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518A -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518A
KR20140125518A KR20130043377A KR20130043377A KR20140125518A KR 20140125518 A KR20140125518 A KR 20140125518A KR 20130043377 A KR20130043377 A KR 20130043377A KR 20130043377 A KR20130043377 A KR 20130043377A KR 20140125518 A KR20140125518 A KR 2014012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ore
cam block
mold
contact surface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재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5518A/ko
Publication of KR2014012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금형 일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상기 홀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홀부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이동시키는 캠블록, 상기 캠블록을 상하로 이동 시키도록 상기 캠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캠블록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밀착되어 언더컷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INJECTION MOLDING APPARATUS OF VEHICLE INNER ELEMENT AND MO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시 언더컷 취출을 용이하게 하고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내장재는 차종에 따라서 내장재의 감성품질을 위해서 사출 성형품에 유성페인트 또는 수성페인트를 도색하여 제작되고, 고급차종에는 쿠션감 향상을 위하여 폼을 가진 연질의 원단을 사용하여 감성품질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폼을 가진 연질의 원단을 사용하고 고분자 재료 성형품과 접착 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이 차량내 휘발함으로 인체의 면역기능저하로 인해 쉬크하우스 증후군 즉 실내 공기 오염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어 이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법규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표피재 원단과 고분자 재료를 동시에 저압일체 성형함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규제를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저압 사출 성형은 금형 구조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제품설계 디자인 제약이 발생하게 되어 디자인 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른 외관 감성품질 및 조립구조 최적화 미흡, 부품수 증가로 이어져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사출 성형 장치는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113663호 및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제JP2009-26927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100)는 상금형(110)과, 하금형(120)과, 상금형(110) 및 하금형(120)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드 코어(130) 및 슬라이드 코어(13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140)를 포함한다.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100)는 상금형(110)과 하금형(120)이 합형되고, 슬라이드 코어(130)가 캐비티에 밀착되어 성형품의 언더컷 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130)는 상금형(110)의 외측에 결합된 실린더(140)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코어(130)는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클램프 핀(131)을 더 포함하고, 클램프 핀(131)에 표피재가 고정되어 표피재가 일체로 사출되는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100)는 수지재 사출 시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130)가 밀려나서 성형품 외관의 단차가 형성되거나 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도록 상금형(110) 및 하금형(120)이 합형된 상태에서, 합형을 유지하도록 상금형(110) 및 하금형(120)을 밀어주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130)가 밀려나면서 성형품 외관의 단차가 형성되거나 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규제를 만족할 수 있고, 성형품의 디자인 제약을 감소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품의 언더컷 형상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 압력에 의해 성형품 외관 단차 또는 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금형 일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상기 홀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홀부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이동시키는 캠블록, 상기 캠블록을 상하로 이동 시키도록 상기 캠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캠블록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밀착되어 언더컷 형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홀부에 상기 캠블록이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블록은 수지 사출 시 사출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촉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홀부에 삽입된 상기 캠블록이 상기 홀부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금형은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닫혀진 상태에서 사출된 수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상금형을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캠블록을 지지하는 제3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금형에 표피재를 장입하고 상기 상금형이 전진하여 상기 하금형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준비 단계,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표피재를 향해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합형되어 상기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는 단계,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이형될 때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성형품의 언더컷을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가 사출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캠블록에 제1 접촉면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합형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캠블록이 상기 하금형의 제3 접촉면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피재에 성형품을 일체로 사출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규제를 만족할 수 있고, 슬라이드 코어를 통해 언더컷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성형품의 디자인 제약을 감소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코어를 상금형과 별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성형품의 언더컷 형상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성형 압력을 받는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압력에 의해 성형품 외관 단차 또는 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성형품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의 사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200)는 상금형(210) 일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코어(220), 슬라이드 코어(220)에 삽입되는 캠블록(230), 캠블록(230)을 상하로 이동 시키도록 결합되는 실린더(240) 및 캠블록(23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51)이 형성되는 하금형(250)을 포함한다.
상금형(210)은 하금형(250)과 이격된 상태에서 하금형(250)을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금형(210)은 슬라이드 코어(220), 캠블록(230) 및 실린더(240)가 설치되고, 상금형(210)의 이동과 별도로 슬라이드 코어(220)가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220)는 상금형(210)의 일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220)는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부(221)를 포함한다. 홀부(221)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캠블록(230)이 관통하여 삽입된다.
캠블록(230)은 홀부(221)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홀부(221)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코어(2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캠블록(230)은 상단에 결합된 실린더(24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홀부(221)에 대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하 이동을 통해 홀부(221)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드 코어(22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린더(240)는 캠블록(2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캠블록(23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실린더(240)는 상금형(210)의 이동과 별도로 캠블록(23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실린더(240)는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의 합형과 별도로 슬라이드 코어(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금형(250)은 캠블록(230)의 하단에 대향하는 삽입홈(251)이 형성되고, 상금형(210)이 하금형(250)이 합형된 상태에서 캠블록(230)의 하단이 삽입홈(251)에 삽입된다.
이러한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200)는 상금형(210)에 표피재가 장입된 상태에서 상금형(210)이 하금형(250)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전진하고, 슬라이드 코어(220)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표피재를 성형하고자 하는 형태로 고정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220)는 홀부(221)에 캠블록(230)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드 코어(220)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제1 접촉면(222)이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 코어(220)는 홀부(221)에 캠블록(230)이 삽입되면서 제1 접촉면(222)에 캠블록(230)의 일면이 접촉함으로써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200)는 수지 사출 시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접촉면(222)이 캠블록(230)에 의해 지지된다.
슬라이드 코어(220)는 홀부(221)에 삽입된 캠블록(230)이 홀부(221)로부터 빠지면서 슬라이드 코어(22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제2 접촉면(223)이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 코어(220)는 홀부(221)로부터 캠블록(230)이 빠지면서 제2 접촉면(223)에 캠블록(230)의 외측 일면이 접촉함으로써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하금형(250)은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이 닫혀진 상태에서 사출된 수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금형(210)을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캠블록(230)을 지지하는 제3 접촉면(252)이 형성된다. 즉, 하금형(250)은 삽입홈(251)에 캠블록(2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캠블록(230)의 외측 일면을 접촉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드 코어(220)에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가해지는 압력을 제3 접촉면(252)과 캠블록(230)의 접촉을 통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200)는 표피재에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동차 내장재를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휘발성 유기화합물 규제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220)를 상금형(210)의 이동과 별도로 제어함으로써 언더컷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성형 및 취출을 용이하게 하여 성형품의 디자인 제약을 감소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를 통해 제작되는 성형품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200)는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이 이형된 상태에서 표피재(20)가 상금형(210)에 장입된다(a). 이때, 표피재(20)는 슬라이드 코어(220)에 설치된 클램프 핀(224)에 고정되고, 슬라이드 코어(220)는 캐비티에서 이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표피재(20)가 장입된 뒤, 상금형(210)은 하금형(250)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진하고, 슬라이드 코어(220)가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에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이동한다(b). 여기에서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은 수지 사출이 이뤄지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220)는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의 밀착되어 표피재(20)에 언더컷(40) 형상을 형성한다. 이때, 하금형(250)에서 표피재(20)를 향해 수지(30)가 사출된다. 수지(30)가 사출될 때, 제1 접촉면(222)을 캠블록(230)이 접촉 지지함으로써 수지(30)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지(30)가 사출 된 후에, 상금형(210)은 하금형(250)과 합형되어 사출된 수지(30)가 표피재(20)에 접착되어 형상이 고정유지되도록 상금형(210)이 가압된다(c). 이때, 제3 접촉면(252)에 의해 캠블록(230)이 접촉 지지됨으로써 상금형(210)을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되는 성형품은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이 이형되면서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빠짐으로써 언더컷(40) 형상의 취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성형품은 표피재(20)와 수지(30) 사이에 쿠션재(21)가 개재되어 충격 흡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200)는 성형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성형품 외관의 단차 또는 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의 사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방법은, 상금형(210)에 표피재를 장입하고 상금형(210)이 전진하여 하금형(250)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준비 단계(S710)를 갖는다. 이때, 표피재는 슬라이드 코어(220)에 설치된 클램프 핀(224)에 고정된다.
이후,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에 밀착되도록 슬라이드 코어(220)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단계(S720)를 갖는다. 즉, 슬라이드 코어(220)는 상금형(210)과 하금형(250)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에 언더컷 형상을 형성하도록 밀착된다.
이후, 표피재를 향해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S730)를 갖는다. 이때, 수지 사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캠블록(230)에 제1 접촉면(222)이 접촉 지지된다.
이후,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이 합형되어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는 단계(S740)를 갖는다. 이때,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도록 상금형(210)을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220)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캠블록(230)이 제3 접촉면(252)에 의해 지지된다.
이후, 상금형(210)과 하금형(250)이 이형될 때 슬라이드 코어(220)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성형품의 언더컷을 취출하는 단계(S750)를 통해 자동차의 내장재를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0 : 자동차 내장재 사출 성형 장치 210 :상금형
220 : 슬라이드 코어 221 : 홀부
222 : 제1 접촉면 223 : 제2 접촉면
224 : 클램프 핀 230 : 캠블록
240 : 실린더 250 : 하금형
251 : 삽입홈 252 : 제3 접촉면

Claims (8)

  1. 상금형 일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상기 홀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홀부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이동시키는 캠블록;
    상기 캠블록을 상하로 이동 시키도록 상기 캠블록의 상단에 결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캠블록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금형;
    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밀착되어 언더컷 형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홀부에 상기 캠블록이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제1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블록은
    수지 사출 시 사출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접촉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상기 홀부에 삽입된 상기 캠블록이 상기 홀부로부터 빠지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경사진 제2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5. 제1항 있어서,
    상기 하금형은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닫혀진 상태에서 사출된 수지를 성형하기 위해 상기 상금형을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캠블록을 지지하는 제3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상금형에 표피재를 장입하고, 상기 상금형이 전진하여 상기 하금형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준비 단계;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에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표피재를 향해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한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합형되어 상기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는 단계;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이형될 때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성형품의 언더컷을 취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를 사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가 사출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캠블록에 제1 접촉면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형상을 고정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상금형과 상기 하금형이 합형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캠블록이 상기 하금형의 제3 접촉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방법.
KR20130043377A 2013-04-19 2013-04-19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KR20140125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377A KR20140125518A (ko) 2013-04-19 2013-04-19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377A KR20140125518A (ko) 2013-04-19 2013-04-19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18A true KR20140125518A (ko) 2014-10-29

Family

ID=5199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377A KR20140125518A (ko) 2013-04-19 2013-04-19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5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478A (ko) 2018-08-07 2020-02-17 (주)우신시스템 자동차 필러 내장재의 사출성형용 금형
CN114393782A (zh) * 2021-10-29 2022-04-26 建达电气有限公司 具有一体式圆弧脱扣结构的充电枪模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478A (ko) 2018-08-07 2020-02-17 (주)우신시스템 자동차 필러 내장재의 사출성형용 금형
CN114393782A (zh) * 2021-10-29 2022-04-26 建达电气有限公司 具有一体式圆弧脱扣结构的充电枪模具
CN114393782B (zh) * 2021-10-29 2024-03-19 建达电气有限公司 具有一体式圆弧脱扣结构的充电枪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7659B (zh) 用于成型且背面注塑可弯曲片材的模制工具和方法
US970105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member
KR101428275B1 (ko) 크래쉬패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되는 크래쉬패드
KR101766035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3419312A (zh) 用于制造防震垫的装置和方法
US20180345549A1 (en) Forming device and method of base material and skin layer
CN110394996B (zh) 用于形成车辆内部材料的装置和方法
US6126769A (en) Film laminated plastic moulding as well as process and device for its manufacture
KR20140125518A (ko) 자동차 내장재의 사출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
KR101624301B1 (ko) 천 부착 사출물 성형 금형
KR20170055322A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101557222B1 (ko) 자동차 내장재 진공 사출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439229B1 (ko) 자동차 내장재 일체 진공사출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20040100733A (ko) 차량의 내장 판넬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장 판넬의제조방법
KR100765103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의 내피 접합용 상부금형
US201501831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interior part of vehicle and interior part manufactured by the same
JP2001293737A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3750915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101687600B1 (ko)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US2022017660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member, and mold used therein
KR101387026B1 (ko) 일체성형용 스킨셋팅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 일체성형 방법
KR20190009014A (ko) 차량용 크래쉬 패드 제조장치 및 방법
JP2019166652A (ja) 成形構造体の製造方法
KR102077179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001138356A (ja) 部分表皮貼り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