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US4320374A (en) * 1979-03-21 1982-03-16 Kearney-National (Canada) Limited Electric fuses employing composite aluminum and cadmium fuse elements
DE3530354A1 (de) * 1985-08-24 1987-03-05 Opel Adam Ag Elektrische sicherungsanordnung
US5479147A (en) * 1993-11-04 1995-12-26 Mepcopal Company High voltage thick film fuse assembly
US5453726A (en) * 1993-12-29 1995-09-26 Aem (Holdings), Inc. High reliability thick film surface mount fuse assembly
JP2717076B2 (ja) * 1995-08-30 1998-02-18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表面実装超小型電流ヒューズ
US5977860A (en) * 1996-06-07 1999-11-02 Littelfuse, Inc. Surface-mount fuse and the manufacture thereof
JP2001006518A (ja) * 1999-04-23 2001-01-12 Sony Chem Corp 過電流保護装置
JP2001216883A (ja) * 2000-01-31 2001-08-10 Sony Corp 保護素子及びバッテリパック
JP2004185960A (ja) * 2002-12-03 2004-07-02 Kamaya Denki Kk 回路保護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8077007B2 (en) * 2008-01-14 2011-12-13 Littlelfuse, Inc. Blade fuse
CN201556591U (zh) * 2009-12-18 2010-08-18 东莞市贝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熔断器
JP5552367B2 (ja) * 2010-05-20 2014-07-16 内橋エステック株式会社 温度ヒューズおよび温度ヒューズの製造方法
EP2408277B1 (de) * 2010-07-16 2016-02-17 Schurter AG Sicherungselement
JP2012059719A (ja) * 2011-12-26 2012-03-22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保護素子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CN104137217B (zh) * 2012-02-20 2016-10-19 松尾电机株式会社 芯片型保险丝
JP6249600B2 (ja) * 2012-03-29 2017-12-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
JP6420053B2 (ja) * 2013-03-28 2018-11-0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及びヒューズ素子
JP6437239B2 (ja) * 2013-08-28 2018-12-12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ヒューズ素子
JP6214318B2 (ja) * 2013-10-09 2017-10-18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電流ヒュー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5426A (en) * 1996-06-27 1999-05-1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Knife blade fuse
JP2011082064A (ja) 2009-10-08 2011-04-21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ヒューズ
WO2013146889A1 (ja) * 2012-03-29 2013-10-0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保護素子
KR20130114985A (ko) * 2012-04-10 2013-10-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917A (ko) * 2019-06-20 2020-12-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단부 단선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한 단열패턴을 가지는 칩 퓨즈 및 상기 칩 퓨즈를 구비한 충전장치
KR20200145916A (ko) * 2019-06-20 2020-12-3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용단 응답 속도 향상을 위한 적층 구조를 가지는 퓨즈 및 상기 퓨즈를 구비한 칩 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88073A (zh) 2017-05-17
US20170236673A1 (en) 2017-08-17
WO2016047681A1 (ja) 2016-03-31
US10707043B2 (en) 2020-07-07
TWI697023B (zh) 2020-06-21
TW201630023A (zh) 2016-08-16
KR102049712B1 (ko) 2019-11-28
JP6483987B2 (ja) 2019-03-13
JP2016071972A (ja) 2016-05-09
CN106688073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5543A (ko) 퓨즈 엘리먼트, 퓨즈 소자, 및 발열체 내장 퓨즈 소자
KR102213303B1 (ko) 퓨즈 엘리먼트, 및 퓨즈 소자
JP6214318B2 (ja) 電流ヒューズ
TWI631590B (zh) Fuse unit, fuse element
TWI714595B (zh) 熔絲單元、熔絲元件、保護元件、短路元件、切換元件
TWI699811B (zh) 熔絲元件
CN109643624B (zh) 熔丝单元、熔丝元件、保护元件
TWI719170B (zh) 保護元件
TWI685872B (zh) 熔絲元件、及熔絲單元
CN107735849B (zh) 熔丝单元、熔丝元件、保护元件、短路元件、切换元件
TW201802854A (zh) 電流熔絲
TWI731050B (zh) 保護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