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322A -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322A
KR20170055322A KR1020150158357A KR20150158357A KR20170055322A KR 20170055322 A KR20170055322 A KR 20170055322A KR 1020150158357 A KR1020150158357 A KR 1020150158357A KR 20150158357 A KR20150158357 A KR 20150158357A KR 20170055322 A KR20170055322 A KR 20170055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ase material
molding
forming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582B1 (ko
Inventor
윤치원
김승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58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1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천연기재가 안착되어 내장재를 형성하기 위한 기재성형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1금형과, 제1금형의 상측에서 이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기재성형부가 끼워져 왕복 이동되는 작동홈부가 형성되는 제2금형과, 제2금형의 작동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금형에 안착된 천연기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 성형부와, 기재성형부에 형성되어 천연기재에 사출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를 성형하기 위한 보강리브 성형부와, 제1금형이나 압착성형부에 구비되어 천연기재의 절곡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엣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엣지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장재를 성형시 천연기재를 압착하는 공정과 천연기재에 사출 성형으로 보강부와 장착을 위한 구조물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INTERI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중이 낮은 천연섬유를 수지에 배합하여 경량화 및 친환경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내장재를 성형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내장재로는 도어트림, 필러, 트렁크 매트, 패키지트림, 헤드라이너 등이 있으며, 이러한 내장재로는 차종에 따라 경질의 기재만으로 사출 성형된 것을 사용하거나 경질의 기재를 성형한 다음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 기재 표면에 연질의 표피재를 접착하되, 그 테두리를 함께 트리밍한 것을 사용하기도 하며, 기재 표면에 표피재를 접착한 후 표피재 테두리를 기재 테두리에 감싸 붙인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친환경성 및 중량절감을 위하여 기재를 천연소재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재를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기재를 성형한다. 이후에, 성형된 천연기재를 별도의 트리밍 금형을 이용하여 외곽과 홀을 커팅하여 형성한다.
그런 다음, 천연기재를 차체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별도의 공정과 성형 금형을 통해 제작한다. (여기서, 구조물을 성형하는 과정은 천연기재를 성형하기 전에 미리 성형하여 성형하거나 천연기재를 성형한 후에 성형하여 준비할 수 있다.)
이후에, 별도의 압착 금형에 천연기재를 올려놓고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스킨을 압착하여 천연기재에 부착한다.
그런 다음, 스킨이 부착된 천연기재를 트리밍 금형에 올려놓고, 쓸모 없는 스킨을 트리밍한다.
이렇게 트리밍된 천연기개 끝에서 안쪽으로 감싸서 공정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방법은,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내장재를 성형할 때, 천연소재로 기재를 기재성형용 금형에서 성형하고, 천연소재에 기재를 성형하여 천연소재에 결합하며 스킨을 천연기재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압착금형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별도의 공정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비비용에 많이 발생되며,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07945(2013.01.21.)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금형으로 천연섬유를 원하는 형상으로 트리밍 성형한 후에 천연섬유에 강도 보강 및 브래킷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면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천연기재가 안착되어 내장재를 형성하기 위한 기재성형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1금형과, 제1금형의 상측에서 이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기재성형부가 끼워져 왕복 이동되는 작동홈부가 형성되는 제2금형과, 제2금형의 작동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금형에 안착된 천연기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 성형부와, 기재성형부에 형성되어 천연기재에 사출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를 성형하기 위한 보강리브 성형부와, 제1금형이나 압착성형부에 구비되어 천연기재의 절곡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엣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엣지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리브 성형부는 기재성형부의 상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1금형의내측에 구비되는 사출액 통로에 연결되어 사출액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금형과 압착성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2금형에 대하여 압착성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2금형에 대해 압착성형부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나 압착성형부를 제2금형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엣지 성형부는 제1금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상단부가 천연기재의 하부에 위치한 후에 작동 후에 기재성형부에 안착된 천연기재를 관통하여 천연기재의 절곡부의 상부로 사출액을 분사하도록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a) 제1금형의 기재성형부에 천연기재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와, b) 제2금형을 가동하여 천연기재를 압착시키는 압착단계와, c) 천연기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를 성형하는 보강부 성형단계와, d) 차량에 장착되는 천연기재의 배면에 장착용 구조물을 성형하는 구조물 성형단계와, e) 제2금형을 제1금형으로부터 이격시켜 압착되고, 보강부 및 장착용 구조물이 성형된 천연기재 내장재를 취출하는 취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b) 압착단계는, 제2금형을 가동시켜 제1금형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2금형의 가동 후에, 압착성형부는 제2금형의 가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또한, b) 단계에서 e)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된 천연기재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 보강부 성형단계는, 차량에 장착되는 천연기재의 배면에 보강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보강리브 성형단계와, 천연기재의 절곡부 상부에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엣지부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 내장재 취출단계는, 제2금형을 제1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금형 형개단계와, 제2금형에 구비되는 압착성형부를 제2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착성형부 작동단계와, 제1금형에 구비되는 밀핀을 작동시켜 제1금형에 성형된 천연기재 내장재를 분리하여 취출하는 내장재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재를 성형시 천연기재를 압착하는 공정과 천연기재에 사출 성형으로 보강부와 장착을 위한 구조물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천연기재 내장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천연기재 내장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100)는, 제1금형(110)과, 보강리브 성형부(120), 제2금형(130)과, 압착 성형부(140), 엣지 성형부(150)를 포함한다.
제1금형(110)은 천연기재(101)를 내장재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기재성형부(111)를 구성하는 것으로, 고정금형이라고도 한다. 상기 제1금형(110)의 기재성형부(111)는 내장재의 오목한 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금형(110)의 중앙부에는 기재성형부(1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돌출된 기재성형부(111)의 윗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보강리브 성형부(120)는 제1금형(110)의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재성형부(111)의 윗면에 일정길이와 일정 폭으로 된 홈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보강리브는 천연기재(101)로만 형성되는 내장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내장재의 내측면 즉, 차량에 부착되는 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형성하여 내장재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이 보강리브 성형부(120)는 제1금형(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사출액 통로(게이트)(121)에 연결되어 사출액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제2금형(130)은 제1금형(110)의 상측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부에는 제1금형(110)의 돌출 형성된 기재성형부(111)가 끼워져 작동되는 작동홈부(131)를 형성한다. 제2금형(130)은 제1금형(110)의 돌출 형성된 기재성형부(111)의 측면이 작동홈부(131)의 내부 양측면 사이에 끼워져 왕복 이동한다.
압착 성형부(140)는 제2금형(130)의 작동홈부(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금형(110)의 기재성형부(111)에 안착된 천연기재(101)를 압착하여 내장재의 압착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 성형부(140)는 제2금형(130)의 작동홈부(131)에 구비되는 별도의 작동유닛(141)에 의해 제1금형(110)의 기재성형부(111)를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그 하단부가 제1금형(110)에 돌출 형성된 기재성형부(111)에 대응되는 형상인 압착홈부(142)로 형성된다.
여기서, 작동유닛(141)은 제2금형(130)에 대해 압착 성형부(140)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실린더로 구성하거나, 제2금형(130)에 대해 압착 성형부(140)를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엣지 성형부(150)는 제1금형(110)의 기재성형부(111) 위쪽에 안착된 천연기재(101)를 제2금형(130)의 압착 성형부(140)의 압착으로 인하여 천연기재(101)의 절곡 형성되는 상부 절곡부롤 곡면으로 인하여 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연기재(101)의 상부 절곡부 곡면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출액을 공급하여 엣지부(102)를 성형한다.
이러한 엣지 성형부(150)는 제1금형(11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천연기재(101)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가 제2금형(130)의 압착 성형부(140)의 작동 후에 작동되며, 천연기재(101)를 관통하여 천연기재의 절곡부 상부로 사출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엣지 성형부(150)는 주사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천연기재(10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천연기재(101)를 관통한 후에 천연기재(101)의 절곡부 상측으로 사출액을 분사한다.
여기서, 엣지 성형부(150)는 압착 성형부(140) 내에서 형성되며, 사출액을 천연기재(101)의 곡면부 상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출액 성형통로로 형성되는 게이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장재 성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내장재의 성형 작업 전에 이동금형인 제2금형(130)이 열린 상태인 제1금형(110)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 상태라 한다.
이후에, 내장재를 성형하기 위하여 성형 장치에 안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된 천연기재(101)를 제1금형(110)에 형성된 블록한 일부 기재성형부 상측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갖는다.(S110)
상기 천연기재 안착단계(S110)는, 롤 형태로 된 천연기재(101)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재료 준비를 미리 해야 한다. 그리고, 이 천연기재 안착 단계(S110)는 천연기재(101)의 성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히트로 예열한다.
이후에, 상기 제2금형(130)을 작동시켜 제2금형(130)에 구비되는 압착 성형부(140)를 하강시켜 제1금형(110)에 안착된 천연기재(101)를 가압하는 가압단계를 갖는다.(S120)
상기 가압단계(S120)는 제2금형(130)을 가동시켜 제1금형(110)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압착 성형부(140)로 제1금형(110)에 안착된 천연기재(10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제2금형(130)에 구비된 압착 성형부(140)는 제2금형(130)과 함께 제1금형(110) 쪽으로 함께 이동되어 제1금형(110)에 안착된 천연기재(101)를 가압하여 압착하게 된다. 이때, 제2금형(130)에 구비되는 압착 성형부(140)로 천연기재(101)가 제1금형(110)의 기재성형부의 형상에 맞게 굴곡된 형태가 되도록 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 가압단계(S120)에서 상가 압착 성형부(140)는 제2금형(130)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단계(S120) 이후에는 압착 성형부(140)의 작동은 중지하고, 제2금형(130)의 작동을 지속하여 제1금형(110)에 안착된 천연기재(101)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갖는다.(S130)
상기 절단단계(S130)는 제1금형(110)을 하강시켜 상기 제1금형(110)의 작동홈부(131) 내측면과 제2금형(130)에 돌출 형성된 기재성형부()의 외측면 사이에서 천연기재(101)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절단단계(S130) 이후에는 상기 천연기재(101)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천연기재(101)에 보강부를 성형하는 보강부 성형단계를 갖는다.(S140)
상기 보강부 성형단계(S140)는 천연기재(101)의 배면과 곡면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기재(101)의 배면에 보강리브(103)를 형성하기 위한 보강리브 성형단계(S141)와, 천연기재(101)의 곡면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위하여 엣지부(102)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엣지 성형부(150)를 작동시켜 천연기재(101)의 곡면부에 엣지부(102)를 성형하는 엣지부 형성단계(S142)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리브 성형단계(S141)는 제1금형(110)의 사출액 통로(121)를 통해 사출액을 제2금형(130)의 보강리브 성형부(120)로 공급하여 보강리브(103)를 형성한다.
상기 엣지부 성형단계(142)는 제1금형(110)에 구비되는 엣지 성형부(150)를 작동시키는 엣지성형부 작동단계와, 엣지 성형부(150)를 통해 천연기재(101)의 엣지부(102)로 사출액을 공급하는 공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엣지성형부 작동단계는 엣지 성형부(15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천연기재(101)를 관통하여 엣지 성형부(150)의 상단이 천연기재(10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 성형단계(S141)와 엣지부 성형단계(S142)는 모두 사출액을 공급하여 천연기재(10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각각 엣지부(102)와 보강리브(103)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순서에 관계 없이 수행하거나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보강부 성형단계(S140) 이후에는 천연기재(101)로 형성된 내장재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구조물(104)을 형성하는 구조물 성형단계를 갖는다.(S150)
상기 구조물 성형단계(S150)는 차량에 부착되는 면에 해당되는 천연기재(101)의 밑면에 사출물로 된 장착용 구조물(104)을 성형하는 것으로, 보강부 성형단계(S140) 이후에 수행하거나 보강부 성형단계(S140)와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구조물 성형단계(S150) 이후에, 기재성형부에 성형된 천연기재로 된 내장재를 취출하는 취출단계를 갖는다.(S160)
상기 취출단계(S160)는 이동금형인 제2금형(13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제1금형(110)으로부터 제2금형(130)을 이격시키는 제2금형 형개단계(S161)와, 제2금형(130)이 이격된 후에 제2금형에 구비되는 압착성형부를 제1금형 쪽으로 전진시키는 압착성형부 작동단계(S162)와, 제1금형(110)에 구비되는 밀핀(미도시)를 작동시켜 제1금형(110)의 상단에 형성된 천연기재로 성형된 내장재를 분리하여 취출하는 분리단계(S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금형 형개단계(S161)는 제2금형(130)을 작동시켜 제1금형(110)의 반대쪽으로 이동시켜 제1금형(110)으로부터 제2금형(130)에 구비되는 압착 성형부(140)를 이격시켜 제1금형(110)의 상부에 성형된 내장재를 노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압착성형부 작동단계(S162)는 제2금형 형개단계(S161)가 작동된 후에 작동되도록 구성하여, 제2금형(130)이 제1금형(110)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게 되면, 압착 성형부(140)는 제2금형(130)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쪽 즉, 제1금형(110)을 향해 이동된다.
상기 분리단계(S163)는 제1금형(110)에 구비되는 밀핀(미도시)을 작동시켜 즉, 밀핀으로 제1금형(110)의 상부에 성형된 내장재를 상측으로 밀어서 제1금형(110)의 기재성형부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제1금형(110)으로부터 취출되는 성형된 내장재는 작업자가 별도의 손질을 함으로써, 천연기재로 된 내장재를 완성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내장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되는 게이트 등을 절단하여 분리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장재 성형 장치 및 성형방법에 의하면, 내장재를 성형시 천연기재를 압착하는 공정과 천연기재에 사출 성형으로 보강부와 장착을 위한 구조물을 하나의 장치로 형성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히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성형장치
101 : 천연기재 102 : 엣지부
103 : 보강리브 104 : 장착용 구조물
110 : 제1금형
111 : 기재성형부 112 : 사출액 통로
120 : 보강리브 성형부 121 : 사출액 통로
130 : 제2금형 131 : 작동홈부
140 : 압착 성형부 141 : 작동유닛
142 : 압착홈부
150 : 엣지 성형부

Claims (10)

  1. 상부에 천연기재가 안착되어 내장재를 형성하기 위한 기재성형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1금형;
    제1금형의 상측에서 이격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기재성형부가 끼워져 왕복 이동되는 작동홈부가 형성되는 제2금형;
    제2금형의 작동홈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금형에 안착된 천연기재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 성형부;
    기재성형부에 형성되어 천연기재에 사출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를 성형하기 위한 보강리브 성형부;
    제1금형이나 압착성형부에 구비되어 천연기재의 절곡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엣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엣지 성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강리브 성형부는 기재성형부의 상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제1금형의내측에 구비되는 사출액 통로에 연결되어 사출액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과 압착성형부 사이에는,
    상기 제2금형에 대하여 압착성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제2금형에 대해 압착성형부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나 압착성형부를 제2금형에 대해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엣지 성형부는
    제1금형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상단부가 천연기재의 하부에 위치한 후에 작동 후에 기재성형부에 안착된 천연기재를 관통하여 천연기재의 절곡부의 상부로 사출액을 분사하도록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6. a) 제1금형의 기재성형부에 천연기재를 안착시키는 안착단계;
    b) 제2금형을 가동하여 천연기재를 압착시키는 압착단계;
    c) 천연기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부를 성형하는 보강부 성형단계;
    d) 차량에 장착되는 천연기재의 배면에 장착용 구조물을 성형하는 구조물 성형단계;
    e) 제2금형을 제1금형으로부터 이격시켜 압착되고, 보강부 및 장착용 구조물이 성형된 천연기재 내장재를 취출하는 취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b) 압착단계는,
    제2금형을 가동시켜 제1금형 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금형의 가동 후에, 압착성형부는 제2금형의 가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b) 단계에서 e)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된 천연기재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c) 보강부 성형단계는,
    차량에 장착되는 천연기재의 배면에 보강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보강리브 성형단계;
    천연기재의 절곡부 상부에 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엣지부 성형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e) 내장재 취출단계는,
    제2금형을 제1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제2금형 형개단계;
    제2금형에 구비되는 압착성형부를 제2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해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는 압착성형부 작동단계;
    제1금형에 구비되는 밀핀을 작동시켜 제1금형에 성형된 천연기재 내장재를 분리하여 취출하는 내장재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성형 방법.
KR1020150158357A 2015-11-11 2015-11-11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101795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57A KR101795582B1 (ko) 2015-11-11 2015-11-11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57A KR101795582B1 (ko) 2015-11-11 2015-11-11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22A true KR20170055322A (ko) 2017-05-19
KR101795582B1 KR101795582B1 (ko) 2017-11-09

Family

ID=5904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57A KR101795582B1 (ko) 2015-11-11 2015-11-11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635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20190083180A (ko) * 2018-01-03 2019-07-11 카이스 주식회사 섬유재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KR102054897B1 (ko) * 2018-06-08 2019-12-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천연섬유 인서트 사출 성형장치 및 성형공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2175Y2 (ja) * 1992-10-08 1998-09-30 株式会社ヒロタニ 自動車内装材のプレス成形装置
JP6076143B2 (ja) * 2013-03-08 2017-02-08 株式会社佐藤鉄工所 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635A (ko) * 2017-08-29 2019-03-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20190083180A (ko) * 2018-01-03 2019-07-11 카이스 주식회사 섬유재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
KR102054897B1 (ko) * 2018-06-08 2019-12-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천연섬유 인서트 사출 성형장치 및 성형공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82B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10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member
KR101795582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US106110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rim component having a molded rim at an edge thereof
JP2002254461A (ja) ボード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KR100765103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내피 접합용 상부금형
JP2015009541A (ja) 成形体の金型装置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9269189A (ja) 部分表皮貼り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金型
KR102031979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20040100733A (ko) 차량의 내장 판넬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장 판넬의제조방법
JP4110770B2 (ja) ボード製品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JP2001293737A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20140125518A (ko)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KR101744856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방법
JP2019048391A (ja) 車両用内装材の成形装置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KR20160123664A (ko) 표피재의 커팅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JP6013225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品の成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表皮一体発泡成形品の成形方法
KR102308051B1 (ko) 자동차 필러 내장재의 사출성형용 금형
JP5930707B2 (ja) 樹脂積層体の成形方法及び樹脂積層体
KR20100000992A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4492440B2 (ja) 一体成形方法
JP4451765B2 (ja) 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
KR100506744B1 (ko) 자동차용 플로워시트 측벽구간의 부가재 부착방법 및부착장치
KR100217564B1 (ko) 자동차용 도어 트림의 센터트림 부착방법
CN205604849U (zh) 车门把手
JP2021115822A (ja) 成形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