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904A - 천연 오일도료 - Google Patents

천연 오일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904A
KR20170052904A KR1020150154997A KR20150154997A KR20170052904A KR 20170052904 A KR20170052904 A KR 20170052904A KR 1020150154997 A KR1020150154997 A KR 1020150154997A KR 20150154997 A KR20150154997 A KR 20150154997A KR 20170052904 A KR20170052904 A KR 20170052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gamma
drying
polymerization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410B1 (ko
Inventor
한호규
남기달
김진규
금동화
도정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4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2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oils, fats or wax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D191/005Drying 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2Boron or alumi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4Alumi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Cobalt
    • C09D7/1216
    • C09D7/123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atalyst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오일도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건성유(drying oil)를 원료로 사용하여 산소기체 분위기 및 코발트 담지촉매 존재 하에서 중합시켜 제조된 오일 중합체(polymer oil)가 포함된 천연 오일도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오일도료 {Natural Oil Pai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천연 오일도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건성유(drying oil)를 원료로 사용하여 산소기체 분위기 및 코발트 담지촉매 존재 하에서 중합시켜 제조된 오일 중합체(polymer oil)가 포함된 천연 오일도료에 관한 것이다.
목재가 다른 건축자재에 비교하여 친환경적인 재료임이 인정되면서 건축, 가구, 집기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는 재질의 특성상 화재, 미생물 또는 각종 곤충에 의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과 장마철에는 수분을 많이 흡수하여 빨리 썩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목조 건축물은 아름답게 꾸미거나 부재들의 내구적인 보호를 위해 단청이라는 칠처리를 통해 방수, 발수, 방염, 방미, 방부 및 방충 등을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전통적인 단청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들기름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유칠이 있다.
전통적인 유칠 재료로는 들기름에 백반(AlK(SO4)2), 산화납(PbO)과 이산화망간(MnO2)을 촉매제로 넣고 끓여서 제조된 명유(明油)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명유는 옻칠과 함께 목재, 금속, 도자기 등의 투명 코팅제 뿐만 아니라 채색에도 이용되었다. 그러나 명유(明油)는 중금속류를 촉매제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침전물이 형성되므로 투명한 명유를 얻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중금속 촉매제 사용으로 인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52094호 (특허문헌 1)에는 무촉매 및 무산소 조건에서 140∼210℃로 1차 가열반응한 후에, 무촉매 및 유산소 조건에서 120∼170℃로 2차 가열반응하여 제조된 천연 유성도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건조 도막이 매끈하지 않고 주름이 잡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152094호 "유성 도료조성물"
본 발명은 목재 또는 종이류의 표면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오일도료로서, 중금속류의 촉매제를 대신하여 인체에 무해한 코발트계 불균일 촉매하에서 중합시켜 제조된 천연 오일의 중합체가 포함된 투명한 천연 오일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의 존재 및 산소기체 분위기 하에서 건성유(drying oil)를 중합하여 제조된 오일 중합체가 포함된 천연 오일도료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는 감마-알루미나 담체 중량대비 코발트 산화물이 0.5 ∼ 5 중량%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건성유는 요오드가가 130 이상인 동식물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건성유는 아마씨(Linseed), 유동나무씨(Tung-oil), 호두(Walnut) 또는 들깨(Perilla)를 용매 추출하여 얻은 식물성 오일이며,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함량이 45 ∼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중합은 80 ∼ 120℃ 온도에서 1 ∼ 3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일도료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오일 중합체는 동식물성 오일을 촉매하에서 중합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촉매로는 중금속으로 분류되지 않는 코발트 담지촉매를 사용하므로 인체에 전혀 무해하다.
상기 오일 중합체 제조에 사용하는 코발트 담지촉매는 불균일계 촉매이므로 반응 후에 쉽게 분리 수득이 가능하고 재사용도 가능하다. 특히 코발트 담지촉매는 중합반응 중에 침전물을 생성하지 않고 맑고 투명한 오일도료를 제조하며, 제품에 촉매가 잔류하는 염려가 없다.
도 1은 중합반응 원료로 사용된 들깨 오일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2는 들깨 오일을 중합반응하여 얻어진 오일 중합체의 FT-IR 스펙트럼이다.
본 발명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명유(明油)를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목재 또는 종이류의 표면 보호용 천연 오일도료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도료는 유산소 조건에서 건성유(drying oil)를 중합하여 제조된 오일 중합체가 포함된다.
오일은 요오드가를 기준으로 건성유, 반건성유, 불건성유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요오드가는 오일 100 g에 부가되는 요오드의 그램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오일의 불포화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구 분 건성유
(drying oil)
반건성유
(semidrying oil)
불건성유
(nondrying oil)
요오드가 130 이상 100∼130 100 이하
오일 종류 유동나무 기름(Tung oil), 아마씨유, 호두기름, 들깨기름, 콩기름, 청어기름, 참기름, 옥수수기름, 면실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야자유, 동백기름
본 발명에서는 원료물질로 요오드가가 130 이상으로 불포화도가 높은 천연 건성유를 사용한다. 상기 건성유는 오일 분자의 이중결합 부위가 과산화 라디칼에 의한 연쇄반응으로 오일 분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네트웩(Network) 결합을 이룸으로써 오일 중합체가 제조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건성유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함량이 45 중량% 이상, 구체적으로 45∼60 중량%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경화 도막 형성에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트리글리세리드 중에는 불포화지방산 예를 들면 리놀렌산(Linoleneic acid), 리놀산(Lin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이중결합 위치에서 라디칼 중합반응이 일어남으로써 오일 중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건성유의 경우, 동식물 유지를 물리적 압착, 용매 추출 등 통상의 방법을 수행하여 얻을 수 있으며, 보다 트리글리세리드의 함량이 높은 건성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노말-헥산,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등의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오일도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준비된 건성유를 촉매와 유산소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가열하여 중합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촉매로서 감마-알루미나 담체에 코발트 산화물이 담지된 코발트 담지촉매(이하,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로 약칭함)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촉매로서 코발트 나이트레이트 (Co(NO3)2· 6H2O)와 같은 코발트 이온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는, 오일 중합체에 검초록 부유물이 잔류하여 투명한 오일도료 제조가 어려웠다. 또한, 부유물의 잔류로 인하여 경화 도막에 검초록 반점이 형성되거나 경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제안한 바와 같이 코발트 이온 화합물을 감마-알루미나 담체에 담지한 후에 소성시킨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의 경우는, 오일 중합체에 부유물이 잔류하지 않는 투명한 오일도료가 제조되어 자국이 없는 매끈한 도막을 형성하며, 경화 도막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매우 짧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의 제조방법은 통상의 촉매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예를 들면 증류수에서 감마-알루미나(γ-Al2O3)와 코발트 전구물질을 혼합 교반한 후에 물을 감압 증발하고, 300∼500℃ 온도에서 소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는 감마-알루미나 담지체 중에 코발트 산화물이 0.5 ∼ 5 중량% 담지된 것이 촉매활성 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건성유의 중합을 위해서는 반응기 내부로 산소 기체를 20 ∼ 100 mL/min 유속으로 유입하면서 반응기 내부 온도를 80 ∼ 120℃, 바람직하기로는 80 ∼ 100℃까지 승온한 후에, 1∼3시간 정도 중합반응을 진행하여 오일 중합체를 얻는다.
특허문헌 1은 무촉매 하에서의 무산소 반응 및 유산소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고 있고 그리고 중합 반응온도가 120℃ 이상으로 고온이 유지되고 있는 것에 대비하여, 본원발명은 유산소 반응으로만 이루어져 공정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반응온도를 120℃ 이하로 낮추는 등의 공정상의 유익한 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반응을 통해 제조된 오일 중합체는 부유물이 존재하지 않는 맑은 금색 유액으로 제조되었으며, 오일 중합체는 브록필드 점도계로 측정된 점도값이 900 mPa·s 이상이었다. 맑은 금색 유액으로 제조된 천연 오일도료는 더 이상의 첨가물 없이 목재에 코팅하여 보호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오일도료의 경우 경화시간이 10∼22시간으로 길고, 건조 도막이 매끈하지 않고 주름이 잡히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는 0.07 ∼ 0.7 mm 두께로 코팅하더라도 10시간 이내에 주름없이 매끈한 경화도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건성유를 유산소 조건에서 중합하다 보면, 중합온도가 높거나 중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도 측정이 불가한 거대고분자가 제조될 수도 있다. 하지만 거대고분자로 제조된 오일 중합체 역시 부유물이 존재하지 않은 맑은 금색으로 얻어지므로, 적절한 용매나 첨가제로 희석시켜 오일도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거대고분자로 제조된 오일 중합체를 희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는 헥산과 아세톤이 40 ∼ 60 : 40 ∼ 60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조된 거대고분자는 헥산-아세톤 혼합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좋아서 도료조성물로 유용하다.
또한,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천연 오일도료에는 오일중합체를 희석시키는 용매이외에도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유색 안료, 방부제, 방청제, 건조촉진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적당히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의 선택 및 함량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들깨 오일의 추출
들깨를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통알의 껍질을 깬 후 분쇄하여 들깨 분쇄물을 얻었다. 들깨 분쇄물 20 g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용매 100 mL를 넣고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을 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에는 셀라이트(Celite)와 함께 여과하고 감압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연노란색의 들깨 오일을 얻었다.
1H NMR (400 MHz, CDCl3) δ 0.86-0.89 (m, 4H, CH3), 0.96 (t, 5H, J = 7.6Hz, CH3), 1.24-1.29 (m, 38H, CH2), 1.58-1.60 (m, 6H, CH2), 1.97-2.10 (m, 12H, CH2), 2.28-2.32 (m, 6H, CH2), 2.79-2.81 (m and t, 8H, J = 5.6 Hz, CH2), 4.13 (dd, 2H, J = 6.0, 12.0 Hz, CH2), 4.28 (dd, 2H, J = 4.4, 12.0 Hz, CH2), 5.23-5.26 (m, 1H, CH), 5.27-5.41 (m, 14H, CH=CH).
13C NMR (75 MHz, CDCl3) δ 14.05, 14.11, 14.27, 20.55, 22.57, 22.69, 24.83, 24.87, 25.53, 25.62, 27.20, 29.04, 29.08, 29.11, 29.17, 29.19, 29.27, 29.32, 29.35, 29.48, 29.53, 29.59, 29.66, 29.70, 29.77, 31.53, 31.91, 31.93, 34.02, 34.18, 62.10, 68.89, 127.11, 127.75, 127.76, 127.90, 128.07, 128.23, 128.29, 130.00, 130.19, 130.22, 131.94, 172.81, 173.22, 173.22.
FT-IR 722, 1100, 1163, 1238, 1377, 1463, 1745(strong), 2855(strong), 3011, 2464 cm-1.
추출하여 얻어진 들깨 오일의 구조 분석한 결과,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프로톤(H) 수는 올레산 33개, 리놀레산 31개, 리놀렌산 29개, 트리글리세롤 5개로서 전체 98개 이었고, 이러한 결과는 1H NMR 스펙트럼의 적분값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용매량과 추출 조건에 따라 0.96 ppm에 근처에 나타나는 오메가-3 함량이 약간 차이는 있었지만, 평균 적분값이 46%임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2에는 추출용매에 변화시키면서 추출하여 수득된 들깨 오일의 수율과 물성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추출용매 들깨 오일
색상 수율(%) 건조감소율*(%) 비중
(g/mL)
점도
(mPas)
제조예 1-1 노말-헥산 황금색 51 0.3 0.93 44
제조예 1-2 디클로로메탄 황금색 59 1.9 0.92 42
제조예 1-3 아세톤 황금색 58 2.4 0.95 38
제조예 1-4 디에틸에테르 황금색 53 4.6 0.93 43
건조감소율(%): 초기 오일 무게를 대비하여, 105℃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에 감량된 오일 무게의 비율
상기 표 2에 의하면 용매 추출하여 얻어진 들깨 오일은 비중이 0.92∼0.95 이고, 점도는 38∼44 mPa·s 이었고, 수분함유량은 0.3∼4.6 중량% 이었다. 또한, 노말-헥산으로 추출된 들깨 오일은 수분함유량이 0.3 중량%로 매우 적어서 중합반응에 원료로 사용되어서는 물에 의한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제조예 2. Co/감마-알루미나 담지 촉매의 제조
증류수 20 g에 감마-알루미나(γ-Al2O3) 펠릿(Aldrich사 pellets 3 mm) 10 g(98 mmol)과 코발트 나이트레이트 (Co(NO3)2· 6H2O) 1 g (3.4 mmol)를 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70℃ 수욕조에서 30 rpm 속도로 교반하면서 감압증발하여 물을 제거하였다. 반응물을 400℃ 오븐에 넣고 6시간 동안 소성하여 감마-알루미나 담지체 중에 코발트 산화물이 3.3 중량% 담지된 Co/감마-알루미나 담지 촉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오일도료의 제조
캐로셀 반응기에 상기 제조예 1-1에 따라 노말-헥산으로 추출된 들깨 오일 10 g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 0.05 g를 넣고, 산소기체를 불어 넣어 주면서 80℃까지 승온하였다. 80℃에서 1.5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중합반응시켜 오일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오일도료의 점도 및 성상을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및 비교예 1. 오일도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들깨 오일의 중합반응을 진행하되, 하기 표 2에 나타낸 반응온도와 반응 시간을 유지하였다. 제조된 오일도료의 점도 및 성상을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명유 1의 제조
둥근 플라스크에 제조예 1에서 얻은 들깨 오일 10 g, 백반(Aluminum potassium sulfate 12H2O) 50 mg과 산화망간(MnO2, 333 mg)을 차례로 가하고, 11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노말 헥산 70 mL를 가하여 묽게 용해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증발로 용매를 제거하여 흑갈색 명유 1(9.18 g)를 얻었다. 제조된 명유 1의 점도 및 성상을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명유 2의 제조
둥근 플라스크에 제조예 1에서 얻은 들깨 오일 10 g, 백반(Aluminum potassium sulfate 12H2O) 50 mg, 산화납(PbO) 50 mg, 산화망간(MnO2, 50 mg)을 차례로 가하고, 11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노말 헥산 70 mL를 가하여 묽게 용해한 다음,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및 여과하고, 감압증발로 용매를 제거하여 흑갈색 명유 2(9.28 g)를 얻었다. 제조된 명유 2의 점도 및 성상을 확인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중합조건 오일도료
촉매 중합온도
(℃)
중합시간
(h)
점도*
(mPa·s)
성상
실시예 1 Co/Al2O3 80 1.5 966 맑은 금색 유액
실시예 2 Co/Al2O3 80 3 1252 맑은 금색 유액
실시예 3 Co/Al2O3 100 3 거대고분자 맑은 금색 유액
비교예 1 Co(NO3)2 100 3 1034 검초록 부유물
비교예 2 MnO2 100 3 865 검정 부유물
비교예 3 MnO2/PbO 100 3 거대고분자 검정 부유물
*점도: 브룩필드 점도계(Brooksfield Viscometer)로 측정함
상기 표 3에 의하면, Co/감마-알루미나 담지 촉매 하에서 들깨 오일을 중합반응하여 제조된 오일 중합체는 맑은 금색 유액으로 제조되었으며, 중합온도와 시간이 길어질수록 중합체의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오일 중합체는 점도 측정이 불가할 정도로 점도가 상승되었으며, 코팅제로 사용할 때는 아세톤과 헥산이 동량 부피로 혼합된 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코발트 담지촉매가 아닌 코발트 나이트레이트 (Co(NO3)2· 6H2O)의 균일 촉매를 사용한 예로서, 제조된 오일 중합체는 유액 중에 검초록 부유물이 잔류하고 있으므로 코팅제로 사용되어서는 균일한 색상 재현이 불가하였다.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전통적으로 사용된 명유를 재현한 것으로, 비교예 2는 점도가 낮아서 코팅제로 직접 사용하기엔 부적합하였고, 비교예 3은 PbO가 첨가됨으로써 점도는 향상되었지만 검초록 부유물이 잔류하고 있으므로 코팅제로 사용되어서는 균일한 색상 재현이 불가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상기 제조예 1-1에서 제조된 들깨 오일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오일 중합체에 대하여 FT-IR 분광 분석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의하면 오일 중합체는 3011 ㎝-1 위치에서 나타내는 =CH 결합에 의한 특성피크 강도가 현격히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로써 탄소-탄소 이중결합에 의한 중합반응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예. 중합도 비교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조건에서 들깨 오일의 중합반응을 진행하였을 때, 중합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소핵자기공명(H NM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성 프로톤의 적분값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즉,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들깨 오일의 분자구조에서 C=C 이중결합탄소에 결합된 프로톤(d)의 적분값을 계산하여 중합도를 판단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구 분 중합조건 적분값*
촉매 중합온도
(℃)
중합시간
(h)
a b c d
제조예 1 - - - 1 1 3.03 7.23
실시예 1 Co/Al2O3 80 1.5 1 1 1.79 2.94
실시예 2 Co/Al2O3 80 3 1 1 1.78 2.75
실시예 3 Co/Al2O3 100 3 1 1 - 1.44
비교예 1 Co(NO3)2 100 3 1 1 1.65 3.13
* 적분값: 프로톤 a 또는 b의 적분값을 기준으로 산출함.
상기 표 4에 의하면, 원료물질로 사용된 들깨 오일(제조예 1)은 이중결합탄소에 결합된 프로톤(d)의 적분값이 7.23 이었으며, 들깨 오일이 중합반응되면서 이중결합탄소에 결합된 프로톤(d)의 적분값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코발트 나이트레이트 (Co(NO3)2· 6H2O)의 균일 촉매하에서 중합반응(비교예 1)에 대비하여, Co/감마-알루미나 담지 촉매하에서 중합반응(실시예 1∼3)을 실시하였을 때 이중결합탄소에 결합된 프로톤(d)의 적분값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Co/감마-알루미나 담지 촉매는 코발트 나이트레이트의 균일 촉매에 대비하여 오일의 중합반응에서 보다 촉매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에 의하면 Co/감마-알루미나 담지 촉매 하에서 들깨 오일의 중합반응을 실시하였을 때 반응온도 또는 반응시간이 증가하면서 중합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도막의 물성 비교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오일도료를 목재 표면에 0.07 ∼ 0.7 mm 두께로 코팅하여 경화도막을 형성하였다. 단, 실시예 3의 거대고분자가 포함된 오일도료는 헥산:아세톤 (1:1 부피비) 혼합용매에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의 거대고분자가 포함된 오일도료는 에탄올:헥산:아세톤 (1:1:1 부피비)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형성된 도막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도막색상 경화시간
(시간)
잔주름
형성
백탁현상
실시예 1 맑은금색 10 매끈함 없음
실시예 2 맑은금색 8 매끈함 없음
실시예 3 맑은금색 6 매끈함 없음
비교예 1 검초록 반점 16 주름형성됨 없음
비교예 2 검초록 반점 24 주름형성됨 있음
비교예 3 검초록 반점 60 주름형성됨 있음
상기 표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도료 도막은 경화시간이 짧고, 백탁현상 없이 매끈한 도막이 형성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3의 오일도료 도막은 경화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었고 특히 도막에 주름형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Claims (6)

  1.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의 존재 및 산소기체 분위기 하에서, 건성유(drying oil)를 중합하여 제조된 오일 중합체가 포함된 천연 오일도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o/감마-알루미나 담지촉매는 감마-알루미나 담체 중량대비 코발트 산화물이 0.5 ∼ 5 중량% 담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성유는 요오드가가 130 이상인 동식물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성유는 아마씨(Linseed), 오동나무씨(Tung-oil), 호두(Walnut) 또는 들깨(Perilla)를 용매 추출하여 얻은 식물성 오일이며,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함량이 45 ∼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은 80 ∼ 120℃ 온도에서 1 ∼ 3시간동안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6.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중합체를 희석시키는 용매, 유색안료, 방부제, 방청제, 건조촉진제 및 레베링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오일도료.
KR1020150154997A 2015-11-05 2015-11-05 천연 오일도료 KR10184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97A KR101843410B1 (ko) 2015-11-05 2015-11-05 천연 오일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997A KR101843410B1 (ko) 2015-11-05 2015-11-05 천연 오일도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904A true KR20170052904A (ko) 2017-05-15
KR101843410B1 KR101843410B1 (ko) 2018-03-29

Family

ID=5873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997A KR101843410B1 (ko) 2015-11-05 2015-11-05 천연 오일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568B1 (ko) 2017-11-10 2018-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촉매 조건의 알키드 수지 점도 조절 방법
WO2018199425A1 (ko) 2017-04-25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405B2 (ja) 1999-12-01 2010-06-16 太田油脂株式会社 油性塗料組成物
KR20120073197A (ko) * 2009-07-16 2012-07-04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시네올
KR101223330B1 (ko) * 2012-06-21 2013-01-16 주식회사 혜성지테크 천연 식물성 수지 성분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425A1 (ko) 2017-04-25 2018-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KR101895568B1 (ko) 2017-11-10 2018-10-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촉매 조건의 알키드 수지 점도 조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410B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14532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03421170B (zh) 环氧树脂-丙烯酸树脂改性水分散醇酸树脂及其制备和应用
US8283483B2 (en) Triglyceride macromonomers
EP2181162A1 (de) Strahlenhärtbare formulierungen
DE2533846B2 (de) An der Luft härtbare Masse
CA2859305A1 (en) Drier for auto-oxidisable coating compositions
HUE027054T2 (en) Dryer for self-oxidizing coating compositions
KR101843410B1 (ko) 천연 오일도료
TW201431988A (zh) 用於可自氧化之塗料組合物之乾燥劑
WO2009146995A1 (de) Monomermischungen, polymere sowi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ES2821835T3 (es) Polímeros uretanizados a base de cobalto y manganeso para el secado al aire de revestimientos, pinturas y tintas a base de polímeros
DE3442200A1 (de) Lufttrocknendes lackbindemittel auf polybutadienbasis
DE3215932A1 (de) Reaktivverduenner fuer oxidativ vernetzbare alkydharze
KR101895568B1 (ko) 무촉매 조건의 알키드 수지 점도 조절 방법
DE2258406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auren Harzen
Bentley The Use of Oils and Fatty Acids in Paints and Surface Coatings
Alam et al. Vegetable-oil-based hyperbranched polyester-styrene copolymer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 as antimicrobial and corrosion-resistant coating materials
EP0106047B1 (de) Olefinisch ungesättigte Siloxa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Reaktivverdünner für radikalisch vernetzbare Lacksysteme
EP2760899B1 (en) Coating composition and use thereof
DE916906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rzartigen Terpolymeren
DE154507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isaten
DE1520251C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uor haltigen, harzartigen, in Kohlenwasserstof fen loslichen Polyestern, Polyepoxyden oder Polyurethanen
AT247614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uorhaltigen Harzes
Siti Nur Amalina Palm oil based alkyd/polyaniline as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with UV curing ability/Siti Nur Amalina Ramlan
AT330318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loslicher warmehartbarer bindemittel fur uberzugs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