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061A -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061A
KR20170052061A KR1020150154006A KR20150154006A KR20170052061A KR 20170052061 A KR20170052061 A KR 20170052061A KR 1020150154006 A KR1020150154006 A KR 1020150154006A KR 20150154006 A KR20150154006 A KR 20150154006A KR 20170052061 A KR20170052061 A KR 2017005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ouch
electrode assembly
height
step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262B1 (ko
Inventor
최미금
최항준
문정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54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26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5/747,654 priority patent/US10454130B2/en
Priority to EP16862453.4A priority patent/EP3321991B1/en
Priority to PCT/KR2016/012609 priority patent/WO2017078437A1/ko
Priority to JP2018513883A priority patent/JP6563589B2/ja
Priority to PL16862453T priority patent/PL3321991T3/pl
Priority to CN201680044326.1A priority patent/CN107851741B/zh
Publication of KR2017005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262B1/ko
Priority to US16/555,385 priority patent/US11217815B2/en
Priority to US17/559,528 priority patent/US1151556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026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021
    • H01M2/021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컵이 하나의 파우치 필름에 일체로 형성된 파우치 외장재에 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부 파우치의 연결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전지의 전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A pouch case for 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컵이 하나의 파우치 필름에 일체로 형성된 파우치 외장재에 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이차 전지는 외장이나 적용 형태에 따라 캔형 이차 전지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는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1a)는, 전극 단자(21)가 구비된 전극 조립체(20)와 상기 전극 조립체(20)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 부재(10a) 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둘레에 실링부(40)가 구비되어 있어 전지의 전체 길이(la, 전장, 全長)는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길이와 전극 조립체 수용부 양단에 구비된 두 곳의 실링부(40)의 폭에 의해 정하여진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파우치 부재(11a)와 하부 `파우치 부재(12a)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4변 모두에 실링부가 형성되므로 실링부의 폭만큼 전장이 증가된다.
도 2a는 또 다른 타입의 종래 파우치형 이차 전지(2b)의 분해 사시도로, 하나의 파우치 필름에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측 파우치 부재에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우치 필름의 소정 부분을 절곡하여 타측 파우치 부재로 상기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개방부를 덮은 후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를 실링한다. 이 경우에는 상부 파우치와 하부 파우치가 연결된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세 측면부에 실링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차 전지(1b)는 이차 전지(1a)에 비해 하나의 실링부 폭만큼 전장(la)이 줄어든다. 그러나, 실링부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부의 경우에도 실링 후 일정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문제가 있다. 도 2b는 이차 전지(1b) 타입의 실제 제조예를 도시한 사진으로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가 연결되는 절곡 부분이 돌출되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이차 전지(1b) 형태로 파우치 외장재를 형성하여도 이차 전지(1a)에 비해 전장 감소의 효과는 크지 않다. 이는 파우치 외장재에 전해액 주액 후 실링시 전지 내부에 공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하여지는 진공에 의해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의 연결부 주변이 서로 맞닿아 발생하는 현상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의 연결 부분이 실링후에도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파우치 외장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파우치 외장재에 있어서, 파우치 외장재의 실링 후 상/하부 파우치의 연결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파우치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되는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파우치 외장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제1 컵과 제2 컵이 내부(內附)가 대면하도록 포개어져 전극 조립체를 내장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컵과 제2 컵이 소정의 폭(W)을 갖는 컵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컵들 및 컵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실링부가 구비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컵들은 각각 상기 컵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컵의 제1 측면부의 높이(Ha1), 제2 컵의 제1 측면부의 높이(Ha2) 및 상기 폭(W)의 합이 제 1컵의 제2 측면부의 높이(Hb1) 및 제2 컵의 제2 측면부의 높이(Hb2)의 합과 동일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에서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의 전극 단자가 제1 컵과 제2 컵의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된 실링부 사이로 인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기 제1 또는 제2 측면에 있어서, 상기 컵들에서 각각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3 측면부를 통해 연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에서 제1 측면부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가 제2 측면부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상기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와 실링부 사이에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제3 측면부와 한 변을 공유하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한 변에서 연장되는 단차 보상부의 한 변의 길이가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높이 차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높이 차이보다 긴 것이다.
본 발명의 제7 측면은,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일 내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8 측면은,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부가 파우치 외장재 조립시 제3 측면부상의 평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9 측면은, 제5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컵의 제1 단차 보상부, 제2 컵의 단차 보상부, 실링부 및 컵 연결부가 장방형의 절곡부와 각각 한 변을 공유하고 상기 절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측면은 제1 내지 제9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가 전극 조립체 내장시 파우치 외장재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상부 파우치 부재와 하부 파우치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부 파우치의 연결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전지의 전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수록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축척 또는 비율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될 수 있다.
도 1 종래의 파우치 외장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파우치 외장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에 전극 조립체가 수납되는 구체적인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에 전극 조립체를 수납한 후 밀봉한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파우치 외장재에 있어서, 파우치 외장재 조립시 절곡부와 절곡부에 연결된 실링부가 절곡되는 방식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은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에 대한 것이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하나의 파우치 필름에 제1 컵과 제2 컵이 형성되고 상기 컵들이 소정의 폭을 갖는 컵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컵과 제2 컵은 내부가 대면하도록 포개어져 전극 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컵, 제2 컵 및 컵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실링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 외장재(100)는 하나의 파우치 필름에 제1 컵(110) 및 제2 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컵과 제2 컵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컵 연결부(13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컵(110)과 제2 컵(120)은 상기 컵 연결부(130)의 폭(W) 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100)는 상기 컵들(110, 120)과 컵 연결부(130)의 연결 부분에 위치하는 가상의 절곡선(x, y)을 따라 절곡되어 제1 컵과 제2 컵이 마주 포개어져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주면은 소정의 폭을 갖는 실링부(140) 형성되어 있어 제1 컵과 제2 컵을 포개어 제1 컵과 제2 컵의 실링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한 후 실링부를 가열하여 파우치 외장재를 밀봉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 지시선의 끝단이 물결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지시선이 가리키는 부분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컵 및 제2 컵의 저면은 파우치 외장재 밀봉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 전지에서 각각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에서 제2 측면은 실링부로 연결되어 이차 전지의 상측면을 형성하고, 제3 측면은 실링부로 연결되어 이차 전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형성하고, 제1 측면은 컵 연결부와 함께 하측면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 절대적인 위치를 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상기 파우치 외장재(100)에 전극 조립체(200)이 수용되는 형상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파우치 외장재(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네 개의 측면 중 세 개의 측면(상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만 개방되고 나머지 측면(하측면)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개방되지 않으므로 전극 조립체의 전극 단자는 상기 개방되는 3개의 측면으로 인출되도록 준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 조립체(200)는 전극 단자가 상측면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컵(110) 및 제2 컵(120)은 상기 컵 연결부로(130)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부(111, 112) 및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112, 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컵의 제1 측면부(111)의 높이(Ha1), 제2 컵의 제1 측면부(121)의 높이(Ha2) 및 상기 폭(W)의 합은 제 1컵의 제2 측면부(112)의 높이(Hb1) 및 제2 컵의 제2 측면부(122)의 높이(Hb2)의 합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컵들에서 각각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3 측면부(131, 132)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100)를 실링하여 밀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 외장재에서 제1 컵의 높이와 제2 컵의 높이는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며 일반적으로 제1 컵의 높이는 전극 조립체의 높이에서 제2 컵의 높이를 뺀 나머지로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적절한 여유공간을 설정하여 이의 높이를 더하여 정할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전지의 두께의 1/2 두께를 각 컵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컵의 높이를 컵의 전 측면, 예를 들어 4곳의 측면에 모두 적용하는 경우 컵과 컵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컵의 측면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설정하지 않고 컵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부(제1 측면부)의 높이를 이와 대향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측면부(제2 측면부)의 위치보다 낮게 설정하였으며, 상기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의 높이차이를 컵 연결부로 보상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우치 외장재(100) 밀봉 후 컵 연결부(130)는 제1 컵의 제1 측면부 및 제2 컵의 제1 측면부와 함께 이차 전지의 하측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밀봉 시 진공을 가하더라도 이차 전지의 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는 제3 측면부를 통해 연결되며, 따라서 제3 측면부에서 제1 측면부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는 제2 측면부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보다 짧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 외장재(100)는 상기 제3 측면부와 실링부 사이에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150)가 구비되며,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제3 측면부와 한 변을 공유하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100)에 있어서, 제3 측면부(131, 132)는 이차 전지의 일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3 측면부(131, 132)에서 제1 측면부(111, 121)와 공유되는 변(제1 변)의 길이와 제2 측면부(112, 122)와 공유하는 변(제2 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므로 이러한 길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보상면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변과 제2 변의 길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단차 보상부(15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부에서 상기 제1 측면부의 한 변에서 연장되는 단차 보상부(150)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높이 차이와 동일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높이 차이 보다 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파우치 외장재 밀봉 후 상기 단차 보상부가 제3 측면부의 평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 외장재(100)는 상기 제1 컵의 제1 단차 보상부, 제2 컵의 단차 보상부, 실링부 및 컵 연결부가 장방형의 절곡부와 각각 한 변을 공유하고 상기 절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하나의 연성을 갖는 파우치 필름에 소정 부분을 함몰시켜 제1 컵, 제2 컵 및 컵 연결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함몰되지 않은 부분 중 상기 파우치 필름의 외주 부분은 파우치 외장재의 밀봉을 위한 실링부로, 그리고, 실링부와 제3 측면부의 사이에는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를 형성한다. 이렇게 모든 구성 부분이 한 장의 파우치 필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제1 컵의 제1 단차 보상부, 제2 컵의 단차 보상부, 실링부 및 컵 연결부의 사이에 이차 전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지 않는 절곡부(160)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절곡부는 파우치 외장재(100)를 절곡하여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고 외주면을 실링하여 밀봉할 때 적절하게 절곡시켜 이차 전지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60)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컵의 제1 단차 보상부, 제2 컵의 단차 보상부, 실링부 및 컵 연결부 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여 이들간의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별도의 실링부를 마련하여 하므로 상기와 같이 절곡하여 내부로 인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절곡부(160)을 절곡하여 이차 전지의 내측(內側)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실링부(40) 접착은, 열융착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절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절연층은, 이차 전지와 외부와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 또는 나일론(nylon) 수지 등의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절연층은 금속층을 보호하고 외부에서의 압력 또는 힘에 대하여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포장재의 내후성, 내화학성, 성형성을 등을 감안하여 2축 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층 및/또는 연신 폴리아미드계 수지층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절연층은 5㎛ 내지 50㎛이 바람직하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정도이다. 두께가 너무 얇으면 그 층 자체에 핀홀이 발생할 가능성 및 외력에 대한 보호 효과가 감소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공중합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등이 있고, 상기 이축 연신된 폴리아마이드 필름 수지로서 나일론(nylon) 6, 나일론 6.6, 나일론 6과 나일론 6.6과의 공중합체, 나일론 6.10 및 폴리메타키실릴렌 아미파미드(MXD 6)등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성분으로 단일 또는 복합층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열성, 내후성, 내화학성이 개선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있다면, 그것을 적용하여 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절연층은 드라이 라미네이션, 압출 라미네이션 등의 방법으로 금속층과 접착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절연층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asted polypropylene: CPP)과 같은 변성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과 부틸렌과 에틸렌 삼원 공중합체 등의 열융착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열융착성 고분자 수지는 상부 및 하부 파우치의 접착을 위한 실란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내부 절연층은 상기 금속층의 타측면에 적절한 두께로 코팅 또는 라미네이팅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또는 30㎛ 내지 4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내부 절연층의 두께에 대한 수치 범위는 후술하는 전극 리드 인출 영역(EL)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금속 박막인 것으로서, 구리(Cu), 알루미늄(Al), 니켈(Ni), 철(Fe), 탄소(C), 크롬(Cr), 망간(Mn) 및 이 중 둘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200)는 하나의 양극판 및 하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권취된 구조를 갖거나, 다수의 양극판 및 다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양극판과 음극판은 각각 전극 집전체에 활물질 슬러리가 도포된 구조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슬러리는 통상적으로 입상의 활물질, 보조도체, 바인더 및 가소제 등이 용매가 첨가된 상태에서 교반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극 조립체(200)에는, 전극판에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지부에는 각각의 전극판에 대응되는 전극 탭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전극 조립체의 양극판에는 양극 탭이 부착되고, 전극 조립체의 음극판에는 음극 탭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탭 및 음극 탭은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단자(210)를 형성하며, 상기 전극 단자(210)가 파우치 외장재(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현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파우치 외장재 10a, 10b, 100
전극 조립체 20, 200
전극 단자 21, 210
제1 컵 11a, 11b, 110
제2 컵 12a, 12b, 120
컵 연결부 130
실링부 40 140
제1 측면부 111, 121
제2 측면부 112, 122
제3 측면부 113, 123
단차 보상부 150
절곡부 160
전장 l

Claims (10)

  1. 제1 컵과 제2 컵이 내부(內附)가 대면하도록 포개어져 전극 조립체를 내장할 수 있는 전극 조립체 수용부를 형성하는 파우치 외장재이며,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제1 컵과 제2 컵이 소정의 폭(W)을 갖는 컵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컵들 및 컵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실링부가 구비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컵들은 각각 상기 컵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면부, 상기 제1 측면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컵의 제1 측면부의 높이(Ha1), 제2 컵의 제1 측면부의 높이(Ha2) 및 상기 폭(W)의 합이 제 1컵의 제2 측면부의 높이(Hb1) 및 제2 컵의 제2 측면부의 높이(Hb2)의 합과 동일한 것인, 파우치 외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의 전극 단자가 제1 컵과 제2 컵의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된 실링부 사이로 인출되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들에서 각각 제1 측면부와 제2 측면부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3 측면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에서 제1 측면부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는 제2 측면부와 연결되는 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인, 파우치 외장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와 실링부 사이에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는 단차 보상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제3 측면부와 한 변을 공유하는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한 변에서 연장되는 단차 보상부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 높이 차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높이 차이보다 긴 것인, 파우치 외장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부와 상기 단차 보상부는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전극 조립체 수용부의 일 내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보상부는 파우치 외장재 조립시 제3 측면부상의 평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컵의 제1 단차 보상부, 제2 컵의 단차 보상부, 실링부 및 컵 연결부는 장방형의 절곡부와 각각 한 변을 공유하고 상기 절곡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전극 조립체 내장시 파우치 외장재 내측으로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인, 파우치 외장재.
KR1020150154006A 2015-11-03 2015-11-03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KR10192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06A KR101927262B1 (ko) 2015-11-03 2015-11-03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EP16862453.4A EP3321991B1 (en) 2015-11-03 2016-11-03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CT/KR2016/012609 WO2017078437A1 (ko) 2015-11-03 2016-11-03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JP2018513883A JP6563589B2 (ja) 2015-11-03 2016-11-03 二次電池用パウチ外装材
US15/747,654 US10454130B2 (en) 2015-11-03 2016-11-03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L16862453T PL3321991T3 (pl) 2015-11-03 2016-11-03 Materiał obudowy typu saszetkowego do baterii akumulatorowej
CN201680044326.1A CN107851741B (zh) 2015-11-03 2016-11-03 用于二次电池的袋外壳材料
US16/555,385 US11217815B2 (en) 2015-11-03 2019-08-29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US17/559,528 US11515562B2 (en) 2015-11-03 2021-12-22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06A KR101927262B1 (ko) 2015-11-03 2015-11-03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061A true KR20170052061A (ko) 2017-05-12
KR101927262B1 KR101927262B1 (ko) 2018-12-10

Family

ID=5866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006A KR101927262B1 (ko) 2015-11-03 2015-11-03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454130B2 (ko)
EP (1) EP3321991B1 (ko)
JP (1) JP6563589B2 (ko)
KR (1) KR101927262B1 (ko)
CN (1) CN107851741B (ko)
PL (1) PL3321991T3 (ko)
WO (1) WO2017078437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37A1 (ko) * 2017-07-20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0434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WO2019172575A1 (ko) * 2018-03-06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제조장치 및 방법, 이차전지 제조방법
WO2019172524A1 (ko) *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파우치
WO2020242034A1 (ko) * 2019-05-31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US10971705B2 (en) 2018-01-24 2021-04-06 Lg Chem, Lt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die for forming the same
US11024912B2 (en) 2017-08-29 2021-06-01 Lg Chem, Ltd. Method of sealing side portion of pouch-shaped battery including two-step sealing process
US11196117B2 (en) 2017-12-21 2021-12-07 Lg Chem, Ltd. Apparatus for sealing pouch case
WO2021246651A1 (ko) *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포밍장치 및 포밍방법
WO2022075749A1 (ko) * 2020-10-06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케이스 성형 장치, 성형 방법 및 전지 케이스
WO2022149832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KR20230013599A (ko) 2021-07-19 2023-01-2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5914A (ko) 2021-09-29 2023-04-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US11811076B2 (en) * 2017-08-29 2023-11-07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essing block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11961981B2 (en) 2018-06-22 2024-04-16 Sk On Co., Ltd.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US12009529B2 (en) 2021-01-07 2024-06-11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013A (ko) 2015-06-29 2017-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EP4220796A3 (en) * 2017-08-29 2024-04-24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essing block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2164254B1 (ko) * 2017-11-15 2020-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이차 전지용 파우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7035174B2 (ja) * 2018-03-21 2022-03-14 寧徳新能源科技有限公司 バッテリーセルパッケージ構造
KR102576860B1 (ko) * 2018-03-30 2023-09-1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US10992005B2 (en) * 2018-12-06 2021-04-27 Robert Bosch Battery Systems Llc Deep pouch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462791B2 (en) * 2018-12-31 2022-10-04 Chongqing Jinkang Powertrain New Energy Co., Ltd.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structure
KR102503738B1 (ko) * 2019-03-04 2023-02-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KR20200114784A (ko) * 2019-03-29 2020-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KR102516221B1 (ko) * 2019-06-07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0265703B (zh) * 2019-06-21 2020-11-17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的二封工艺
KR20210006712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및 전지 모듈
KR20210037460A (ko) 2019-09-27 2021-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56020B1 (ko) * 2019-09-30 2022-01-27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외장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64670A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형 케이스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케이스의 제조방법
JP7455563B2 (ja) * 2019-12-03 2024-03-26 株式会社Aescジャパン 電池、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CN114424387A (zh) * 2019-12-17 2022-04-29 株式会社Lg新能源 二次电池的壳体和二次电池
KR102578784B1 (ko) * 2019-12-17 2023-09-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KR20210154612A (ko) *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KR20220008671A (ko) * 2020-07-14 2022-01-21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 외장재,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차전지 모듈과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220098990A (ko) * 2021-01-05 2022-07-1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이에 따른 이차전지
JP2022131626A (ja) * 2021-02-26 2022-09-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ウチセル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593B2 (ja) * 1999-10-15 2006-09-27 Tdk株式会社 包装体の製造方法
JP4140311B2 (ja) * 2002-08-05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TWI300637B (en) * 2002-09-27 2008-09-01 Sony Corp Battery pack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BRPI0418424B8 (pt) * 2004-01-30 2023-01-17 Lg Chemical Ltd Bateria possuindo estrutura de pacote específico
KR100933426B1 (ko) * 2005-07-21 2009-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변성 전지 카트리지 및 그것으로 구성된 중대형 전지모듈
JP4819512B2 (ja) 2006-01-24 2011-11-24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電池
KR100895202B1 (ko) * 2006-04-17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
KR100869377B1 (ko) 2006-05-08 2008-11-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병렬 연결 구조의 중첩식 이차전지
KR100917736B1 (ko) * 2007-09-14 2009-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전지
US20100297494A1 (en) * 2009-05-21 2010-11-25 Chin-Ming Chen Battery module
KR101252981B1 (ko) 2010-08-05 2013-04-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중대형 전지팩
KR101199125B1 (ko) * 2010-09-02 2012-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벤딩영역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253671B1 (ko) * 2010-11-12 2013-04-11 주식회사 이아이지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8986872B2 (en) * 2012-02-15 2015-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design
US9017852B2 (en) * 2012-03-02 2015-04-2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20130105271A (ko) *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대칭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133585A (ko) 2012-05-29 2013-1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484369B1 (ko) * 2012-07-19 2015-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016753B1 (ko) 2013-02-05 201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784739B1 (ko) * 2013-12-10 2017-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887B1 (ko) * 2013-12-16 2020-09-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가요성 이차 전지
KR102280687B1 (ko) * 2014-09-25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CN115425338B (zh) * 2016-12-20 2024-05-24 Sk新能源株式会社 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434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1239515B2 (en) 2017-07-20 2022-02-01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017637A1 (ko) * 2017-07-20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1811076B2 (en) * 2017-08-29 2023-11-07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essing block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11024912B2 (en) 2017-08-29 2021-06-01 Lg Chem, Ltd. Method of sealing side portion of pouch-shaped battery including two-step sealing process
US11196117B2 (en) 2017-12-21 2021-12-07 Lg Chem, Ltd. Apparatus for sealing pouch case
US10971705B2 (en) 2018-01-24 2021-04-06 Lg Chem, Lt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die for forming the same
CN114883706B (zh) * 2018-03-06 2024-04-30 株式会社Lg新能源 制造袋的设备和方法以及制造二次电池的方法
KR2019010576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제조장치 및 방법, 이차전지 제조방법
US11673311B2 (en) 2018-03-06 2023-06-13 Lg Energy Solution,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uch
CN114883706A (zh) * 2018-03-06 2022-08-09 株式会社Lg化学 制造袋的设备和方法以及制造二次电池的方法
WO2019172575A1 (ko) * 2018-03-06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제조장치 및 방법,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90106473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파우치
WO2019172524A1 (ko) * 2018-03-09 2019-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전지용 파우치
US11283139B2 (en) 2018-03-09 2022-03-22 Lg Energy Solution,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US11799122B2 (en) 2018-03-09 2023-10-24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ridge and accommodation grooves
US11961981B2 (en) 2018-06-22 2024-04-16 Sk On Co., Ltd. Pouch cas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200137827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WO2020242034A1 (ko) * 2019-05-31 2020-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CN113711426A (zh) * 2019-05-31 2021-11-26 株式会社Lg新能源 二次电池的电池壳体和袋型二次电池
WO2021246651A1 (ko) *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파우치 포밍장치 및 포밍방법
WO2022075749A1 (ko) * 2020-10-06 2022-04-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케이스 성형 장치, 성형 방법 및 전지 케이스
WO2022149832A1 (ko) * 2021-01-07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US12009529B2 (en) 2021-01-07 2024-06-11 Lg Energy Solution, Ltd. Secondary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KR20230013599A (ko) 2021-07-19 2023-01-2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5914A (ko) 2021-09-29 2023-04-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51741B (zh) 2020-07-17
US11217815B2 (en) 2022-01-04
PL3321991T3 (pl) 2019-06-28
US20220115687A1 (en) 2022-04-14
JP2018527719A (ja) 2018-09-20
JP6563589B2 (ja) 2019-08-21
EP3321991B1 (en) 2019-01-02
US20190386330A1 (en) 2019-12-19
WO2017078437A1 (ko) 2017-05-11
EP3321991A4 (en) 2018-06-06
US20180219245A1 (en) 2018-08-02
US10454130B2 (en) 2019-10-22
EP3321991A1 (en) 2018-05-16
KR101927262B1 (ko) 2018-12-10
CN107851741A (zh) 2018-03-27
US11515562B2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62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JP4235538B2 (ja) 二次電池ユニット
JP5059731B2 (ja) バッテリパック
KR102303828B1 (ko)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조립체들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US8709622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US8852791B2 (en) Pouch type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leeve and method of fabricating
KR100778982B1 (ko)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파우치 이차 전지
US8936860B2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JP6131501B2 (ja) 段差構造を含む電池セル
US10355262B2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JP6743664B2 (ja)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KR101229228B1 (ko) 수분 차단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10236487B2 (en) Battery module
US11245147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unsealed portion
KR101776897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1780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845021B (zh) 二次电池
KR102006203B1 (ko) 절연성이 개선된 파우치 외장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
US20220407153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20230083775A1 (en) Battery cell having protective member
KR100670427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20220168963A (ko)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20170069902A1 (en) Secondary battery
JP2013152935A (ja) 大容量電池パック
US20150072173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