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585A - 파우치형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3585A KR20130133585A KR20120056961A KR20120056961A KR20130133585A KR 20130133585 A KR20130133585 A KR 20130133585A KR 20120056961 A KR20120056961 A KR 20120056961A KR 20120056961 A KR20120056961 A KR 20120056961A KR 20130133585 A KR20130133585 A KR 201301335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assembly
- heat dissipation
- secondary battery
-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BTWLSYIZRCDFO-UHFFFAOYSA-N ethyl 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 JBTWLSYIZRCD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UOJZAUFBMNUDX-UHFFFAOYSA-N prop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1COC(=O)O1 RUOJZAUFBMNU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28 transition metal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3063 LiBF 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5 cast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EJIGPNLZYLLBP-UHFFFAOYSA-N dim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OC(=O)OC IEJIGPNLZYLL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002 lithium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2 lith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장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탭; 및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열방출용 방열리드를 구비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일례로,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장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탭; 및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열방출용 방열리드를 구비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를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의 외관 형상에 따라서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파우치 케이스로 구성된다.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하여 적층 또는 권취하여 형성된다. 양극판과 음극판에는 각각 전극탭이 용접되며, 상기 전극탭은 파우치 케이스의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수납될 때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로 조립된다.
일반적인 파우치 케이스의 구성은 전극조립체가 수납 가능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를 덮는 케이스 커버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커버는 케이스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플랜지에 상기 케이스 커버가 실링되어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단일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로서 전지팩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파우치 전지에 하나의 보호회로가 연결된다. 또는, 단일 파우치형 전지 이외에 대용량의 전지가 요구되는 노트북 기기 등은 2개 이상의 전지에 대하여 하나의 보호회로가 구비된다. 이처럼 하나의 보호회로에 2개 이상의 전지가 구비되는 경우에 파우치 전지들은 상하로 적층되며, 적층되는 전지들 사이에는 양면접착용 테이프를 구비하여 접착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 파우치형 전지팩은 복수의 전지가 면대면으로 접착되어 적층된 구조이므로 전지에서 발생되는 고열이 여과 없이 인접한 전지로 전달되어 전지팩의 전체적인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방열 성능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장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탭; 및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열방출용 방열리드를 구비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열리드와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히트 싱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다른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케이스는,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실링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의 각 일단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의 면적은, 상기 제 1 실링부 또는 상기 제 2 실링부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둘레를 갖는 가상의 평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의 면적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각각의 장측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탭이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방열리드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의 장측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판의 표면은 절연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리드는 상기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장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제 복수의 전극조립체;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탭; 및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전극조립체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과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탭 사이를 연결하는 방열리드를 구비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다른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케이스는,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실링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의 각 일단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의 면적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각각의 장측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의 장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부재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부재의 표면은 절연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열 성능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방열판의 크기 및 전극탭과 방열리드의 인출 방향에 대한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탭의 인출 방향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방열판의 크기 및 전극탭과 방열리드의 인출 방향에 대한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탭의 인출 방향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취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는, 복수의 전극조립체, 복수의 전극탭, 파우치 케이스(130) 및 적어도 하나의 방열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각각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각각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와 용량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조립체 그룹과,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 그룹과 다른 전극조립체들로 제 2 전극조립체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탭은 복수의 제 1 및 제 2 전극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탭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전극조립체 그룹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 그룹이 각각 하나의 전극조립체로 구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 그룹을 제 1 전극조립체(110)로 하고, 상기 제 2 전극조립체 그룹을 제 2 전극조립체(120)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전극탭은 제 1 전극조립체(110)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전극조립체(110)는, 제 1 전극판, 세퍼레이터(separator), 제 2 전극판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판은 양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음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전극판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foil)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판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 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전극판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판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전극판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고 전이 금속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전극판에는 제 1 전극탭(1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전극판에는 제 2 전극탭(11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은, 파우치 케이스(130)의 외부로 돌출 및 노출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은 제 1 전극탭(111, 113)을 각각 감싸도록 제 1 및 제 2 절연 테이프(111a, 113a)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테이프(111a, 113a)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와 방열부재(140)와의 불필요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테이프(111a, 113a)는 방열부재(140)의 표면에 절연 코팅이 이루어진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 1 전극조립체(1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전극조립체(110)에 구비된 한 쌍의 장측면 중 도 2의 장측면(110a)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전극조립체(120)는, 제 1 전극판, 세퍼레이터(separator), 제 2 전극판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판은 양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판은 음극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전극판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foil)로 형성된 제 1 전극 집전판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 1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전극판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전극판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 2 전극 집전판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2 전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전극판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제 1 전극판과 제 2 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고 전이 금속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전극판에는 제 1 전극탭(1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전극판에는 제 2 전극탭(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파우치 케이스(130)의 외부로 돌출 및 노출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제 1 전극탭(121, 123)을 각각 감싸도록 제 1 및 제 2 절연 테이프(121a, 123a)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테이프(121a, 123a)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와 방열부재(140)와의 불필요한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단,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 테이프(121a, 123a)는 방열부재(140)의 표면에 절연 코팅이 이루어진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 2 전극조립체(1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전극조립체(120)에 구비된 한 쌍의 장측면 중 도 2의 장측면(120a)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파우치 케이스(130)는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와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는 제 1 케이스(131a)와 제 1 실링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131a)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전극조립체(11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일면이 개방된 제 1 개구부(132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 1 케이스(131a)는 제 1 개구부(132a)를 통해 제 1 전극조립체(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 실링부(133a)는 제 1 케이스(131a)의 일단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는 제 2 케이스(131b)와 제 2 실링부(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131b)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제 2 전극조립체(120)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일면이 개방된 제 2 개구부(132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 2 케이스(131b)는 제 1 개구부(132b)를 통해 제 2 전극조립체(120)를 수용할 수 있다. 제 2 실링부(133b)는 제 2 케이스(131b)의 일단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 형태로 형성된다.
제 1 실링부(133a)의 일단부(135a)와 제 2 실링부(133b)의 일단부(135b)는 연결부(13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실링부(133a, 133b)의 각 일단부(135a, 135b)는 제 1 실링부(133a)와 제 2 실링부(133b)의 일측면이 서로 대응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일단부(135a, 135b)는 절곡홈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가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를 덮을 수 있다. 물론,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가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를 덮을 수도 있다. 즉,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와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분이 접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와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가 서로 포개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가 제 1 및 제 2 파우치 케이스(130a, 130b)에 각각 수납된 후, 파우치 케이스(130)를 접으면,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장측면(120a)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때, 두 장측면(110a, 120a) 사이에 방열판(140)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의 장측면(110a, 120a)은 4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케이스(130a, 130b)의 각 측벽의 길이도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이유는,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전극탭(211, 213)이 파우치 케이스(13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파우치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제 1 및 제 2 전극 조립체(110, 120)와 함께 전해액이 수납된다. 상기 전해액은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와 같은 유기 용매에 LiPF6, LiBF4와 같은 리튬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은 액체, 고체 또는 겔상일 수 있다.
방열부재(140)는 방열판(141)과 방열리드(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판(141)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방열리드(143)는 방열판(1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방열판(141)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방열판(141)은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열부재(140)는 구리나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은 절연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141)의 면적은, 제 1 실링부(133a) 또는 제 2 실링부(133b)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둘레를 갖는 가상의 평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판(141)은 가상의 평면의 크기와 동일하지 않더라도, 제 1 개구부(132a) 또는 제 2 개구부(132b)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우치형 이차전지(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방열판(141)의 중심부는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장측면(120a) 사이에 위치하며, 주변부는 제 1 실링부(133a)와 제 2 실링부(133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방열리드(143)는 파우치 케이스(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방열판(141)의 면적은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장측면(110a) 또는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장측면(120a)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조립 방법 및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파우치 케이스(130)가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가 제 1 및 제 2 케이스(131a, 131b)의 내부에 각각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의 인출 방향은 연결부(135)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다음, 방열부재(140)의 일측면이 제 1 케이스(131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방열판(141)의 일측면의 중앙부는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장측면(110a)과 접촉하게 되고, 주변부는 제 1 실링부(133a)와 접촉하게 되며, 방열부재(140)는 방열리드(143)가 전극탭들(111, 113, 121, 123)의 인출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141)의 일측면의 주변부와 제 1 실링부(133a) 사이에 제 1 무연실 폴리프로필렌층(150a)(Cast PolyPropylene; 이하 제 1 CCP라고 함)을 형성하여 1차 실링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방열부재(140)가 제 2 케이스(131b) 상에 먼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때, 방열판(141)의 타측면의 중앙부는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장측면(120a)과 접촉하게 되고, 주변부는 제 2 실링부(133b)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 제 2 전극조립체(120)가 수납된 제 2 파우치 케이스(130b)를 C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 1 파우치 케이스(130a)를 덮는다. 이때,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장측면(120b)과 방열판(141)의 타측면의 중앙부가 서로 접촉되며, 제 2 실링부(133b)와 방열판(141)의 타측면의 주변부가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제 2 실링부(133b)와 방열판(141)의 타측면의 주변부 사이에 제 2 무연실 폴리프로필렌층(150b)(Cast PolyPropylene; 이하 제 2 CCP라고 함)을 형성하여 2차 실링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탭(111, 113, 121, 1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 케이스(130)로부터 같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전극탭(111)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전극탭(121)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며,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2 전극탭(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2 전극탭(12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전극탭(111)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전극탭(12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2 전극탭(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2 전극탭(123)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전극탭의 용접 방법으로는 저항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파우치 케이스(130)로부터 서로 같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열판(141)은 파우치 케이스(130) 내부에 배열된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밀착되므로,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방열판(140)으로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판(141)으로 전달되는 열은 방열리드(143)를 따라 이차전지(100)의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차전지(100)는 파우치 케이스(130)의 외부에서 방열리드(143)와 연결된 히트 싱크(heat sink)(미도시)를 더 구비함으로써, 방열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방열판의 크기 및 전극탭과 방열리드의 인출 방향에 대한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평면도로서, 방열판(141)이 파우치 케이스(130)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와, 전극탭들(111, 113, 121, 123)의 인출 방향을 서로 같고 전극탭들(111, 113, 121, 123)과 방열 리드(143)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가 파우치 케이스(130)에 수납되는 경우,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연결부(135)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은 ?x 축 방향으로 인출되며,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x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후, 파우치 케이스(130)를 C 방향으로 접게 되면,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모두 ?x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방열리드(143)는 전극탭들(111, 113, 121, 123)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x-y 축을 참조하면, 방열리드(143)는 ?y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비교하여 방열부재(140’)의 크기가 다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방열판(141’)은 제 1 전극조립체(110) 또는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장측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경우이다. 이때, 방열리드(143’)은 도 4와 마찬가지로, 전극탭들(111, 113, 121, 123)의 인출 방향과 서로 다르며, -y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열판(141’)은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의 장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밀착되며, 제 1 및 제 2 실링부(133a, 133b) 사이에는 개재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가 파우치 케이스(130)에 수납되는 경우,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x 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11, 113)은 y 축 방향으로 인출되며,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121, 123)은 -y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전극탭(211, 213)의 인출 방향이 변경된 것이다.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의 장측면(110a, 120a)은 4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케이스(130a, 130b)의 각 측벽의 길이도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이유는, 제 1 전극조립체(110)의 전극탭(111, 113)과 제 2 전극조립체(120)의 전극탭(211, 213) 각각의 인출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전극탭들(111, 113, 121, 123)의 인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경우, 이차전지(100)와 이차전지(100)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부하 간의 연결 경로가 좀 더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은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110, 120)는 각각 복수 개의 전극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전극조립체들 사이에 방열판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판은 제 1 전극조립체(11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추가될 수 있으며, 제 2 전극조립체(1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추가된 방열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방열리드가 추가될 수 있으며, 추가된 방열리드는 파우치 케이스(130)로부터 각각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800)는,
제 1 전극조립체(810), 제 2 전극조립체(820), 복수의 전극탭(811, 813, 821, 823), 파우치 케이스(830) 및 방열부재(8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800)의 제 1 전극조립체(810), 제 2 전극조립체(820), 복수의 전극탭(811, 813, 821, 823) 및 파우치 케이스(830)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제 1 전극조립체(110), 제 2 전극조립체(120), 복수의 전극탭(111, 113, 121, 123) 및 파우치 케이스(130)의 구성과 동일하며, 방열부재(840)의 구성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제 1 전극조립체(810), 제 2 전극조립체(820), 복수의 전극탭(811, 813, 821, 823) 및 파우치 케이스(8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0)의 제 1 전극조립체(110), 제 2 전극조립체(120), 복수의 전극탭(111, 113, 121, 123) 및 파우치 케이스(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며, 방열부재(8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840)는 방열판(841)과 방열리드(8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판(841)은 대략 사각형의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방열리드(843)는 방열판(8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방열판(841)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재(840)는 구리나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은 절연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재(840)은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810, 820)의 장측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810, 820)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리드(843)는 일 실시예와 달리 파우치 케이스(830)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가 아니라, 방열판(8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파우치 케이스(830)의 내부에서 제 1 전극조립체(810) 또는 제 2 전극조립체(820)의 전극탭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리드(843)는 제 2 전극조립체(820)의 제 2 전극탭(823)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탭(823)에 제 2 절연테이프(823a)가 부착될 경우, 제 2 절연테이프(823a)의 일부를 제거하여 방열리드(843)와 제 2 전극탭(823)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연결방법으로는 저항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800)는 일 실시예와 달리, 방열리드(840)를 파우치 케이스(830)의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파우치 케이스(830)의 내부에서 전극탭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810, 8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방열리드(840)를 통해 파우치 케이스(830)의 외부로 직접 방출되지 않더라도, 파우치 케이스(8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탭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탭의 인출 방향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전극조립체(8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811, 813)과 제 2 전극조립체(821, 823)의 인출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810, 820)가 파우치 케이스(830)에 수납되는 경우, 제 1 전극조립체(8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811, 813)과 제 2 전극조립체(8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821, 823)은 x 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조립체(81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811, 813)은 -y 축 방향으로 인출되며, 제 2 전극조립체(820)의 제 1 및 제 2 전극탭(821, 823)은 y 축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8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전극조립체(810)의 전극탭(811, 813)의 인출 방향이 y 축 방향에서 ?y 축 방향으로 변경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조립체의 장측면은 4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의 각 측벽의 길이도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이유는, 전극조립체의 전극탭의 인출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는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810, 820) 사이에 개재되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전극조립체(810, 820)는 각각 복수 개의 전극조립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전극조립체들 사이에 방열부재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부재는 제 1 전극조립체(81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추가될 수 있으며, 제 2 전극조립체(820)에 포함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파우치형 이차전지
110: 제 1 전극조립체
120: 제 2 전극조립체
130: 파우치 케이스
130a: 제 1 파우치 케이스
131a: 제 1 케이스
133a: 제 1 실링부
130b: 제 2 파우치 케이스
131b: 제 2 케이스
133b: 제 2 실링부
140: 방열부재
141: 방열판
143: 방열리드
110: 제 1 전극조립체
120: 제 2 전극조립체
130: 파우치 케이스
130a: 제 1 파우치 케이스
131a: 제 1 케이스
133a: 제 1 실링부
130b: 제 2 파우치 케이스
131b: 제 2 케이스
133b: 제 2 실링부
140: 방열부재
141: 방열판
143: 방열리드
Claims (20)
-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장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복수의 전극조립체;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탭; 및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이웃하는 전극조립체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열방출용 방열리드를 구비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드와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히트 싱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다른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케이스는,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실링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의 각 일단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면적은, 상기 제 1 실링부 또는 상기 제 2 실링부의 외측 둘레와 동일한 둘레를 갖는 가상의 평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면적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각각의 장측면의 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탭이 인출되는 방향과 상기 방열리드가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의 장측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판의 표면은 절연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드는 상기 파우치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한 쌍의 장측면과 상기 장측면의 양측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단측면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장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 제 복수의 전극조립체;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케이스;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파우치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복수의 전극탭; 및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전극조립체의 장측면 사이에 개재된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과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탭 사이를 연결하는 방열리드를 구비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다른 전극조립체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케이스는,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실링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일면이 개방된 제 2 케이스; 및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제 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의 각 일단부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실링부와 상기 제 2 실링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상기 제 2 전극조립체가 서로 병렬 연결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탭 중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과 상기 제 2 전극조립체와 각각 연결되는 전극탭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의 면적은 상기 복수의 전극조립체 각각의 장측면의 면적보다 작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조립체 중 서로 인접한 전극조립체의 장측면에 접촉한 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부재의 표면은 절연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56961A KR20130133585A (ko) | 2012-05-29 | 2012-05-29 | 파우치형 이차전지 |
US13/610,770 US20130323563A1 (en) | 2012-05-29 | 2012-09-11 |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56961A KR20130133585A (ko) | 2012-05-29 | 2012-05-29 | 파우치형 이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585A true KR20130133585A (ko) | 2013-12-09 |
Family
ID=4967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56961A KR20130133585A (ko) | 2012-05-29 | 2012-05-29 | 파우치형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323563A1 (ko) |
KR (1) | KR20130133585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2156A (ko) * | 2015-08-19 | 2017-03-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
WO2017078437A1 (ko) * | 2015-11-03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
KR20170121490A (ko) * | 2016-04-25 | 2017-1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80081235A (ko) * | 2017-01-06 | 2018-07-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셀 |
US10468656B2 (en) | 2014-10-06 | 2019-11-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lex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complex electrode assembly |
WO2022098093A1 (ko) * | 2020-11-04 | 2022-05-1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파우치 |
WO2022148129A1 (zh) * | 2021-01-07 | 2022-07-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池组件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
WO2023173414A1 (zh) * | 2022-03-18 | 2023-09-21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系统、电池以及用电装置 |
WO2023184173A1 (zh) * | 2022-03-29 | 2023-10-05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用于电化学装置的隔板、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US11817559B2 (en) | 2019-06-07 | 2023-11-14 | Lg Energy Solution,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2601B1 (ko) * | 2012-11-23 | 2019-04-25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내장프레임 및 상기 내장프레임을 갖는 이차전지 |
KR102280687B1 (ko) * | 2014-09-25 | 2021-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극조립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전기화학소자 |
EP3232491A1 (en) * | 2016-04-11 | 2017-10-18 | SK Innovation Co., Ltd. | Lithium secondary battery |
US10367175B2 (en) * | 2016-04-22 | 2019-07-30 | Bosch Bettery Systems LLC | Multicavity battery module |
CN110048171A (zh) * | 2019-05-28 | 2019-07-2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单体充电电池、充电电池组和充电电池包 |
KR20210013931A (ko) * | 2019-07-29 | 2021-02-0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20210074835A (ko) * | 2019-12-12 | 2021-06-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이차전지 |
WO2023164914A1 (zh) * | 2022-03-04 | 2023-09-07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GB2627979A (en) * | 2023-03-10 | 2024-09-11 | Jaguar Land Rover Ltd | Battery cel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623A (ko) * | 2006-07-10 | 2008-0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
KR100870355B1 (ko) * | 2007-07-19 | 2008-11-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파우치형 전지팩 |
KR20090047927A (ko) * | 2007-11-09 | 2009-05-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열교환 부재 |
KR20110116091A (ko) * | 2010-04-17 | 2011-10-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3209B1 (en) * | 2000-03-27 | 2002-12-10 | Powerstor Corporation | Stackable electrochemical capacitor cells |
KR100880386B1 (ko) * | 2005-06-03 | 2009-01-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KR100910624B1 (ko) * | 2006-07-28 | 2009-08-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첩식 이차전지 |
KR101001320B1 (ko) * | 2007-11-09 | 2010-12-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향상된 열 안정성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전지모듈 |
US8765282B2 (en) * | 2009-12-18 | 2014-07-0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Battery assemblies |
KR101093890B1 (ko) * | 2010-01-12 | 2011-12-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
2012
- 2012-05-29 KR KR20120056961A patent/KR2013013358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2-09-11 US US13/610,770 patent/US20130323563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623A (ko) * | 2006-07-10 | 2008-0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용 안전부재 |
KR100870355B1 (ko) * | 2007-07-19 | 2008-11-2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파우치형 전지팩 |
KR20090047927A (ko) * | 2007-11-09 | 2009-05-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우수한 방열 특성의 전지모듈 및 열교환 부재 |
KR20110116091A (ko) * | 2010-04-17 | 2011-10-2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셀 어셈블리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57105B2 (en) | 2014-10-06 | 2023-09-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lex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complex electrode assembly |
US10468656B2 (en) | 2014-10-06 | 2019-11-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lex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complex electrode assembly |
US11145939B2 (en) | 2014-10-06 | 2021-10-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mplex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complex electrode assembly |
KR20170022156A (ko) * | 2015-08-19 | 2017-03-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
WO2017078437A1 (ko) * | 2015-11-03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 전지용 파우치 외장재 |
US10454130B2 (en) | 2015-11-03 | 2019-10-22 | Lg Chem, Ltd. |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
US11217815B2 (en) | 2015-11-03 | 2022-01-04 | Lg Chem, Ltd. |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
US11515562B2 (en) | 2015-11-03 | 2022-11-29 | Lg Energy Solution, Ltd. | Pouch casing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
KR20170121490A (ko) * | 2016-04-25 | 2017-1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
KR20180081235A (ko) * | 2017-01-06 | 2018-07-1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전지셀 |
US11817559B2 (en) | 2019-06-07 | 2023-11-14 | Lg Energy Solution,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
WO2022098093A1 (ko) * | 2020-11-04 | 2022-05-1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차전지 파우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 파우치 |
EP4241962A4 (en) * | 2020-11-04 | 2024-04-10 | LG Energy Solution, Ltd. | DEVICE FOR MANUFACTURING A SECONDARY BATTERY POCKET AND SECONDARY BATTERY POCKET MANUFACTURED THEREBY |
WO2022148129A1 (zh) * | 2021-01-07 | 2022-07-14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电池组件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
WO2023173414A1 (zh) * | 2022-03-18 | 2023-09-21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单体及其制造方法和制造系统、电池以及用电装置 |
WO2023184173A1 (zh) * | 2022-03-29 | 2023-10-05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用于电化学装置的隔板、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323563A1 (en) | 2013-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33585A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 |
US11515598B2 (en) | Battery pack | |
US9548475B2 (en) |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 |
KR102332343B1 (ko) | 전지 모듈 | |
KR102113155B1 (ko) | 전지모듈 및 전지팩 | |
JP2011222519A (ja) | 二次電池 | |
US20130149579A1 (en) | Secondary battery | |
TW201304248A (zh) | 組電池 | |
JP2011054555A (ja) | 電極群及びこれを適用した2次電池 | |
KR20170024725A (ko) | 전지 모듈 | |
KR20160089134A (ko) | 배터리 팩 | |
KR20160062625A (ko) |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20130111697A (ko) | 배터리셀 | |
KR100922742B1 (ko) |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 |
EP2602841A1 (en) | Battery | |
KR20160073233A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EP2978061B1 (en)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
KR101658973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
US9017850B2 (en) | Secondary battery | |
EP4376148A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2226515B1 (ko) |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US10522871B2 (en) | Secondary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erminal | |
US10535858B2 (en) | Secondary battery and current collector terminal | |
US11641038B2 (en) |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33179A (ko) | 이차전지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