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434A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0434A KR20190010434A KR1020180075766A KR20180075766A KR20190010434A KR 20190010434 A KR20190010434 A KR 20190010434A KR 1020180075766 A KR1020180075766 A KR 1020180075766A KR 20180075766 A KR20180075766 A KR 20180075766A KR 20190010434 A KR20190010434 A KR 201900104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assembly
- pouch
- secondary battery
- type secondary
- exterio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WABPQHHGFIMREM-AKLPVKDBSA-N lead-210 Chemical compound [210Pb] WABPQHHGFIMREM-AKLPVKDB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117 Abnormal behavi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1232 Protuberant ea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3 an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 H01M2/0275—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 H01M2/028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29C66/1312—Single flange to flange joints,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9—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said hollow-preforms being interconnected during their moulding process, e.g. by a hin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전극조립체를 수납부에 정위치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대기에 접하는 실링부를 최소화하여 전지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체형이면서, 조립 과정 중 파우치 외장재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이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포밍 형상을 개선한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와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등 모바일 기기들의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사용은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이점으로 인해 급속도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로, 탄소재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해질의 형태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및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되기도 하며, 전지의 외형에 따라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다.
그 중에서도 형태 및 크기에 제약이 없고, 열융착을 통한 조립이 쉬우며, 이상 거동 발생시 기체나 액체를 내보내는 효과가 용이하여 경량의 얇은 두께의 셀 제작에 특히 적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파우치 외장재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에 전극조립체의 장착을 위한 수납부를 포밍하고, 상기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에서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또는 연장되어 있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열융착하는 것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는 대략 113 ㎛ 두께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다이와 펀치를 사용하여 딥-드로잉 공정에 유사한 방식으로 부분 압축함으로써 수납부를 포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얇은 두께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는 그것을 압축하는 과정에서 파열 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15 mm 이상의 깊이를 가진 수납부를 포밍하기 어렵다.
한편, 분리형의 파우치 외장재에서는 두 단위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를 상호 겹쳐 밀봉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상태로 양측 수납부를 정위치에서 상호 중첩시켜야 한다. 상기 전극조립체가 정위치로 장착되지 못할 경우 내부 단락이 유발되므로,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요구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두 단위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는 4면에서 결합되어 실링부를 형성하므로, 상기 4면 모두에서 대기와 접하게 되어 장기간의 사용시 공기의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 단위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에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수납부를 포밍하여 상호 중첩시키고 3면을 실링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3면 실링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 외장재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의 단계별 단면 모식도로서, 도 1의 II-II' 단면에 해당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의 (a)를 참조하면, 1 단위의 파우치 외장재(10)에 두 개의 완벽히 대응되는 모양과 크기의 수납부들(20a, 20b)을 전극조립체(30)의 두께보다 더 큰 소정의 거리(d)로 이격되도록 포밍한다.
다음, 도 2의 (b)에서와 같이, 일측의 수납부(20a 또는 20b)에 전극조립체(30)를 장착한 상태에서 도 2의 (c)와 같이 수납부들(20a, 20b) 사이의 중앙 부위(F)를 절곡하여 도 2의 (d)와 같이 수납부들(20a, 20b)을 포개고, 절곡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을 실링(S)하여, 도 3과 같은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조한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기술은 파우치 외장재(10)에 포밍하는 수납부(20a, 20b)의 깊이(t)를 대략 전극조립체(30)의 두께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4면 중 1면(절곡된 중앙 부위(F)측)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접한 두 개의 수납부들(20a, 20b)을 포밍하기 위하여 파우치 외장재(10)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추후 절곡이 이루어질 상기 중앙 부위(F)는 양측으로 수납부(20a, 20b)가 형성될 수 있도록 연신 변형되므로, 일측 방향으로만 연신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계적 강도가 취약해질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수납부(20a, 20b)를 포밍하는 과정 및/또는 절곡하는 과정에서 파열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수납부들(20a, 20b)을 소정의 거리(d)로 이격하여 포밍하고 있으며, 파우치 외장재(10)가 접히는 부분의 굴곡 형상을 고려하여, 폴딩시 절곡하는 중앙 부위(F) 주변으로 약 1.5mm~3mm의 여유분을 가지도록 포밍하고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고객사로부터 고용량 및 소형화 요구가 많으며 고객의 요구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 및 공정들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특히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는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공간을 활용하여 배터리 용량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시도가 많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존의 3면 실링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는 파우치 외장재(10) 폴딩시 절곡하는 중앙 부위(F) 주변으로 두었던 약 1.5mm~3mm의 여유분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인 폴딩부(w)가 발생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폴딩부(w)는 셀 용량의 제한으로 작용하며 모듈/팩에서의 에너지 밀도를 낮추며, 냉각 구조에서도 불리하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한편, 폴딩부(w)가 없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들도 제안되어 있다.
도 4는 종래의 다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 실시형태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에서와 같이, 먼저 필요한 길이 및 폭으로 가공된 파우치 외장재(60)를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부(C)에서 절곡해 이 절곡된 파우치 외장재(60) 사이에 전극조립체(40)를 위치 결정 배치한다. 이 때, 상기 전극조립체(40)를 형성하는 전극들로부터 인출된 리드(50)를 파우치 외장재(60)의 선단 측에 도출한다.
이어서 (b)에서는, 상기 리드(50)를 도출한 쪽을 제외한 파우치 외장재(60) 다른 개구변을 실링(S)한다. 그 후 리드(50)를 도출한 쪽의 개구부를 통해 필요한 전해액을 주입하고 나서, 이 개구부를 마저 실링(S)한다.
도 4의 제조 형태에 따르면 폴딩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링(S)시 절곡된 부분의 파우치 외장재(60)가 눌려지면서, 도 4의 (b)에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 방향으로 돌출부가 발생하게 되어, 그 부분의 컴팩트화가 손상되게 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앞서 언급한 폴딩부와 마찬가지로 셀 용량의 제한으로 작용하여 모듈/팩에서의 에너지 밀도 향상에 저해되며, 일명 박쥐 귀(Bat ear)라고 불리는 버 형태로 배치되기에 모듈 조립시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1 단위의 파우치 외장재에서, 전극조립체 수납부를 포밍하는 과정 및/또는 수납부를 중첩시키기 위하여 절곡하는 과정에서 파우치 외장재의 파열 등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도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불필요한 공간을 갖지 않는 파우치 외장재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조립체를 수납부에 정위치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대기에 접하는 실링부를 최소화하여 전지의 수명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체형이면서, 조립 과정 중 파우치 외장재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폴딩부나 돌출부와 같은 불필요한 공간을 갖지 않도록 하여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파우치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는,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이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먼 쪽의 바닥모서리 깊이는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납부들 사이는 편평한 구간이다. 상기 삽입부에 대향하는 수납부 외측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하여 열융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에서는,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이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삽입부에 전극조립체 측면을 세워 장착하고 양쪽 파우치 외장재를 접어올려 상기 수납부들을 포개는 단계; 및 상기 포개어진 수납부들 주변을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삽입부에 대향하는 수납부 외측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들을 포갠 다음, 상기 수납부 외측을 제외한 부위를 열융착하고 상기 수납부 외측을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고 열융착한 뒤, 상기 수납부 외측을 재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3면 실링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폴딩부의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할 수 있고, 실링 후 돌출부도 형성되지 않도록 포밍된 파우치 외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종래기술처럼 중앙 부위에서 폴딩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부에 전극조립체 측면을 세워 장착한 상태에서 양쪽 파우치 외장재를 접어올리는 것이므로, 기존 파우치 외장재와 같이 중앙 부위 주변으로 폴딩을 고려한 약 1.5mm~3mm의 여유분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에서 불필요한 공간을 남기지 않고 파우치 외장재 내 전극조립체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딩부의 불필요한 공간을 삭제하여 셀 용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모듈/팩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폴딩부의 불필요한 공간을 삭제하여 모듈/팩 냉각 구조 및 조립 공정 단순화가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실링하여도 파우치형 이차전지 바닥면(삽입부에 끼워진 전극조립체의 측면에 해당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없으므로 그 바닥면을 냉각부재에 밀착시킬 수 있어, 에지 쿨링(edge cooling) 타입의 모듈/팩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버 형태의 돌출부를 갖지 아니하므로, 모듈 조립시 걸리적거리지 않아 조립 공정 효율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는 제조 과정에서 파우치 외장재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전극조립체를 정위치에 장착할 수 있고, 대기에 접하는 실링부를 최소화하여 공기, 습기 등의 유입 및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켜 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3면 실링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 외장재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의 단계별 단면 모식도로서, 도 1의 II-II' 단면에 해당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다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 실시형태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포함되는 파우치 외장재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 일부에 해당한다.
도 8은 도 7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의 단계별 단면 모식도로서, 도 6의 Ⅶ-Ⅶ' 단면에 해당한다.
도 9는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파우치 외장재의 사진이다.
도 12는 도 11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진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부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험예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진이다.
도 15는 도 11에 제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사진이다.
도 16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사진이다.
도 1은 종래 3면 실링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 외장재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의 단계별 단면 모식도로서, 도 1의 II-II' 단면에 해당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다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 실시형태를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포함되는 파우치 외장재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 일부에 해당한다.
도 8은 도 7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의 단계별 단면 모식도로서, 도 6의 Ⅶ-Ⅶ' 단면에 해당한다.
도 9는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파우치 외장재의 사진이다.
도 12는 도 11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진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부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험예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진이다.
도 15는 도 11에 제시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사진이다.
도 16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포함되는 파우치 외장재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 일부에 해당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200), 및 파우치 외장재(300)로 구성되어 있다.
전극조립체(200)는 소정 크기의 단위로 절취한 다수의 양극판과 음극판들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적층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 전극조립체(200)의 양극 리드(210)과 음극 리드(220)는 서로 대향하여 파우치 외장재(300)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300)에는 두 개의 대응 수납부들(310a, 310b)이 포밍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들(310a, 310b) 사이에는 삽입부(315)가 형성되어 있고 수납부들(310a, 310b)끼리는 연통되어 있지 않다. 수납부들(310a, 310b)은 삽입부(315) 양측으로 대칭 포밍되어 있다. 수납부들(310a, 310b)은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 b1)부터 전극조립체(200)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a2, b2)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진다. 삽입부(315)와 수납부들(310a, 310b) 사이의 파우치 외장재(300)는 편평한 구간이다.
기존에 수납부들 사이에 전극조립체의 두께보다 더 큰 간격에 약 1.5~3mm 여유분까지 고려하여 이격 거리를 두었던 것에 비하여, 삽입부(315)는 전극조립체(200) 두께(T)만큼의 폭을 갖는다. 종래에 비하여 두 개의 수납부들(310a, 310b) 사이의 거리는 멀어진다. 기존에 수납부들을 인접하여 형성하여야 하는 경우에 비하여, 삽입부(315)와 수납부들(310a, 310b)을 형성하기 위해 파우치 외장재(300)를 포밍하는 데 있어서 특정 부위의 기계적 강도가 취약해지거나 파열될 염려는 없다.
삽입부(315) 양측으로 수납부들(310a, 310b)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 방향과 직교하는, 삽입부(315) 양단에는,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삼각형 단차부(317) 길이가 짧아지면 삼각형 단차부(317) 바닥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가파르다. 삼각형 단차부(317) 길이가 길어지면 삼각형 단차부(317) 바닥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또한, 삽입부(315) 깊이(h)가 깊으면 삼각형 단차부(317) 바닥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가파르다. 삽입부(315) 깊이(h)가 얕으면 삼각형 단차부(317) 바닥의 경사가 상대적으로 완만하다. 삽입부(315) 깊이(h)와 삼각형 단차부(317) 모양은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시 열융착 단계에서 실링 부위의 최종 외곽 형상을 결정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320, 330, 350은 각각 상단 실링부, 하단 실링부 및 측면 실링부를 가리킨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파우치 외장재(300)는 삽입부(315)에 대향하는 수납부(310a, 310b) 외측이, 즉 측면 실링부(350) 쪽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수납부(310a, 310b)를 중첩시켜 전극조립체(200)를 수용하고, 연장된 길이의 측면 실링부(350) 쪽을 제외한 나머지 실링부(상호 접하는 부위) 전체, 즉 상단 실링부(320), 하단 실링부(330)를 밀봉하고, 상기 측면 실링부(350) 쪽을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다음 밀봉하여, 측면 실링부(350) 쪽을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300)의 구조에 의하여, 전해액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입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하여 전해액이 넘쳐 흐르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다.
파우치 외장재(300)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일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300)는 그 재질이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심부와, 상기 심부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열융착층과, 상기 심부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절연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열융착층은 폴리머 수지인 변성 폴리프로필렌, 예컨대 CPP(Casted Polypropylene)를 사용하여 접착층으로 작용하며, 상기 절연막은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수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구조 및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파우치 외장재(300)는 1 단위의 시트이고, 다이와 펀치를 이용한 딥-드로잉 방식으로, 이러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에 대한 압축 성형을 통해, 수납부들(310a, 310b)이 한 번의 공정에 의해 동시에 포밍될 수 있다. 삽입부(315)와 삼각형 단차부(317)도 한 번의 공정에 의해 동시에 포밍될 수 있다. 수납부들(310a, 310b)과 삽입부(315)와 삼각형 단차부(317)도 한 번의 공정에 의해 동시에 포밍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수납부(310a)에서 삽입부(315)와 먼 쪽의 바닥모서리(a2) 깊이(t1)는 전극조립체(200) 두께(T)의 1/2 이상이고, 마찬가지로, 수납부(310b)에서 삽입부(315)와 먼 쪽의 바닥모서리(b2) 깊이(t1)도 전극조립체(200) 두께(T)의 1/2 이상이다. 바닥모서리(a2, b2) 깊이(t1)는 전극조립체(200) 두께(T)의 1/2인 것이 남는 부분이 없어 이상적이겠으나 제품에 따라서는 공정의 편의를 위한 여유분조로 조금 더 깊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모서리(a2, b2) 깊이(t1)는 전극조립체(200) 두께(T)의 1/2 이상으로 한다.
도 7에 특히 잘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수납부(310a, 310b)는 바닥면이 기울어진 모양이 된다. 수납부들(310a, 310b)은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 b1)부터 전극조립체(200)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a2, b2)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진다.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 b1)은 삽입부(315)의 깊이(h)에 따라 유동적이다. 삽입부(315)의 깊이(h)가 깊어질수록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 b1)은 삽입부(315) 쪽으로 가까워진다. 반대로, 삽입부(315)의 깊이(h)가 얕아질수록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 b1)은 삽입부(315)로부터 멀어진다. 삽입부(315)의 깊이(h)는 파우치 외장재(300)의 재질, 연신율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부(315)의 깊이(h)는 삼각형 단차부(317)의 모양에도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는 실링 부위의 최종 외곽 형상을 결정하므로 주의깊게 고려해야 할 인자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기술에서, 기존에 수납부들 깊이는 전극조립체 두께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여 일정하며 수납부 바닥면이 기울어져 있지 않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파우치 외장재(300)의 수납부들(310a, 310b)은 최대 깊이가 깊이(t1)으로서 전극조립체(200) 두께(T)의 1/2 이상이고 최소 깊이는 0으로서, 바닥면은 최대 깊이를 갖는 한쪽 모서리(전극조립체(200)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로부터 최소 깊이를 갖는 반대편(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서서히 경사가 져 기울어지는 모양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파우치 외장재(300)는 기존의 파우치 외장재와는 수납부들의 성형 깊이, 바닥면 모양, 그리고 두 수납부 사이에 있는 삽입부의 존재, 그리고 삽입부 양단에 있는 삼각형 단차부 등이 매우 다르다.
도 8은 도 6의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의 단계별 단면 모식도로서, 도 6의 Ⅶ-Ⅶ' 단면에 해당한다. 도 9는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도이다.
도 8의 (a)는 파우치 외장재(300) 포밍 후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전극조립체(200)가 장착되기 위해 삽입부(315) 위쪽으로 이동해 있다. 이후, 도 8의 (b)에서와 같이, 파우치 외장재(300) 가운데 삽입부(315)에 전극조립체(200) 측면(230)을 세워 끼운 상태에서 도 8의 (c) 및 (d)와 같은 순서로, 양쪽 수납부들(310a, 310b) 쪽의 파우치 외장재(300)를 접어올려 수납부들(310a, 310b)을 전극조립체(200) 양면에, 즉, 전극조립체(200) 너비를 결정하는 넓은 면(도 5의 240)에 중첩시키어 포갠다.
도 8과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양극 리드(210) 및 음극 리드(220)가 상단 실링부(320) 및 하단 실링부(330)에 대응하도록 전극조립체(200) 측면(230)을 삽입부(315)에 장착하고, 상단 실링부(320)와 하단 실링부(330) 및 측면 실링부(350)가 각각 접하도록 파우치 외장재(300)를 절곡하는 것이다.
이 때, 종래처럼 수납부들(310a, 310b) 사이에 평평한 중앙 부위를 절곡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부(315)에 꼭 맞게 전극조립체(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양쪽 파우치 외장재(300)가 접어올려지는 것이므로, 전극조립체(200)의 측면(230)을 불필요하게 남는 공간없이 감쌀 수 있고 절곡의 각도가 종래보다 크지 않기 때문에 무리한 절곡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뿐만 아니라, 삽입부(315)와 수납부들(310a, 310b) 사이는 편평한 구간으로 하고, 수납부들(310a, 310b)은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 b1)부터 전극조립체(200)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a2, b2)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게 형성하므로, 전극조립체(200)의 넓은 면(240)도 맞춤으로 감싸면서 전극조립체(200) 측면(230)에 대향되는 다른 측면의 모서리 부분까지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300)는 유연하여 용이하게 접어올려질 수 있으며, 큰 힘이 필요한 절곡 부분이 없으므로 주름 등이 발생하지 않고, 후속 단계에서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두 수납부 사이의 중앙 부분인 하나의 절곡선을 기준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부분이 전극조립체의 측면 가운데 부분에 잉여부로 구성이 되고 말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앙 부분에 삽입부(315)가 있으므로 여기에 끼워지는 전극조립체(200) 측면(230) 쪽에 불필요하게 남는 부분이 없다. 또한, 수납부들(310a, 310b)의 바닥면 경사 구조를 통하여, 삽입부(315)에 끼워지는 전극조립체(200) 측면(230)의 맞은편 측면도 딱 맞아 떨어지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 외장재의 포밍 형상을 변경하여 전극조립체의 측면 모서리를 완전히 감싸도록 하기 때문에 모서리 부위에 불필요한 공간을 남기지 않으면서도 안정감 있게 밀봉할 수 있으며, 파우치 외장재 내 전극조립체 영역을 극대화할 수 있어, 고용량 고밀도 전기 자동차용 전지 및 대용량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상단 실링부(320)와 하단 실링부(330) 및 측면 실링부(350)가 각각 접하도록 파우치 외장재(300)를 절곡하여 중첩시킨 도 8의 (d) 이후 과정은, 상단 실링부(320) 및 하단 실링부(330)를 열융착하고, 측면 실링부(350)의 이격 틈으로 전해질을 주입하여 측면 실링부(350)를 열융착한 다음, 측면 실링부(350)를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는 순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315) 양단에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317)를 형성하므로, 실링부(320, 330, 350) 열융착 이후에 전극조립체(200) 측면(230) 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큰 특징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단과 하단 실링부(320, 330) 열융착 후의 실링(S)까지 표시하였는데, 종래와 다르게 전극 리드가 각각 인출된 상단과 하단에 파우치 외장재가 눌려져 발생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만입부가 형성된다. 이는, 파우치 외장재(300)에 포밍한 삼각형 단차부(317)로 인한 효과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삼각형 단차부(317)의 모양은 실링 부위의 최종 외곽 형상을 결정하므로 삼각형 단차부(317)의 모양은 이러한 만입부(B)의 형상 및 만입 정도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삼각형 단차부(317)의 모양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삼각형 단차부(317)의 길이 및 삽입부(315)의 깊이(h)이므로, 이들 인자 조절을 통해 만입부(B)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우치 외장재(300)에 전극조립체(200) 두께 방향 측면(230) 형상의 삽입부(315)를 포밍한 후 전극조립체(200)를 삽입하면, 전극조립체(200) 측면(230)이 놓이는 면(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이라고 할 수 있음) 평평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부(315) 양단에 삼각형 단차부(317)를 형성함에 따라, 기존에 실링시 발생하던 돌출부가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대비 돌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3면 실링시 파우치 외장재의 폴딩부나 실링시 돌출부 등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파우치형 이차전지 안에 포함되는 전극조립체의 용량을 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해 제조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버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고,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모듈/팩의 에너지 밀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제거하여 모듈 조립성이 용이해진다. 종래와 같은 돌출부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주변 구성품들 등간의 간섭 등이 발생되지 않기에,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모듈/팩의 조립 공정 효율, 또한,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평평한 바닥면은 에지 쿨링 타입 냉각에 매우 유리하다.
한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양극 리드(210)과 음극 리드(220)이 서로 대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200) 위주로 설명을 하였으나,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가 서로 같은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극조립체에 대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여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제조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여러 개 적층되어 모듈/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500)에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여러 개가 모아져, 실링되지 않는 1개의 면이 하부에 위치하여 쿨링 플레이트(600)의 상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도 9의 구성에서 좌측 측면에 해당하는 면이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이러한 면이 쿨링 플레이트(600)의 상부면에 안착하여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링되지 않는 면은 실링되는 면에 비해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쿨링 플레이트(600)에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를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고, 쿨링 플레이트(600)의 상면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전지(100) 내의 전극조립체와 쿨링 플레이트(600)가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실링되지 않는 면에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쿨링 플레이트(600)와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를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체 배터리 모듈(500)의 부피를 줄여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와 쿨링 플레이트(60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 열 전달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 내부의 전극조립체에서 발생한 열이 쿨링 플레이트(600)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어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실험예와 종래기술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 실험예에 따라 제조한 파우치 외장재의 사진이다. 수납부(310a, 310b)가 아래로 가도록 파우치 외장재(300)를 뒤집어 촬영해, 파우치 외장재(300)의 저면이 보인다. 도 11을 참조하면, 파우치 외장재(300)는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315)를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 중앙에 포밍하였고,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는 수납부(310a, 310b)를 삽입부(315) 양측으로 대칭 포밍하였다. 또한, 삽입부(315) 양단에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317)도 형성하였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300) 제조 과정에서 파열되거나 찢어짐 없이 포밍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수납부(310a, 310b)와 삽입부(315) 및 삼각형 단차부(317)가 원하는 대로 형성이 되었고, 어느 한 군데 왜곡되거나 응력이 집중하는 현상없이 포밍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도 11의 파우치 외장재(300)를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상면 사진이다. 본 실험예에서 상단과 하단 실링부는 도 11의 파우치 외장재(300)의 삽입부(315)에 대응되는 측면 대비 각각 p1, p2만큼 약간 돌출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지만, 도 13과 같은 종래기술의 돌출 정도인 p3와 비교시 매우 미미한 정도이다. 그리고, 이 돌출 정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우치 외장재(300)의 삽입부(315)의 깊이 조절로 제거 가능하다. 삽입부(315)의 깊이를 돌출양만큼 더 깊게 조절하면 돌출부를 제거할 수 있다. 단, 삽입부(315) 깊이가 깊어지면 수납부들(310a, 310b)의 폭, 즉,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a1)부터 전극조립체(200)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a2)까지의 길이, 그리고 전극조립체(200)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b1)부터 전극조립체(200)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b2)까지의 길이는 줄어들어야 한다.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험예에 따른 파우치 외장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진이다.
도 12의 결과 확인 후, 삽입부(315)의 깊이를 p1~p2 돌출양만큼 더 깊게 조절하여 다른 파우치 외장재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제조한 결과, 도 12 대비 돌출부를 제거할 수 있었다. 오히려 파우치 외장재(300)의 삽입부(315)에 대응되는 측면 대비 소정 거리(p4) 더 안쪽으로 하단 실링부가 위치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조립체(200) 측면(230)이 놓이는 면(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즉 실링되지 않는 면에서 불필요한 공간을 삭제하여 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모듈/팩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불필요한 공간을 삭제하여 모듈/팩 냉각 구조 및 조립 공정 단순화가 가능해진다.
도 15는 본 발명 실험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파우치 외장재(300)의 삽입부(315)에 끼워지는 전극조립체(200)의 측면(230)에 대응되는 면) 사진이고, 도 16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바닥면 사진이다. 도 15와 도 16의 비교를 통해, 본 발명의 경우가 파우치형 이차전지 바닥면이 편평해져서 에지 쿨링 방식의 모듈에서 밀착력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냉각 성능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파우치형 이차전지
200: 전극조립체
300: 파우치 외장재 310a, 310b: 수납부
315: 삽입부 317: 삼각형 단차부
500: 배터리 모듈 600: 쿨링 플레이트
300: 파우치 외장재 310a, 310b: 수납부
315: 삽입부 317: 삼각형 단차부
500: 배터리 모듈 600: 쿨링 플레이트
Claims (11)
-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이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먼 쪽의 바닥모서리 깊이는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납부들 사이는 편평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대향하는 수납부 외측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 -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먼 쪽의 바닥모서리 깊이는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납부들 사이는 편평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전극조립체를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1 단위의 시트형 파우치 외장재이고,
상기 파우치 외장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만큼의 폭을 갖는 삽입부;
상기 전극조립체 너비 중간에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전극조립체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지며 상기 삽입부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삽입부 양단에 형성되고 끝으로 갈수록 점차 깊이가 작아지는 삼각형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외장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삽입부에 전극조립체 측면을 세워 장착하고 양쪽 파우치 외장재를 접어올려 상기 수납부들을 포개는 단계; 및
상기 포개어진 수납부들 주변을 열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삽입부에 대향하는 수납부 외측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상기 수납부들을 포갠 다음, 상기 수납부 외측을 제외한 부위를 열융착하고 상기 수납부 외측을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고 열융착한 뒤, 상기 수납부 외측을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먼 쪽의 바닥모서리 깊이는 상기 전극조립체 두께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납부들 사이는 편평한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6/334,509 US11239515B2 (en) | 2017-07-20 | 2018-07-10 | Pouch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2019529972A JP6734482B2 (ja) | 2017-07-20 | 2018-07-10 | 二次電池用パウチ外装材、これを用いたパウチ型二次電池及びこの製造方法 |
EP18834580.5A EP3561899B1 (en) | 2017-07-20 | 2018-07-10 | Pouch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CN201880004185.XA CN110062964B (zh) | 2017-07-20 | 2018-07-10 | 二次电池的袋型外部材料、采用其的袋型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
PCT/KR2018/007813 WO2019017637A1 (ko) | 2017-07-20 | 2018-07-10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PL18834580T PL3561899T3 (pl) | 2017-07-20 | 2018-07-10 | Materiał zewnętrzny saszetki baterii akumulatorowej, bateria akumulatorowa typu saszetkowego, w której go wykorzystano i sposób jej wytwarzania |
US17/547,657 US12057545B2 (en) | 2017-07-20 | 2021-12-10 | Pouch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70092152 | 2017-07-20 | ||
KR1020170092152 | 2017-07-2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434A true KR20190010434A (ko) | 2019-01-30 |
KR102109926B1 KR102109926B1 (ko) | 2020-05-12 |
Family
ID=6527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5766A KR102109926B1 (ko) | 2017-07-20 | 2018-06-29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11239515B2 (ko) |
EP (1) | EP3561899B1 (ko) |
JP (1) | JP6734482B2 (ko) |
KR (1) | KR102109926B1 (ko) |
CN (1) | CN110062964B (ko) |
PL (1) | PL3561899T3 (ko)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189B1 (ko) * | 2019-03-28 | 2020-08-19 |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 2차 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WO2020180052A1 (ko) * | 2019-03-04 | 2020-09-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WO2020204453A1 (ko) * | 2019-04-01 | 2020-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외장재 및 이차전지용 외장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
KR20200121644A (ko) * | 2019-04-16 | 2020-10-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
WO2020242034A1 (ko) * | 2019-05-31 | 2020-12-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0246696A1 (ko) * | 2019-06-07 | 2020-1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
KR20210002995A (ko) * | 2019-07-01 | 2021-01-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1006529A1 (ko) * | 2019-07-09 | 2021-01-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셀 및 전지 모듈 |
KR20210011813A (ko) | 2019-07-23 | 2021-02-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KR20210038230A (ko) * | 2019-09-30 | 2021-04-07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우치외장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WO2021125454A1 (ko) * | 2019-12-17 | 2021-06-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KR20210076770A (ko)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1172819A1 (ko) * | 2020-02-27 | 2021-09-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 제조 방법 |
KR102321876B1 (ko) | 2021-03-09 | 2021-11-04 | 주식회사 삼중 | 2차 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
KR20220099847A (ko) * | 2021-01-07 | 2022-07-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US12002970B2 (en) | 2020-10-08 | 2024-06-04 | Sk On Co., Ltd.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US12068490B2 (en) | 2021-07-19 | 2024-08-20 | Sk On Co., Ltd.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24208B1 (en) * | 2018-03-21 | 2023-02-08 |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 Cell packaging structure |
KR102576860B1 (ko) * | 2018-03-30 | 2023-09-11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파우치 외장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팩 |
KR20200125184A (ko) * | 2019-04-26 | 2020-11-04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배터리 모듈 |
JP7362907B2 (ja) * | 2019-12-17 | 2023-10-17 |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 二次電池用ケース及び二次電池 |
WO2021196027A1 (zh) * | 2020-03-31 | 2021-10-07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封装结构及应用所述封装结构的电化学装置 |
KR20220001039A (ko) * | 2020-06-26 | 2022-01-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의 성형장치 및 상기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KR20220008671A (ko) * | 2020-07-14 | 2022-01-21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파우치 외장재,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이차전지 모듈과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JP2023538083A (ja) * | 2020-08-19 | 2023-09-06 |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 パウチ型電池ケースおよびパウチ型二次電池 |
CN115004440A (zh) * | 2020-09-14 | 2022-09-02 | 株式会社Lg新能源 | 用于制造凝胶聚合物电解质二次电池的方法和由此获得的凝胶聚合物电解质二次电池 |
JP7552325B2 (ja) | 2020-12-11 | 2024-09-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 |
KR20220098990A (ko) * | 2021-01-05 | 2022-07-12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이에 따른 이차전지 |
DE102021112108A1 (de) * | 2021-05-10 | 2022-11-10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zelle, Tiefziehwerkzeug zum Umformen eines Folienmaterials in ein Gehäuseteil für eine Batteriezelle, Gehäuseteil eines Gehäuses einer Batteriezelle und eine Batteriezelle |
DE102021122009A1 (de) | 2021-08-25 | 2023-03-02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atteriezel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1301A (ja) * | 2002-08-05 | 2004-03-04 | Toyota Motor Corp |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
US20130101894A1 (en) * | 2011-10-24 | 2013-04-25 | Sony Electronics (Wuxi) Co., Ltd. | Battery, method of forming a battery cell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
WO2017078437A1 (ko) * | 2015-11-03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0506C (zh) * | 1999-03-26 | 2004-12-15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叠合片封装型电池 |
JP2001338695A (ja) | 2000-05-30 | 2001-12-07 | Sony Corp | 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
JP3922208B2 (ja) | 2002-09-27 | 2007-05-30 | ソニー株式会社 |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0895202B1 (ko) * | 2006-04-17 | 2009-05-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형 전지 |
KR100917736B1 (ko) * | 2007-09-14 | 2009-09-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전지 |
KR101002468B1 (ko) | 2008-07-01 | 2010-12-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
JP5732687B2 (ja) * | 2010-03-19 | 2015-06-10 | エルジー ケム. エルティーディ. | ポーチ型ケース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
KR101253671B1 (ko) * | 2010-11-12 | 2013-04-11 | 주식회사 이아이지 |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EP2602843A4 (en) | 2011-06-22 | 2013-06-26 | Lg Chemical Ltd | POCKET AND SECONDARY BATTERY OF POCKET TYPE |
JP6037428B2 (ja) | 2012-03-28 | 2016-12-07 | 日本電気株式会社 |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US9701449B2 (en) * | 2013-01-29 | 2017-07-11 | Spectrum Brands, Inc. | Blister pack |
US20140255757A1 (en) * | 2013-03-07 | 2014-09-11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KR101595611B1 (ko) * | 2013-03-22 | 2016-02-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
KR20150089484A (ko) * | 2014-01-28 | 2015-08-0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셀 |
KR102221806B1 (ko) * | 2014-08-11 | 2021-03-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커브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779156B1 (ko) * | 2014-12-16 | 2017-09-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KR20160077871A (ko) | 2014-12-24 | 2016-07-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에너지가 증대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
KR102403485B1 (ko) * | 2015-06-29 | 2022-05-30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023554B1 (ko) * | 2015-08-19 | 2019-09-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
CN205050882U (zh) | 2015-10-19 | 2016-02-24 | 惠州Tcl金能电池有限公司 | 电池软包装膜及电池 |
-
2018
- 2018-06-29 KR KR1020180075766A patent/KR1021099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7-10 US US16/334,509 patent/US11239515B2/en active Active
- 2018-07-10 JP JP2019529972A patent/JP6734482B2/ja active Active
- 2018-07-10 CN CN201880004185.XA patent/CN110062964B/zh active Active
- 2018-07-10 EP EP18834580.5A patent/EP3561899B1/en active Active
- 2018-07-10 PL PL18834580T patent/PL3561899T3/pl unknown
-
2021
- 2021-12-10 US US17/547,657 patent/US1205754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1301A (ja) * | 2002-08-05 | 2004-03-04 | Toyota Motor Corp |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
US20130101894A1 (en) * | 2011-10-24 | 2013-04-25 | Sony Electronics (Wuxi) Co., Ltd. | Battery, method of forming a battery cell container, and electronic device |
WO2017078437A1 (ko) * | 2015-11-03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
KR20170052061A (ko) * | 2015-11-03 | 2017-05-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
Cited By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80052A1 (ko) * | 2019-03-04 | 2020-09-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KR20200106381A (ko) * | 2019-03-04 | 2020-09-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EP3770987A4 (en) * | 2019-03-04 | 2021-09-15 | Lg Chem, Ltd. | HOUSING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
JP2021518978A (ja) * | 2019-03-04 | 2021-08-05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二次電池用ケース及び二次電池 |
CN111989795B (zh) * | 2019-03-04 | 2024-03-26 | 株式会社Lg新能源 | 二次电池壳体和二次电池 |
CN111989795A (zh) * | 2019-03-04 | 2020-11-24 | 株式会社Lg化学 | 二次电池壳体和二次电池 |
KR102146189B1 (ko) * | 2019-03-28 | 2020-08-19 |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 2차 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EP3933953A4 (en) * | 2019-04-01 | 2022-05-04 | LG Energy Solution, Ltd. |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EXTERIOR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
KR20200116247A (ko) * | 2019-04-01 | 2020-10-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외장재 및 이차전지용 외장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
JP2022523834A (ja) * | 2019-04-01 | 2022-04-26 |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 二次電池用外装材、及び二次電池用外装材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
CN113574719A (zh) * | 2019-04-01 | 2021-10-29 | 株式会社Lg新能源 | 二次电池的壳体、以及制造二次电池的壳体的设备和方法 |
WO2020204453A1 (ko) * | 2019-04-01 | 2020-10-0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외장재 및 이차전지용 외장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
CN113711403B (zh) * | 2019-04-16 | 2024-08-09 | 株式会社Lg新能源 | 制造二次电池的设备和方法 |
KR20200121644A (ko) * | 2019-04-16 | 2020-10-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
CN113711403A (zh) * | 2019-04-16 | 2021-11-26 | 株式会社Lg新能源 | 制造二次电池的设备和方法 |
KR20200137827A (ko) | 2019-05-31 | 2020-12-0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0242034A1 (ko) * | 2019-05-31 | 2020-12-0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CN113711426A (zh) * | 2019-05-31 | 2021-11-26 | 株式会社Lg新能源 | 二次电池的电池壳体和袋型二次电池 |
KR20200140578A (ko) * | 2019-06-07 | 2020-12-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
EP3879595A4 (en) * | 2019-06-07 | 2022-02-23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
WO2020246696A1 (ko) * | 2019-06-07 | 2020-1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방법 |
CN113348575A (zh) * | 2019-06-07 | 2021-09-03 | 株式会社Lg新能源 | 制造二次电池的设备和方法 |
CN113348575B (zh) * | 2019-06-07 | 2023-12-22 | 株式会社Lg新能源 | 制造二次电池的设备和方法 |
US11817559B2 (en) | 2019-06-07 | 2023-11-14 | Lg Energy Solution,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KR20210002995A (ko) * | 2019-07-01 | 2021-01-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1006529A1 (ko) * | 2019-07-09 | 2021-01-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셀 및 전지 모듈 |
KR20210011813A (ko) | 2019-07-23 | 2021-02-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US11171376B2 (en) | 2019-09-30 | 2021-11-09 | Sk Innovation Co., Ltd. | Pouch cas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1705595B2 (en) | 2019-09-30 | 2023-07-18 | Sk On Co., Ltd. | Pouch cas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38230A (ko) * | 2019-09-30 | 2021-04-07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우치외장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10096023A (ko) * | 2019-09-30 | 2021-08-04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우치외장재,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US11824214B2 (en) | 2019-09-30 | 2023-11-21 | Sk On Co., Ltd. | Pouch cas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20210076770A (ko)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 전지용 전지 케이스 및 파우치 형 이차 전지 |
WO2021125454A1 (ko) * | 2019-12-17 | 2021-06-2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KR20210077528A (ko) * | 2019-12-17 | 2021-06-2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JP2023515545A (ja) * | 2020-02-27 | 2023-04-13 |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 パウチ型二次電池及びその二次電池の製造方法 |
WO2021172819A1 (ko) * | 2020-02-27 | 2021-09-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이차전지 제조 방법 |
US12002970B2 (en) | 2020-10-08 | 2024-06-04 | Sk On Co., Ltd.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WO2022149832A1 (ko) * | 2021-01-07 | 2022-07-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KR20220099847A (ko) * | 2021-01-07 | 2022-07-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용 케이스 및 이차전지 |
US12009529B2 (en) | 2021-01-07 | 2024-06-11 | Lg Energy Solution, Ltd. | Secondary battery case and secondary battery |
KR102321876B1 (ko) | 2021-03-09 | 2021-11-04 | 주식회사 삼중 | 2차 전지 파우치 성형 장치 |
US12068490B2 (en) | 2021-07-19 | 2024-08-20 | Sk On Co., Ltd.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61899A4 (en) | 2020-04-15 |
CN110062964B (zh) | 2022-07-19 |
EP3561899B1 (en) | 2021-04-07 |
KR102109926B1 (ko) | 2020-05-12 |
CN110062964A (zh) | 2019-07-26 |
US11239515B2 (en) | 2022-02-01 |
US20220102790A1 (en) | 2022-03-31 |
US20200365836A1 (en) | 2020-11-19 |
US12057545B2 (en) | 2024-08-06 |
JP6734482B2 (ja) | 2020-08-05 |
PL3561899T3 (pl) | 2021-10-11 |
JP2019537225A (ja) | 2019-12-19 |
EP3561899A1 (en) | 2019-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10434A (ko)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US11935997B2 (en) | Pouch exterior for secondary battery, pouch-typ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pouch exteri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 |
KR101636371B1 (ko) | 계단 구조의 전지셀 | |
KR102347901B1 (ko) | 균열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 |
US20200280044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Pouch for Secondary Battery | |
KR101253671B1 (ko) |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WO2019017637A1 (ko) | 이차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이를 이용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10105737A (ko) |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20130105271A (ko) | 비대칭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20140110162A (ko) | 젤리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젤리롤 타입의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방법 | |
KR20130133639A (ko) | 전극 조립체, 전지셀,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전지셀의 제조 방법 | |
KR101424003B1 (ko) |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
JP7242119B2 (ja) | 二次電池の製造装置及び方法 | |
CN110770956A (zh) | 电化学电池单元的堆叠式棱柱形架构 | |
KR101441530B1 (ko) |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JP7139015B2 (ja) | 二次電池の製造装置及び方法 | |
KR101749729B1 (ko) | 이차전지 | |
KR100858807B1 (ko) |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채용한 리튬이차전지 | |
KR102355380B1 (ko) | 측면 와이어 본딩 가능한 전지팩,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제조 방법 | |
CN116034005A (zh) | 软包、用于模制该软包的设备以及用于制造包括该软包的二次电池的方法 | |
KR101746628B1 (ko) | 전극의 노출이 억제된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76583B1 (ko) | 배터리 셀 | |
KR20170072487A (ko) | 모서리가 절취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조립체 | |
KR102168946B1 (ko) | 블로우 성형법을 사용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 |
KR101735805B1 (ko) | 열융착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